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892B1 -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892B1
KR102611892B1 KR1020207006511A KR20207006511A KR102611892B1 KR 102611892 B1 KR102611892 B1 KR 102611892B1 KR 1020207006511 A KR1020207006511 A KR 1020207006511A KR 20207006511 A KR20207006511 A KR 20207006511A KR 102611892 B1 KR102611892 B1 KR 10261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unit
accessory
contact lens
coi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609A (ko
Inventor
마사노리 이와사키
타카유키 히라바야시
나오토 야마구치
츠카사 요시무라
마사카즈 야지마
후미코 시가
켄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6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examining the tear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with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raocular pressure, e.g. ton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1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8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1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75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inductive coupling
    • H04B5/0081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inductive coupling with antenna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transceiver
    • H04B5/26
    • H04B5/7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3Detecting eye twinkling
    • H04B5/48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는,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를 인체에 장착되는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부는,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와,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본 개시는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택트 렌즈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WO2014/181568호
그런데, 콘택트 렌즈로부터 주변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통상, 무선 통신이 이용된다.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택트 렌즈가 눈물에 젖어 있으므로, 콘택트 렌즈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멀리까지 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데이터의 출력 레벨을 증대시키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와 같이 한 경우에는,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 가능한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는,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를, 인체에 장착되는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부는,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와,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에서는, 렌즈부에 마련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가, 인체에 장착되는 외부기기에 출력된다. 이에 의해,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패시터가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므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1 액세서리는, 콘택트 렌즈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는,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 안테나와, 각 코일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1 액세서리에서는, 각 코일 안테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에 의해, 제1 액세서리 내의 적어도 1개의 코일 안테나를, 콘택트 렌즈 내의 코일 안테나와 통신 가능한 위치 관계로 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패시터가 각 코일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므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2 액세서리는, 콘택트 렌즈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는, 액세서리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콘택트 렌즈와 통신 가능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일 안테나와, 코일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제2 액세서리에서는, 코일 안테나가, 제2 액세서리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콘택트 렌즈와 통신 가능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에 의해,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패시터가 코일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 제1 액세서리 및 제2 액세서리에 의하면,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면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는, 여기에 기재된 효과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어떠한 효과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통신부와, 도 1의 액세서리의 통신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콘택트 렌즈의 일부의 전개 사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2, 도 4 내지 도 15의 액세서리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단말장치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의 데이터 서버 장치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의 웹 서버 장치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의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출 데이터의 송수신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의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퀘스트 데이터(request data) 및 분석 데이터의 송수신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의 (A)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의 (B)는 도 24의 (A)의 콘택트 렌즈의 측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b는 도 25a의 콘택트 렌즈의 일부의 전개 사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c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5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4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5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6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7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8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1의 액세서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27 내지 도 37의 액세서리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27 내지 도 37의 액세서리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40의 콘택트 렌즈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40의 콘택트 렌즈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a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b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도 2의 콘택트 렌즈의 통신부에 마련하는 회동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도 2의 액세서리의 통신부에 마련하는 회동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액세서리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액세서리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액세서리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콘택트 렌즈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콘택트 렌즈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콘택트 렌즈 내의 통신부의 회로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형태(도 1 내지 도 23)
렌즈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코일 안테나를 렌즈부에 설치한 예
2. 변형예
변형예A(도 24)
렌즈 표면을 따라 대략 일주하는 코일 안테나를 렌즈부에 설치한 예
변형예B(도 25, 도 26)
렌즈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일 안테나를 렌즈부에 설치한 예
변형예C(도 27 내지 도 39)
복수의 코일 안테나를 액세서리에 설치한 예
·액세서리의 코일 안테나와, 콘택트 렌즈의 코일 안테나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예(도 27 내지 도 32)
·액세서리의 코일 안테나와, 콘택트 렌즈의 코일 안테나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예(도 33 내지 도 39)
  변형예D(도 40 내지 도 42)
복수의 코일 안테나를 콘택트 렌즈에 설치한 예
  변형예E(도 43)
도 40의 코일과 도 25a의 코일을 콘택트 렌즈에 설치한 예
  변형예F(도 44, 도 45)
회동 기구를 마련한 예
  변형예G(도 46 내지 도 51)
커패시터와 코일을 병렬 접속한 예
<1. 실시형태>
[구성]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리퀘스트에 따른 분석을 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등이 소유하는 휴대단말(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콘택트 렌즈(200), 액세서리(300), 단말장치(400), 데이터 서버 장치(500) 및 웹 서버 장치(600)를 구비하고 있다. 액세서리(300), 단말장치(400), 데이터 서버 장치(500) 및 웹 서버 장치(6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면, 인터넷에서 표준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TCP/IP)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면, 그 네트워크 독자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보안 통신 네트워크이어도 된다.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면,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면,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이어도 되고, Wi-Fi 등의 무선 LAN이나, 휴대전화 회선 등이어도 된다.
한편, 콘택트 렌즈(200)는, 액세서리(300)와의 사이에서, 근거리의 무선 통신(구체적으로는,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한다. 콘택트 렌즈(200)와 액세서리(300)의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면, ISO/IEC14443(근접형 RFID의 국제표준규격)이나, ISO/IEC18092(NFC라고 불리는 무선 통신의 국제규격), 또는 ISO/IEC15693(RFID의 국제표준규격) 등에 의해 행해진다.
(콘택트 렌즈(200), 액세서리(300))
도 2는 콘택트 렌즈(200) 및 액세서리(3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콘택트 렌즈(200) 및 액세서리(300)는, 각각, 근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콘택트 렌즈(200)는, 근거리의 무선 통신(구체적으로는,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20)를 가지고 있고, 액세서리(300)는, 근거리의 무선 통신(구체적으로는,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20)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220)는, 본 개시의 「출력부」의 일 구체예에 상당한다.
통신부(220)는,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221), 커패시터(222) 및 교류 전원(223)을 가지고 있다. 코일부(221)는, 렌즈부(1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코일 안테나이다. 코일부(221)에 이용되는 코일 안테나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형 또는 스파이럴형이며, 예를 들면, 금이나 구리 등의 금속, 도전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세틸렌), 또는 카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렌즈부(10)의 단부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커패시터(222)는, 코일부(22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교류 전원(223)은, 코일부(221) 및 커패시터(222)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321), 커패시터(322) 및 부하(323)를 가지고 있다. 코일부(321)는,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콘택트 렌즈(200)의 통신부(220)와 통신 가능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일 안테나이다. 코일부(321)에 이용되는 코일 안테나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형, 또는 스파이럴형이며, 예를 들면, 금이나 구리 등의 금속, 도전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세틸렌), 또는 카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된 상태로, 콘택트 렌즈(200)의 정면 방향에서 액세서리(300)를 보았을 때에, 코일부(221)의 중심축과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공통의 자속(Φ)이 코일부(221) 및 코일부(321)를 통과한다. 커패시터(322)는, 코일부(22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부하(323)는, 예를 들면, 소정의 값의 저항이다.
액세서리(300)는,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액세서리(300)는, 예를 들면, 이어폰, 목걸이, 안경, 넥타이 핀, 배지, 헤드셋, 모자, 헬멧, 스노클링용 마스크, 스키용 마스크, 헤어피스(hairpiece), 또는 가발이다.
액세서리(300)가 이어폰(300a)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어폰(300a)의 본체부(310a)에 내장되어 있다. 액세서리(300)가 목걸이(300b)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걸이(300b)의 목걸이부(310b)에 설치되어 있다. 목걸이(300b)에는, 앞가슴에 매다는 귀금속이나 보석 등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귀금속이나 보석의 위치는 반드시 앞가슴에 배치되므로, 목걸이부(310b)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안경(300c)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300c)의 프레임부(310c)에 설치되어 있다. 안경(300c)에는, 렌즈를 끼우는 프레임부(310c)나, 귀에 거는 귀걸이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안경(300c)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안경(300c)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넥타이 핀(300d)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넥타이 핀(300d)의 본체부(310d)에 설치되어 있다. 넥타이 핀(300d)에는,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본체부(310d)의 배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넥타이 핀(300d)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넥타이 핀(300d)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배지(300e)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지(300e)의 본체부(310e)에 설치되어 있다. 배지(300e)에는, 배지(300e)를 의복에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본체부(310e)의 배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배지(300e)의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배지(300e)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헤드셋(300f)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셋(300f)의 본체부(310f)에 설치되어 있다. 헤드셋(300f)에는, 본체부(310f)를 눈앞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밴드)가 본체부(310f)의 배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헤드셋(300f)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헤드셋(300f)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모자(cap)(300g)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300g)의 바이저(visor)(310g1)나 크라운(310g2) 등에 설치되어 있다. 바이저(310g1)는, 모자(300g)의 앞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모자(300g)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모자(300g)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모자(hat)(300h)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300h)의 브림(brim)(310h1)이나 크라운(310h2) 등에 설치되어 있다. 모자(300h)에는, 리본(310h3)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모자(300g)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모자(300h)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헬멧(300i)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멧(300i)의 개구(310i)의 단부 에지 등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310i)는, 헬멧(300i)의 앞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헬멧(300i)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헬멧(300i)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스노클링용 마스크(300k)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300k)의 렌즈부(310k) 등에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300k)에는, 렌즈부(310k)를 눈앞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밴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마스크(300k)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마스크(300k)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스키용 고글(300m)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글(300m)의 렌즈부(310m) 등에 설치되어 있다. 고글(300m)에는, 렌즈부(310m)를 눈앞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밴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고글(300m)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고글(300m)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헤어피스(300n)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어피스(300n)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헤어피스(300n)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헤어피스(300n)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액세서리(300)가 가발(300p)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발(300p)의 머리카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발(300p)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은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그에 따라, 가발(300p)에 설치한 코일부(321)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도 필연적으로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도 16a는, 콘택트 렌즈(200)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콘택트 렌즈(200)의 일부의 전개 사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콘택트 렌즈(200)는, 렌즈부(210) 내에, 코일부(221)나 커패시터(222)를 가지고 있다. 렌즈부(210)는, 예를 들면, 안구측의 표면에 기재층(211)을 가지고 있고, 또한, 안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커버층(212)을 가지고 있다. 렌즈부(210)는, 또한, 기재층(211)과 커버층(212)의 사이에, 코일부(221)나 커패시터(222) 등이 마련된 적층체를 가지고 있다. 이 적층체는, 예를 들면, 안구측으로부터, 기능층(213), 중간층(214) 및 기능층(215)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기재층(211)은, 예를 들면, 광투과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광학 소자(20)를 지지하는 지지 기재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커버층(212)은, 예를 들면, 광투과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신부(22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기능층(213)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층(213A)이나, 커패시터(222)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드층(213B)을 가지고 있다. 각 배선층(213A)은, 예를 들면,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패드층(213B)은, 배선층(213A)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기능층(213)에 있어서, 배선층(213A)이나 패드층(213B)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능층(215)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층(215A)이나, 커패시터(222)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드층(215B)을 가지고 있다. 각 배선층(215A)은, 예를 들면,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배선층(213A)과는 다른 방향으로서, 또한 공통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배선층(215A)은, 코일부(221)가 면내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드층(215B)은, 배선층(215A)와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기능층(215)에 있어서, 배선층(215A)이나 패드층(215B)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층(214)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속부(214A)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4A)는, 배선층(213A)과 배선층(215A)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중간층(214)에 있어서, 접속부(214A)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214A)는,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층(213A) 및 배선층(215A)은, 예를 들면,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 중, 배선층(213A)과 배선층(215A)에 의해 끼워진 부분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콘택트 렌즈(200))
도 17은, 콘택트 렌즈(20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콘택트 렌즈(200)는, 예를 들면, 기억부(230), 센서부(240), 통신부(220) 및 제어부(250)를 가지고 있다. 센서부(240)가 본 개시의 「취득부」의 일 구체예에 상당한다. 통신부(220) 및 제어부(250)가 본 개시의 「출력부」의 일 구체예에 상당한다.
기억부(230)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저항 변화형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230)는, 제어부(2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처리 프로그램(232)) 등을 기억하고 있다. 처리 프로그램(232)은, 센서부(240)로부터, 생체 정보인 검출 데이터(231)를 취득하거나, 취득한 검출 데이터(231)를, 통신부(220)를 통해 액세서리(300)에 출력하거나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검출 데이터(231)는, 콘택트 렌즈(200)를 이용하여 얻어진 데이터이며, 구체적으로는, 센서부(240)에 의해 검출된 생체 정보이다. 제어부(25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기억부(230)에 기억된 처리 프로그램(232)을 실행한다. 제어부(250)의 기능은, 예를 들면, 제어부(250)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232)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제어부(250) 및 통신부(22)는, 센서부(240)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검출 데이터(231))를, 인체에 장착되는 액세서리(300)에 출력한다.
센서부(240)는, 렌즈부(210)에 마련되어 있다. 센서부(240)는, 콘택트 렌즈(200)가 장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센서부(240)는, 예를 들면, 눈물에 포함되는 특정 성분(예를 들면, 염분, 산소, 지방질, 혈당값, 또는 호르몬 물질)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이다. 이 경우, 센서부(240)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검출 데이터(231))는, 눈물의 성분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센서부(240)는, 예를 들면, 시선을 검출하는 디바이스, 안구 내의 혈관의 상태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안구 내의 혈관의 맥박을 검출하는 디바이스, 또는 안압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센서부(240)가 시선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시선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센서부(240)가 안구 내의 혈관의 상태를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안구 내의 혈관에 관한 정보이다. 센서부(240)가 안압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안압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센서부(240)가 눈꺼풀의 개폐를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눈꺼풀의 개폐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액세서리(300))
도 18은, 액세서리(30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액세서리(300)는, 예를 들면, 기억부(340), 통신부(320, 330), 기능부(350) 및 제어부(360)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320)는, 콘택트 렌즈(200)와 근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20)는, 콘택트 렌즈(200)의 기억부(230)로부터, 생체 정보인 검출 데이터(231)를 취득한다. 통신부(33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웹 서버 장치(600)와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330)는, 통신부(320)에 의해 취득한 검출 데이터(231)를, 네트워크(100)를 통해 웹 서버 장치(600)에 출력한다.
기억부(340)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EEPROM, 플래시 메모리, 저항 변화형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340)는, 제어부(36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처리 프로그램(341)) 등을 기억하고 있다. 처리 프로그램(341)은, 콘택트 렌즈(200)로부터 통신부(320)를 통해 검출 데이터(231)를 취득하거나, 취득한 검출 데이터(231)를, 통신부(330) 및 네트워크(100)를 통해 웹 서버 장치(600)에 출력하거나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어부(36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기억부(340)에 기억된 처리 프로그램(341)을 실행한다. 제어부(360)의 기능은, 예를 들면, 제어부(360)에 의해 처리 프로그램(341)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단말장치(400))
도 19은, 단말장치(40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단말장치(400)는, 사용자가 생체 정보의 분석에 필요한 리퀘스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리퀘스트에 따른 분석 결과를 표시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장치이다. 단말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를 접수하거나, 사용자의 리퀘스트에 따른 분석 결과를 표시하거나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단말장치(400)는, 예를 들면, 기억부(410), 통신부(420), 접수부(430), 표시부(440) 및 제어부(450)를 가지고 있다.
접수부(430)는,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40)는, 제어부(45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한다. 표시부(440)가 터치 패널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의 기능이 접수부(430)의 기능을 담당해도 된다. 기억부(410)는, 제어부(4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413)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410)에는, 리퀘스트 데이터(411)나, 분석 데이터(412)가 기억된다.
리퀘스트 데이터(411)는,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리퀘스트에 관한 데이터이다. 사용자로부터의 리퀘스트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한 퍼포먼스(performance) 또는 컨디션의 관리의 리퀘스트가 포함된다. 분석 데이터(412)는, 리퀘스트 데이터(411)에 따른 분석 결과에 관한 데이터이다. 분석 데이터(412)는, 사용자의 퍼포먼스 또는 컨디션에 관한 데이터이다.
제어부(45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기억부(410)에 기억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413)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을 실행한다. 단말장치(400)에 있어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표시부(440))는, 예를 들면, 웹 서버 장치(600)로부터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html 데이터)을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413)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실현된다.
(데이터 서버 장치(500))
도 20은, 데이터 서버 장치(50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 서버 장치(500)는,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200)를 이용하여 얻어진 검출 데이터(231)나, 웹 서버 장치(600)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의해 얻어진 분석 데이터(611)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이다.
데이터 서버 장치(500)는, 예를 들면, 기억부(510), 통신부(520) 및 제어부(530)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530)는, 통신부(5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억부(510)에 저장하거나, 기억부(510)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통신부(520)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거나 한다. 통신부(520)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다른 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기억부(510)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EEPROM, 플래시 메모리, 저항 변화형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510)에는, 예를 들면, 검출 데이터(231)나, 분석 데이터(611)가 기억된다.
(웹 서버 장치(600))
도 21은, 웹 서버 장치(600)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웹 서버 장치(600)는, 단말장치(400)에 있어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웹 서버 장치(600)는, 또한, 콘택트 렌즈(200)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석 데이터(611)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리퀘스트 데이터(411)에 따른 분석 결과(분석 데이터(611))를 생성한다. 웹 서버 장치(600)는, 예를 들면, 기억부(610), 통신부(620) 및 제어부(630)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62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 내의 다른 장치(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 장치(500)나, 단말장치(400) 등)와 통신을 행한다. 기억부(610)는, 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EEPROM, 플래시 메모리, 저항 변화형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610)는, 제어부(63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웹 서버 프로그램(612)이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 등을 기억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은, 콘택트 렌즈(200)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석 데이터(611)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리퀘스트 데이터(411)에 따른 분석 결과(분석 데이터(611))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은, 웹 서버 프로그램(612)과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413)이 협조함으로써 동작한다.
제어부(63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기억부(610)에 기억된 웹 서버 프로그램(612)이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 등을 실행한다. 제어부(630)의 기능은, 예를 들면, 제어부(630)에 의해, 웹 서버 프로그램(612)이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13)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30)는, 콘택트 렌즈(200)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석 데이터(611)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리퀘스트 데이터(411)에 따른 분석 결과(분석 데이터(611))를 생성한다.
제어부(630)는, 검출 데이터(231)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그것을 알리기 위한 제어 신호(630A)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630A)를, 통신부(520)를 통해 단말장치(400)에 출력해도 된다.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면, 사용자의 퍼포먼스 또는 컨디션에 있어서 주의 환기를 필요로 하는 조건을 가리키고 있다. 제어 신호(630A)는, 예를 들면, 주의 환기를 행하는 문자 데이터이다.
[동작]
(검출 데이터의 보존)
다음으로,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검출 데이터(231)의 보존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검출 데이터(231)의 송수신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먼저, 콘택트 렌즈(200)를 자신의 안구에 장착한다. 그 후, 콘택트 렌즈(200)에 있어서, 센서부(240)가 사용자의 생체 정보(검출 데이터(231))를 취득한다(스텝(S101)). 센서부(240)가, 눈물에 포함되는 특정 성분(예를 들면, 염분, 산소, 지방질, 또는 혈당값)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눈물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센서부(240)가 시선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시선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센서부(240)가 안구 내의 혈관의 상태를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안구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센서부(240)가 안압을 검출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231)는, 안구에 관한 생체 정보이다.
센서부(240)는 취득한 생체 정보(검출 데이터(231))를, 통신부(220)를 통해서 액세서리(300)에 송신한다(스텝(S102)). 액세서리(300)는, 센서부(240)로부터 검출 데이터(231)를 수신하면(스텝(S103)), 수신한 검출 데이터(231)를 데이터 서버 장치(500)에 송신한다(스텝(S104)). 데이터 서버 장치(500)는, 액세서리(300)로부터 검출 데이터(231)를 수신하면(스텝(S105)), 수신한 검출 데이터(231)를 기억부(510)에 보존한다(스텝(S106)).
(검출 데이터의 분석)
다음으로,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검출 데이터(231)의 분석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검출 데이터(231)의 분석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먼저, 단말장치(400)에 대하여, 리퀘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요구한다. 그러자, 단말장치(400)는, 웹 서버 장치(600)로부터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413)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표시부(440)에, 리퀘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접수부(430)를 이용하여, 리퀘스트 데이터(411)를 입력한다. 단말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리퀘스트 데이터(411)를 접수하면(스텝(S201)), 접수한 리퀘스트 데이터(411)를 웹 서버 장치(600)에 송신한다(스텝(S202)).
웹 서버 장치(600)는, 단말장치(400)로부터 리퀘스트 데이터(411)를 수신하면(스텝(S203)), 수신한 리퀘스트 데이터(411)의 내용에 대응하는 검출 데이터(231)를 데이터 서버 장치(500)로부터 판독한다(스텝(S204)). 웹 서버 장치(600)는, 판독한 검출 데이터(231)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데이터(411)에 따른 분석 결과(분석 데이터(611))를 생성한다(스텝(S205)). 웹 서버 장치(600)는, 생성한 분석 데이터(611)를 단말장치(400)에 송신한다(스텝(S206)). 단말장치(400)는, 웹 서버 장치(600)로부터 분석 데이터(611)를 수신하면(스텝(S207)), 수신한 분석 데이터(611)를 표시부(440)에 표시한다(스텝(S208)).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부(10)에 마련된 센서부(240)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검출 데이터(231))가, 인체에 장착된 액세서리(300)에 출력된다. 이에 의해,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패시터(222)가 코일부(22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일부(221)가 렌즈부(210)의 단부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일부(221)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질 우려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200)를 장착한 상태로, 콘택트 렌즈(200)와 액세서리(300)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일부(221)가, 렌즈부(210) 내에 마련된 2개의 배선층(213A, 215A) 및 접속부(214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IC(Integrated Circuit)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코일부(221)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부(221)를 얇고, 작게 만들 수 있으므로, 콘택트 렌즈(200)의 장착감을 손상하는 일 없이,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패시터(222)가, 렌즈부(210) 내에 마련된 2개의 패드층(213B, 215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IC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커패시터(222)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커패시터(222)를 얇고, 작게 만들 수 있으므로, 콘택트 렌즈(200)의 장착감을 손상하는 일 없이,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서리(300)의 코일부(321)는,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와 통신 가능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에 의해,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패시터(322)가 코일부(32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세서리(300)는,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세서리(300)의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통신이 용이해지므로,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2. 변형예>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200) 및 액세서리(30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A]
도 24의 (A)은, 변형예A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200)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의 (B)는, 변형예A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200)의 측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코일부(221)가, 렌즈부(210)의 단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환상으로 되어 있다. 코일부(221)에 있어서, 일단의 개구와, 타단의 개구가 정반대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코일부(221)에 있어서, 일단의 개구와, 타단의 개구가 서로 다른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부(221)가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변형예B]
도 25a는, 변형예B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200)의 평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b는, 도 25a의 콘택트 렌즈(200)의 일부의 전개 사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코일부(221)가, 렌즈부(210)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때,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렌즈부(210)의 단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환상으로 되어 있다.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의 배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210)는, 예를 들면, 안구측의 표면에 기재층(211)을 가지고 있고, 또한, 안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커버층(212)을 가지고 있다. 렌즈부(210)는, 더욱이, 기재층(211)과 커버층(212)의 사이에, 코일부(221)나 커패시터(222) 등이 마련된 적층체를 가지고 있다. 이 적층체는, 예를 들면, 안구측으로부터, 기능층(213), 중간층(214), 기능층(215), 중간층(216) 및 기능층(217)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기능층(213)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층(213C)이나, 커패시터(222)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드층(213B)을 가지고 있다. 배선층(213C)은, 예를 들면,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형상으로 되어 있다. 패드층(213B)은, 배선층(213C)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기능층(213)에 있어서, 배선층(213C)이나 패드층(213B)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능층(215)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층(215C)을 가지고 있다. 배선층(215C)은, 예를 들면,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형상으로 되어 있다. 배선층(215C)은, 코일부(221)가 적층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드층(215B)은, 배선층(215C)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기능층(215)에 있어서, 배선층(215C)이나 패드층(215B)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능층(217)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선층(217C)을 가지고 있다. 배선층(217C)은, 예를 들면,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형상으로 되어 있다. 배선층(217C)은, 코일부(221)가 적층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드층(217B)은, 배선층(215C)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기능층(217)에 있어서, 배선층(217C)이나 패드층(217B)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층(214)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속부(214A)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4A)는, 배선층(213C)과 배선층(215C)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중간층(214)에 있어서, 접속부(214A)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214A)는,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층(213C) 및 배선층(215C)은, 예를 들면,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 중, 배선층(213C)과 배선층(215C)에 의해 끼워진 부분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층(216)은, 코일부(2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속부(216A)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6A)는, 배선층(215C)과 배선층(217C)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중간층(216)에 있어서, 접속부(216A) 이외의 개소는, 예를 들면, 절연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216A)는, 중간층(214) 내의 절연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층(215C) 및 배선층(217C)은, 예를 들면, 중간층(216) 내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중간층(216) 내의 절연층 중, 배선층(215C)과 배선층(217C)에 의해 끼워진 부분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코일부(221)가, 예를 들면, 도 2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소용돌이 형상의 배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코일부(221)가,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의 배선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렌즈부(210)의 표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배선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액세서리(300)의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된 상태로, 콘택트 렌즈(200)의 정면 방향에서 액세서리(300)를 보았을 때에, 코일부(221)의 중심축과 평행하거나 또는 거의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공통의 자속(Φ)이 코일부(221) 및 코일부(321)를 통과한다.
액세서리(300)가,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경(300c)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코일부(321)의 중심축이 코일부(221)의 중심축과 공통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액세서리(300)가,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경(300c)인 경우,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프레임부(310c)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코일부(221, 321)가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자계 결합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변형예C]
도 27 내지 도 32는, 액세서리(300)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 내지 도 32에 기재된 액세서리(300)는,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를 가지고 있다.
도 27 내지 도 32에 기재된 액세서리(300)는,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27에는, 도 2에 기재된 이어폰(300a)에 있어서,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28에는, 도 4에 기재된 목걸이(300b)에 있어서,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29에는, 도 5에 기재된 안경(300c)에 있어서,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30에는, 도 6에 기재된 넥타이 핀(300d)에 있어서,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31에는, 도 7에 기재된 배지(300e)에 있어서,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32에는, 도 8에 기재된 헤드셋(300f)에 있어서,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32에 기재된 액세서리(300)에서는,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이에 의해, 액세서리(300)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통신이 용이해지므로,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5에 기재된 액세서리(300)에 대하여,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액세서리(300)는, 도 27 내지 도 32에 기재된 액세서리(300)와 마찬가지로,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5에 기재된 액세서리(300)에 대하여,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액세서리(300)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통신이 용이해지므로,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7에 기재된 액세서리(300)는,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거나, 또는, 팔, 손가락 또는 다리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 33 내지 도 37에 기재된 액세서리(300)는, 예를 들면, 목걸이(300q), 팔찌(300r), 이어링(300s), 반지(300t), 또는 손목시계(300u)이다.
도 33에는, 액세서리(300)로서, 앞가슴의 위치가 특히 특정되지 않는 목걸이(300q)가 예시되어 있다. 목걸이(300q)에서는, 전체가 목걸이부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목걸이부에 귀금속이나 보석 등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목걸이(300q)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목걸이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목걸이(300q)가 신체에 장착될 때마다, 통상, 목걸이(300q)에 있어서의 특정한 코일부(221)의,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이 다르다. 따라서,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도 34에는, 액세서리(300)로서, 상하의 구별이 없는 팔찌(300r)가 예시되어 있다. 팔찌(300r)는, 예를 들면, 귀금속이나 보석 등이 일렬로 배치된 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팔찌(300r)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귀금속이나 보석 등을 따라 등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팔찌(300r)가 신체에 장착될 때마다, 통상, 팔찌(300r)에 있어서의 특정한 코일부(221)의,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에 대한 위치나 방향이 다르다. 따라서,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도 35에는, 액세서리(300)로서, 이어링(300s)이 예시되어 있다. 이어링(300s)은, 귀에 고정하는 귀걸이부(310s)와, 귀걸이부(310s)에 요동 가능하게 고정된 링부(310t)를 가지고 있다. 링부(310t)는, 예를 들면, 귀금속으로 구성된 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어링(300s)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링부(310t)에 등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어링(300s)이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 이어링(300s)에 있어서의 링부(310t)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서 요동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도 36에는, 액세서리(300)로서, 반지(300t)가 예시되어 있다. 반지(300t)는, 소정의 손가락에 삽통 가능한 개구 직경을 갖는 링부(310u)를 가지고 있다. 링부(310u)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링부(310u)에 등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손가락은, 일상생활 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여지므로, 손가락에 낀 반지(300t)의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도 37에는, 액세서리(300)로서, 손목시계(300u)가 예시되어 있다. 손목시계(300u)는, 시각 등을 표시하는 본체부(310V)와, 본체부(310V)를 팔에 고정하기 위한 벨트부(310w)를 가지고 있다. 벨트부(310w)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부(321)는, 예를 들면, 벨트부(310w)에 있어서, 각 코일부(321)의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팔은, 일상생활 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여지므로, 팔에 낀 손목시계(300u)의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는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33 내지 도 37에 기재된 액세서리(300)에서는, 해당 액세서리(300)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각 코일부(321)의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르다. 이에 의해, 액세서리(300)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코일부(321)와, 콘택트 렌즈(200)의 코일부(221)와의 통신이 용이해지므로, 출력 레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도 38은, 도 27 내지 도 37에 기재된 액세서리(300)에 마련된 통신부(320)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통신부(320)는, 예를 들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321)와, 각 코일부(321)와 직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322) 및 부하(323)와, 멀티플렉서(324)를 가지고 있다. 각 코일부(321)의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322) 및 부하(323)는, 각 코일부(321)의 일단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점을 통하여, 각 코일부(32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멀티플렉서(324)는, 복수의 코일부(321) 중에서 선택한 1개의 코일부(321)와 부하(323)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이다.
복수의 코일부(321) 중에서, 코일부(221)와의 통신에 기여하는 1개의 코일부(321)가 멀티플렉서(324)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매우 낮은 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각 코일부(321)가, 예를 들면,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멀티플렉서(324)는 필요없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코일부(321)가, 커패시터(322) 및 부하(323)에 직렬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이어도, 각 코일부(321)와 코일부(221)의 거리는 비교적 가까우므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변형예D]
도 40은, 콘택트 렌즈(200)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콘택트 렌즈(200)는, 렌즈부(21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코일부(221)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렌즈부(210)의 단부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41은,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콘택트 렌즈(200)에 마련된 통신부(220)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 통신부(220)는, 예를 들면,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부(221)와, 각 코일부(221)와 직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222) 및 교류 전원(223)과, 멀티플렉서(224)를 가지고 있다. 각 코일부(221)의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222) 및 교류 전원(223)은, 각 코일부(221)의 일단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점을 통하여, 각 코일부(22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멀티플렉서(224)는, 복수의 코일부(221) 중에서 선택한 1개의 코일부(221)와 교류 전원(223)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이다.
복수의 코일부(221) 중에서, 코일부(321)와의 통신에 기여하는 1개의 코일부(221)가 멀티플렉서(224)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매우 낮은 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각 코일부(221)가, 예를 들면,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멀티플렉서(224)는 필요없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코일부(221)가, 커패시터(222) 및 교류 전원(223)에 직렬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이어도, 각 코일부(221)와 코일부(321)의 거리는 비교적 가까우므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변형예E]
도 43a는, 콘택트 렌즈(200)의 평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콘택트 렌즈(200)는, 렌즈부(21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코일부(221)와,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부(221)를 가지고 있다.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렌즈부(21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코일부(2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의 배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3a에서는,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1개의 코일부(221)가 한 번 감은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1개의 코일부(221)가, 예를 들면,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C형상의 배선층(215C)이 적층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서 한 번 감은 배선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렌즈부(210)의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부(221)는, 예를 들면, 도 4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부(210)의 표면과 평행한 1개의 면내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된 배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각 코일부(221)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부(221) 중에서, 코일부(321)와의 통신에 기여하는 1개의 코일부(221)가 멀티플렉서(224)에 의해 선택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변형예F]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200)의 통신부(220)가, 예를 들면,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기구(225)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회동 기구(225)는, 코일부(221)를, 회동 기구(225)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기구이며, 수동 또는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코일부(221)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액세서리(300)의 통신부(320)가, 예를 들면,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기구(325)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회동 기구(325)는, 코일부(321)를, 회동 기구(325)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기구이며, 수동 또는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코일부(321)를 회전시킨다.
[변형예G]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커패시터(322)는, 코일부(321)에 직렬로 접속되고, 커패시터(222)는 코일부(22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커패시터(322)는, 예를 들면, 도 46, 도 47,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321)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7에는, 커패시터(322)가, 각 코일부(321)와 멀티플렉서(324)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48에는, 커패시터(322)가, 직렬로 접속된 모든 코일부(321)를 포함하는 전류 패스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커패시터(222)는, 예를 들면, 도 49, 도 50,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부(221)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0에는, 커패시터(222)가, 각 코일부(221)와 멀티플렉서(224)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51에는, 커패시터(222)가, 직렬로 접속된 모든 코일부(221)를 포함하는 전류 패스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322)가 코일부(321)에 직렬로 접속되거나, 커패시터(222)가 코일부(221)에 직렬로 접속되거나 하고 있는 경우이어도,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소비 전력이나 인체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있다.
[변형예H]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200)(통신부(220))와 액세서리(300)(통신부(320))의 통신에, 상기 근거리의 무선 통신에 더해서, 나아가, WLAN(Wireless LAN)이나 BT(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중거리의 무선 통신이 이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콘택트 렌즈(200)(통신부(220))와 액세서리(300)(통신부(320))의 통신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예로 들어 본 개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종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본 개시의 효과는,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가,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효과 이외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인체에 장착되는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갖는, 콘택트 렌즈.
(2)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는, 상기 렌즈부의 단부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3)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배선층과,
상기 절연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고, 상기 2개의 배선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4)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2개의 배선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된, 2개의 패드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3)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
(5)
콘택트 렌즈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코일 안테나와, 각각의 상기 코일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갖는, 액세서리.
(6)
해당 액세서리는, 해당 액세서리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각각의 상기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콘택트 렌즈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거나, 또는 팔, 손가락 또는 다리에 장착되는 것인, (5)에 기재된 액세서리.
(7)
해당 액세서리는, 목걸이, 팔찌, 이어링, 반지, 또는 손목시계인, (6)에 기재된 액세서리.
(8)
콘택트 렌즈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액세서리로서,
상기 통신부는, 해당 액세서리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콘택트 렌즈와 통신 가능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코일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를 갖는, 액세서리.
(9)
해당 액세서리는, 해당 액세서리가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콘택트 렌즈의 위치 관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8)에 기재된 액세서리.
(10)
해당 액세서리는, 이어폰, 목걸이, 안경, 넥타이 핀, 배지, 헤드셋, 모자, 헬멧, 스노클링용 마스크, 스키용 고글, 헤어피스, 또는 가발인, (9)에 기재된 액세서리.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청에 있어서 2017년 10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번호 제2017-195326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10)

  1. 안구에 장착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마련되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생체 정보를, 신체에 장착되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렌즈부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가지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코일 안테나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제1 배선층과,
    상기 절연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되고, 상기 2개의 제1 배선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부의 면내 방향으로 회전 중심축을 갖는 나선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렌즈부의 단부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2개의 제1 배선층과 동일한 층 내에 마련된, 2개의 제2 배선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06511A 2017-10-05 2018-08-07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KR102611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5326 2017-10-05
JP2017195326 2017-10-05
PCT/JP2018/029528 WO2019069555A1 (ja) 2017-10-05 2018-08-07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アクセサ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609A KR20200066609A (ko) 2020-06-10
KR102611892B1 true KR102611892B1 (ko) 2023-12-08

Family

ID=6599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11A KR102611892B1 (ko) 2017-10-05 2018-08-07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89817B2 (ko)
JP (1) JP7275036B2 (ko)
KR (1) KR102611892B1 (ko)
CN (1) CN111149043B (ko)
DE (1) DE112018005475T5 (ko)
WO (1) WO2019069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5762B2 (en) 2018-04-30 2021-01-19 Tectus Corporation Multi-coil field generation in an electronic contact lens system
US10838239B2 (en) 2018-04-30 2020-11-17 Tectus Corporation Multi-coil field generation in an electronic contact lens system
US10790700B2 (en) 2018-05-18 2020-09-29 Tectus Corporation Power generation necklaces with field shaping systems
US11137622B2 (en) 2018-07-15 2021-10-05 Tectus Corporation Eye-mounted displays including embedded conductive coils
US10838232B2 (en) * 2018-11-26 2020-11-17 Tectus Corporation Eye-mounted displays including embedded solenoids
US10644543B1 (en) 2018-12-20 2020-05-05 Tectus Corporation Eye-mounted display system including a head wearable object
US11194176B2 (en) * 2019-07-26 2021-12-07 Tectus Corporation Through-body ocular communication devices, networks, and methods of use
US10944290B2 (en) 2019-08-02 2021-03-09 Tectus Corporation Headgear providing inductive coupling to a contact le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7291A1 (en) * 2013-03-15 2014-09-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 treatment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2711B2 (ja) 2013-05-09 2018-10-10 ソニー株式会社 一対の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4199886A1 (ja) * 2013-06-12 2014-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567378B2 (en) * 2015-08-10 2020-02-18 Nec Corporation Mount,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7195326A (ja) 2016-04-22 2017-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7291A1 (en) * 2013-03-15 2014-09-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 treatment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49043B (zh) 2022-04-12
US11589817B2 (en) 2023-02-28
CN111149043A (zh) 2020-05-12
US20200237308A1 (en) 2020-07-30
JPWO2019069555A1 (ja) 2020-11-05
DE112018005475T5 (de) 2020-07-09
JP7275036B2 (ja) 2023-05-17
KR20200066609A (ko) 2020-06-10
WO2019069555A1 (ja)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892B1 (ko)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US10082681B2 (en) Composite wear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10325083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S10561035B2 (en) Wearable computing systems
US9883275B2 (en) Wear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in a form of a necklace
CN109407757B (zh) 显示系统
KR102318095B1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US20170111723A1 (en) Personal Area Network Devices System and Method
JP3217693U (ja) 装飾的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モジュール
KR20170037210A (ko)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JP7015378B2 (ja) アイウェア
KR1016557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106371508A (zh) 可穿戴电子设备
KR10234079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KR20160026429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07523A1 (en) A watch band
KR20170062864A (ko) 스마트 와치
US20150358450A1 (en)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9961429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ornamental and deployment modes
WO2017146616A1 (en) Heart activity monitor integrated with wearable accessories
JP201708373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230327328A1 (en) Antenna system for mobile devices
EP43398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 object on basis of priority of plurality of states in electronic device
TWM488660U (zh) 智慧手錶之組合結構改良
RU2574840C2 (ru)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