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097B1 - 스턴 - 로프 발사기 - Google Patents

스턴 - 로프 발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097B1
KR102612097B1 KR1020220139728A KR20220139728A KR102612097B1 KR 102612097 B1 KR102612097 B1 KR 102612097B1 KR 1020220139728 A KR1020220139728 A KR 1020220139728A KR 20220139728 A KR20220139728 A KR 20220139728A KR 102612097 B1 KR102612097 B1 KR 10261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gas
rope
stun
laun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2013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68Line-carrying missiles, e.g. for life-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스턴탄과 호환되는 고압의 가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스턴탄에 의한 가스압이 전방에 출력되어 다양한 발사체의 추진이 구현됨으로써, 조립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초보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할 뿐 아니라 스턴탄의 무한 사용으로 고압의 가스 충전이 필요치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 사용이 가능한 스턴 - 로프 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발사체,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발사체가 장입하는 약실을 갖는 발사체유도로드,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압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가스출력부 및 상기 발사체유도로드 밑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사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고정멈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출력부는, 내부에 공기탱크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가스압을 방출시키는 스턴 - 로프 발사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스턴 - 로프 발사기 {A STUN - ROPE LAUNCHER}
개시된 내용은 스턴탄과 호환되는 고압의 가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스턴탄에 의한 가스압이 전방에 출력되어 다양한 발사체의 추진이 구현됨으로써, 조립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초보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할 뿐 아니라 스턴탄의 무한 사용으로 고압의 가스 충전이 필요치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 사용이 가능한 스턴 - 로프 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로프 발사기는 홍수, 화재, 위급상황 시 인명구조와 기타 긴급상황시 사용되는 것으로, 밧줄 자체를 발사하는 것이 아니고 비교적 가는 줄을 먼저 발사하고 목적지에서 발사된 줄은 잡으면 다시 밧줄을 가는 줄에 묶어서 보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현재 로프 발사기의 추진력은 화약식과 공기압축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두 가지 모두 총구 앞부분에 줄을 달고 날아갈 수 있는 형태의 구조물을 끼우고 총신 하단부에 설치된 로프줄 뭉치와 연결하여 발사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하여 로프 발사기는 일반총보다 강한 추진력이 요구되어 발사시 적지 않은 화약과 보다 강력한 공기압이 필요하다.
화약을 이용한 발사기의 경우, 발사시 상당한 소음과 충격이 발생하며 적지 않은 화약대금과 기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어깨에 견착하고 발사할 때 강한 충격으로 부상을 입을 우려도 있다.
또한, 발사시의 강한 압력을 견디기 위해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상당한 중량을 가지게 된다.
또한, 화약의 압력을 이용한 다목적 인명구조장치는 구조용 발사체가 총으로부터 발사되도록 하는 추진력을 얻기 위해 화약충진부에 화약이 일정비율로 충진된 탄약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충진된 화약의 폭발력이 일정 압력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구조용 발사체의 사거리가 짧고, 폭발의 충격이 개머리판을 받치고 있는 어깨에 곧바로 전달되는 문제점 및 탄약의 사용으로 인해 총포소지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취급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화실린더에 액화실린더를 장착하고 가스배출조절장치를 결합하여 일정 압력으로 여러번 발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인명구조용 발사기의 경우, 가스배출조절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과정에서 조립성과 경제성이 저조하고, 발사과정에서는 한쪽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쪽 손은 로프통을 받쳐주면서 격발함으로써 조난지점에 대한 조준자세가 불안정하고, 발사충격이 별도의 완충장치에 의해 완충되지 못하고 양쪽 팔에만 집중되어 발사순간 총구가 조준점을 벗어나게 되어 조난지점에 구명기구가 정확히 투척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예인색 투색총 또는 로프 발사기의 경우 부속품이 많아 초보자가 조립 및 사용이 어렵고, 화약을 사용하여 폭발사고의 우려가 있어 위험할 뿐 아니라 투색총의 가격이 고가로 비경제적이며, 사용 시 화약을 구매해야 하고 화약의 구매 자체가 쉽지 않아 보편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로프 발사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251호(2004. 10. 21. 등록)에는 고무의 탄력성을 응용하여 원거리에 로프줄을 발사 전달함에 있어서, 손잡이가 결합된 고탄력성의 고무 튜브와 원형구슬 조임밴드 도르레바퀴가 설치된 H자 구조물과, 로프줄를 매단 화살을 전단부 화살고정장치를 통하여 후단부 화살 장전장치에 장전하는 형태, 조준장치와 방아쇠를 특징으로 하는 고무의 탄력성을 응용한 로프줄 발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8738호(2008. 11. 07, 등록)에는 전단부에 구명기구가 장착된 발사체를 액화가스로 추진시키는 발사부와, 발사충격을 완충시키는 견착부를 간단한 구조로 직렬 배치시켜고, 상기 발사부는 전단에 발사관이 결합고정되는 기화실린더와 기화실린더의 후단에 결합되는 실린더캡과 상기 기화실린더와 실린더캡 내측에 장착되는 실린더밸브와 실린더캡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벤트밸브와 벤트밸브 내측에 장착되는 체크밸브와 실린더캡 후면에 힌지결합되어 견착부의 결합을 제어하는 안전레버와 방아쇠가 힌지결합된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착부는 고압가스 카트리지가 내장되는 카트리지관과, 카트리지관 후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완충관과, 후단부에 개머리판과 견착패드가 결합되고 전반부가 완충관 내측으로 끼워지는 견착관과, 중심부가 고정볼트상에 끼워지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조난사고용 구명기구 발사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로프 발사기는 조립 및 사용이 어렵고 화약을 사용하여 폭발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가스의 고압충전이 필요하여 신속사용이 어려울 뿐 아니라 크고 무거우며 사거리 조절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로프 발사기의 추진력을 화약이나 공기 압축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함정이나 특공대 현장에 보급되어 있는 스턴탄 또는 섬광탄을 가스출력부에 호환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발사체의 추진을 구현함으로써, 조립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초보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할 뿐 아니라 스턴탄의 무한 사용으로 고압의 가스 충전이 필요치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 사용이 가능한 로프 발사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0366251호(2004.10.21. 등록)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8738호(2008.11.07. 등록)
발사체,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발사체가 장입하는 약실을 갖는 발사체유도로드,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압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가스출력부 및 상기 발사체유도로드 밑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사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고정멈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출력부는 내부에 스턴탄이나 섬광탄과 같은 가스탱크 또는 다양한 압축가스 또는 고압가스가 발생가능한 용기를 수용하고, 수용된 가스탱크 또는 다양한 압축가스 또는 고압가스가 발생가능한 용기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가스압을 방출시켜 다양한 발사체의 추진을 구현함으로써, 조립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초보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할 뿐 아니라 스턴탄의 무한 사용으로 고압의 가스 충전이 필요치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 사용이 가능한 스턴 - 로프 발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발사체,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발사체가 장입하는 약실을 갖는 발사체유도로드,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압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가스출력부 및 상기 발사체유도로드 밑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사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고정멈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출력부는 내부에 공기탱크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가스압을 방출시키는 스턴 - 로프 발사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출력부는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와 인접한 상기 가스출력부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발사체로 전달되는 가스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모듈은, 전단에 구비되고, 중심부 둘레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다수개의 제1가스배출공이 구비된 제1캡, 상기 제1캡 후방에 밀접 배치되고, 상기 제1가스배출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대응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가스배출공이 구비된 제2캡 및 상기 제2캡을 회전시켜. 상기 제1가스배출공에 대한 상기 제2가스배출공의 겹침 정도에 따라 가스배출공의 개폐 및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발사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버튼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출력부는 반원통형의 제1몸체부 및 반원통형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절첩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서로 결합가능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제1접합면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제2접합면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접합면은 상기 제2접합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일정 면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접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합면은 상기 접합홈의 함몰 깊이 및 형상과 동일한 두께 및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홈에 안착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하 회전하도록 타단이 상기 제1접합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길이 방향의 끼움홈을 포함하여, 접합된 상기 제1접합면 및 제2접합면을 상기 끼움홈으로 삽입시켜 상기 제1접합면 및 제2접합면의 접합상태를 고정하는 끼움쇠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접합면은 상기 제2접합면과 접촉되지 않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1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합면은, 상기 제1접합면과 접촉되지 않은 면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끼움쇠부재는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 및 상기 돌기삽입홈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통공된 고정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가 상기 돌기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쇠부재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킨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멈치는 개방된 일면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 일단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 내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와 대면 접촉하는 걸림쇠 및상기 걸림쇠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림쇠는 상기 발사체와 대응 접촉하여, 상기 발사체를 가압하는 가압면, 상기 가압면과 이웃하고, 상기 가압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경사면 및 일측이 상기 가압면과 이웃하고, 타측이 상기 경사면과 이웃하며, 하측으로 상기 스프링부재와 연결된 바닥면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피링부재는 상기 본체에 수직으로 입상되어, 상기 걸림쇠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 전방에 배치되고, 본체와 접촉한 일단이 상기 걸림쇠와 접촉한 타단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발사체의 삽입 시 상기 경사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발사체의 가압에 의해 하방 압축되어 상기 발사체의 유입을 구현하며,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발사체의 격발 및 격발 대기 시, 상기 걸림쇠의 전후진 유동을 제어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사체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출력부와 인접한 일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성된 반구형상의 헤드, 상기 샤프트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 결합된 다수개의 날개 및 상기 샤트프 타단에 배치되어, 로프를 고정하는 로프고정링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발사되는 가스의 유실을 방지하는 가스유실방지링 및 상기 헤드 외주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가스유실방지링이 삽입 고정되는 링삽입홈을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날개는 가스의 발사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날개비드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이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탱크는 스턴탄 또는 섬광탄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에 의하면, 스턴탄과 호환되는 고압의 가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스턴탄에 의한 가스압이 전방에 방출되어 다양한 발사체의 추진이 구현됨으로써, 조립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초보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할 뿐 아니라 스턴탄의 무한 사용으로 고압의 가스 충전이 필요치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의 가스압을 발사하는 가스출력부가 제1몸체부,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접합면과 제2몸체부의 제2접합면을 내측의 끼움홈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끼움쇠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가스출력부 내부의 고압을 견딜수 있는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출력부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캡 및 제2캡으로 구성되며, 압력조절버튼에 의해 제1캡의 제1가스배출공과 제2캡의 제2가스배출공의 겹침정도를 조절하여 가스배출공의 개폐 및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압력조절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발사체에 가해지는 가스압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발사체의 사거리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사체의 일단에 곡면을 갖는 소프트재질의 헤드를 포함하여, 비실상 무기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사체의 헤드가 팽창식 구명볼로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구조용 구명볼을 먼 거리까지 발사시킬 수 있는 구조장비로의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프링부재에 걸림쇠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은 발사체의 삽입 시 발사체의 가압에 의해 하방 압축되어 상기 발사체의 삽입을 구현함으로써, 가스출력부의 해체없이 발사체유도로드 전단 개구부로 발사체를 삽입시켜 발사체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사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사시도이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다.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멈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a)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모듈의 가스배출공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b)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모듈의 가스배출공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사시도이며,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탱크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고압의 가스압을 방출시켜 발사체(100)의 추진을 구현한 것으로, 발사체(100), 발사체유도로드(200), 가스출력부(300), 고정멈치(400) 및 손잡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사체(100)는 발사체유도로드(200) 내에 장착되어 가스출력부(300)에서 발사되는 고압의 가스압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것으로, 전방측에 로프가 결속되고 가스출력부(300)와 인접한 후단측에 자동팽창튜브(Auto-inflating Sling), 갈고리(Grappling Hook)등과 같은 구명기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사체(100)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110), 상기 샤프트(110) 일단에 배치된 헤드(120), 상기 샤프트(110) 타단측에 배치되는 날개(130) 및 날개(130)와 인접한 샤프트 타단에 로프고정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120)는 상기 가스배출부(300)와 인접한 일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성된 반구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가스와 대면하는 일면이 곡면(121)으로 구성되어 공기저항이 감소되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120)는 소프트재질로 구성되어, 개시된 내용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1)가 비실상 무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120)는 팽창식 구명볼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구조용 구명볼을 먼 거리까지 발사시킬 수 있는 구조장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120)는 상기 헤드(120)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스유실방지링 (122) 및 상기 가스유실방지링(122)의 장착을 위한 링삽입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유실방지링(122)은 상기 헤드(120)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발사되는 가스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120) 외주면에 소정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헤드(120)는 발사체유도로드(200)의 내부 통공보다 소정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유실방지링(122)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의 내부 통공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소정으로 작게 구성되어 상기 가스유실방지링(122)이 발사체유도로드(200) 내주면에 밀착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링삽입홈(123)은 상기 가스유실방지링(122)이 삽입 고정되는 홈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유실방지링(122)이 헤드(120)의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날개(130)는 상기 샤프트(110)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110)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 결합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130)는 가스의 발사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날개비드(131)를 포함하여, 상기 날개비드(131)에 의해 발사시 공기의 양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는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발사체(100)가 장입하는 약실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출력부(300)는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압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100)를 발사시키는 구성으로, 내부에 공기탱크를 수용하고, 수용된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가스압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출력부(300)는 종래의 발사기와 같이 화약이나 가스충전을 이용하여 발사력을 구현하지 않고 공기탱크를 통한 고압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구성으로, 내부에 고압의 가스압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고, 장시간이 요구되는 가스 충전 없이 간단히 공기탱크를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발사기의 무한 사용이 가능하여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저가의 공기탱크를 이용함으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 가스출력부(300)는 공기탱크의 장착이 용이하고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출력부(300)는 압력조절모듈(310), 제1몸체부(320), 제2몸체부(330), 절첩부재(340) 및 고정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탱크는 스턴탄 또는 섬광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탱크는 가스탱크 또는 다양한 압축가스, 고압가스 또는 고압기체가 발생 가능한 용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서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가스출력부(300)에 수용되는 공기탱크를 스턴탄으로 기재한다.
도 9(a)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모듈의 가스배출공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9(b)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모듈의 가스배출공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압력조절모듈(3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와 인접한 상기 가스출력부(300)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발사체(100)로 전달되는 가스압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조절모듈(310)은 발사체(100)로 공급되는 가스압을 제어하여 발사체(100)의 사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발사체(100)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캡(311) 및 제2캡(312)과 가스출력부(300) 외주면에 배치되는 압력조절버튼(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캡(311)은 가스출력부(300) 전단에 구비되고 중심부 둘레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다수개의 제1가스배출공(311a)이 구비되며, 상기 제2캡(312)은 상기 제1캡(311) 후방에 밀접 배치되고,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과 동일한 형상으로 대응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가스배출공(312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캡(311) 및 제2캡(312)은 중심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통공(제1가스배출공 및 제2가스배출공, 311a, 312a)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동일한 규격 및 형상을 갖고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 및 제2가스배출공(312a)은 압력조절버튼(313)에 의해 회전하는 제2캡(312)에 의해 겹침 정도가 가변되어 발사체유도로드(200)로 전달되는 가스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 및 제2가스배출공(312a)의 겹침 정도에 의해 발사체유도로드(200)로 가스를 이동시키는 가스배출공(314)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 및 제2가스배출공(312a)이 어굿남 없이 완전히 겹쳐진 경우에는 가스배출공(314)이 완전 개방되는 100% 개방상태가 되어 최대치의 가스압이 출력되고 이에 따라 발사체(100)는 최장 사거리로 발사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 및 제2가스배출공(312a)이 최대의 어긋난 상태일 경우 가스배출공(314)이 패쇄될 수 있으며, 완전 폐쇄의 경우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출공(314)이 20%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스출력부(300) 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 및 제2가스배출공(312a)의 겹칩이나 어긋남 정도는 압력조절버튼(313)에 의한 제2캡(312)의 회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버튼(313)은 상기 제2캡(312)을 회전시켜 상기 제1가스배출공(311a)에 대한 상기 제2가스배출공(312a)의 겹침 정도에 따라 가스배출공(314)의 개폐 및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발사체(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조절버튼(313)은 가스출력부(300)의 외주면 일측에 사용자가 수동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압력조절버튼(3132)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캡(312)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버튼(313)은 버튼식이거나 다이얼 식일 수 있으며, 제1캡(311)에 대한 제2캡(312)의 위치를 기설정된 다수개의 단계로 설정하여 가스배출공(314)의 개방 정도 예를 들면, 완전개방, 완전폐쇄(상술한 바와 같이 20%의 가스배출공의 개방상태) 또는 부분 개방(다수개의 단계로 설정된 가스배출공의 부분 개방)으로 분류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버튼(313)은 압력조절버튼(313)과 제1캡(311)이 연동되어 제1캡의 회전으로 가스배출공(314)크기가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1)는 가스출력부(300)에 압력조절모듈(310)을 구비함으로써, 사거리 조절이 어려웠던 종래의 발사기와 달리 가스압 출력량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사거리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모듈(310)은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와 인접한 상기 가스출력부(300) 전단에 배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몸체부(320)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출력부(300)는 반원통형의 제1몸체부(320) 및 반원통형의 제2몸체부(330)로 외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320) 및 제2몸체부(330)는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절첩부재(340)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서로 결합가능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출력부(300)는 반원통형의 제1몸체부(320)와 반원통형의 제2몸체부(330)가 맞물려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부(320)와 제2몸체부(330)가 맞닿는 양측단은 일측에 힌지 형상의 절첩부재(340)로 구성되며, 타측은 맞닿은 제1몸체부(320)와 제2몸체부(330)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재(340)에 의해 제2몸체부(330)를 회전하여 제1몸체부(320) 및 제2몸체부(330)가 펼쳐진 개방된 상태에서 제1몸체부(320) 내부에 스턴탄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절첩부재(340)는 절첩봉(341)에 의해 상하 회전이 가능한 일반적인 힌지일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고,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3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부재(340)와 대응되는 제1몸체부(320) 및 제2몸체부(330) 타측면에 구비되어, 맞닿은 제1몸체부(320) 및 제2몸체부(330)의 접촉상태를 고정하여 가스출력부(300)의 원통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50)는 가스출력부(300) 내부의 고압의 가스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고정력을 갖음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기 고정부재(350)는 제1접합면(351), 제2접합면(352) 및 끼움쇠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합면(351)은 상기 제1몸체부(32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접합면(351)은 상기 제1몸체부(320)의 타측면과 수직으로 연장된 길이 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1몸체부(320)와 제2몸체부(330)가 접촉하여 가스출력부(300)가 원통형을 이룰 때 상기 제2접합면(351)과 대응접촉되어 상기 끼움쇠부재(35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면(351)은 접합홈(351a) 및 제1돌기부재(351b)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홈(351a)은 상기 제2접합면(352)과 접촉하는 일면에 일정 면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홈 형상으로, 제2접합면(352)의 두께 및 형상과 동일하게 함몰되어 상기 제2접합면(352)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접합면(352)은 상기 접합홈(351a)의 함몰 깊이 및 형상과 동일한 두께 및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홈(351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부재(351b)는 상기 제2접합면(352)과 접촉되지 않는 양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재(351b)는 제1접합면(351)의 일면 중 상기 접합홈(351a)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접합면(351)의 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로, 상기 제1접합면(351)과 제2접합면(352)이 접촉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부재(351b)는 후술할 끼움쇠부재(353)의 돌기삽입홈(353c)에 삽입된 후 고정홈(353d)에 고정되어, 가스출력부(3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접합면(352)은 상기 제2몸체부(330)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접합면(352)은 상기 제2몸체부(330)의 타측면과 수직으로 연장된 길이 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1몸체부(320)와 제2몸체부(330)가 접촉하여 가스출력부(300)가 원통형을 이룰 때 상기 제1접합면(351)과 대응접촉되어 상기 끼움쇠부재(35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접합면(352)은 제1접합면(351)의 접합홈(351a)의 함몰 깊이 및 형상과 동일한 두께 및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홈(351a)에 안착된 후 상기 제1접합면(351)과 함께 상기 끼움쇠부재(353)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접합면(352)은 제2돌기부재(352a)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기부재(352a)는 상기 제1접합면(351)과 접촉되지 않은 상기 제2접합면(352)의 타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돌기부재(352a)는 상기 제2접합면(352)의 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로, 상기 제1접합면(351)과 제2접합면(352)이 접촉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돌기부재(352a)는 후술할 끼움쇠부재(353)의 돌기삽입홈(353c)에 삽입된 후 고정홈(353d)에 고정되어, 가스출력부(3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쇠부재(353)는 일측이 상하 회전하도록 타단이 상기 제1접합면(351)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길이 방향의 끼움홈(353b)을 포함하여, 접합된 상기 제1접합면(351) 및 제2접합면(352)을 상기 끼움홈(353b)으로 삽입시켜 상기 제1접합면(351) 및 제2접합면(352)의 접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쇠부재(353)는 타단이 상기 제1접합면(351)에 힌지결합되어 개방된 일단이 상하 회전이 가능한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며, 접합된 제1접합면(351)과 제2접합면(352)이 내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저면에 통공된 일정 길이의 끼움홈(353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쇠부재(353)는 고압의 가스압을 견뎌야 하는 가스출력부(3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으로, 상술한 힌지(353a), 끼움홈(353b)과 함께 돌기삽입홈(353c) 및 고정홈(353d)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35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쇠부재(353)의 타단을 상기 제1접합면(351)에 고정하면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353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통공 형상을 갖는 힌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쇠부재(353)가 상기 제1접합면(351)과 제2접합면(352)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끼움쇠부재(353)에 제1접합면(351)과 제2접합면(352)이 끼워질 때, 상기 돌기삽입홈(353c)에 상기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가 삽입된 후 삽입된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가 고정홈(353d)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움쇠부재(353)를 소정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353a)는 끼움쇠부재(353)를 소정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를 고정홈(353d)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타원형 통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50)가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홈(353b)은 끼움쇠부재(353)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길이 방향의 홈 형상으로, 접합된 상기 제1접합면(351) 및 제2접합면(352)을 내부에 삽입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53b)은 접합된 상기 제1접합면(351)과 제2접합면(352)의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거나 소정으로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돌기삽입홈(353c)은 상기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홈(353d)은 상기 돌기삽입홈(353c)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통공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홈(353d)은 돌기삽입홈(353c)에 삽입된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를 수평하게 이동시켜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삽입된 제1돌기부재(351b) 및 제2돌기부재(352a)가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353d)은 고정부재(35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멈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멈치(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 밑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발사체(100)의 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체(410), 걸림쇠(420) 및 스프링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410)는 개방된 일면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걸림쇠(420) 및 스프링부재(430)가 배치되고 상기 걸림쇠(420)는 연통된 발사체유도로드(200)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발사체(100)의 헤드(1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쇠(420)는 일단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 내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4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100)와 대면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쇠(420)는 상기 발사체(100)와 대응 접촉하여, 상기 발사체(100)를 가압하는 가압면(421), 상기 가압면(421)과 이웃하고 상기 가압면(42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경사면(422) 및 일측이 상기 가압면(421)과 이웃하고 타측이 상기 경사면(422)과 이웃하며 하측으로 상기 스프링부재(430)와 연결된 바닥면(미도시)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420)는 바닥면(미도시)이 상기 스프링부재(430)와 연결되어 입상하고, 상기 바닥면(423)에 직립하는 가압면(421)이 상기 발사체(100)의 헤드(120)와 접촉하여 발사체(100)를 가압하며, 상기 가압면(100)의 상단에서 바닥면(미도시)으로 이어지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430)는 상기 걸림쇠(42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430)는 상기 본체(410)에 수직으로 입상되는 제1스프링(431) 및 상기 제1스프링(431) 전방에 배치되고,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제2스프링(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431)은 상기 걸림쇠(420)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는 스프링부재(430)로써, 본체(410)에 수직으로 입상되어 상, 하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431)은 상기 걸림쇠(420)의 상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발사체(100)의 삽입 시 상기 경사면(422)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발사체(100)의 가압에 의해 하방 압축되어 상기 발사체(100)의 삽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로프 발사기의 경우, 발사체유도로드에 발사체를 장입시키기 위해서는 가스출력부를 해체하여 발사체유도로드 하방에서 발사체를 유입시키게 구성되어, 발사체 유입에 불편함이 있다.
이는, 종래의 로프 발사기의 경우, 발사체의 격발을 위한 걸림쇠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구성은 포함되어 있으나 걸림쇠의 상하 수직 이동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발사체유도로드 후방에서 발사체를 유입시켜야 한다.
그러나,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멈치(400)는 걸림쇠(420)의 상하 이동을 구현하는 제1스프링(431)을 포함하여, 가스출력부(300)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체유도로드(200)의 전방 개구부로 발사체(100)를 유입시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발사체(100) 유입 시, 유입된 발사체(100)에 의해 걸림쇠(420)가 하방압력을 받고 이러한 외력에 의해 제1스프링(431)이 수축되며, 수축된 제1스프링(431)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걸림쇠(420)에 의해 발사체(100)가 발사체유도로드(200) 내로 장입될 수 있다.
또한, 발사체(100)의 장입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쇠(420)는 외력이 제거되어 제1스프링(431)의 탄성에 의해 하방 이동 전 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발사체(100)의 헤드(120)와 대면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스프링(432)은 상기 제1스프링(431) 전방에 배치되고, 본체(410)와 접촉한 일단이 상기 걸림쇠(420)와 접촉한 타단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432)은 상기 발사체(100)의 격발 및 격발 대기 시, 상기 걸림쇠(420)의 전후진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스프링(432)은 상기 가스출력부(300)의 가스압에 의해 격발하는 발사체(100)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발사체(100)가 격발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1)는 상기 발사체유도로드(200)의 일측에 구비되고 파지부를 갖는 손잡이(500) 및 가스출력부(300) 후단에 배치되는 후방캡(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턴 - 로프 발사기에 의하면, 스턴탄과 호환되는 고압의 가스출력부를 포함하여 스턴탄에 의한 가스압이 전방에 방출되어 다양한 발사체의 추진이 구현됨으로써, 조립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초보자의 사용이 가능하고 화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할 뿐 아니라 스턴탄의 무한 사용으로 고압의 가스 충전이 필요치 않아 휴대성이 뛰어나고 신속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의 가스압을 발사하는 가스출력부가 제1몸체부,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접합면과 제2몸체부의 제2접합면을 내측의 끼움홈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끼움쇠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가스출력부 내부의 고압을 견딜수 있는 견고한 고정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스턴 - 로프 발사기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출력부 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캡 및 제2캡으로 구성되며, 압력조절버튼에 의해 제1캡의 제1가스배출공과 제2캡의 제2가스배출공의 겹침정도를 조절하여 가스배출공의 개폐 및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압력조절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발사체에 가해지는 가스압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발사체의 사거리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사체의 일단에 곡면을 갖는 소프트재질의 헤드를 포함하여, 비실상 무기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사체의 헤드가 팽창식 구명볼로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구조용 구명볼을 먼 거리까지 발사시킬 수 있는 구조장비로의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프링부재에 걸림쇠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은 발사체의 삽입 시 발사체의 가압에 의해 하방 압축되어 상기 발사체의 삽입을 구현함으로써, 가스출력부의 해체없이 발사체유도로드 전단 개구부로 발사체를 삽입시켜 발사체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스턴 - 로프 발사기
100 : 발사체 110 : 샤프트
120 : 헤드 121 : 곡면
122 : 가스유실방지링 123 : 링삽입홈
130 : 날개 131 : 날개비드
140 : 로프고정링 200 : 발사체유도로드
300 : 가스출력부 310 : 압력조절모듈
311 : 제1캡 311a : 제1가스배출공
312 : 제2캡 312a : 제2가스배출공
313 : 압력조절버튼 314 : 가스배출공
320 : 제1몸체부 330 : 제2몸체부
340 : 절첩부재 341 : 절첩봉
350 : 고정부재 351 : 제1접합면
351a : 절합홈 351b : 제1돌기부재
352 : 제2접합면 352a : 제2돌기부재
353 : 끼움쇠부재 353a : 힌지
353b : 끼움홈 353c : 돌기삽입홈
353d : 고정홈 400 : 고정멈치
410 : 본체 420 : 걸림쇠
421 : 가압면 422 : 경사면
430 : 스프링부재 431 : 제1스프링
432 : 제2스프링 500 : 손잡이
600 : 후방캡

Claims (15)

  1. 발사체;
    전단이 개구되고, 상기 발사체가 장입하는 약실을 갖는 발사체유도로드;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의 후방에 결합되고, 고압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를 발사시키는 가스출력부; 및
    상기 발사체유도로드 밑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사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고정멈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출력부는,
    내부에 공기탱크를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가스압을 방출시키며,
    상기 가스출력부는,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와 인접한 상기 가스출력부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발사체로 전달되는 가스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모듈은,
    전단에 구비되고, 중심부 둘레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다수개의 제1가스배출공이 구비된 제1캡;
    상기 제1캡 후방에 밀접 배치되고, 상기 제1가스배출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대응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가스배출공이 구비된 제2캡; 및
    상기 제2캡을 회전시켜. 상기 제1가스배출공에 대한 상기 제2가스배출공의 겹침 정도에 따라 가스배출공의 개폐 및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발사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출력부는,
    반원통형의 제1몸체부; 및
    반원통형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절첩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서로 결합가능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제1접합면;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제2접합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면은,
    상기 제2접합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일정 면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접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합면은,
    상기 접합홈의 함몰 깊이 및 형상과 동일한 두께 및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이 상하 회전하도록 타단이 상기 제1접합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길이 방향의 끼움홈을 포함하여, 접합된 상기 제1접합면 및 제2접합면을 상기 끼움홈으로 삽입시켜 상기 제1접합면 및 제2접합면의 접합상태를 고정하는 끼움쇠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면은,
    상기 제2접합면과 접촉되지 않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1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합면은,
    상기 제1접합면과 접촉되지 않은 면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쇠부재는,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 및
    상기 돌기삽입홈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통공된 고정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가 상기 돌기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쇠부재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돌기부재 및 제2돌기부재를 상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멈치는,
    개방된 일면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
    일단이 상기 발사체유도로드 내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발사체와 대면 접촉하는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상기 발사체와 대응 접촉하여, 상기 발사체를 가압하는 가압면;
    상기 가압면과 이웃하고, 상기 가압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경사면; 및
    일측이 상기 가압면과 이웃하고, 타측이 상기 경사면과 이웃하며, 하측으로 상기 스프링부재와 연결된 바닥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본체에 수직으로 입상되어, 상기 걸림쇠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 전방에 배치되고, 본체와 접촉한 일단이 상기 걸림쇠와 접촉한 타단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발사체의 삽입 시 상기 경사면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발사체의 가압에 의해 하방 압축되어 상기 발사체의 유입을 구현하며,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발사체의 격발 및 격발 대기 시, 상기 걸림쇠의 전후진 유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출력부와 인접한 일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성된 반구형상의 헤드;
    상기 샤프트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 결합된 다수개의 날개; 및
    상기 샤트프 타단에 배치되어, 로프를 고정하는 로프고정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발사되는 가스의 유실을 방지하는 가스유실방지링; 및
    상기 헤드 외주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가스유실방지링이 삽입 고정되는 링삽입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가스의 발사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형성된 길이 방향의 날개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턴 - 로프 발사기.
  15. 삭제
KR1020220139728A 2022-10-26 2022-10-26 스턴 - 로프 발사기 KR10261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28A KR102612097B1 (ko) 2022-10-26 2022-10-26 스턴 - 로프 발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28A KR102612097B1 (ko) 2022-10-26 2022-10-26 스턴 - 로프 발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097B1 true KR102612097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728A KR102612097B1 (ko) 2022-10-26 2022-10-26 스턴 - 로프 발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0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51Y1 (ko) 2004-06-14 2004-11-03 신현수 고무의 탄력성을 응용한 로프줄 발사기구
KR100868738B1 (ko) 2008-05-23 2008-11-13 임종민 조난사고용 구명기구 발사기
KR20120097601A (ko) * 2011-02-25 2012-09-05 김진찬 공기를 이용한 다목적 구명줄 발사총
KR20170087051A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소프트커널 섬광탄 환경 모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51Y1 (ko) 2004-06-14 2004-11-03 신현수 고무의 탄력성을 응용한 로프줄 발사기구
KR100868738B1 (ko) 2008-05-23 2008-11-13 임종민 조난사고용 구명기구 발사기
KR20120097601A (ko) * 2011-02-25 2012-09-05 김진찬 공기를 이용한 다목적 구명줄 발사총
KR20170087051A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소프트커널 섬광탄 환경 모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050A (en) Safety nozzle for projectile shooting air gun
US5515837A (en) Safety nozzle for multi-shot projectile shooting air gun
KR100868738B1 (ko) 조난사고용 구명기구 발사기
KR100796646B1 (ko) 인명구조용 발사기
US7216642B2 (en) Pneumatically launched folding wing glider toy
CA1207587A (en) Line throwing device
US6805111B2 (en) Gun
US7254914B2 (en) Hydrogen operated recreational launcher
US6324779B1 (en) Gun having a curved barrel
KR100776343B1 (ko) 로프 발사장치
US20090159065A1 (en) Pneumatic spear gun
KR101275484B1 (ko) 공기를 이용한 다목적 구명줄 발사총
CN107233682A (zh) 以压缩空气为动力的发射装置
KR102612097B1 (ko) 스턴 - 로프 발사기
US7146973B2 (en) Launching device
JPH07190691A (ja) 救命索発射器
CN213192521U (zh) 一种玩具发射筒自由发射杆机构
CN113251860A (zh) 一种玩具枪子弹旋转发射机械结构
KR100562026B1 (ko) 화약의 압력을 이용한 다목적 인명 구조장치
US6499477B1 (en) Multi-purpose war game device
CN112729005B (zh) 一种安全弹射玩具枪子弹及其发射装置和玩具枪
CN215930686U (zh) 一种新型玩具枪
CN104474651B (zh) 一种枪式灭火器
CN215832564U (zh) 一种船用气动抛投器
CN216482516U (zh) 一种玩具枪子弹旋转发射机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