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635B1 - 차량의 토션 댐퍼 - Google Patents

차량의 토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635B1
KR102611635B1 KR1020220077220A KR20220077220A KR102611635B1 KR 102611635 B1 KR102611635 B1 KR 102611635B1 KR 1020220077220 A KR1020220077220 A KR 1020220077220A KR 20220077220 A KR20220077220 A KR 20220077220A KR 102611635 B1 KR102611635 B1 KR 10261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fastening
cover
separation
tors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욱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5Leaf springs, e.g. radially exte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6Torsional springs, e.g. torsion bar or torsionally-loaded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토션 댐퍼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는: 프론트 커버부; 프론트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커버부; 분리 커버부와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개재되고, 분리 커버부와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분리 커버부를 관통하여 프론트 커버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분리 커버부에 접하고, 박막으로 형성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토션 댐퍼{TORSION DAM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토션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스테레시스 토크를 변경할 수 있는 차량의 토션 댐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자동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에서 엔진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는데 반해,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토션 댐퍼가 토크 컨버터를 대체하여 진동을 감쇠한다. 토션 댐퍼는 기존의 토크 컨버터와 달리 유체부가 없으며, 토션 스프링과 다이어프램이라고 하는 판 스프링의 조합으로 댐퍼 역할을 한다.
토션 댐퍼의 프라이머리 플라이 휠은 엔진 크랭크 축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크랭크 축이 회전할 때 프라이머리 플라이 휠이 회전하고 이 때, 프라이머리 플라이 휠과 세컨더리 플라이 휠 사이에 있는 토션 스프링을 밀어주게 되어 세컨더리 플라이 휠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프라이머리 플라이 휠과 세컨더리 플라이 휠 사이에서 히스테레시스 토크(hysteresis torque)라고 하는 토크 저항(손실)이 발생된다.
토션 댐퍼와 관련한 진동에는 크게 공진시, 아이들시,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3가지로 분류된다. 제품 개발 시에 히스테레시스 토크의 값을 튜닝할 필요가 있는데 프라이머리 플라이 휠과 커버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제품의 특성상 히스테레시스 토크 값을 튜닝하기 위해서 히스테레시스 토크를 달리하여 여러 개의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개발 비용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1506호(2013.04.01 등록, 발명의 명칭: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션 댐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히스테레시스 토크를 변경할 수 있는 차량의 토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는: 프론트 커버부; 상기 프론트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커버부;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분리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분리 커버부에 접하고, 박막으로 형성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적층되는 갯수 또는 두께에 의해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 커버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일면에 안착되는 분리 커버몸체부; 및 상기 분리 커버몸체부에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는, 상기 분리 커버몸체부가 안착되는 프론트 커버수용부; 및 상기 프론트 커버수용부에 관통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부; 및 상기 체결볼트부의 단부에 상기 체결볼트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체결머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머리부와 상기 분리 커버부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부에 착탈 가능한 분리 커버부를 적용하고, 간격조절부로 프론트 커버부와 분리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분리 커버부에 접하는 다이아프램의 복원력에 의한 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게 다이아프램의 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에서 간격조절부가 분리 커버부와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에서 간격조절부가 분리 커버부와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는 프론트 커버부(100), 분리 커버부(200), 간격조절부(300), 체결부(400), 다이아프램(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프론트 커버부(100), 분리 커버부(200), 간격조절부(300), 체결부(400), 다이아프램(500)은 일부가 도시된 것으로, 각 구성요소는 환형으로 전체를 형성한다.
프론트 커버부(100)는 분리 커버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프론트 커버수용부(110)와 체결홀부(120)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수용부(110)는 분리 커버부(200)의 분리 커버몸체부(210)가 안착된다. 프론트 커버수용부(110)는 일면(도 3 기준 좌측면)에 분리 커버부(200)의 분리 커버몸체부(2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체결홀부(120)는 프론트 커버수용부(110)에 관통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400)와 나사 체결된다. 체결홀부(120)의 나사산은 체결부(400)의 체결볼트부(4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분리 커버부(200)는 프론트 커버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리 커버부(200)는 분리 커버몸체부(210)와 경사부(220)를 포함한다. 분리 커버몸체부(210)는 프론트 커버부(100)의 프론트 커버수용부(110)의 일면(도 3 기준 좌측면)에 안착된다. 분리 커버몸체부(210)에는 체결홀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분리 커버몸체부(210)의 관통홀은 체결부(400)의 체결볼트부(410)가 관통한다.
경사부(220)는 분리 커버몸체부(210)에 다이아프램(500)에서 프론트 커버부(100)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부(220)는 다이아프램(500)과 접한다. 차량에서 플라이 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분리 커버부(200)의 경사부(220)가 다이아프램(500)을 밀어서 압축시킨다. 이때 압축된 다이아프램(500)은 다시 팽창하려는 복원력으로 축력(도 2 기준 상하방향으로의 힘)이 발생된다.
분리 커버몸체부(210)가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프론트 커버부(100)의 프론트 커버수용부(110)와의 간격이 조절됨에 됨에 따라, 다이아프램(500)이 경사부(220)에 접하는 위치가 변동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500)의 팽창하려는 복원력이 조절된다.
도 2에서 다이아프램(500)의 단부가 경사부(220)에 접해 우측으로 변형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 압축이 커지므로 팽창하려는 복원력이 커지고, 다이아프램(500)의 단부가 경사부(220)에 접해 우측으로 변형이 적게 발생하는 경우 압축이 작아져 팽창하려는 복원력이 작아진다.
간격조절부(300)는 분리 커버부(200)와 프론트 커버부(100) 사이에 개재되고, 분리 커버부(200)와 프론트 커버부(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분리 커버부(200)가 프론트 커버부(100)에서 좌우방향(도 2 기준)으로 위치가 조절된다.
간격조절부(300)에는 분리 커버부(200)의 관통홀과 프론트 커버부(100)의 체결홀부(120)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체결부(400)의 체결볼트부(410)는 간격조절부(300)의 관통홀을 관통한다.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300)는 분리 커버부(200)와 프론트 커버부(100) 사이에 적층되는 갯수 또는 두께에 의해 분리 커버부(200)와 프론트 커버부(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도 4의 간격조절부(300)는 도 2의 간격조절부(300)에 비해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서는 도 2의 간격조절부(300)에 비해 두꺼운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분리 커버부(200)외 프론트 커버부(100)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다이아프램(500)의 단부가 경사부(220)에 접해 우측으로 변형이 적게 발생하게 되어 압축이 작아지므로 팽창하려는 복원력도 작아지게 된다.
도 5의 간격조절부(300)는 도 2의 간격조절부(300)에 비해 복수개로 적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서는 도 2의 간격조절부(300)에 비해 더 많은 수로 적층된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분리 커버부(200)외 프론트 커버부(100)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다이아프램(500)의 단부가 경사부(220) 에 접해 우측으로 변형이 적게 발생하게 되어 압축이 작아지므로 팽창하려는 복원력도 작아지게 된다.
체결부(400)는 분리 커버부(200)를 관통하여 프론트 커버부(100)에 체결된다. 체결부(400)는 체결볼트부(410)와 체결머리부(420)를 포함한다. 체결볼트부(410)는 분리 커버부(200)의 관통홀과 간격조절부(30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프론트 커버부(100)의 체결홀부(120)에 나사 체결된다.
체결볼트부(410)의 외측면에는 프론트 커버부(100)의 체결홀부(120)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머리부(420)는 체결볼트부(410)의 단부(도 2 기준 좌측단부)에 체결볼트부(41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체결머리부(420)에 의해 체결볼트부(410)가 우측방향(도 2 기준)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다이아프램(500)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박막으로 형성된다. 다이아프램(500)은 분리 커버부(200)의 경사부(220)와 접한다. 다이아프램(500)은 분리 커버부(200)의 경사부(220)의 압축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다이아프램(500)은 도 2 기준 좌측으로 복원력인 축력이 작용된다.
다이아프램(500)은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박막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는 와셔부(600)를 더 포함한다. 와셔부(6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와셔부(600)는 체결머리부(420)와 분리 커버부(200) 사이에 개재된다.
와셔부(600)는 체결머리부(420)와 분리 커버부(200)의 분리 커버몸체부(210)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머리부(420)의 가압이 분리 커버부(200)로 전달되는 것을 분산시킨다. 와셔부(600)에 의해 분리 커버부(200)의 분리 커버몸체부(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와셔부(600)는 원판형뿐만 아니라 물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 댐퍼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부(100)에 착탈 가능한 분리 커버부(200)를 적용하고, 간격조절부(300)로 프론트 커버부(100)와 분리 커버부(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분리 커버부(200)에 접하는 다이아프램(500)의 복원력에 의한 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게 다이아프램(500)의 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프론트 커버부 110: 프론트 커버수용부
120: 체결홀부 200: 분리 커버부
210: 분리 커버몸체부 220: 경사부
300: 간격조절부 400: 체결부
410: 체결볼트부 420: 체결머리부
500: 다이아프램

Claims (6)

  1. 프론트 커버부;
    상기 프론트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커버부;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분리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분리 커버부에 접하고, 박막으로 형성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에 적층되는 갯수 또는 두께에 의해 상기 분리 커버부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션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커버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일면에 안착되는 분리 커버몸체부; 및
    상기 분리 커버몸체부에 상기 다이아프램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션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는,
    상기 분리 커버몸체부가 안착되는 프론트 커버수용부; 및
    상기 프론트 커버수용부에 관통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션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부; 및
    상기 체결볼트부의 단부에 상기 체결볼트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체결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션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머리부와 상기 분리 커버부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션 댐퍼.
KR1020220077220A 2022-06-24 2022-06-24 차량의 토션 댐퍼 KR10261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20A KR102611635B1 (ko) 2022-06-24 2022-06-24 차량의 토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20A KR102611635B1 (ko) 2022-06-24 2022-06-24 차량의 토션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635B1 true KR102611635B1 (ko) 2023-12-08

Family

ID=8916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220A KR102611635B1 (ko) 2022-06-24 2022-06-24 차량의 토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6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538A (ja) * 1988-10-31 1990-05-08 Aisin Seiki Co Ltd トルク変動吸収装置
KR20100003853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토션댐퍼플라이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538A (ja) * 1988-10-31 1990-05-08 Aisin Seiki Co Ltd トルク変動吸収装置
KR20100003853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토션댐퍼플라이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745A (en) Flywheel assembly with annular elastic body for reducing vibrations
US7611005B2 (en) Clutch cover assembly
US5979594A (en) Flexible plate and a flywheel assembly employing the flexible plate
JP5759328B2 (ja) 防振装置
US4474276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an automotive clutch plate assembly
JP2000193036A (ja) トルク伝達装置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US8136646B2 (en) Cylindrical dynamic damper
DE10210619B4 (de) Dämpfungsvorrichtung
KR102611635B1 (ko) 차량의 토션 댐퍼
JP6909571B2 (ja) 防振装置
JP2009115184A (ja) デュアルマスフライホイール
US6676525B2 (en) Damper mechanism
US20090223771A1 (en) Damper disk assembly and flywheel assembly
KR100394626B1 (ko) 삼중 질량 진동 감쇠 플라이휠
US5795230A (en) Torsion damper having several friction stages
US20060260898A1 (en) Flywheel assembly
US6872142B2 (en) Damper mechanism
KR100264702B1 (ko) 마찰생성 메커니즘을 가지는 댐퍼 메커니즘
KR100217195B1 (ko)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용 마찰 발생 메카니즘
US7607524B2 (en) Clutch cover assembly
US5185916A (en) Method for producing cylindrical bushing with hydraulic damping
US5950791A (en) Damper disk assembly
JP2005106192A (ja) 筒型エンジンマウント
KR100390092B1 (ko) 플렉시블플라이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