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399B1 -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399B1
KR102610399B1 KR1020210105847A KR20210105847A KR102610399B1 KR 102610399 B1 KR102610399 B1 KR 102610399B1 KR 1020210105847 A KR1020210105847 A KR 1020210105847A KR 20210105847 A KR20210105847 A KR 20210105847A KR 102610399 B1 KR102610399 B1 KR 102610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g
fluid
tube
connecting tub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942A (ko
Inventor
배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스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스툴
Priority to KR102021010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3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6Penis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76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5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by infl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an inflatable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or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를 통과시키되 연결튜브의 단부가 저장주머니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게 통과시켜 지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연결튜브를 저장주머니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연결튜브의 단부 측면에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측부구멍이 형성되며, 연결튜브의 단부에는,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측부구멍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저장주머니의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저장주머니로부터의 유체의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을 때의 음경의 발기를 방지하고, 또한, 저장주머니내의 유체의 유량 손실이 없어 음경발기기구가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Check valve device for suppressing fluid leakage in the penis erection inducer}
본 발명은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저장주머니에 내장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비정상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유체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남성 성기능 장애는, 여성과의 성관계 중 음경의 확장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발기가 되더라도 발기 상태가 지속되지 않고 바로 사정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성기능 장애의 대부분은 발기부전성이며, 발기부전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서, 가령, 경구용 발기부전치료제를 복용하거나, 음경 내 해면체의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물을 주사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약물 요법이나 주사 요법으로도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에는 최후적 수단으로 외과 수술적 방법이 적용된다.
수술적 방법에는, 환자의 음경과 음낭과 하복부에, 발기를 보조하는 발기 기구를 삽입하는 것도 포함된다. 음경 발기기구는, 음경의 해면체 내에 삽입된 인공삽입물을 팽창시켜, 음경을 발기상태로 유지하는 원리를 갖는다.
도 1은 음경 발기기구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경 발기기구(10)는, 두 개의 실린더(11), 펌프(15), 저장주머니(17)로 구성된다. 또한 각 실린더(11)와 펌프(15), 펌프(15)와 저장주머니(17)는 연결튜브(13,14)를 통해 연통한다.
실린더(11)는 음경의 해면체 내부에 삽입되며 펌프(15)에 의해 펌핑된 유체(물 또는 식염수)를 받아 팽창함으로서 음경이 발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실린더(11)는 내부에 채워졌던 유체가 다시 빠져나가면 수축되고, 그에 따라 음경은 힘이 빠지게 한다.
저장주머니(17)는 실리콘 계열 소재로 제작된 구형 부재로서 사용할 유체를 수용한다. 저장주머니(17)는 사용자의 하복부(下腹部)에 내장된다. 저장주머니(17) 내부의 유체는, 펌프(15)를 경유하여 실린더(11)로 공급된다. 또한 실린더(11) 내부의 유체는 연결튜브(13,14)를 통과해 저장주머니(17)로 귀환한다.
펌프(15)는, 밸브유닛(15a)과 펌핑주머니(15d)로 구성된다. 펌프(15)는 사용자의 고환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 유체를 펌핑한다.
밸브유닛(15a)은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양측에 누름부(15b)를 가지고, 하부에는 펌핑주머니(15d)를 구비한다. 펌핑주머니(15d)는 구(球)의 모양을 가지고 탄성 변형 가능한 주머니로서, 사용자에 의해 눌려 수축한 다음 자력으로 형상 복원된다.
저장주머니(17)로부터 내려온 유체는 펌핑주머니(15d)의 내부에 일단 수용되고, 펌핑주머니(15d)를 쥐어짬에 의해 실린더(11)로 공급된다. 사용자가 펌핑주머니(15d)를 쥐어 짠 후 손을 놓으면 처음의 상태로 복원된다. 펌핑주머니(15d)가 복원될 때 펌핑주머니(15d)의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하는데, 발생 음압에 의해 저장주머니(17) 내부의 유체가 펌핑주머니(15d)로 추가 이송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음경 발기기구(10)는, 저장주머니(17) 내부의 압력 상승 시, 저장되어 있던 유체가 제2연결튜브(14)로 유출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테면, 음경발기기구(10)를 시술 받은 사용자가, 움직이다가 저장주머니(17)가 위치하는 하복부 부분이 눌렸을 때 유체의 유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유체는, 펌핑주머니(15d)가 수축했다가 복원될 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서만 유출되어야 하는데, 그 이외의 상황에서도 유출되는 것이다. 더욱이, 유출되는 유체의 압력이 강할 경우, 유체가 펌프를 통과해 실린더에 도달할 수 있는데, 실린더에 유체가 공급되면 음경이 발기되어 난처한 상황에 빠진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370호 (음경발기보조기구의 안전밸브)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의 내압(內壓)이 상승하더라도 저장주머니로부터의 유체의 유출을 억제하고, 저장주머니내의 유체의 유량 손실이 없어 음경발기기구가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를 통과시키되 연결튜브의 단부가 저장주머니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게 통과시켜 지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연결튜브를 저장주머니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연결튜브의 단부 측면에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측부구멍이 형성되며, 연결튜브의 단부에는,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측부구멍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튜브에는 링 형상의 튜브고정링이 고정되고, 밸브하우징에는, 튜브고정링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튜브고정링은, 스프링설치공간 내에서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차단부는; 연결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테두리부가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기하고,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압력의 작용을 받아 테두리부가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함으로써, 저장주머니 내의 연결튜브를 은폐시키는 차단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캡은; 연결튜브의 단부에 고정되고 콘(cone)의 형상을 취하며 측부구멍을 둘러싸는 경사벽부와, 경사벽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고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하단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는, 링의 형상을 취하며,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한 상태의 차단캡의 경사벽부 단부에 밀착하여, 차단캡을 지지하는 지지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튜브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걸림턱과 튜브고정링의 사이에는, 튜브고정링이 걸림턱으로부터 멀어질 때 펼쳐지며 밸브하우징을 통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시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와 연결되고 유체를 통과시키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승한 상태에서 유체를 통과시키고, 내압 상승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유로를 차단하는 승강캡과; 밸브하우징 내에서 승강캡을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은; 저장주머니의 수용공간을 향해 개방된 리시빙홀, 리시빙홀에 이어지며 승강캡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밀착통로, 밀착통로의 하측에 형성되고 승강캡의 일부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설치공간, 스프링설치공간으로 개방되며 연결튜브가 끼워지는 튜브고정구멍을 가지고, 승강캡은; 상기 밀착통로의 내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며, 스프링설치공간으로 개방된 유체통로 및 유체통로를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측부구멍을 갖는 중공형 수직연장부와, 수직연장부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스프링설치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측부구멍이 밀착통로의 외부로 노출되게 작용하는 받침링과, 수직연장부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리시빙홀의 내부에서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압력을 전달받아 수직연장부를 하강시켜 측부구멍이 밀착통로 내부로 은폐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는, 상부로 넓어지는 콘의 형상을 취하며, 유체로부터의 압력을 전달받는 압력집중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유체를 리시빙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저장주머니의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저장주머니로부터의 유체의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을 때의 음경의 발기를 방지하고, 또한, 저장주머니내의 유체의 유량 손실이 없어 음경발기기구가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음경 발기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승강캡을 따로 도시한 절제 시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음경 발기기구(10)의 저장주머니(17)에 장착되며, 저장주머니(17)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물 또는 식염수)가 비정상적인 이유로, 펌프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가령, 저장주머니(17)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저장주머니(17)가 눌렸을 때 발생하는 내압 상승에 의해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저장주머니(17)는 체내의 하복부 정도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운동을 하거나 기타 이유로 하복부가 눌릴 때, 저장주머니(17)의 내압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를 통과시키되 연결튜브의 단부가 저장주머니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게 통과시켜 지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연결튜브를 저장주머니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연결튜브의 단부 측면에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측부구멍이 형성되며, 연결튜브의 단부에는,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측부구멍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가 구비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와 연결되고 유체를 통과시키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승한 상태에서 유체를 통과시키고, 내압 상승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유로를 차단하는 승강캡과; 밸브하우징 내에서 승강캡을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30)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저장주머니(1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도 3은 화살표 F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球)형 저장주머니(17)의 수용공간(17b) 내에 유체(17d)가 채워져 있다. 유체(17d)는 펌프(도 1의 15)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11)로 공급된다. 또한 저장주머니(17)의 일측에는 밸브설치구(17f)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설치구(17f)는 저장주머니(17)의 주둥이부이다.
아울러 연결튜브(14)의 일단부가, 후술할 밸브하우징(31)을 통과하여 저장주머니(17)의 내부로 진입되어 있다. 연결튜브(14)는 저장주머니(17) 내부의 유체(17d)를 펌프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연결튜브(14)의 단부, 즉 수용공간(17b)에 수용된 부분에는, 다수의 측부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측부구멍(14a)은 유체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연결튜브(14)는 스프링(34)에 받쳐지며,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즉, 화살표 a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밸브장치(30)는, 밸브하우징(31), 스프링(34), 유동차단부를 구비한다.
밸브하우징(31)은, 내부에 스프링설치공간(31a)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로서, 상부에는 상부걸림턱(31e)을, 하부에는 하부걸림턱(31f)을 갖는다. 상부걸림턱(31e)은 튜브고정링(33)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고, 하부걸림턱(31f)은 스프링(34)을 받친다.
아울러 밸브하우징(31)의 상부와 하부에는 튜브관통로(31b)가 마련되어 있다. 튜브관통로(31b)는 연결튜브(14)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연결튜브(14)는 튜브관통로(31b)와 스프링설치공간(31a)을 통과하여 단부가 수용공간(17b) 내부에 유지된다. 연결튜브(14)의 외주면은 튜브관통로(31b)의 내주면에 접하여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는다.
연결튜브(14)에서 스프링설치공간(31a)에 걸쳐 있는 부분에는 튜브고정링(33)이 고정된다. 튜브고정링(33)은 링형 부재로서 연결튜브(14)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고, 스프링(34)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튜브고정링(33)은 상부걸림턱(31e)에 걸려 그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한다.
스프링(34)은 스프링설치공간(31a)에 수용된 상태로 튜브고정링(33)을 상향 탄성 지지한다. 연결튜브(14)는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항상 저장주머니(17)의 내측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된다.
제1실시예에서의 유동차단부는, 연결튜브(14)의 단부에 고정되는 차단캡(37)이다. 차단캡(37)은 저장주머니(17)의 내압 상승 시 화살표 c방향의 힘을 받는 부재로서, 경사벽부(37a)와 하단밀착부(37b)를 갖는다. 차단캡(37)은 고무나 실리콘으로 제작 가능하다.
경사벽부(37a)는 연결튜브(14)의 단부에 고정되고 하부로 갈수록 벌어진 콘(cone)의 형상을 취하며 측부구멍(14a)을 둘러싼다. 또한 하단밀착부(37b)는 경사벽부(37a)의 하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캡(37)이 화살표 c방향으로 완전히 눌린 상태에서 저장주머니(17)의 내벽면에 밀착한다. 하단밀착부(37b)가 내벽면에 밀착한 상태에서는 측부구멍(14a)이 차단캡(37)에 의해 은폐되어 물이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차단캡(37)은, 평상시에는,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기하며, 유체가 연결튜브(14)의 측부구멍(14a)으로 드나들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저장주머니(17)가 가령 화살표 F방향으로 눌려, 내압이 상승하면,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이기며 연결튜브(14)를 화살표 a방향으로 하강시키고 마침내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함으로써, 측부구멍(14a)을 밀폐시킨다. 하단밀착부(37b)가 일단 내벽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저장주머니 내부의 압력이 더욱 상승한다 하더라도, 유체가 연결튜브(14)로 빠져나가지 않는 것이다.
한편, 도면상 차단캡(37)의 하측부에는 지지링(35)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링(35)은, 저장주머니(17)의 내벽면에 고정된 링형상의 부재이다. 지지링(35)은 경사벽부(37a)의 하단부에 대응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밀착부(37b)가 저장주머니(17)에 밀착한 상태에서, 경사벽부(37a)의 하단부에 밀착한다. 이와 같이 차단캡(37)이 지지링(35)에 지지되므로, 차단캡(37)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틀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부걸림턱(31e)과 튜브고정링(33)의 사이에는 차단시트(38)가 더 설치된다. 차단시트(38)는 펼쳐진 상태로 원통의 형상을 취하는 필름형 부재로서, 상단부가 상부걸림턱(31e)에, 하단부가 튜브고정링(33)에 결합하는 것이다. 차단시트(38)는, 튜브고정링(33)이 상부걸림턱(31e)에 밀착한 상태에서는 접혀지고, 튜브고정링(33)이 상부걸림턱(31e)으로부터 멀어질 때 펼쳐진다.
차단시트(38)는, 연결튜브(14)의 외주면과 튜브관통로(31b)의 사이 틈새를 통과하는 미량의 유체가, 더 이상 하부로 빠져 밸브하우징(31)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주머니(17)의 수용공간(17b)에 유체(17d)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저장주머니(1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차단캡(37)이 저장주머니(17)의 내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 펌프(15)를 동작시켜 유체(17d)를 실린더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저장주머니(17)에 화살표 F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저장주머니(17)의 내압이 급격히 상승하고, 그에 따라, 차단캡(37)이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주머니의 내향면에 밀착한다. 하단밀착부(37b)가 내향면에 밀착함으로써 측부구멍(14a)이 차단되어 더 이상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50)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승강캡(60)을 따로 도시한 절제 시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장치(50)는, 밸브하우징(51), 승강캡(60), 스프링(34)을 포함한다.
밸브하우징(51)은 밸브설치구(17f)의 내부에 고정되며, 저장주머니(17) 내의 유체를 하향 통과시켜 연결튜브(14)로 유도하거나, 연결튜브(14)를 통해 귀환하는 유체를 상향 통과시킨다.
밸브하우징(51)의 내부에는, 리시빙홀(51c), 밀착통로(51e), 스프링설치공간(51g), 튜브고정구멍(51k)이 형성되어 있다.
리시빙홀(51c)은 상단개방구(51b)을 통해 수용공간(17b)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승강캡(60)의 상측 일부를 수용한다. 또한, 밀착통로(51e)는 일정 내경을 갖는 수직의 통로로서 리시빙홀(51c)과 스프링설치공간(51g)을 연결한다. 밀착통로(51e)의 내주면은 승강캡(60)의 수직연장부(63) 외주면에 면접 밀착한다.
또한, 스프링설치공간(51g)은 밀착통로(51e)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승강캡(60)의 하측 일부와 스프링(34)을 수용한다. 스프링(34)은 스프링설치공간(51g)에 수용된 상태로 승강캡(60)을 수용공간(17b) 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아울러 튜브고정구멍(51k)은 스프링설치공간(51g)을 하부로 개방하는 통로이며 연결튜브(14)의 단부를 수용한다. 연결튜브(14)의 단부가 튜브고정구멍(51k)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밸브하우징(51)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면(51a)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면(51a)은 리시빙홀(51c)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다. 저장주머니(17)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17d)는 화살표 g방향으로 미끄러져 리시빙홀(51c)로 유입한다. 후술하겠지만 화살표 g방향으로 유입하는 유체(17d)는 승강캡(60)의 압력집중홈(61a)으로 몰려, 승강캡(60)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강시킨다.
승강캡(60)은 도 6의 구조를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캡(60)은, 수직연장부(63), 받침링(63e), 가압부(61)를 갖는다.
수직연장부(63)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개방된 유체통로(63a)와, 다수의 측부구멍(63c)을 갖는다. 측부구멍(63c)은 유체통로(63a)를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구멍이다. 수직연장부(63)의 외주면은 밀착통로(51e)의 내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수직연장부(63)와 밀착통로(51e)의 틈새로 유체는 거의 누설되지 않지만, 누설된다 하더라도, 누설된 유체는 스프링설치공간(51g)을 통해 연결튜브(14)로 들어간다.
받침링(63e)은 수직연장부(63)의 외주면에 일체를 이루는 링형 부재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34)에 의해 상부로 탄성 지지되고, 스프링설치공간(51g)의 상단부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측부구멍(63c)은 밀착통로(51e)의 상부로 노출되어 리시빙홀(51c)로 개방되어 있다.
한편, 가압부(61)는, 수직연장부(63)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저장주머니(17)의 내압 상승 시 압력을 전달받아 수직연장부(63)가 하강하도록 한다. 즉, 수직연장부(63)의 측부구멍(63c)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통로(51e)의 내부로 숨어들게 하는 것이다. 측부구멍(63c)이 밀착통로(51e)로 들어가면, 측부구멍(63c)을 통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됨은 물론이다.
가압부(61)는, 상부로 넓어지는 콘의 형상을 취하며, 중앙부에 압력집중홈(61a)을 갖는다. 압력집중홈(61a)은 도 4의 화살표 g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유체의 압력과, 도 5의 화살표 p방향의 유체의 압력이 모이는 공간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장치(5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저장주머니(17)에 별다른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승강캡(60)이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대기한다. 승강캡(60)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측부구멍(63c)이 리시빙홀(51c)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 펌프(15)를 작동시키면 저장주머니(17) 내부의 유체(17d)가, 상단개방구(51b), 리시빙홀(51c), 측부구멍(63c), 유체통로(63a), 스프링설치공간(51g)을 거쳐 연결튜브(14)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런데, 저장주머니(17)에 화살표 F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한 유로가 차단된다. 즉, 화살표 F방향의 외력이 가해져, 저장주머니(17)의 내압이 상승하면, 승강캡(60)이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이기며 하강하고, 이 때 측부구멍(63c)이 밀착통로(51e)로 은폐되어 유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유체가 연결튜브(14)로 내려가지 않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음경발기기구 11:실린더 13:연결튜브
14:연결튜브 14a:측부구멍 15:펌프
15a:밸브유닛 15b:누름부 15d:펌핑주머니
17:저장주머니 17b:수용공간 17d:유체
17f:밸브설치구 30:밸브장치 31:밸브하우징
31a:스프링설치공간 31b:튜브관통로 31e:상부걸림턱
31f:하부걸림턱 33:튜브고정링 34:스프링
35:지지링 37:차단캡 37a:경사벽부
37b:하단밀착부 38:차단시트 50:밸브장치
51:밸브하우징 51a:가이드면 51b:상단개방구
51c:리시빙홀 51e:밀착통로 51g:스프링설치공간
51k:튜브고정구멍 60:승강캡 61:가압부
61a:압력집중홈 63:수직연장부 63a:유체통로
63c:측부구멍 63e:받침링

Claims (10)

  1.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를 통과시키되 연결튜브의 단부가 저장주머니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게 통과시켜 지지하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연결튜브를 저장주머니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연결튜브의 단부 측면에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측부구멍이 형성되며,
    연결튜브의 단부에는,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측부구멍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튜브에는 링 형상의 튜브고정링이 고정되고,
    밸브하우징에는, 튜브고정링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튜브고정링은, 스프링설치공간 내에서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부는;
    연결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테두리부가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기하고,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압력의 작용을 받아 테두리부가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함으로써, 저장주머니 내의 연결튜브를 은폐시키는 차단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캡은;
    연결튜브의 단부에 고정되고 콘(cone)의 형상을 취하며 측부구멍을 둘러싸는 경사벽부와,
    경사벽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고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하는 하단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는, 링의 형상을 취하며, 저장주머니의 내벽면에 밀착한 상태의 차단캡의 경사벽부 단부에 밀착하여, 차단캡을 지지하는 지지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튜브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걸림턱과 튜브고정링의 사이에는, 튜브고정링이 걸림턱으로부터 멀어질 때 펼쳐지며 밸브하우징을 통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시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7.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주머니, 연결튜브를 통해 저장주머니와 연결되는 펌프, 음경에 내장되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유체를 받아 팽창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음경 발기기구의 저장주머니에 설치되어, 저장주머니내의 유체가,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연결튜브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저장주머니에 고정되며 연결튜브와 연결되고 유체를 통과시키는 밸브하우징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승한 상태에서 유체를 통과시키고, 내압 상승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유로를 차단하는 승강캡과;
    밸브하우징 내에서 승강캡을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밸브하우징은;
    저장주머니의 수용공간을 향해 개방된 리시빙홀, 리시빙홀에 이어지며 승강캡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밀착통로, 밀착통로의 하측에 형성되고 승강캡의 일부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설치공간, 스프링설치공간으로 개방되며 연결튜브가 끼워지는 튜브고정구멍을 가지고,
    승강캡은;
    상기 밀착통로의 내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며, 스프링설치공간으로 개방된 유체통로 및 유체통로를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측부구멍을 갖는 중공형 수직연장부와,
    수직연장부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스프링설치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측부구멍이 밀착통로의 외부로 노출되게 작용하는 받침링과,
    수직연장부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리시빙홀의 내부에서 저장주머니의 내압 상승 시 압력을 전달받아 수직연장부를 하강시켜 측부구멍이 밀착통로 내부로 은폐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부로 넓어지는 콘의 형상을 취하며, 유체로부터의 압력을 전달받는 압력집중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유체를 리시빙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KR1020210105847A 2021-08-11 2021-08-11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KR10261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847A KR102610399B1 (ko) 2021-08-11 2021-08-11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847A KR102610399B1 (ko) 2021-08-11 2021-08-11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42A KR20230023942A (ko) 2023-02-20
KR102610399B1 true KR102610399B1 (ko) 2023-12-06

Family

ID=8532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47A KR102610399B1 (ko) 2021-08-11 2021-08-11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3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410A (en) 1978-08-02 1988-01-12 Hakky Said I Surgical implants
JP2006009835A (ja) * 2004-06-22 2006-01-12 Ookisu Medical:Kk 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605A (en) * 1993-05-27 1995-08-01 Helmy; Ali M. Remote controllable penile prosthetic system
KR101131148B1 (ko) * 2003-10-02 2012-03-28 에이엠에스 리써치 코오포레이션 음경 임플란트 디바이스용 유체저장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26370Y1 (ko) 2006-06-07 2006-09-19 김요한 음경발기보조기구의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410A (en) 1978-08-02 1988-01-12 Hakky Said I Surgical implants
JP2006009835A (ja) * 2004-06-22 2006-01-12 Ookisu Medical:Kk 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42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227A (en) Artificial corpus cavernosum device
US4449520A (en) Penile prosthesis device
US4671261A (en) Penile erection device with valving in the penile cylinder
US5250020A (en) Unitary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US4566446A (en) Penile prosthesis device
US4550720A (en) Capacitance device for medical implant
US7250026B2 (en) Implantable penile prosthesis pump
US5171272A (en) Fluid pump for penile prosthesis
BRPI0817964B1 (pt) implante cirúrgico
US7244227B2 (en) Implantable penile prosthesis pump
WO2009024024A1 (fr) Dispositif auto-expansible implanté dans le corps humain
US4457335A (en) Penile erectile system
AU2003293580A1 (en) Venous anti-reflux implant
ES2778089T3 (es) Conjunto válvula de cierre de prótesis de pene implantable
US10639155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reversible flow pump
KR102610399B1 (ko) 음경 발기기구의 유체 유출 억제용 체크 밸브장치
ES2593973T3 (es) Uretra sintética con dispositivo de cierre
EP4009914A1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guides in valve of pump assembly
JP2020182857A (ja) 可逆流れポンプアセンブリを有する膨張性人工陰茎
KR101656768B1 (ko) 음경 발기상태 유지를 위한 보조기구
KR100547006B1 (ko) 음경 확대 및 발기 보조 팽창형 보형물
KR102620371B1 (ko) 음경 발기 보조장치
KR101119668B1 (ko) 해면체 확대 장치
KR20200055522A (ko) 입식 배뇨기능을 갖는 버튼 제어식 도뇨관
KR102501173B1 (ko) 귀두 거치형 도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