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86B1 -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 Google Patents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86B1
KR102612686B1 KR1020230040457A KR20230040457A KR102612686B1 KR 102612686 B1 KR102612686 B1 KR 102612686B1 KR 1020230040457 A KR1020230040457 A KR 1020230040457A KR 20230040457 A KR20230040457 A KR 20230040457A KR 102612686 B1 KR102612686 B1 KR 102612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pr
piece
sides
electric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4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ground prob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의 하부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전방 휠과, 본체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후방 휠과, 전방 휠 또는 후방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계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전방 휠과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고, 지중의 공동이나 싱크홀 존재 여부를 탐사하는 관통 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본체 하부측에 형성되어 전방 휠과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고, GPR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크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도 구간의 공동 탐사를 위하여 기존의 핸디형 GPR 탐사 장치를 손쉽게 설치하여 탐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동 카트를 활용하여 비용 절감 및 탐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with a loading box, a front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a rear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main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front wheel or rear wheel. A first unit including a drive transmission system that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wheel; A second unit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and includ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underground cavities or sinkholes; And a third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including a dock for detachably coupling the GPR device, using the existing handy type for joint exploration of the sidewalk section. It is about a portable GPR device in the form of an electric cart that allows the GPR exploration device to be easily installed and conducts exploration,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costs and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exploration by using an electric cart. .

Description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Electric cart type portable GRP device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본 발명은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는 물론이고 보도 구간의 지중 공동 존재 여부를 탐사하는데 사용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GPR device of the electric cart typ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rtable GPR device of the electric cart type used to detect the presence of underground cavities in sidewalks as well as roadways.

최근 도심지에서의 도로함몰 및 지반침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인명 피해, 구조물 손상 등에 따른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Recently, road cave-ins and ground subsidence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in urban area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due to loss of life and damage to structures.

차도구간 노면하부 공동은 통과 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 탐사 기법을 이용한 공동탐사를 수행하여 사전 예방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보도 구간에서는 공동탐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Preventative activitie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by conducting joint exploration of the cavity under the road surface in the roadway section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exploration techniques, but joint exploration is not taking place in the sidewalk section.

보도 구간의 공동조사는 지하안전법에 의거 지하시설물 관리자가 5년마다 1회 이상 시행하여야 하나, 차도와 다른 환경(보행자, 노상지장물 등) 및 공동조사 장비, 기술 등의 한계로 안전점검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Joint inspection of sidewalk sections must be conducted by underground facility managers at least once every five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Underground Safety Act. However, due to limitations in environments other than roadways (pedestrians, obstacles on the road, etc.) and joint inspection equipment and technology, safety inspections are limited. The reality is that effectiveness cannot be secured.

보도 구간은 차도부에 비해 포장층 하부 다짐도가 낮고 지하매설물이 많아 하부 지반상태가 매우 복잡하다. Compared to the roadway section, the compaction level of the lower part of the pavement layer in the sidewalk section is low and there are many underground structures, so the underlying ground condition is very complex.

또한 보도 구간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과 달리 표층 구조가 불연속식으로 되어 있어 공동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 하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함몰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낮을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asphalt or concrete pavement, sidewalk sections have a discontinuous surface layer structure, so if cavities exist,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collapse may be low even though there is no vehicle load.

그러나 보도구간에서의 공동발생 및 지반 침하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므로, 공동탐사 기술력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However, as cavity occurrence and ground subsidence continue to occur in sidewalk sections, safety accidents for pedestrians are a concern, 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mprove joint exploration technology.

보도구간은 차도와 달리 탐사속도가 저조하여 장기간 소용되는 단점이 있다.Unlike roadways, sidewalk section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us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low exploration speed.

특히 보도구간 공동탐사를 위해 기존의 핸디형 GPR탐사 장비를 인력으로 조사하는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method of manually investigating existing hand-held GPR exploration equipment for joint exploration of sidewalk sections has the disadvantage of taking a lot of time and increasing costs.

등록특허 제10-0972655호Registered Patent No. 10-097265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도 구간의 공동 탐사를 위하여 기존의 핸디형 GPR 탐사 장치를 손쉽게 설치하여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ortable GPR device in the form of an electric cart that allows easy installation of an existing hand-held GPR exploration device to conduct exploration for joint exploration of sidewalk sections. will be.

그리고, 본 발명은 전동 카트를 활용하여 비용 절감 및 탐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costs and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exploration by utilizing an electric c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전방 휠과, 상기 본체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후방 휠과, 상기 전방 휠 또는 상기 후방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계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전방 휠과 상기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고, 지중의 공동이나 싱크홀 존재 여부를 탐사하는 관통 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본체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휠과 상기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GPR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크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with a loading box, a front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front wheel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ground. A first unit including a rear wheel in rolling contact and a drive transmission system that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a second unit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includ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underground cavity or sinkhole; and a third uni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including a dock for detachably coupling the GPR device. will be able to provide.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전방 양측의 외부에 배치되고, 빛이 점멸됨으로써 상기 제1 유닛의 주행중 주변에 상기 제1 유닛의 주행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는 경광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 warning light module is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outside the front sides of the loading box, and blinks a light to visually recognize the driving of the first unit while the first unit is driving. It is characterized by

이때, 상기 본체의 후방 끝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후미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tail ligh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GPR 장치가 전송하는 상기 지중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휴대용 단말이 거치되는 단말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hold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that collects the underground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PR device in real time is mounted.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 끝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후미등과, 상기 본체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후미등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발을 디딜 수 있는 상면을 가진 발판을 포함하는 디딤 발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disposed between a tail ligh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and a pair of tail light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orker can stand up and step on 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ping foot assembly including a footrest having an upper surface that can be used.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올라서서 발을 디딜 수 있는 상면을 가진 발판과, 상기 발판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되는 지지 연장편과, 상기 본체의 후방측 단부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발판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연장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연장편과 직교하며 상기 발판지지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회동지지 브라켓과, 상기 발판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 실린더와, 상기 절첩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발판 회동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를 구비한 절첩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footres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a worker can stand and step, a support extension piece bent and extended to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ootrest, and from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 protruding footrest support bracket, a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each extending from a front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iece an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extension piec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and a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olding cylinder, and a folding rod having an end that is mounted to be removable from the folding cylinde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아울러,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방 휠과 상기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 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방 휠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지는 전방 격벽과,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격벽의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방 격벽의 하단부 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 사면과,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 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방 휠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지는 후방 격벽과,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격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방 격벽의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후방 격벽의 하단부 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 사면과, 상기 GPR 장치의 측면을 따라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전방 격벽 및 상기 후방 격벽과 마주보는 측면을 가지는 걸림 리브와, 상기 걸림 리브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걸림 고리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 고리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걸림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constituting the dock, a base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constituting the dock protrudes from a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to support the front wheel. A front bulkhead having an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ck, a front guide slop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bulkhea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bulkhead, which constitutes the dock, and the dock. Consisting of the rear bulkhead, which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base and ha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wheel, and the dock, the rear bulkhead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bulkhead. a rear guide slope cut up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bulkhead, and a locking rib extending along a side of the GPR device and having a side facing the front bulkhead and the rear bulkhead; It further includes a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rib, a wir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and a hook that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wire a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hook.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보도 구간의 공동 탐사를 위하여 기존의 핸디형 GPR 탐사 장치를 손쉽게 설치하여 탐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동 카트를 활용하여 비용 절감 및 탐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xploration can be performed by easily installing an existing hand-held GPR exploration device for joint exploration of the sidewalk section, and by utilizing an electric cart to reduce costs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exploration. It has special advantages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후방 하부측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후방 상부측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하부 측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ar lower sid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ar upper sid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ower sid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examples herein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s used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ing (or, includ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후방 하부측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ar lower sid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후방 상부측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ar upper sid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하부 측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ower sid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In addition, Figure 5 is a side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1에서 화살표 F 방향은 전방측을, 화살표 E 방향은 후방측을, 화살표 L 방향은 좌측을, 화살표 R 방향은 우측을, 화살표 U 방향은 상측을, 화살표 D 방향은 하측을 각각 나타내며, 이하의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각 방향을 가늠하고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For reference, in Figure 1, the arrow F direction is the front side, the arrow E direction is the rear side, the arrow L direction is the left side, the arrow R direction is the right side, the arrow U direction is the upper side, and the arrow D direction is the lower side. 2 to 5 below, relative angular directions can be measured and confirmed based on FIG. 1.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 카트를 구성하는 제1 유닛(100)과, 관통 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 장치(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과, 제2 유닛(200)을 제1 유닛(100)에 탈착 결합시키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nit 100 constituting an electric cart, a second unit 200 includ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device 210, and a second unit 200 includ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device 210. An embodiment including a third unit 300 that provides space and area for detachably coupling the unit 200 to the first unit 100 may be applied.

제1 유닛(100)은, 적재함(120)이 구비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하부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400)과 구름 접촉하는 전방 휠(130)과, 본체(110)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400, 이하 도 5 참조)과 구름 접촉하는 후방 휠(140)과, 전방 휠(130) 또는 후방 휠(14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계(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The first unit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equipped with a loading box 120, a front wheel 13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400, and a main body ( A rear wheel 140 tha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110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400 (see FIG. 5 below), and a drive transmiss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t shown) is included.

제2 유닛(200)은, 전방 휠(130)과 후방 휠(140) 사이에 배치되고, 지중의 공동이나 싱크홀 존재 여부를 탐사하는 GPR 장치(210)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second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130 and the rear wheel 140 and includes a GPR device 210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underground cavity or sinkhole.

제3 유닛(300)은, 본체(110) 하부측에 형성되어 전방 휠(130)과 후방 휠(140) 사이에 배치되고, GPR 장치(2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크(301)를 포함하는 것이다. The third unit 3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130 and the rear wheel 140, and includes a dock 301 that detachably couples the GPR device 210. It is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우선, 본체(110)의 전방 양측에는 경광등 모듈(150)이 형성되어 적재함(120)의 전방 양측의 외부에 배치되고, 빛이 점멸됨으로써 제1 유닛(100)의 주행중 주변에 제1 유닛(100)의 주행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warning light modules 15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placed outside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120, and the light blinks so that the first unit 100 is visible around the first unit 100 while the first unit 100 is running. )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visually recogniz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여기서, 경광등 모듈(150)은, 본체(110)의 전방 상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정 높이로 돌출된 지지봉(151)과, 지지봉(151) 각각의 상단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광학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arning light module 150 includes a support bar 151 that protrudes at a certain height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n optical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upper end of each support bar 151. It may include member 152.

이때, 경광등 모듈(150)은,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지지봉(151)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학 부재(152)에 내장되며, 빛을 본체(110)의 전방측을 향하여 조사하거나, 빛이 점멸되게 하거나, 빛의 조사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명장치(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arning light module 15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body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upport rod 151, and is built into the optical member 152, and radiates ligh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 it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not shown hereinafter) that causes light to blink or rotates the direction of light irradiation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또한, 경광등 모듈(150)은, 지지봉(151)이나 광학 부재(152) 또는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조명장치의 가동과 동시에 경고 음향이나 경고 방송을 송출하는 스피커(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warning light module 1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151, the optical member 152, or the main body 110 and includes a speaker (hereinafter not shown) that transmits a warning sound or warning broadcast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There may be more available.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10)의 후방 끝면의 양측에는 후미등(160)이 형성되어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ail lights 16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be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110.

한편,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체(110)의 일측에는 단말 거치대(170)가 구비되어 GPR 장치(210)가 전송하는 지중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휴대용 단말이 거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3, a terminal holder 1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provide space and area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that collects underground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PR device 210 in real time is mounted. You might be able to do it.

여기서, 본체(110)의 후방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적재함(120)의 후방측에 배치된 배전함(112)과, 배전함(112)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한 쌍의 핸들(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 distribution box 112 protruding from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box 120, and a pair of handles 11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tribution box 112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an operator. It may further include.

이때, 한 쌍의 핸들(114) 사이에 조종간(116)이 배치되며, 조종간(116)은 적재함(120)의 높낮이나 GPR 장치(210)를 결합하는 도크(301)의 높낮이를 조작하거나, 경고 음향이나 경고 방송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조작하거나, 경광등 모듈(150)에 구비된 조명장치의 빛 조사 방향 및 점등 등의 조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 stick 116 is placed between the pair of handles 114, and the control stick 116 controls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120 or the height of the dock 301 combining the GPR device 210, or provides a warning. It will be possible to operate a speaker that transmits sound or a warning broadcast, or to control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nd lighting of the lighting device provided in the warning light module 150.

따라서, 단말 거치대(170)는 배전함(112)의 상단부 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holder 17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box 112.

이러한 단말 거치대(170)는, 배전함(112)의 상단부 면에 구비되는 연결 블록(173)과, 연결 블록(173)의 일측에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가진 평판 형상의 제1 편(171)과, 제1 편(17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가진 평판 형상의 제2 편(172)을 포함할 수 있다.This terminal holder 170 includes a connection block 17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box 112, and a first piece 171 in the shape of a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173 and having an area of a certain size. And, it may include a flat second piece 172 that is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iece 171 and has an area of a certain size.

여기서, 단말 거치대(170)는, 제1 편(17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 측면 가림편(174)과, 제2 편(172)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2 측면 가림편(175)과, 제2 편(17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되어 한 쌍의 제2 측면 가림편(175)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편(176)을 더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holder 170 includes a first side shielding piece 174 bent and extended from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irst piece 171, and a second side bent and extended from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econd piece 172. 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piece 175 and an upper connecting piece 176 that is bent and extend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piece 172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side shielding pieces 175.

따라서, 제1 편(171)에 노트북 컴퓨터의 자판을 포함한 본체(110)가 거치될 수 있으며 제2 편(172)에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main body 110 including the keyboard of the notebook computer can be mounted on the first piece 171, and the display panel of the notebook computer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piece 172.

경우에 따라 제1 편(171)에 작업자의 스마트폰 하단부 가장자리가 거치될 수 있이며 제2 편(172)에 작업자의 스마트폰 배면이 접촉 거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some cases, the bottom edge of the worker's smartphone may be placed on the first part 171, and the back of the worker's smartphone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part 172.

한편, 연결 블록(173)에는 적재함(120)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편(171)의 슬라이딩 왕복을 허용하며 제1 편(171)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 레일(177, 이하 도 5 참조)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connection block 173 is provided with a support rail 177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ending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120 to allow sliding and reciprocating of the first piece 171 an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piece 171. (see FIG. 5) may be further provided.

다시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110)의 후방측 단부에 디딤 발판 어셈블리(180)가 형성되어 한 쌍의 후미등(160) 사이에 배치되고, 디딤 발판 어셈블리(180)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발을 디딜 수 있는 상면을 가진 발판(181)을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gain with reference to FIG. 2 together with FIG. 1, a stepping stone assembly 18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disposed between a pair of tail lights 160, and the stepping stone assembly 180 is used by the operator. It may include a footrest 181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one can stand and step.

여기서, 디딤 발판 어셈블리(180)는, 본체(110)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올라서서 발을 디딜 수 있는 상면을 가진 발판(181)과, 발판(18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되는 지지 연장편(18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ping stool assembly 180 includes a stepping stool 18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worker can stand and step, and a bending extension on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tepping stool 181. It may include a support extension piece 182.

이때, 디딤 발판 어셈블리(180)는 본체(110)의 후방측 단부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발판지지 브라켓(183)과, 지지 연장편(182)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지지 연장편(182)과 직교하며 발판지지 브라켓(183)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회동지지 브라켓(184)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ping foot assembly 180 includes a foot support bracket 183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support extension piece 182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iece 182,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184) that is orthogonal to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183).

또한, 디딤 발판 어셈블리(180)는 발판지지 브라켓(18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 실린더(185)와, 절첩 실린더(185)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발판 회동지지 브라켓(18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를 구비한 절첩 로드(18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ping foot assembly 180 includes a folding cylinder 185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183, and is mounted to be accessible from the folding cylinder 185 and is rotatable in the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184. It may include a folded rod 186 having a coupled end.

한편, 제3 유닛(300)의 도크(301)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방 휠(130)과 후방 휠(140)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ck 301 of the third unit 300 has a base 310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130 and the rear wheel 140, as shown in FIGS. 1 and 5. may include.

그리고, 도크(301)는 베이스(310)의 하면 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전방 휠(13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지는 전방 격벽(320)과, 전방 격벽(320)의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전방 격벽(320)의 하단부 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 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 301 has a front bulkhead 320 that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310 and ha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wheel 130, and a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bulkhead 320. It may include a front guide slope 321 that is cut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ront partition wall 320.

그리고, 도크(301)는 베이스(310)의 하면 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후방 휠(14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지는 후방 격벽(330)과, 전방 격벽(32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후방 격벽(330)의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격벽(330)의 하단부 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 사면(33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 301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base 310 and faces the rear bulkhead 330, which ha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wheel 1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bulkhead 320. The beam may include a rear guide slope 331 that is cut from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ide of the rear partition wall 330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artition wall 330.

또한, GPR 장치(210)의 측면을 따라 걸림 리브(220)가 연장 돌출되어 전방 격벽(320) 및 후방 격벽(330)과 마주보는 측면을 가진다.In addition, the engaging rib 220 extends and protrudes along the side of the GPR device 210 and has a side facing the front partition 320 and the rear partition 330.

아울러, 걸림 리브(220)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걸림 고리(230)와, 베이스(310)의 양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이하 미도시)와, 와이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걸림 고리(230)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걸림 후크(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hook 230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rib 220, a wire (not shown hereinafter)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310, and a hook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ire A hook (not shown hereinafter) that is detachably fixed to (230) may be further provided.

따라서, 작업자가 전, 후방 격벽(320, 330) 사이에 GPR 장치(210)를 밀어넣고, 와이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하강시키는 조작을 수행한 후 걸림 고리(230)에 걸림 후크를 걸고 GPR 장치(210)를 상승시켜 걸림 리브(220)의 전후방 측면이 전, 후방 격벽(320, 330) 사이에 밀착 배치되도록 한 다음, 구동 전달계를 가동시켜 제1 유닛(100)을 이동시키면서 보도 구간의 공동 탐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operator pushes the GPR device 210 between the front and rear bulkheads 320 and 330, performs an operation to manually or automatically lower the wire, then hangs the hook on the hook 230 and places the GPR device ( 210) is rais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atching rib 220 are plac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front and rear bulkheads 320 and 330, and then the drive transmission system is operated to move the first unit 100 to jointly explore the sidewalk section. You will be able to perfor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도 구간의 공동 탐사를 위하여 기존의 핸디형 GPR 탐사 장치를 손쉽게 설치하여 탐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동 카트를 활용하여 비용 절감 및 탐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xploration by easily installing an existing handy GPR exploration device for joint exploration of sidewalk sections, and significantly improves work efficiency by reducing costs and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exploration by utilizing an electric cart.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provide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that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제1 유닛
110...본체
112...배전함
114...핸들
116...조종간
120...적재함
130...전방 휠
140...후방 휠
150....경광등 모듈
151...지지봉
152...광학 부재
160...후미등
170...단말 거치대
171...제1 편
172...제2 편
173...연결 블록
174...제1 측면 가림편
175...제2 측면 가림편
176...상부 연결편
177...지지 레일
180...디딤 발판 어셈블리
181...발판
182...지지 연장편
183...발판지지 브라켓
184...발판 회동지지 브라켓
185...절첩 실린더
186...절첩 로드
200...제2 유닛
210...GPR 장치
220...걸림 리브
230...걸림 고리
300...제3 유닛
301...도크
310...베이스
320...전방 격벽
321...전방 가이드 사면
330...후방 격벽
331...후방 가이드 사면
400...지면
100...1st unit
110...main body
112...distribution box
114...Handle
116...control stick
120...loaded
130...front wheel
140...rear wheel
150....Warning light module
151...support rod
152...optical member
160...tail lights
170...Terminal stand
171...Part 1
172...Part 2
173...connection block
174...First side shield
175...Second side cover
176...Upper connection
177...support rail
180...stepping step assembly
181...Scaffolding
182...support extension
183...footrest support bracket
184...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185...folding cylinder
186...folding rod
200...2nd unit
210...GPR device
220...Hanging rib
230...Hanging ring
300...3rd unit
301...Dock
310...Base
320...forward bulkhead
321...Front guide slope
330...rear bulkhead
331...rear guide slope
400...ground

Claims (7)

적재함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전방 휠과, 상기 본체의 하부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후방 휠과, 상기 전방 휠 또는 상기 후방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계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GPR 장치가 전송하는 지중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휴대용 단말이 거치되는 단말 거치대와, 상기 본체의 후방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방측에 배치된 배전함과, 상기 배전함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한 쌍의 핸들과, 상기 한 쌍의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높낮이나 상기 GPR 장치를 결합하는 도크의 높낮이를 조작하거나 경고 음향이나 경고 방송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조작하거나 경광등 모듈에 구비된 조명장치의 빛 조사 방향 및 점등을 조작 가능한 조종간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배전함의 상단부 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유닛;
상기 전방 휠과 상기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고, 지중의 공동이나 싱크홀 존재 여부를 탐사하는 관통 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본체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휠과 상기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GPR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크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배전함의 상단부 면에 구비되는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 블록의 일측에 연결되어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가진 평판 형상의 제1 편과,
상기 제1 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가진 평판 형상의 제2 편과,
상기 제1 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 측면 가림편과,
상기 제2 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2 측면 가림편과,
상기 제2 편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되어 한 쌍의 상기 제2 측면 가림편 각각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편과,
상기 연결 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편의 슬라이딩 왕복을 허용하며 상기 제1 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
A main body equipped with a loading box, front wheels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of the main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rear wheels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main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front wheel or the A drive transmission system that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rear wheel, a terminal holder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llects underground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GPR device in real time, and a terminal holder that protrudes from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distribution box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box, a pair of handle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tribution box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an operator, and a dock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andles and combining the height of the storage box or the GPR device. It includes a control stick capable of manipulating the height, manipulating a speaker that transmits warning sounds or warning broadcasts, or manipulating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nd lighting of the lighting device provided in the warning light module, and the terminal hold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box. first unit;
a second unit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including a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underground cavity or sinkhole; and
A third un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d includes a dock for detachably coupling the GPR device,
The terminal holder,
A connection block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tribution box,
A first piece in the shape of a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and having an area of a certain size,
a second piece in the shape of a plate that is rotatably mounted relative to the first piece and has an area of a certain size;
A first side cover piece bent and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irst piece,
a second side cover piece bent and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econd piece;
an upper connecting piece that is bent and extended along an upper edge of the second piece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side shielding pieces;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rail provided on the connection block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to allow sliding and reciprocating of the first piece an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piec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전방 양측의 외부에 배치되고, 빛이 점멸됨으로써 상기 제1 유닛의 주행중 주변에 상기 제1 유닛의 주행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는 경광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
In claim 1,
It is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outside the front sides of the loading box, and further includes a warning light module that blinks a light to visually recognize the driving of the first unit in the vicinity while the first unit is driving. A portable GPR device using an electric c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 끝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후미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
In claim 1,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further comprising tail ligh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 끝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후미등과,
상기 본체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후미등 사이에 배치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발을 디딜 수 있는 상면을 가진 발판을 포함하는 디딤 발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
In claim 1,
tail ligh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The electric cart type further includes a stepping stool assemb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ail lights, and including a stepping stool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worker can stand and step. Portable GP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올라서서 발을 디딜 수 있는 상면을 가진 발판과,
상기 발판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되는 지지 연장편과,
상기 본체의 후방측 단부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발판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연장편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 연장편과 직교하며 상기 발판지지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회동지지 브라켓과,
상기 발판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 실린더와,
상기 절첩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발판 회동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를 구비한 절첩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
In claim 1,
A footres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a worker can stand and step;
Support extension pieces bent and extended on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ootrest,
a footrest support bracke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s each extending from a front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iece an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extension piec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A folding cylinder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support bracket,
An electric cart-type portable GPR device, comprising a folding rod that is mounted to be accessible from the folding cylinder and has an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ootrest rotation support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방 휠과 상기 후방 휠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 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방 휠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지는 전방 격벽과,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격벽의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방 격벽의 하단부 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 사면과,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면 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방 휠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가지는 후방 격벽과,
상기 도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격벽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후방 격벽의 내측면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후방 격벽의 하단부 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 사면과,
상기 GPR 장치의 측면을 따라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전방 격벽 및 상기 후방 격벽과 마주보는 측면을 가지는 걸림 리브와,
상기 걸림 리브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걸림 고리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 고리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걸림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카트 방식의 휴대용 GPR 장치.
In claim 1,
The dock includes a base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Configuring the dock, the front bulkhead protrudes from a lower front end of the base and ha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wheel;
Configuring the dock, the front guide slope is cut up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ide of the front bulkhead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bulkhead;
A rear bulkhead, which constitutes the dock, protrudes from a lower rear end of the base and ha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wheel;
Configuring the dock, the rear guide slop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bulkhead from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bulkhead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bulkhead;
a locking rib that extends and protrudes along a side of the GPR device and has a side facing the front partition and the rear partition;
A locking ring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rib, respectively,
A wire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A portable GPR device of the electric cart type, further comprising a hook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ire and detachably fixed to the hook.
KR1020230040457A 2023-03-28 2023-03-28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KR102612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457A KR102612686B1 (en) 2023-03-28 2023-03-28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457A KR102612686B1 (en) 2023-03-28 2023-03-28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86B1 true KR102612686B1 (en) 2023-12-13

Family

ID=8915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457A KR102612686B1 (en) 2023-03-28 2023-03-28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68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55B1 (en) 2008-08-01 2010-07-27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Assistance device for supporting GPR antenna
KR20130005329A (en) * 2011-07-06 2013-01-16 한성일 A lane painting apparatus of cart type
KR101840650B1 (en) * 2017-09-28 2018-03-21 성산테크(주)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JP2021025385A (en) * 2019-08-08 2021-02-2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Construction machine
KR102436541B1 (en) * 2021-12-17 2022-08-26 국토안전관리원 Narrow Road Surve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55B1 (en) 2008-08-01 2010-07-27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Assistance device for supporting GPR antenna
KR20130005329A (en) * 2011-07-06 2013-01-16 한성일 A lane painting apparatus of cart type
KR101840650B1 (en) * 2017-09-28 2018-03-21 성산테크(주)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JP2021025385A (en) * 2019-08-08 2021-02-2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Construction machine
KR102436541B1 (en) * 2021-12-17 2022-08-26 국토안전관리원 Narrow Road Surve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5507A1 (en) Mobile unit for road-side activities
US20160086525A9 (en) Multipurpose sign bases for supporting temporary roadway safety signs and like
KR102436541B1 (en) Narrow Road Survey Device
KR100907727B1 (en) Crane for establishing transmission tower
US10174878B2 (en) Aerial advertising display apparatus
KR102612686B1 (en)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US6948701B2 (en) Articulated cable puller
EP1777102A1 (en) Integral paving vehicle
KR102573877B1 (en) High frequency ground penetrating radar probing apparatus for investigation of bridge deck pavement condition
CN218543891U (en) Complex area surveying and mapping equipment
CN209760975U (en) protective equipment for slope road construction
CN216194305U (en) Anti-climbing warning guardrail for municipal highway engineering
RU2260558C2 (en) Self-propelled cart with telescopic boom and height increasing device
CN209897008U (en) Photovoltaic module detection equipment and photovoltaic system
JPS58161632A (en) Truck crane
JP2004138398A (en) Radar survey device
KR102110959B1 (en) Direction indicator for road construction
CN215670880U (e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upport
JP7337669B2 (en) work vehicle
CN217055241U (en) Front canopy supporting device for driving face
CN217003930U (en) Data acquisition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survey
JP2582589Y2 (en) Drilling plate structure of excavator
JPH0543191A (en) Outrigger device for self-traveling working machine
CN212624403U (en) Urban road traffic intersection command device
CN215857087U (en) Municipal works dete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