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386B1 -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386B1
KR102612386B1 KR1020230075014A KR20230075014A KR102612386B1 KR 102612386 B1 KR102612386 B1 KR 102612386B1 KR 1020230075014 A KR1020230075014 A KR 1020230075014A KR 20230075014 A KR20230075014 A KR 20230075014A KR 102612386 B1 KR102612386 B1 KR 10261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drive shaft
pump
foreign substance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고산업
Priority to KR102023007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04D15/0254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the condition being speed or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3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조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는 구동축이 회전하는 모터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여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펌프케이싱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트레이너, 및 상기 구동축의 역방향으로 회전 시에만 상기 스트레이너에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설치되는 일방향연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의 역회전 시 상기 일방향연동부재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여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의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스트레이너의 둘레면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Submersible pump with strainer that improves pump performance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집수조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집수조의 내에 설치되어 집수저의 저장된 유체를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이송한다.
수중펌프는 집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집수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오수조에 설치되는 경우, 이물질이 수중펌프 내로 흡입되면서 임펠러에 이물질이 감기거나, 임펠러와 펌프케이싱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성능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오수조와 같이 이물질이 많이 유입되는 집수조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의 흡입구에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흡입하기 위한 스트레이너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수중펌프의 고장발생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트레이너를 설치한 수중펌프는 스트레이너의 둘레면에 이물질이 걸려 막히면서 유체의 흡입성이 저하되어 펌프의 성능 및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0514호(2001.11.14.공개)의 "펌프의 흡입 스트레이너 소제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펌프의 흡입 스트레이너 소제장치는 펌프 흡입측의 스트레이너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여 스트레이너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펌프의 흡입 스트레이너 소제장치에 있어서, 스트레이너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스트레이너의 외측면을 따라서 회전하는 스크레퍼를 갖추어 펌프의 작동에 따라서 스트레이너의 외측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펌프의 흡입 스트레이너 소제장치는 펌프의 기동시 스트레이너 둘레에서 스크레퍼가 회전하기 때문에 흡입되는 유체에 저항을 발생하여 흡입성이 하락됨에 따라 펌프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입되는 유체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스크레퍼를 회전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와 스크레퍼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 스크레퍼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축이 역회전 할 때, 일방향연동부재를 통해 스트레이너를 함께 회전시켜 원심력을 통해 스트레이너의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펌프의 성능향상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만 스트레이너가 회전하여 스트레이너의 회전에 따른 흡입되는 유체의 저항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체의 흡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의 둘레에 원심제거날개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스트레이너의 둘레에서 이격되어 흡착됨으로써,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구동축의 회전 시에 회전저지부가 구동축과 함께 스트레이너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레이너의 회전에 따른 흡입유체의 저항성을 감소시켜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측정센서와 모터측정센서에 의해 모터작동 대비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을 비교하는 형태로 스트레이너의 막힘을 판단하여 모터부를 역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스트레이너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는 구동축이 회전하는 모터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여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펌프케이싱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트레이너, 및 상기 구동축의 역방향으로 회전 시에만 상기 스트레이너에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설치되는 일방향연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의 역회전 시 상기 일방향연동부재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여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의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둘레면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상기 둘레면에 이물질이 밀착되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트레이너의 회전 시 원심력을 발생하는 원심제거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연동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설치되어 일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원웨이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연동부재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마찰드럼, 및 상기 구동축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역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마찰드럼의 내주에 밀착 접촉되면서 상기 마찰드럼을 회전시키는 원심마찰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정회전 시 상기 스트레이너가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제어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펌프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컨트롤러는 상기 유체의 흡입 또는 토출 시의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하는 유체측정센서, 및 상기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모터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모터부의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 대비 흡입 또는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펌프컨트롤러는 상기 스트레이너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다고 판단하여 상기 모터부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트레이너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부가 역회전할 때, 일방향연동부재를 통해 스트레이너를 구동축에 연결하여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에 흡착된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이너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펌프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의 둘레면에 원심제거날개가 설치되어 스트레이너의 둘레면에서 이물질을 이격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에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수중펌프의 기동 시 구동축과 연결된 스트레이너가 회전저지부를 통해 회전이 억제되기 때문에 구동축과 스트레이너가 함께 회전함에 따른 유체의 흡입저항을 감소시켜 펌프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저지부가 레치기어부 및 레치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스트레이너의 회전 시에 레치돌기가 레치기어부를 지나면서 진동을 발생하여 스트레이너에서 이물질의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컨트롤러가 유체측정센서와 모터측정센서에서 모터의 작동상태에 따른 유체의 유압 또는 유량을 비교하여 스트레이너의 막힘을 판단하고 스트레이너를 회전시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이너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고정형 수중펌프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탈착형 수중펌프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일방향연동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a)는 정회전 시의 작동상태, (b)는 역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다른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일방향연동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a)는 정회전 시의 작동상태, (b)는 역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회전저지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회전저지부의 다른 일례를 적용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펌프컨트롤러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수중펌프(100)의 토출구(133)에 토출관(210)이 결합되고, 수중펌프(100)의 하부에 받침대(135)가 설치되어 수중펌프(100)가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형 수중펌프(100)에 적용할 수 있으며, 토출관(210)이 집수조(20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자동탈착장치를 통해 수중펌프(100)의 토출구(133)가 토출관(210)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형 수중펌프(100)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모터부(110), 펌프케이싱(130), 및 임펠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110)는 전기에 의해 구동축(111)이 회전할 수 있으며, 모터부(110)는 전기를 공급받아 자력에 의해 구동축(111)이 회전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모터부(110)는 수중에 위치하여 유체가 침투할 수 없도록 모터케이싱에 감싸질 수 있다.
임펠러(120)는 구동축(111)에 결합되어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임펠러(120)는 구동축(111)의 정회전 시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둘레를 토출할 수 있으며, 임펠러(120)는 베인이 하나인 형태이거나, 베인이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의 원심임펠러(120)로 구현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0)은 임펠러(120)에 의해 흡입과 토출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30)의 하부 중앙에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31)가 형성되며, 펌프케이싱(130)의 측면 둘레의 어느 한 지점에는 흡입구(131)로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0)은 흡입구(131)에서 토출구(133)로 갈수록 내부 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는 임펠러(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임펠러(120)는 유체가 흡입되는 중앙 부분이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와 마주하도록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와 마주하는 상부에 임펠러(1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110)가 설치되며, 모터부(110)의 구동축(111)이 펌프케이싱(130)을 관통하여 임펠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펌프케이싱(130)과 모터부(110)의 사이에는 모터부(110)와 펌프케이싱(130)의 사이를 기밀하는 동시에 구동축(111)과 펌프케이싱(130)의 사이로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챔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오일챔버는 구동축(111)과 펌프케이싱(130)의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메카니컬씰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중펌프(100)가 집수조(200)에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형 수중펌프(100)인 경우, 펌프케이싱(130)의 하부에 집수조(200)의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대(1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수중펌프(100)가 토출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형 수중펌프(100)인 경우, 토출관(210)에 토출구(13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탈착후크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스트레이너(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트레이너(150)는 흡입구(131)에 설치되어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스트레이너(15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의 망 또는 복수 개의 처리공이 형성된 다공판을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제작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50)는 개방된 상부가 흡입구(131)의 둘레와 마주하며, 흡입구(131)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150)는 구동축(111)에 연결되어 구동축(11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이너(150)는 하기에 설명할 일방향연동부재(160,160')에 의해 임펠러(120)가 구동축(111)에 의해 정방향(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해 임펠러(12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트레이너(150)에서 구동축(111)만 회전하고, 임펠러(120)가 구동축(111)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펠러(120)가 회전하는 방향)하는 경우에만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50)의 바닥 중앙에는 구동축(111)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공(1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150)에는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이물질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걸린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원심제거날개(153)가 형성될 수 있다.
원심제거날개(153)는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서 둘레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원심제거날개(153)는 스트레이너(150)의 저면에도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원심제거날개(153)는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걸리는 이물질을 둘레면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150) 둘레면에 이물질이 고착되면서 스트레이너(150)를 회전시키더라도 스트레이너(150)에서 이물질이 분리되지 않아 제거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원심제거날개(153)는 스트레이너(150)의 회전 시에 원심력을 발생하여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걸린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떨어내는 형태로 제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일방향연동부재(160,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구동축(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트레이너(15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축(111)이 정회전하는 경우, 스트레이너(150)에서 구동축(111)만 회전하도록 회전을 허용할 수 있으며, 구동축(111)이 역회전하는 경우, 구동축(111)의 동력이 스트레이너(150)로 전달되면서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역회전할 수 있다.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스트레이너(150)에 대해 구동축(111)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고, 역회전할 때에는 스트레이너(150)에 대해 구동축(111)의 회전을 제한하여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가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111)이 정회전할 때, 스트레이너(150)가 함께 회전할 경우, 스트레이너(150)의 하중 부하와 유체의 저항력 때문에 수중펌프(100)의 효율이 하락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구동축(111)의 역회전 시에만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를 연결하여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160)는 구동축(111)이 복수 개의 베어링볼(161) 또는 베어링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 개의 베어링볼(161)은 회전 방향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점점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태의 볼홈(163)에 수용되어 구동축(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베어링볼(161)이 볼홈(163)에 의해 구동축(111)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가 함께 회전하거나, 볼홈(163)에 의해 구동축(111)의 둘레로 밀려나면서, 스트레이너(150)에서 구동축(111)만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160)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원웨이베어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와 같이 일방향연동부재(160)가 원웨이베어링으로 구현될 경우, 구동축(111)은 내주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설치되고, 스트레이너(150)는 웬웨이베어링의 외주를 축공에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원웨이베어링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160')는 역방향으로 구동축(111)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구동축(111)의 동력이 스트레이너(150)로 전달되어 스트레이너(150)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160')는 구동축(111)에 역방향으로 회전 시 심력에 의해 끝단이 회전하여 벌어지는 복수 개의 원심마찰슈(163')가 설치되고, 스트레이너(150)에는 원심마찰슈(163')가 원심력에 의해 벌어질 때, 내주에 접촉되는 마찰드럼(165')이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심마찰슈(163')는 구동축(111)에 구동원판(161')이 결합되고, 구동원판(161')에 복수 개의 원심마찰슈(163')가 구동축(1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원심마찰슈(163')의 일단은 구동원판(161')에서 슈회전핀(1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슈회전핀(162')의 끝단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원판(161')의 둘레로 펼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원심마찰슈(163')는 구동축(111)의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이 사라지거나, 구동축(111)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원심마찰슈(163')가 구동원판(161')의 둘레로 슈회전핀(16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돌출된 원심마찰슈(163')의 끝단이 초기 위치인 구동원판(161')의 내주의 내부로 슈회전핀(16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도록 원심마찰슈(16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슈지지스프링(164')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찰드럼(165')은 스트레이너(150)의 관통공(15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마찰드럼(165')의 내주에는 구동원판(161') 및 원심마찰슈(163')가 삽입됨과 동시에 원심마찰슈(163')가 원심력에 의해 펼쳐졌을 때, 원심마찰슈(163')와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찰드럼(165')은 구동원판(161')의 상부에 걸쳐져 구동축(111)에서 스트레이너(1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동원판(161')의 상부에 걸쳐지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원판(161')과 마찰드럼(165')의 사이에는 마찰드럼(165')에서 구동원판(16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스러스트베어링(166')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다른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구동축(111)이 정회전 하는 경우, 원심마찰슈(163')가 슈지지스프링(164')에 의해 지지되며, 원심마찰슈(163')의 회전하는 끝단이 구동축(111)의 정회전하는 방향과 대응되기 때문에 원심마찰슈(163')가 방사상으로 펼쳐지지 않아 스트레이너(150)에서 구동축(111)만 회전한다.
반면, 구동축(111)이 역회전하는 경우, 원심마찰슈(163')에 원심력이 발생하면서, 원심마찰슈(163')가 슈지지스프링(164')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복수 개의 원심마찰슈(163')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마찰드럼(165')의 내주에 원심마찰슈(163')가 밀착 접촉되면서, 마찰드럼(165')이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하여 스트레이너(15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일례의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원심클러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회전저지부(170,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회전저지부(170,170')는 구동축(111)의 정회전 시에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111)이 정회전 시에는 일방향연동부재(160,160')에 의해 구동축(111)만 회전하지만, 스트레이너(150)는 구동축(111)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축(111)의 정회전 시 마찰력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하면, 스트레이너(150)를 통해 유체의 유입성이 하락되면서
회전저지부(170,170')는 스트레이너(150)와 펌프케이싱(130)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저지부(170,170')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 또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와 마주하는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의 주변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의 회전저지부(170)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또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과 마주하는 펌프케이싱(130)의 부분에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찰링을 설치하여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더 큰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이너(150)에 대해 구동축(111)이 정회선시에 회전저지부(170)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마찰링은 요철면을 갖거나 브레이크패드와 같이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형성되는 등 스트레이너(150)에 대해 구동축(111)이 정회전할 때 마찰력보다는 더 큰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례의 회전저지부(170')는 레치기어부(173'), 및 레칫돌기(171')를 포함할 수 있다.
레치기어부(173')와 레치돌기(171') 중 어느 하나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와 마주하는 펌프케이싱(13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레치기어부(173')는 복수 개의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레치기어부(173')가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 또는 펌프케이싱(130)에서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와 마주하는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레치돌기(171')는 레치기어부(173')의 경사진 레치기어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레치기어의 경사진 방향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치기어부(173')와 레치돌기(171')는 구동축(111)의 정회전 시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축(111)을 따라 회전하려고 할 때,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의 레치기어에 걸리면서,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반면, 구동축(111)이 역회전할 때에는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하면,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의 각 레치기어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방향의 순차적으로 레치기어를 넘나 들면서,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다른 일례의 회전저지부(170')는 밀착스프링(1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밀착스프링(175')은 레치기어부(173')에 레치돌기(171')가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레치기어부(173')에 레치돌기(171')를 탄성력에 의해 밀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밀착스프링(175')은 구동축(111)에서 스트레이너(150)를 레치기어부(173')에 레치돌기(17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레치기어부(173')의 골에 레치돌기(171')가 밀착 삽입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밀착스프링(175')은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의 골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기 때문에 구동축(111)의 역회전 시 레치기어부(173')를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의 산과 골을 넘나 들며 이동할 때, 스트레이너(150)도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며 진동을 발생하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붙은 이물질의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펌프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펌프컨트롤러(180)는 수중펌프(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펌프컨트롤러(180)는 집수조(200)의 유체량에 따라 수중펌프(100)를 기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유체량만큼 유체를 토출하도록 수중펌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펌프컨트롤러(180)는 모터부(110)를 제어하는 형태로 유체의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펌프컨트롤러(180)는 유체측정센서(181) 및 모터측정센서(18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측정센서(181)는 토출구(133)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하거나,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할 수 있다.
유체측정센서(181)는 토출구(133) 또는 흡입구(131)에 설치되거나, 토출관(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모터측정센서(183)는 모터의 작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모터측정센서(183)는 예를 들어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거나, 모터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형태로 임펠러(120)의 작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펌프컨트롤러(180)는 모터부(110)의 구동축(111)을 전기의 극성에 따라 역회전 또는 정회전시킬 수 있다.
펌프컨트롤러(180)는 유체측정센서(181)에서 측정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과 모터측정센서(183)에서 측정되는 모터의 작동상태를 비교하여 모터측정센서(183)에서 측정되는 모터의 회전속도 또는 모터부(110)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유체측정센서(181)에서 측정되는 유량 또는 유압에 따라 스트레이너(150)의 막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부(110)로 공급되는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흡입 또는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이 증가하여 측정되야 하지만, 스트레이너(150)가 이물질의 막힌 경우, 흡입에 저항이 발생하여 모터측정센서(183)에서 측정되는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유체측정센서(181)에서 측정되는 유량 또는 유압이 증가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펌프컨트롤러(180)는 모터측정센서(183)에서 측정되는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유체측정센서(181)에서 측정되는 유량 또는 유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속하지 못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작게 측정되는 경우, 스트레이너(150)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흡입저항성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모터부(110)를 정지한 후 역회전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150)에 흡착된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떨어 내는 형태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모터부(110)의 구동축(111)에 임펠러(120)가 결합되고, 임펠러(120)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131)와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133)가 형성된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한편, 토출구(133)에는 토출관(210)이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에는 흡입구(131)로 흡입되는 유체의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이너(150)가 설치된다.
스트레이너(150)는 흡입구(131)의 둘레를 감싸 덮도록 흡입구(131)와 마주하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150)는 중앙에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관통공(151)에 구동축(111)이 삽입되는 형태로 구동축(1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트레이너(150)에는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트레이너(150)의 회전 시 원심력을 발생하여 이물질이 쉽게 떨어져 제거되도록 원심제거날개(153)가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스트레이너(150)와 구동축(111)의 사이에는 구동축(111)의 역회전 시에만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에 의해 회전하도록 일방향연동부재(160,160')가 설치된다.
이때, 일방향연동부재(160,160')는 일례와 같이 일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원웨이베어링으로 구현되거나, 다른 일례와 같이 구동축(111)에 구동원판(161')이 설치되고, 구동원판(161')에 원심력에 의해 구동원판(161')의 둘레로 펼쳐지거나, 슈지지스프링(164')의 탄성력에 의해 접히도록 복수 개의 원심마찰슈(163')가 설치되고, 스트레이너(150)에는 원심마찰슈(163')가 펼쳐진 상태에서 밀착 지지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마찰드럼(165')이 구성된다.
한편,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 또는 스트레이너(150)의 상단 둘레와 마주하는 펌프케이싱(130)의 부분에는 구동축(111)이 정방향의 회전 시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가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저지부(170,170')가 구성될 수 있다.
회전저지부(170,170')는 일례와 같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을 억제하도록 마찰링이 설치되거나, 다른 일례와 같이 스트레이너(150)와 펌프케이싱(130)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는 레치기어부(17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레치돌기(171')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구동축(111)의 역회전 시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를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넘나들 때, 레치돌기(171')에 레치기어부(173')가 탄성력에 의해 맞물리도록 밀착스프링(175')에 의해 구동축(111)에서 스트레이너(150)가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다.
그리고, 펌프컨트롤러(180)는 모터부(110)를 제어하며, 펌프컨트롤러(180)는 토출구(133) 또는 흡입구(131)에 설치되어 흡입 또는 토출되는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하는 유체측정센서(181)를 포함하고, 모터의 작동상태를 측정하는 모터측정센서(18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유체를 이송할 때에는 펌프컨트롤러(180)가 구동축(111)이 정회전하도록 모터부(110)를 제어한다.
구동축(111)이 회전하면, 임펠러(120)가 회전하면서, 임펠러(12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를 통해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토출구(133)를 통해 토출되어 토출관(210)을 통해 집수조(200)의 외부로 이송된다.
한편, 펌프케이싱(130)의 흡입구(131)로 유체가 흡입될 때에는 흡입구(131)를 스트레이너(150)가 감싸기 때문에 스트레이너(150)를 통과한 이물질은 유체와 함께 토출구(133)로 토출되는 반면, 스트레이너(150)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은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걸러 진다.
이때, 스트레이너(150)의 둘레에는 원심제거날개(153)가 복수 개가 형성되어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추후 스트레이너(150)의 원심력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111)이 정회전할 때에는 일방향연동부재(160,160')에 의해 스트레이너(150)에서 구동축(111)만의 회전을 허용하는 데,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따라 회전하더라도 스트레이너(150)와 펌프케이싱(130)의 사이에 회전저지부(170,170')가 설치되어 회전저지부(170,170')에 의해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저지부(170,170')는 스트레이너(150)와 펌프케이싱(130)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링이 설치되어 마찰력에 의해 회전이 정지될 수 있지만, 레치기어부(173')에 레치돌기(171')가 삽입되는 형태로 회전이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가 함께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모터부(110)에 의해 구동축(111)이 정회전할 때, 펌프컨트롤러(180)는 모터측정센서(183)를 통해 모터부(110)로 공급되는 전류량 또는 구동축(111)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유체측정센서(181)를 통해 흡입 또는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펌프컨트롤러(180)는 모터측정센서(183)에서 측정되는 모터의 작동상태(예를 들어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유체측정센서(181)에서 측정되는 유량 또는 유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스트레이너(150)의 둘레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흡입성이 하락되었다고 판단하고, 모터부(110)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구동축(111)을 역회전하도록 모터부(110)를 작동시킨다.
구동축(111)이 역회전하면, 일방향연동부재(160,160')에 의해 구동축(111)에서 스트레이너(150)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구동축(111)이 함께 회전하는 데, 일방향연동부재(160,160')가 원웨이베어링인 경우, 베어링볼(161)이 축소되는 원주방향으로 좁아지는 볼홈(163)측으로 이동하면서, 베어링볼(161)이 구동축(111)을 가압하여 스트레이너(150)와 구동축(111)을 함께 회전시킨다.
그리고, 일방향연동부재(160,160')가 원심클러치인 경우, 구동축(111)이 회전하면 구동원판(161')에 복수 개의 원심마찰슈(163')가 구동원판(161')의 둘레로 펼쳐지면서, 스트레이너(150)의 마찰드럼(165')의 내주에 밀착되어 지지되면서,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111)과 스트레이너(150)가 함께 회전하면, 원심제거날개(153)에 의해 스트레이너(150)의 외측으로 원심력이 작용하면서,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는 형태로 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흡입성의 하락으로 인한 수중펌프(100)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저지부(170,170')가 레치돌기(171')와 레치기어부(173')로 구성된 경우, 스트레이너(150)의 회전 시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의 골과 산을 회전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넘나들며서 이동하는 데, 스트레이너(150)는 구동축(111)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밀착스프링(175')에 의해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를 넘나들 때,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하면서, 상하로의 진동이 발생하여 스트레이너(150)에 흡착된 이물질의 제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111)이 역회전하면, 임펠러(120)도 역회전하면서, 펌프케이싱(130)의 내부에 잔류된 유체가 흡입구(131)를 통해 토출되면서, 스트레이너(15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스트레이너(150)의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의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펌프컨트롤러(180)는 구동축(111)의 역회전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한 후, 모터부(110)의 기동을 정지하고, 다시 구동축(111)을 정회선시키는 형태로 수중펌프(100)를 작동시켜 스트레이너(150)의 이물질 막힘에 따라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유체 이송을 위한 기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100)는 이물질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막힌 경우, 구동축(111)이 역회전 하면서 일방향연동부재(160,160')에 의해 스트레이너(150)가 구동축(111)과 함께 회전하여 스트레이너(150)에 걸린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흡입성을 개선하여 펌프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 원심제거날개(153)가 설치되어 스트레이너(150)의 둘레면에서 이물질이 이격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150)에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이너(150)의 회전시 원심제거날개(153)에 의해 원심력을 발생하여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11)이 정회전 시에 회전저지부(170,170')를 통해 구동축(111)과 함께 스트레이너(1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레이너(150)의 회전에 따라 흡입되는 유체의 저항성을 감소시켜 스트레이너(150)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유체의 흡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저지부(170,170')에 레치기어부(173')와 레치돌기(171')로 구성하여 스트레이너(150)의 회전 시 레치돌기(171')가 레치기어부(173')를 넘나들며 지나면서 스트레이너(150)에 상하의 진동을 발생시켜 스트레이너(150)에 흡착된 이물질의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컨트롤러(180)가 모터측정센서(183)와 유체측정센서(181)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통해 스트레이너(150)의 막힘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스트레이너(150)를 역회전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의 제거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수중펌프 110: 모터부
111: 구동축 120: 임펠러
130: 펌프케이싱 131: 흡입구
133: 토출구 135: 받침대
150: 스트레이너 151: 관통공
153: 원심제거날개 160,160': 일방향연동부재
161: 베어링볼 161': 구동원판
162': 슈회전핀 163: 볼홈
163': 원심마찰슈 164': 슈지지스프링
165': 마찰드럼 166': 스러스트베어링
170,170': 회전저지부 171': 레치돌기
173': 레치기어부 175': 밀착스프링
180: 펌프컨트롤러 181: 유체측정센서
183: 모터측정센서 200: 집수조
210: 토출관

Claims (6)

  1. 구동축이 회전하는 모터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여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펌프케이싱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트레이너, 및
    상기 구동축의 역방향으로 회전 시에만 상기 스트레이너에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설치되는 일방향연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축의 역회전 시 상기 일방향연동부재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여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의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일방향연동부재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마찰드럼, 및
    상기 구동축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역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마찰드럼의 내주에 밀착 접촉되면서 상기 마찰드럼을 회전시키는 원심마찰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둘레면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어 상기 둘레면에 이물질이 밀착되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트레이너의 회전 시 원심력을 발생하는 원심제거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연동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사이에 설치되어 일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원웨이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축의 정회전 시 상기 스트레이너가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제어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펌프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컨트롤러는
    상기 유체의 흡입 또는 토출 시의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하는 유체측정센서, 및
    상기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모터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모터부의 전류량 또는 회전속도 대비 흡입 또는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펌프컨트롤러는 상기 스트레이너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다고 판단하여 상기 모터부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트레이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KR1020230075014A 2023-06-12 2023-06-12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KR10261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014A KR102612386B1 (ko) 2023-06-12 2023-06-12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014A KR102612386B1 (ko) 2023-06-12 2023-06-12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386B1 true KR102612386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014A KR102612386B1 (ko) 2023-06-12 2023-06-12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3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56B1 (ko) * 2010-10-13 2011-03-04 소진호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101230837B1 (ko) * 2011-09-21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일 공급장치
KR20160092272A (ko) * 2015-01-27 2016-08-04 소진호 입형 원심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56B1 (ko) * 2010-10-13 2011-03-04 소진호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101230837B1 (ko) * 2011-09-21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일 공급장치
KR20160092272A (ko) * 2015-01-27 2016-08-04 소진호 입형 원심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159B2 (en) Motor-driven pump for pool or spa
JP6482776B2 (ja) 潤滑剤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潤滑剤フィルタユニットを備えた潤滑システム
EP1206642B1 (en) Pump having dynamic shaft seal
EP2316322A2 (en) Robot cleaner
KR102191410B1 (ko) 이물질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임펠러를 구비한 원심펌프
AU2017260477B2 (en) Vacuum cleaner
US4697746A (en) Grinder pump
KR20080021597A (ko) 펌프
KR101635538B1 (ko) 펌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042451A (ko)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 및 임펠러 어셈블리
KR102612386B1 (ko) 이물질 제거로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트레이너를 갖는 수중펌프
KR101919732B1 (ko)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RU2422679C1 (ru) Ступень погружного насоса
KR101830114B1 (ko) 임펠러 갭 가변형 인서트링이 구비된 수중모터펌프
JP2023518961A (ja) 処理装置用フィルタ
US8714917B2 (en) Anti-airlock pump
KR101134351B1 (ko) 드라이컨디션 상태에서 시험가동이 가능한 펌프
KR102435462B1 (ko)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보조베인을 구비한 수중펌프
KR100801260B1 (ko) 버티컬 펌프
KR102444811B1 (ko) 집수조 내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수중펌프
KR102272218B1 (ko) 밸런스 조절이 용이한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펌프
US20130045081A1 (en) Centrifugal Pump Anti-Air Locking System
KR100391353B1 (ko) 나선형 거름망을 이용한 슬러지 제거 장치
JP2011137377A (ja) 水中ポンプ
CN116490694A (zh) 用于泵的、具有引导销的叶轮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