KR102613184B1 -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184B1
KR102613184B1 KR1020210145411A KR20210145411A KR102613184B1 KR 102613184 B1 KR102613184 B1 KR 102613184B1 KR 1020210145411 A KR1020210145411 A KR 1020210145411A KR 20210145411 A KR20210145411 A KR 20210145411A KR 102613184 B1 KR102613184 B1 KR 10261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rface
cap plate
welding
anode
pl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814A (ko
Inventor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주) 에스피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피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 에스피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21014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184B1/ko
Priority to US17/535,178 priority patent/US20230134810A1/en
Priority to CN202111446886.9A priority patent/CN116053693A/zh
Priority to EP21213525.5A priority patent/EP4175028A1/en
Publication of KR2023006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상면에 양극부(51) 및 음극부(61)가 삽입 고정되어, 배터리팩 케이스(5)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음극부 캡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전면 및 후면에 제1 수평면(2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제1 수평면(21)보다 길이가 긴 제1 수직면(2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제1 수평면(2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평면(3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제1 수직면(22)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직면(3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면(22)은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Cap plate assembly by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배터리팩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플레이트의 세로를 서로 용접하여, 상기 캡플레이트의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배터리셀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어, 상기 배터리셀 및 이차전지의 용량을 증가시켜, 전기자동차의 주행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Lithum polymer battery)에서는 다수의 배터리셀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배터리셀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없어, 상기 배터리셀의 용량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에서는 다수의 배터리셀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플레이트의 가로의 길이보다는 상기 캡플레이트의 세로의 길이를 증대시켜, 상기 배터리셀의 부피가 증가함으로 인해 모듈 조립 시, 상기 모듈의 크기 및 상기 배터리셀의 삽입 개수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가 설치됨으로 인해, 현재의 각형 배터리셀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에서는 다수의 배터리셀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형태, 크기 및 용량이 일정함으로 인해, 상기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 증가를 위한 에너지의 밀도값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는 부품 품질의 핵심인 캡플레이트의 평탄도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캡플레이트 및 케이스 간의 용접 시, 용접 스파크의 과다 발생으로 인해 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용접 불량에 의한 핀홀의 발생으로 인해 유체 누설(Leak)의 발생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1255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플레이트의 세로를 서로 용접하여, 상기 캡플레이트의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배터리셀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어, 상기 배터리셀 및 이차전지의 용량을 증가시켜, 상기 전기자동차의 주행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상면에 양극부(51) 및 음극부(61)가 삽입 고정되어, 배터리팩 케이스(5)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음극부 캡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전면 및 후면에 제1 수평면(2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제1 수평면(21)보다 길이가 긴 제1 수직면(2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제1 수평면(2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평면(3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제1 수직면(22)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직면(3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면(22)은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상면 우측에 양극부(51)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23)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상면 좌측에 음극부(61)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33)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용접 결합은 상기 제1 안착부(23)에서 가장 원거리의 제1 수직면(22)이 상기 제2 안착부(33)에서 가장 원거리의 제2 수직면(32) 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 결합은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 위한 가용접 및 상기 가용접 이후에 본격적으로 수행되는 본용접을 포함하고,상기 가용접에서는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이 컨덕션 용접에 의해 일시적으로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용접에서는 상기 제1 수직면(22)의 상부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의 상부에 용접 포인트(40)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 포인트(40)는 상기 제1 수직면(22)의 상부 일단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의 상부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용접 포인트(41) 및 상기 제1 수직면(22)의 상부 타단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의 상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용접 포인트(42)를 포함하고, 상기 본용접에서는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이 상기 컨덕션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용접 포인트(41)에서 상기 제2 용접 포인트(42)까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은 레이저 용접기에서 중력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용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에서는 자동차 이차전지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플레이트 2개를 맞대어, 상기 캡플레이트의 세로를 서로 용접하여, 상기 캡플레이트의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가로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에서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배터리셀의 용량을 증대시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기자동차의 주행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는 캡플레이트의 세로의 길이가 아닌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셀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는 다수의 배터리셀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기자동차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는 배터리셀의 불량 또는 상기 배터리셀에 대한 고압 발생 시, 용접부의 강도 향상으로 인해 파단 압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상기 배터리셀의 폭발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극부 캡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극부 캡플레이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극부 캡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극부 캡플레이트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의 상면에는 양극부(51) 및 음극부(61)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캡플레이트 용접 조립체(10)는 이차전지용 배터리팩 케이스(5)의 상부에 결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음극부 캡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양극부 캡플레이트(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제1 수평면(2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1 수평면(21)과 수직인 제1 수직면(2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수평면(21)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1 수직면(22)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 수평면(21)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제1 수직면(22)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상면 우측에는 양극부(51)(미도시)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23)가 함몰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제1 수평면(2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평면(3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1 수직면(22)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고, 제2 수평면(31)과 수직인 제2 수직면(3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상면 좌측에는 음극부(61)(미도시)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33)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제1 수직면(22)은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제2 수직면(32)에 용접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접 결합은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제1 안착부(23)에서 가장 원거리의 제1 수직면(22)과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제2 안착부(33)에서 가장 원거리의 제2 수직면(32) 간에 수행된다.
그리고,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용접 결합은 가용접 및 본용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용접은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음극부 캡플레이트(30)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 위해 수행되는 용접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가용접에서는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이 컨덕션 용접(Conduction Welding)에 의해 일시적으로 용접 결합된다. 이때, 컨덕션 용접은 모재가 박판이거나, 레이저 빔의 출력이 작은 경우에 적용되는 열전도에 의한 레이저 용접 방식을 의미한다.
일반 용접에 의한 용접 시, 모재 사이의 용접부에 핀홀 등의 구멍이 발생하거나 또는 모재가 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컨덕션 용접에 의한 용접 시, 모재 사이의 용접부는 거의 과열되지 않아, 핀홀이 발생하거나, 모재가 휘는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은 레이저 용접기에서 중력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용융 결합된다.
그리고, 가용접에서는 제1 수직면(22)의 상부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의 상부에 용접 포인트(40)가 형성된다.
이때, 용접 포인트(40)는 제1 용접 포인트(41) 및 제2 용접 포인트(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용접 포인트(41)는 제1 수직면(22)의 상부 일단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의 상부 일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용접 포인트(42)는 제1 수직면(22)의 상부 타단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의 상부 타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용접은 상기 가용접 이후에 본격적으로 수행되는 용접 방식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용접에서는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이 컨덕션 용접에 의해 제1 용접 포인트(41)에서 제2 용접 포인트(42)까지 용접 결합된다.
한편,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음극부 캡플레이트(30)가 용접 결합된 이후에는 누설 검사 및 인장강도 시험이 수행된다.
먼저, 누설 검사(Leak Test)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의 용접부에서 유체의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의미한다.
그리고, 인장강도 시험은 용접 조립체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하중으로 잡아당겨, 상기 기준 하중 및 용접 조립체의 변형된 모양으로부터 상기 용접조립체의 용접부의 인장강도를 구하기 위한 시험을 의미한다.
한편,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제1 안착부(23)의 상면 중앙에는 양극부(51)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한 제1 볼트(52)(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제1 관통홀(24)이 관통 형성되고, 제1 안착부(23)의 상면 양측에는 양극부(51)의 하부가 고정 결합되는 제1 결합홀(25)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상면 좌측에는 제1 상부 삽입공(26)이 함몰 형성되고, 제1 상부 삽입공(26)의 하면에는 제1 하부 삽입공(27)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홀(36)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음극부 캡플레이트(30)의 제2 안착부(33)의 상면 중앙에는 음극부(61)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한 제2 볼트(62)(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제2 관통홀(34)이 관통 형성되고, 제2 안착부(33)의 상면 양측에는 음극부(61)의 제2 돌출부가 고정 결합되는 제2 결합홀(35)이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에서는 자동차 이차전지용 배터리팩 케이스(5)의 상부에 장착되는 캡플레이트 2개를 맞대어, 상기 캡플레이트의 세로를 서로 용접하여, 상기 캡플레이트의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5)의 가로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에서는 상기 케이스(5)에 수용되는 배터리셀의 용량을 증대시켜, 상기 이차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기자동차의 주행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캡플레이트의 세로의 길이가 아닌 가로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셀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다수의 배터리셀을 수용하는 케이스(5)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기자동차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배터리셀의 불량 또는 상기 배터리셀에 대한 고압 발생 시, 용접부의 강도 향상으로 인해 파단 압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상기 배터리셀의 폭발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5: 케이스 10: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20: 양극부 캡플레이트 21: 제1 수평면
22: 제1 수직면 23: 제1 안착부
24: 제1 관통홀 25: 제1 결합홀
26: 제1 상부 삽입공 27: 제1 하부 삽입공
30: 음극부 캡플레이트 31: 제2 수평면
32: 제2 수직면 33: 제2 안착부
34: 제2 관통홀 35: 제2 결합홀
36: 고정홀 40: 용접 포인트
41: 제1 용접 포인트 42: 제2 용접 포인트
51: 양극부 52: 제1 볼트
61: 음극부 62: 제2 볼트

Claims (5)

  1. 상면에 양극부(51) 및 음극부(61)가 삽입 고정되어, 배터리팩 케이스(5)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10)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양극부 캡플레이트(20); 및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의 타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음극부 캡플레이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전면 및 후면에 제1 수평면(2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제1 수평면(21)보다 길이가 긴 제1 수직면(2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제1 수평면(2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평면(31)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상기 제1 수직면(22)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제2 수직면(32)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면(22)은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 캡플레이트(20)는
    상면 우측에 양극부(51)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23)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음극부 캡플레이트(30)는
    상면 좌측에 음극부(61)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33)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용접 결합은
    상기 제1 안착부(23)에서 가장 원거리의 제1 수직면(22)이 상기 제2 안착부(33)에서 가장 원거리의 제2 수직면(32) 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결합은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 위한 가용접; 및
    상기 가용접 이후에 본격적으로 수행되는 본용접;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접에서는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이 컨덕션 용접에 의해 일시적으로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접에서는
    상기 제1 수직면(22)의 상부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의 상부에 용접 포인트(40)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 포인트(40)는
    상기 제1 수직면(22)의 상부 일단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의 상부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용접 포인트(41); 및
    상기 제1 수직면(22)의 상부 타단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제2 수직면(32)의 상부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용접 포인트(42);를 포함하고,
    상기 본용접에서는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이 상기 컨덕션 용접에 의해 상기 제1 용접 포인트(41)에서 상기 제2 용접 포인트(42)까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면(22) 및 상기 제1 수직면(22)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수직면(32)은
    레이저 용접기에서 중력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용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KR1020210145411A 2021-10-28 2021-10-28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KR102613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11A KR102613184B1 (ko) 2021-10-28 2021-10-28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US17/535,178 US20230134810A1 (en) 2021-10-28 2021-11-24 Cap plate weld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secondary battery
CN202111446886.9A CN116053693A (zh) 2021-10-28 2021-11-30 电动车辆二次电池用盖板焊接构件
EP21213525.5A EP4175028A1 (en) 2021-10-28 2021-12-09 Cap plate weld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11A KR102613184B1 (ko) 2021-10-28 2021-10-28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14A KR20230060814A (ko) 2023-05-08
KR102613184B1 true KR102613184B1 (ko) 2023-12-13

Family

ID=7882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411A KR102613184B1 (ko) 2021-10-28 2021-10-28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34810A1 (ko)
EP (1) EP4175028A1 (ko)
KR (1) KR102613184B1 (ko)
CN (1) CN116053693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276A (ko) * 2005-06-02 200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2360754B1 (en) * 2010-01-26 2013-11-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assembly
KR101132115B1 (ko) * 2010-05-31 2012-04-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케이스 및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KR101212552B1 (ko) 2010-11-29 2012-12-1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구조
KR101693292B1 (ko) * 2013-01-21 2017-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571486B1 (ko) * 2016-01-04 2023-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629054B1 (ko) * 2016-06-28 2024-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5028A1 (en) 2023-05-03
US20230134810A1 (en) 2023-05-04
CN116053693A (zh) 2023-05-02
KR20230060814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5001B2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WO2019130936A1 (ja)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5015455B2 (ja) 二次電池単電池間の接続構造
WO2021083062A1 (zh) 电池包下箱体、电池包、装置及电池包下箱体组装方法
KR20100067464A (ko) 전지 모듈
KR20150001604A (ko) 배터리 모듈
KR20100087374A (ko) 용접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전지 제조 방법
JP6467211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WO2019031169A1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装備する車両
KR102043115B1 (ko) 2차전지셀 또는 전극조립체 외부 케이스 용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2차전지셀 또는 전극조립체 외부 케이스 용접 시스템
US20180366762A1 (en) Fuel cell separator member and fuel cell stack
KR102146171B1 (ko) 스틸 타입 적용 배터리 케이스
JP2018113160A (ja) 電池ケースの封止方法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2613184B1 (ko) 용접에 의한 캡플레이트 조립체
CN117638336A (zh) 电池外壳及动力电池
WO2024082837A1 (zh) 电池
KR20190086187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2020177935A (ja) 組電池
JP5546997B2 (ja) 溶接方法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CN218311729U (zh) 一种方形电池焊接夹具
CN218182384U (zh) 电池装置
JP2022522628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とバッテリーパック
CN111063854A (zh) 软包电池模组及软包电池模组极耳的激光焊接方法
CN215578964U (zh) 组合汇流排、电池模组及电池
CN205723728U (zh) 电池组件和具有其的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