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50B1 -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 Google Patents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0650B1 KR101840650B1 KR1020170125715A KR20170125715A KR101840650B1 KR 101840650 B1 KR101840650 B1 KR 101840650B1 KR 1020170125715 A KR1020170125715 A KR 1020170125715A KR 20170125715 A KR20170125715 A KR 20170125715A KR 101840650 B1 KR101840650 B1 KR 101840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ylinder
- coupled
- cylinder rod
- spro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1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62D7/1527—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comprising only mechanical parts, i.e. without assistanc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t for cargo transportation.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모터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바퀴가 구동되도록 하고, 핸들부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조향바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에 실리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drives a driving wheel provid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a frame by a driving motor and rotates a steering wheel provid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by a handl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일반적으로 카트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이러한 카트는 크게 운전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구동하는 수동 카트와 운전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구동 가능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 등으로 구동 가능한 전동 카트로 구분된다.Typically, a cart is a tool for transporting cargo. Such a cart is largely divided into a manual cart driven by a driver directly, and an electric cart capable of being driven by a driver directly by a force and being driven by a drive motor.
그 중 수동 카트는 운전자의 힘에 의존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적재된 화물이 많을 경우 카트를 이동하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동 카트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많은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는 경사진 길이나 전진 및 후진 등을 할 때에 카트의 힘을 감당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Among them, the manual cart is driven depending on the driver's pow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power is required to move the cart when there are many cargoes loaded. In addition, since the manual cart requires a lot of power, there are problems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the case of the elderly or the handicapped. Especially, when a lot of cargo is load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운전자가 직접 힘을 가하는 수동 카트보다 구동 모터 등 이용하여 수동 카트보다 편리하게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 카트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favor a motorized cart that can be moved more easily than a manual cart by using a driving motor or the like rather than a manually operated cart that a driver directly applies a force.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 제 10-2017-0043015 호에는 전동 카트가 개시되어 있다.As one of related arts, the electric cart is disclosed in the publication No. 10-2017-0043015.
도 1은 종래의 전동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동 카트를 설명하자면,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보관 및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art. A conventional electric c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capable of transporting an object while the driver is aboard, is adjustable in length, and can be stored and easily transported to another place.
상기 종래의 전동 카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운반할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하여 주행 가능한 캐스터(2), 상기 프레임(1)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프레임(1)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주행을 위한 허브모터(3)를 구비하는 한 쌍의 구동휠(4) 및 상기 프레임(1)과 구동휠(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1)에 지지되며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발판(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electric cart includes a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경사진 곳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에 올려놓은 운반 대상물이 경사진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의 전동 카트를 방향을 조작하는 손잡이가 상기 캐스터(2)나 구동휠(4)의 조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세밀한 운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vehicle runs on an inclined plac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on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 모터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바퀴가 구동되도록 하고, 핸들부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조향바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에 실리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drives a driving wheel provid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a frame by a driving mo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which enables a freight to be carried on a frame to be easily transported by rotating the provided steering wheel.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발판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comprising: a frame having a polygonal shape; A controller including a power supply member and a driving motor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the power supply member being provided behind the frame and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A handle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portion; A foot plat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And a wheel unit coupled to a rear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driving wheel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nd a steering wheel coupled to a front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d rotated by the handle unit.
또한 상기 발판부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었을 경우, 상기 발판부의 일부가 상기 제어부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tres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and when the footrest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a part of the footres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측벽이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의 측벽 중 전방 측과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idewall is coupled to the frame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rame to form a space above the frame, and sidewall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of the sidewall of the frame are rotatable.
또한,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조향바퀴의 바퀴축에는 상기 조향바퀴의 바퀴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스프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sprocket coupled to a wheel axis of the steering wheel is coupled to a wheel shaft of the steering wheel, and a second sprocket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A chain for 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is provided.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서로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일부가 각각 상기 제1실린더 또는 제2실린더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1실린더로드와 제2실린더로드; 및 하부면 전방은 상기 제1실린더로드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면 후방은 상기 제2실린더로드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also includes: a first cylinder and a second cylinder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being configured to be direc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A first cylinder rod and a second cylinder rod, each of which is drawn or drawn by hydraulic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a part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first cylinder or the second cylinder; And a swash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ro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rod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는 자키부재; 상기 자키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승강판;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자키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3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3실린더에 내삽되고 타단은 상기 자키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3실린더로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jig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rame; A lift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jockey member; A third cylinder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the third cylinder being disposed inside the jockey member; And a third cylinder ro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third cylinder and the other end drawn or drawn by hydraulic pressure in a state where the third cylinder is engaged with the jockey member.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전방에 구비되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소리를 내는 스피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provided in front of the frame for sensing an approach of an object,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발판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궤도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실린더; 일부가 상기 제4실린더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4실린더로드; 및 상기 주궤도부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4실린더로드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는 제1보조궤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comprising: a frame having a polygonal shape; A controller including a power supply member and a driving motor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the power supply member being provided behind the frame and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A foot plat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A main orbit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 fourth cylinder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A fourth cylinder rod drawn or drawn by hydraulic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ourth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fourth cylinder; And a first subordinate orbit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of the main orbi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ourth cylinder rod, the first subordinate orbit portion being til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awing and pulling of the fourth cylinder rod.
또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실린더; 일부가 상기 제5실린더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5실린더로드; 및 상기 주궤도부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5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5실린더로드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는 제2보조궤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fth cylinder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A fifth cylinder rod which is drawn or drawn by hydraulic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ifth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fifth cylinder; And a second auxiliary orbit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main orbi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fth cylinder rod, the second auxiliary orbit portion being vertically tilted as the fifth cylinder rod is drawn out and draw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에 의하면, 구동 모터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바퀴가 구동되도록 하고, 핸들부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조향바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하부판에 실리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electric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frame are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steering wheel provid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rotated by the handle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cargo carried on the lower plate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부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발판부의 결합부와 제어부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운전을 할 경우에 지면을 밟으며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trest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footrest is insert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ootrest and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footrest by stepping on the ground when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footres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하부판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에 의해 제1실린더로드와 제2실린더로드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실린더로드와 제2실린더로드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판의 경사를 조절하여 경사진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ylinder rod and the second cylinder rod are driven by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of the frame, the first cylinder rod and the second cylinder rod are rota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to be a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position easily even in the inclined section.
도 1은 종래의 전동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발판부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측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제1스프라켓, 제2스프라켓 및 체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제3스프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경사판이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승간판이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근접센서 및 스피커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제2보조궤도부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art.
2 is a view showing a powertrain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footrest portion shown in Fig. 2A; Fig.
4A and 4B are side walls of an electric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views showing a first sprocket, a second sprocket, and a chain of a cart for carrying a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view showing a third sprocket of the electric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wash plate is driven in an electric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e of the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roximity sensor and a speaker of a powertrain cart for carrying a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 power cart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second subordinate orbital part of a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본 발명은 구동 모터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바퀴가 구동되도록 하고, 핸들부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조향바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하부판에 실리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wheel provid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a frame is driven by a driving motor, and a steering wheel provid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rotated by a handl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발판부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측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ootrest shown in FIG. 2A, FIGS. 4A and 4B are views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wall of a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10),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40),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발판부(50) 및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61) 및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40)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바퀴(62)를 포함하는 바퀴부(60)를 포함한다.2 to 4B, the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에서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오각 형상 또는 육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사용 중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실리는 화물의 특성 및 무게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공간부(11a)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둘레를 따라 측벽(11)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측벽 중 전방 측과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은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
즉,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공간부(11a)가 형성되어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벽(11)은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측벽(11)을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화물을 실거나 내리고 다시 측벽(11)을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공간부(11a)에 실린 화물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at is, a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가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핸들부(40)에 형성되는 패널(미도시)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본 발명의 전동 카트가 이동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motor is adjusted according to a signal inputted through a panel (not shown) formed on the
상기 핸들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어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30)의 내부로 핸들축(40a)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핸들부(40)의 조정에 따라 상기 조향바퀴(62)가 회전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상기 발판부(5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었을 경우, 상기 발판부(50)의 일부가 상기 제어부(30)의 삽입홈(31)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발판부(50)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철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제1스프라켓, 제2스프라켓 및 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제3스프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c are views showing a first sprocket, a second sprocket, and a chain of a power cart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procket.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핸들부(40)의 하부에는 핸들부(4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라켓(41)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조향바퀴(62)의 바퀴축(62a)에는 상기 조향바퀴(62)의 바퀴축(62a)과 함께 회전되는 제2스프라켓(42)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을 연결하는 체인(43)이 구비될 수 있다.5A through 5C, a
즉,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40)의 핸들축(40a)과 연결된 제1스프라켓(41)이 회전되게 되고, 상기 제1스프라켓(41)이 회전되면 상기 체인(43)이 구동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42)이 회전되며, 상기 제2스프라켓(42)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스프라켓(42)과 연결되는 상기 조향바퀴(62)의 바퀴축(62a)이 회전되게 되어, 본 발명의 전동 카트가 조향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부(40)에 의해 구조적인 특징으로 전동 카트가 조향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핸들부(40)이 조정에 따라 전자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 카트가 조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art is structured to be steered by the
첨부된 도 5d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동바퀴(61) 바퀴축(61a)에는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맞물리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스프라켓(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3스프라켓(44)이 결합될 수 있다.5d, the
즉,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40)의 핸들축(40a)과 연결된 제1스프라켓(41)이 회전되게 되고, 상기 제1스프라켓(41)이 회전되면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맞물리게 구성된 제3스프라켓(44)이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함께 회전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때,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상기 제3스프라켓(44)은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직접적으로 맞물리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의 회전 방향과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Since the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동 카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부(40)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구동바퀴(61)와 조향바퀴(62)가 각각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더욱 작은 반경으로 본 발명의 전동 카트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경사판이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ash plate of the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is dri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레임(10)에는,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13), 일부가 각각 상기 제1실린더(12) 또는 제2실린더(13)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1실린더로드(12a)와 제2실린더로드(13a) 및 하부면 전방은 상기 제1실린더로드(12a)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면 후방은 상기 제2실린더로드(13a)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판(14)이 포함될 수 있다.6A to 6C, the
즉, 상기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13)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실린더로드(12a)와 제2실린더로드(13a)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경사판(14)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경사판(14)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실린 화물이 균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예를 들어, 상기 제1실린더(12)와 제1실린더로드(12a)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13)와 제2실린더로드(13a)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전동 카트가 하향 경사진 구간으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제1실린더로드(12a)는 상기 제1실린더(12)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드(13a)는 상기 제2실린더(13)에 인입되어 상기 경사판(14)이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전동 카트가 상향 경사진 구간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제1실린더로드(12a)는 상기 제1실린더(12)에 인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드(13a)는 상기 제2실린더(13)에서 인출되어 상기 경사판(14)이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이때, 상기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13)의 구동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30)에 모션센서,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 등이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0)의 기울어짐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of th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승강판이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e of the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레임(10)에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 결합되는 자키부재(15), 상기 자키부재(15)의 타단에 결합되는 승강판(16), 상기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자키부재(15)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3실린더(17) 및 일단은 상기 제3실린더(17)에 내삽되고 타단은 상기 자키부재(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3실린더로드가 포함될 수 있다.7A and 7B, the
즉, 상기 제3실린더(17)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3실린더로드(17a)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자키부재(15)가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판(16)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실린 화물을 높은 위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동 카트에 실린 화물을 높은 곳으로 공급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3실린더로드(17a)가 상기 제3실린더(17)에서 인출되어 상기 자키부재(15)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판(16)이 상부로 상승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cargo loaded on the electric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upplied to a high position, the
이때, 상기 제3실린더(17)의 구동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근접센서 및 스피커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ximity sensor and a speaker of the electric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레임(10)에는 전방에 구비되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8)가 포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어부(30)에는 상기 근접센서(18)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소리를 내는 스피커(3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근접센서(18)에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근접센서(18)와 가까울수록 상기 스피커(32)의 알람소리가 커지도록 제어하거나, 짧은 소리가 빠르게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ttached FIG. 8, the
즉, 상기 스피커(32)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부(30)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알람소리를 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근접센서(18)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경우, 물체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좌측으로 접근하는지, 아니면 물체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우측으로 접근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근접센서(18)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32)를 통한 알람소리를 통해 물체가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는지 알아챌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좌측의 근접센서(18)에 의해 감지되어 나는 알람소리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우측의 근접센서(18)에 의해 감지되어 나는 알람소리를 각각 다르게 제어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좌측의 근접센서(18)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띠- 띠-"하는 소리가 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우측의 근접센서(18)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삐- 삐-"하는 소리가 나도록 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제2보조궤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 power cart for carrying carg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second subordinate orbital part of a power cart for cargo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된 도 9a 내지 도 10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10),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발판부(50),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궤도부(7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실린더(80), 일부가 상기 제4실린더(80)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4실린더로드(81) 및 상기 주궤도부(7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4실린더로드(81)에 연결되어 상기 제4실린더로드(81)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는 제1보조궤도부(90)를 포함한다.9A and 10B, the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상기 프레임(10), 제어부(30) 및 발판부(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의 프레임(10), 제어부(30) 및 발판부(5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기 프레임(10), 제어부(30) 및 발판부(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즉, 상기 제1보조궤도부(90)는 상기 제4실린더로드(81)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지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전동 카트가 하향 경사진 구간이나 상향 경사진 구간으로 이동할 경우에 급격히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물이 떨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또한 본 발명의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에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실린더(110), 일부가 상기 제5실린더(110)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5실린더로드(111) 및 상기 주궤도부(7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5실린더로드(111)에 연결되어 상기 제5실린더로드(111)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는 제2보조궤도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때, 상기 제5실린더(110), 제5실린더로드(111) 및 제2보조궤도부(120)는 상기 제4실린더(80), 제4실린더로드(81) 및 제1보조궤도부(90)와 달리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나, 상기 제4실린더(80), 제4실린더로드(81) 및 제1보조궤도부(90)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카트의 기울어짐을 방지시키는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1보조궤도부(90)는 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주궤도부(70)를 보조하고, 상기 제2보조궤도부(120)는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주궤도부(70)를 보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동 카트가 경사진 구간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rst
상기 제1보조궤도부(90)와 제2보조궤도부(120)가 상기 주궤도부(70)에 결합되는 것은, 상기 프레임(10)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위치되는 주궤도부를 서로 연결하는 주궤도축(미도시)과 상기 프레임(10)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위치되는 제1보조궤도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보조궤도축(미도시)을 연결하고, 상기 주궤도축과 상기 프레임(10)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위치되는 제2보조궤도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조궤도축(미도시)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보조궤도부(90)와 제2보조궤도부(120) 및 상기 주궤도부(70)를 연결하는 것은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모터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바퀴가 구동되도록 하고, 핸들부에 의해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조향바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하부판에 실리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wheels provid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frame are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steering wheel provid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rotated by the handle por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0 : 프레임 11 : 측벽
11a : 공간부 12 : 제1실린더
12a : 제1실린더로드 13 : 제2실린더
13a : 제2실린더로드 14 : 경사판
15 : 자키부재 16 : 승강판
17 : 제3실린더 17a : 제3실린더로드
18 : 근접센서
30 : 제어부 31 : 삽입홈
32 : 스피커
40 : 핸들부 41 : 제1스프라켓
42 : 제2스프라켓 43 : 체인
44 : 제3스프라켓
50 : 발판부
60 : 바퀴부 61 : 구동바퀴
62 : 조향바퀴 62a : 바퀴축
70 : 주궤도부
80 : 제4실린더 81 : 제4실린더로드
90 : 제1보조궤도부
110 : 제5실린더 111 : 제5실린더로드
120 : 제2보조궤도부10: frame 11: side wall
11a: space part 12: first cylinder
12a: first cylinder rod 13: second cylinder
13a: second cylinder rod 14: swash plate
15: jaw member 16: winch plate
17:
18: Proximity sensor
30: control part 31: insertion groove
32: Speaker
40: handle portion 41: first sprocket
42: second sprocket 43: chain
44: Third sprocket
50:
60: wheel portion 61: drive wheel
62:
70: main orbit portion
80: fourth cylinder 81: fourth cylinder rod
90: a first subordinate orbital section
110: fifth cylinder 111: fifth cylinder rod
120: a second subordinate orbital section
Claims (9)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부(40);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발판부(50); 및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61) 및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40)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바퀴(62)를 포함하는 바퀴부(6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공간부(11a)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둘레를 따라 측벽(11)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측벽 중 전방 측과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11)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40)의 하부에는 상기 핸들부(4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프라켓(41)이 결합되며, 상기 조향바퀴(62)의 바퀴축(62a)에는 상기 조향바퀴(62)의 바퀴축(62a)과 함께 회전되는 제2스프라켓(42)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스프라켓(41)과 제2스프라켓(42)을 연결하는 체인(43)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13), 일부가 각각 상기 제1실린더(12) 또는 제2실린더(13)에 내삽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1실린더로드(12a)와 제2실린더로드(13a) 및 하부면 전방은 상기 제1실린더로드(12a)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면 후방은 상기 제2실린더로드(13a)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판(14)이 포함되고,
상기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13)는, 이동 구간의 경사에 따라 각각 상기 제1실린더로드(12a)의 인입 및 인출과 제2실린더로드(13a)의 인입 및 인출을 별도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경사판(14)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전방에 구비되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8)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30)에는 상기 근접센서(18)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소리를 내는 스피커(3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
A frame 10 of polygonal shape;
A control unit (30) disposed behind the frame (10) and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the power supply member including a drive motor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mber;
A handle 40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ler 30;
A foot part (50)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10); And
A driving wheel 61 coupled to a rear lowe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nd a steering wheel 60 coupled to a front lowe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rotated by the steering wheel 40 62;
Lt; / RTI >
A side wall 11 is coupled to the frame 10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rame 10 so that a space 11a is formed on the frame 10 and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f the side wall The side walls 11 provided on both sides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 first sprocket 41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4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40. The steering wheel 62 is coupled to a wheel axis 62a of the steering wheel 62, And a chain 43 for connecting the first sprocket 41 and the second sprocket 4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is coupled with the second sprocket 42 rotated together with the wheel axle 62a Respectively,
The frame 10 is provided with a first cylinder 12 and a second cylinder 13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and are directed toward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10, The first cylinder rod 12a and the second cylinder rod 13a which are pulled out or drawn in by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ylinder 12 or the second cylinder 13 and the front side of the lower face ar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rod 12a And a swash plate (14)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rod (13a) at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The first cylinder 12 and the second cylinder 13 are separate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moving section so that the first cylinder rod 12a is pulled in and out and the second cylinder rod 13a is pulled in and pulled out, So that the swash plate 14 is tilted forward or backward,
The frame 1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8 provided at the front thereof for sensing the approach of an object and a speaker 30 for emitting an alarm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18. [ 32). ≪ / RTI >
상기 발판부(5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었을 경우, 상기 발판부(50)의 일부가 상기 제어부(30)의 삽입홈(31)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rest (50)
Wherein a part of the footrest part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 of the control part (30) when it is rotated in an upward direction, c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5715A KR101840650B1 (en) | 2017-09-28 | 2017-09-28 |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5715A KR101840650B1 (en) | 2017-09-28 | 2017-09-28 |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0650B1 true KR101840650B1 (en) | 2018-03-21 |
Family
ID=6190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5715A KR101840650B1 (en) | 2017-09-28 | 2017-09-28 |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065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9143B1 (en) | 2018-06-22 | 2019-04-16 | 연성은 | Gyro cart |
KR20200071505A (en) * | 2018-12-11 | 2020-06-19 | 주식회사 지이티 | Electric carts for carrying goods |
KR102351812B1 (en) * | 2020-11-09 | 2022-01-14 | 송준복 | Electric carrier for low-height workspaces |
KR102612686B1 (en) * | 2023-03-28 | 2023-12-13 |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8336B1 (en) * | 2011-07-18 | 2011-12-23 | 장진만 | Tilt control is high and low for easy agriculture worktable |
-
2017
- 2017-09-28 KR KR1020170125715A patent/KR1018406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8336B1 (en) * | 2011-07-18 | 2011-12-23 | 장진만 | Tilt control is high and low for easy agriculture worktabl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9143B1 (en) | 2018-06-22 | 2019-04-16 | 연성은 | Gyro cart |
KR20200071505A (en) * | 2018-12-11 | 2020-06-19 | 주식회사 지이티 | Electric carts for carrying goods |
KR102132875B1 (en) | 2018-12-11 | 2020-07-10 | 주식회사 지이티 | Electric carts for carrying goods |
KR102351812B1 (en) * | 2020-11-09 | 2022-01-14 | 송준복 | Electric carrier for low-height workspaces |
KR102612686B1 (en) * | 2023-03-28 | 2023-12-13 |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 Portable groung penetrating radar apparatus of electric ca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0650B1 (en) | Freight transport electric cart | |
TW579365B (en) | Working vehicle with traverse moving system | |
JP2008126900A (en) | Electric-driven truck | |
JP2007511400A (en) | Handling equipment for carrying the surface of the load | |
JP6491913B2 (en) | Electric two-wheel cart | |
US10369064B2 (en) | Step-climbing attachment for a wheeled chair | |
JP2009247611A (en) | Walking assisting device | |
JP5116767B2 (en) | Improved lifting conveyor | |
JP2006256401A (en) | Three-wheel type riding movable carriage | |
CN103112802A (en) | Electric pallet truck | |
US20240101176A1 (en) | Delivery systems for ramps or stairs | |
JP3796490B2 (en) | Transporter | |
JP6155066B2 (en) | Dolly drive assist unit | |
US3779328A (en) | Trailer maneuvering mechanism | |
JP2002193105A (en) | Cart for carriage | |
JPH0848252A (en) | Cart | |
JP2023034539A (en) | Carrying tool | |
JP6568903B2 (en) | Crematorium transport vehicle | |
JP2005178505A (en) | Auxiliary vehicle for basket cart | |
JPH0899510A (en) | Traction device for moving vehicle | |
JP2002127909A (en) |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for stairs | |
JP2004224177A (en) | Dolly for transporting baggages | |
JP2013193597A (en) | Driving and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
JPH05170161A (en) | Small motor car | |
JP2008081233A (en) | Fork li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