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44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440B1
KR102612440B1 KR1020180082868A KR20180082868A KR102612440B1 KR 102612440 B1 KR102612440 B1 KR 102612440B1 KR 1020180082868 A KR1020180082868 A KR 1020180082868A KR 20180082868 A KR20180082868 A KR 20180082868A KR 102612440 B1 KR102612440 B1 KR 10261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mpressor
machine room
refrigerato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777A (ko
Inventor
최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4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과 독립된 기계실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기계실 내에 수용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개구가 형성되는 이동 베이스;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기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기계실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단부가 상기 개구를 지나 상기 이동 베이스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축기의 상단 높이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저온의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내부 공간은 크게 저장실과 기계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과 기계실은 기계실 프레임에 의해서 구획된다.
상기 기계실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프레임의 전면에는 기계실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기계실 프레임의 하측에는 베이스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팬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기계실 커버에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팬이 동작되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기계실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 및 압축기를 냉각시킨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3879에는, 냉장고 및 그의 조리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서 형성되며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기 팬이 수용되는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는 기계실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은 기계실 커버에 의해서 커버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압축기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서는 냉장고의 본체의 후면이 사용자 측으로 보이도록 본체를 이동한 후에 기계실 커버를 분리하고, 그 다음에 압축기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를 기계실의 바닥에서 들러올린 후에 압축기를 기계실에서 인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행문헌에 의하면, 압축기로의 접근이 어렵고, 압축기의 인출입을 위하여 기계실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기계실의 높이가 증가되면 본체 내부의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압축기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의 높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과 독립된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기계실 내에 수용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개구가 형성되는 이동 베이스;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기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기계실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단부가 상기 개구를 지나 상기 이동 베이스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축기의 상단 높이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이동 베이스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이동 베이스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개구의 전단부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개구의 양단부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이스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연장부가 상기 각 베이스 서포터에 핀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 베이스가 상기 이동 베이스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 서포터 사이에 상기 복수의 연장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 연장부가 상기 각 베이스 서포터에 상기 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베이스 서포터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기 위한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부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기 위한 제2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체결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개구에 위치되어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기계실 베이스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레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 베이스가 기계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압축기 베이스가 회전된 상태에서 압축기 베이스와 기계실 천정 간의 거리가 증가되어 기계실의 높이 증가 없이 압축기를 쉽게 기계실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 베이스가 고정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므로, 이동 베이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압축기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냉장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기계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이동 베이스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이동 베이스에 압축기 베이스가 연결되고, 압축기 베이스에 압축기기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압축기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이동 베이스에서 압축기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압축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동 베이스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압축기 베이스가 회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냉장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기계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이동 베이스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지면'이라 함은, 냉장고(1)가 설치된 모든 공간(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을 의미하며, '전방'은 냉장고(1) 도어 방향, 즉 사용자가 냉장고(1)를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0)을 구비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계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에 가구장(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가구장 내에 상기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은 도어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캐비닛(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기계실이 상기 캐비닛(10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계실(200)이 상기 캐비닛(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10)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기 가구장 내로 수용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400)는, 상기 도어패널(5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500)의 회전 시, 상기 도어패널(500)와 연결된 상기 냉장고 도어(400)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110)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400)가 상기 저장실(110)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패널(500)이 상기 냉장고 도어(400)의 외측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400)를 커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도어패널(500)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40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패널(500) 및 상기 냉장고 도어(400)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어셈블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힌지 어셈블리(700)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다관절 힌지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은, 기계실(200)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벽(210)과, 상기 기계실(200)의 배면을 구성하는 후벽(220)과, 상기 기계실(200)의 하면을 형성하며 이동 가능한 구조의 이동 베이스(230)와, 상기 측벽(2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230)를 지지하는 고정 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230)와 상기 고정 베이스(250)를 통칭하여 기계실 베이스라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230)는 상기 고정 베이스(25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베이스(230)는, 상기 고정 베이스(2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을 형성하는 기계실 커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240)는 상기 측벽(21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240)에는 흡기구(201)가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 커버(240), 측벽(210), 후벽(220), 이동 베이스(230) 중 적어도 어느 두 곳 이상에 배기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200)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310)와, 상기 압축기(310)에서 압축된 냉매로부터 열이 방출되도록 하여 저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320) 및, 상기 기계실(20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 공기를 기계실(200) 내측으로 흡입하는 흡입팬(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330)은 팬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20) 및 흡입팬(330)은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310)는 후술할 압축기 베이스(26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기(320), 흡입팬(330), 압축기(310)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240)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400) 또는 도어 패널(500)과 상기 캐비닛(100)을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700)가 수용되는 힌지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힌지 어셈블리(700)는 도어 패널(500)과 캐비닛(10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700)는 도어 패널(500)의 상단과 캐비닛(1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힌지어셈블리와 도어 패널(500)의 하단과 기계실(200)을 연결하는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패널(500)이 닫힌 상태에서 상부의 힌지어셈블리는 캐비닛(100)의 상부에 수용된다.
반면, 하부의 힌지 어셈블리(700)는 기계실(20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 커버(240)에는 도어 패널(500)이 닫힌 상태에서 하부의 힌지어셈블리(700)가 수용되는 힌지홈(241)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홈(241)의 방향은 힌지어셈블리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베이스(25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 베이스(250)를 지면과 이격시키는 레그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레그부(8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레그부(800)의 구성으로 기계실(200)은 지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계실(200)을 경유한 냉각 공기가 기계실(200)의 하방으로도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베이스(250)에는 이동휠(9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휠(900)의 구성으로, 기계실(200) 및 냉장고(1)의 이동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냉장고(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부(800)는 상기 이동휠(900)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고, 이동휠(900)은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는 레그부(80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냉장고(1)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그부(800)가 상기 이동휠(900)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이동휠(900)은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휠(900)이 회전하면서, 냉장고(1)의 이동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이동 베이스에 압축기 베이스가 연결되고, 압축기 베이스에 압축기기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압축기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이동 베이스에서 압축기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베이스(230)는 직사각형의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기 베이스(260)가 위치하기 위한 개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는 상기 이동 베이스(230) 보다 작게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232)도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232)는 상기 이동 베이스(230)의 후단부 측에서 좌우 양측 중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는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후단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단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와 상기 이동 베이스(23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후 길이 보다 상기 개구(232)의 전후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서포터(2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232)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가 위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베이스 서포터(234)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는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핀(270)이 통과할 수 있는 제1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에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장부(2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좌우 양단에서 상방으로 상기 연장부(263)가 연장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연장부(263)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연장부(263)에는 상기 핀(270)이 통과하기 위한 제2홀(2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핀(270)은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헤드(272)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272)의 직경은 상기 제1홀(235) 및 상기 제2홀(26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서포터(234) 사이에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연장부(263)를 위치시키면,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의 제1홀(235)과 상기 연장부(263)의 제2홀(264)이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핀(270)이 상기 제1홀(235)과 상기 제2홀(264)을 순차적으로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핀(270)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와 상기 연장부(263)의 두께의 합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270)의 헤드(272)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에 걸리고, 상기 핀(270)의 단부는 상기 연장부(263)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연장부(263)에서 돌출된 상기 핀(270)의 단부를 가압하여 리벳과 같은 형태로 상기 베이스 서포터(234)와 상기 연장부(26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270)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는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 상기 핀(270)에 의해서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는 상기 개구(23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있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230)는 제1체결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는 제2체결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236)는 상기 개구(232)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체결부(236)는 상기 개구(232)의 전단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236)에는 스크류(S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66)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66)도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단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부(266)에는 상기 스크류(S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6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부(266)는 상기 제1체결부(236)의 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체결부(236, 266)의 체결홀(237, 267) 들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S1)를 상기 제1체결부(236)의 전방에서 상기 제1체결홀(237)과 상기 제2체결홀(267)에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236)와 상기 제2체결부(266)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기계실(200)의 전방에서 상기 스크류(S1)를 쉽게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S1)가 상기 제1체결홀(237)과 상기 제2체결홀(267)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는 상기 개구(232)에 위치되고,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에는 상기 압축기(310)의 레그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레그 지지부(2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 지지부(262)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네 코너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압축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동 베이스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압축기 베이스가 회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310)를 상기 기계실(20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기계실 커버(240)를 분리한다. 상기 기계실 커버(240)를 분리하면, 상기 이동 베이스(230)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230)가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기(310)는 상기 기계실(200)에서 내부 후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압축기(3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압축기(310)를 상기 기계실(200) 내에서 앞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 베이스(2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동 베이스(2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에는 상기 압축기(3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310)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10)가 상기 기계실(200)의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크류(S1)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S1)를 분리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그부(800)에 의해서 상기 이동 베이스(240)에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도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S1)를 분리하여 상기 제1체결부(236)와 상기 제2체결부(266)의 체결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기(31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회전된다.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단부가 지면에 닿게 되어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틸팅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압축기(310)도 틸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틸팅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와 상기 기계실(200)의 천정 까지의 높이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어, 상기 압축기(310)를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압축기(310)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10)의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기계실(200)에서 상기 압축기(3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3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공간이 커지게 되면 상기 기계실(200)의 높이가 증가되어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상기 이동 베이스(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와 상기 기계실(200)의 천정 간의 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기계실(200)의 높이 증가 없이 상기 압축기(310)를 상기 압축기 베이스(260)에서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310)를 상기 기계실(200)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1: 냉장고 100: 캐비닛
200: 기계실 210: 측벽
220: 후벽 230: 이동 베이스
240: 기계실 커버 250: 고정 베이스
260: 압축기 베이스 310: 압축기

Claims (11)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과 독립된 기계실을 포함하며,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기계실 내에 수용되는 압축기;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개구가 형성되는 이동 베이스;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기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이동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단부가 상기 개구를 지나 상기 이동 베이스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축기의 상단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제1체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이동 베이스보다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개구의 전단부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각각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개구의 양단부에서 상기 이동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이스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장부가 상기 각 베이스 서포터에 핀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 베이스가 상기 이동 베이스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이스 서포터 사이에 상기 복수의 연장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 연장부가 상기 각 베이스 서포터에 상기 핀에 의해서 연결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이스 서포터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기 위한 제1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부에는 상기 핀이 관통하기 위한 제2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체결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는 상기 개구에 위치되어 수평을 이루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동 베이스의 지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레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지면에 보다 가까워지는 냉장고.
KR1020180082868A 2018-07-17 2018-07-17 냉장고 KR10261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68A KR102612440B1 (ko) 2018-07-17 2018-07-1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68A KR102612440B1 (ko) 2018-07-17 2018-07-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77A KR20200008777A (ko) 2020-01-29
KR102612440B1 true KR102612440B1 (ko) 2023-12-12

Family

ID=6932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68A KR102612440B1 (ko) 2018-07-17 2018-07-1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176A (ja) * 1998-06-24 2000-01-11 Ebara Corp 振動絶縁装置及び機械装置
JP2003176972A (ja) * 2001-12-07 2003-06-27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蔵庫
KR100595559B1 (ko) * 2004-07-14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와인 냉장고
KR100688941B1 (ko) * 2005-09-12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176A (ja) * 1998-06-24 2000-01-11 Ebara Corp 振動絶縁装置及び機械装置
JP2003176972A (ja) * 2001-12-07 2003-06-27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蔵庫
KR100595559B1 (ko) * 2004-07-14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와인 냉장고
KR100688941B1 (ko) * 2005-09-12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77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13566B (zh) 冰箱
US7251954B2 (en) Modula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or
EP3745059B1 (en) Built-in refrigerator
US8220888B2 (en) Storage with a symmetric hinge assembly
WO2000055554A1 (fr) Refrigerateur
US11725865B2 (en) Refrigerator drain system
KR20210024925A (ko)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KR102534018B1 (ko) 냉장고
KR102612440B1 (ko) 냉장고
KR102534022B1 (ko) 냉장고
KR102445184B1 (ko) 냉장고
JP4190436B2 (ja) 冷却貯蔵庫
KR102615590B1 (ko) 냉장고
JP3513498B2 (ja) 漬物貯蔵庫及びそのソレノイドバルブ取付構造
KR100583199B1 (ko) 냉장고
EP3786554B1 (en)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KR201600861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884349B1 (ko) 냉장고
KR101322949B1 (ko) 스탠드형 냉장고
KR20180058676A (ko) 이중 에어 커튼을 통해 온도 유지 기능이 향상된 냉장 장치
CN111561803A (zh) 冰箱
CN211862394U (zh) 侧循环风幕柜
KR101059812B1 (ko) 냉장고
JP3942454B2 (ja) 冷却庫
JP2003176972A (ja) 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