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363B1 -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363B1
KR102610363B1 KR1020210046405A KR20210046405A KR102610363B1 KR 102610363 B1 KR102610363 B1 KR 102610363B1 KR 1020210046405 A KR1020210046405 A KR 1020210046405A KR 20210046405 A KR20210046405 A KR 20210046405A KR 102610363 B1 KR102610363 B1 KR 10261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storage tank
liquefied gas
ga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206A (ko
Inventor
신현국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3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06A/ko
Priority to KR1020230119600A priority patent/KR102638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양측 벽면 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과, 상기 메인 구조물의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체되지 않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르레부;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움직도르레부;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전동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전동 윈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DISMANTLING APPARATUS OF SCAFFOLD STRUCTURE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DISMANTLING METHOD OF SCAFFOLD STRUCTURE USI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층 시공 내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된 발판 구조물의 해체 시 소요되는 시간 절감 및 해체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에 대한 환경오염 규제 기준이 강화됨으로 인해,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은 친환경 고효율 연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이며, 액화석유가스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나오는 프로판과 부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연료이다.
특히, 액화천연가스(이하, ‘LNG’라 함)는 천연가스를 극저온(약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액화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LNG 운반선(LNG carrier)이나,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 직접 액화시켜 저장하고, 필요 시 저장된 LNG를 LNG 운반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해상에서 LNG 운반선으로 하역되는 LNG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운반선과 LNG RV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는 액화가스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과 독립형(Independent Type)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선체의 구조재 내부에 저온 취성에 강한 방벽과 방벽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한 멤브레인형 저장탱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의 내측 벽면에는 액화가스의 외부 단열을 위한 단열층이 마련되는데, 이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박스와 인바 강(Inbar steel)이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경우에는, 가스 검출기, 온도 센서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액화가스의 누설유무 검사 및 누설 확인 시 저장탱크의 수리를 위한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열층 시공 내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서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내부공간에 별도의 발판 구조물(또는 비계, Scaffold)이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발판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는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발판 구조물의 해체작업 이루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 및 상기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저장탱크(1) 내부에서 복수개의 층을 형성하는 발판 구조물(10)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 구조물(10)은,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1)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저장탱크(1) 내부의 양측 벽면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11)과, 저장탱크(1)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메인 구조물(11)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팅 구조물(13)과, 메인 구조물(11)의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1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구조물(11)은, 서포팅 구조물(13)에 의해 지지되어 복수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구조물(11)은 저장탱크(1)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10개의 층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저장탱크(1)의 사이즈나 단열구조의 설계변경 등에 따라 메인 구조물(11)의 층의 개수는 달리 적용될 수 있다.
플랫폼 구조물(15)은, 메인 구조물(11)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없이 긴 스팬(Span)을 갖는 다리(Bridge)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저장탱크(1) 내부 단열층 시공을 위한 단열박스(미도시)들을 보관 적재하거나 사전 가공작업 이 행해질 수 있는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구조물(15)은,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 사이(예로써, 10층)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발판 구조물(10)의 해체작업 시에는 플랫폼 구조물(15)을 소정 크기로 분할하여 단계별로 수동 해체한 후 해체된 각 자재를 하부로 하강시키게 되는데, 발판 구조물(10)의 해체작업에 대략 2주 가량이 소요(적정 공기 8일)되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에서는, 일반 건축용 비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판 구조물을 구성하는 금속 프레임 자재와 상판을 하나씩 해체하게 되는데, 해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해체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이 과다해질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층 시공 내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된 발판 구조물의 해체 시 소요되는 시간 절감 및 해체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양측 벽면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과, 상기 메인 구조물의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장치로서, 해체되지 않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르레부;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움직도르레부;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전동 윈치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전동 윈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도르레부는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 중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움직도르레부와 상기 전동 윈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도르레부는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움직도르레부 각각은,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제1 및 제2 움직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움직도르레, 상기 고정도르레, 및 상기 제2 움직도르레를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 중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움직도르레와 상기 전동 윈치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구조물 상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부재 각각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정면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 구조물의 좌우측에서 한 쌍으로 마련된 상기 전동 윈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양측 벽면 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으로서, 해체되지 않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일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도르레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 움직도르레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구조물로부터 상기 플랫폼 구조물을 분리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를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며,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된 전동 윈치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 구조물을 분리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구조물의 하중은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동 윈치를 이용한 상기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기 플랫폼 구조물을 하부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 중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움직도르레부와 상기 전동 윈치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층 시공 내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된 발판 구조물의 해체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및 고소작업의 최소화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구조물의 해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움직도르레부를 단일의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복합 도르레 구조를 통한 하중 분산 효과로 윈치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플랫폼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되,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의 하중이 움직도르레부 각각에 균등하게 전달되어 발판 구조물의 해체 과정에서 플랫폼 구조물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정인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 및 상기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해체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체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해체장치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액화가스는 극저온(대략 -163℃ 정도)의 LNG(Liquified Natural Gas)를 비롯하여, LPG(Liquefied Petroleum Gas)나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화시킨 상태로 저장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뿐만 아니라 기화된 액화가스까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 내부의 양측 벽면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메인 구조물(11)과, 메인 구조물(11)의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15)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10)의 해체를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발판 구조물(1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메인 구조물(11)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팅 구조물(1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구조물(11)은 서포팅 구조물(13)에 의해 지지되어 복수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구조물(11)은 저장탱크(1)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10개의 층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저장탱크(1)의 사이즈나 단열구조의 설계변경 등에 따라 메인 구조물(11)의 층의 개수는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구조물(15)은, 메인 구조물(11)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별도의 하부 지지 구조 없이 긴 스팬(Span)을 갖는 다리(Bridge)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트러스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 사이(예로써, 10층)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해체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해체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100)는, 해체되지 않은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르레부(110)와, 플랫폼 구조물(15)에 고정 설치되는 움직도르레부(130)와, 고정도르레부(110)와 움직도르레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도 4에 도시된 좌우측 메인 구조물(11) 중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 설치된 해체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 내지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도르레부(110)는,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도르레부(130)는 플랫폼 구조물(15)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개의 움직도르레부(130) 각각은, 와이어(150)가 고정도르레(111)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제1 및 제2 움직도르레(131,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50)는, 일단부가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와 움직도르레부(130)를 서로 연결하고, 타단부는 와이어(150)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전동 윈치(W)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움직도르레부(130)의 개수는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111)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와이어(150)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와이어(150)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 중 와이어(150)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113)를 경유하여 움직도르레부(130)와 전동 윈치(W)를 연결함으로써,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은 와이어(150)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지지되고, 전동 윈치(W)를 이용한 와이어(150)의 풀림에 의해 플랫폼 구조물(15)을 하부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150)는, 일단부가 메인 구조물(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움직도르레(131), 고정도르레(111), 및 제2 움직도르레(133)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 중 와이어(150)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113)를 경유하여 제2 움직도르레(131)와 전동 윈치(W)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와이어(150)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150)는, 도 2에 도시된 정면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메인 구조물(11)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메인 구조물(11)의 우측부에서 고정도르레(113)를 경유하여 전동 윈치(W)와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랫폼 구조물(15)의 크기 또는 작업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와이어(150)는, 일단부가 메인 구조물(11)의 좌우측부 중 어느 하나에 와이어(150)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113)를 경유하여 전동 윈치(W)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구조물(11)로부터 분리된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은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 및 움직도르레부(130)에 의해 분산되어 전동 윈치(W)로 전달되며, 전동 윈치(W)에 전달되는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은 고정도르레(111)의 개수에 반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100)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와 움직도르레부(130)를 단일의 와이어(150)로 연결함으로써, 복합 도르레 구조를 통한 하중 분산 효과로 윈치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50)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이 움직도르레부(130) 각각에 균등하게 전달되어 발판 구조물(10)의 해체 과정에서 플랫폼 구조물(15)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정인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100)는, 메인 구조물(11)로부터 분리(또는,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15)뿐만 아니라, 발판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자재들과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단열층 형성 또는 유지보수 작업 등에 사용되는 도구나 장비 등을 승강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체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해체장치(100a)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플랫폼 구조물(15)을 하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메인 구조물(11)과 플랫폼 구조물(15)에 고정도르레와 움직도르레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도르레와 움직도르레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150)가 한 쌍의 와이어부재(150a, 150b)로 이루어지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한 쌍의 와이어부재(150a, 150b) 각각은, 서로 마주 보는 방향, 즉 메인 구조물(11)의 대략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메인 구조물(11)의 좌우측에서 한 쌍의 전동 윈치(W)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전동 윈치(W)는 와이어부재(150a, 150b)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해체과정에서 플랫폼 구조물(15)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전동 윈치(W)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해체장치(100a)는, 한 쌍의 와이어부재(150a, 150b)를 전동 윈치(W)에 각각 연결하여,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단일의 와이어(150)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로 플랫폼 구조물(15)의 이송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해체장치(100a)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저장탱크(1)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메인 구조물(11) 상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어의 개수는 플랫폼 구조물(15)의 크기 또는 작업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체장치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체장치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발판 구조물(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 내부의 양측 벽면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메인 구조물(11)과, 메인 구조물(11)의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은, 해체되지 않은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일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를 설치하는 단계와, 플랫폼 구조물(15)에 움직도르레부(130)를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와 움직도르레부(1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150)를 설치하는 단계와, 메인 구조물(11)로부터 플랫폼 구조물(15)을 분리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50)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와이어(150)의 일단부를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와 움직도르레부(130)를 서로 연결하며, 타단부는 와이어(150)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된 전동 윈치(W)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메인 구조물(11)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플랫폼 구조물(15)을 하부로 이송하는 단계에서, 플랫폼 구조물(15)의 하중의 와이어(150)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지지되고, 전동 원치(W)를 이용한 와이어(150)의 풀림에 의해 플랫폼 구조물(15)을 하부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어(150)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 중 와이어(150)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113)를 경유하여 움직도르레부(130)와 전동 윈치(W)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고정도르레(111, 113)와, 움직도르레부(130), 와이어(150)를 설치하는데 대략 8시간 정도 소요되며,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15)을 하부로 이송하는데 대략 4분이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층 시공 내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된 발판 구조물의 해체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및 고소작업의 최소화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구조물의 해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움직도르레부를 단일의 와이어로 연결함으로써, 복합 도르레 구조를 통한 하중 분산 효과로 윈치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플랫폼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되, 해체된 플랫폼 구조물의 하중이 움직도르레부 각각에 균등하게 전달되어 발판 구조물의 해체 과정에서 플랫폼 구조물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정인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뿐만 아니라, 육상에 설치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액화가스 저장탱크
10: 발판 구조물
11: 메인 구조물
13: 서포팅 구조물
15: 플랫폼 구조물
100: 해체장치
110: 고정도르레부
111, 113: 고정도르레
130: 움직도르레부
131: 제1 움직도르레
133: 제2 움직도르레
150: 와이어
W: 전동 윈치

Claims (10)

  1.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양측 벽면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과, 상기 메인 구조물의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장치로서,
    해체되지 않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르레부;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움직도르레부;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전동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전동 윈치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도르레부는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레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 중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움직도르레부와 상기 전동 윈치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구조물 상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단일의 와이어로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레부는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움직도르레부 각각은,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제1 및 제2 움직도르레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메인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움직도르레, 상기 고정도르레, 및 상기 제2 움직도르레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움직도르레, 상기 고정도르레, 및 상기 제2 움직도르레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 중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움직도르레와 상기 전동 윈치를 연결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도르레부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부재 각각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정면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 구조물의 좌우측에서 한 쌍으로 마련된 상기 전동 윈치에 각각 연결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8.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양측 벽면 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층을 이루는 메인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으로서,
    해체되지 않은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일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도르레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구조물에 움직도르레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구조물로부터 상기 플랫폼 구조물을 분리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를 상기 메인 구조물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서로 연결하며,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해 마련된 전동 윈치에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구조물 상단부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와 상기 움직도르레부를 단일의 와이어로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구조물을 분리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구조물의 하중은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동 윈치를 이용한 상기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 상기 플랫폼 구조물을 하부로 이송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도르레 중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는 고정도르레를 경유하여 상기 움직도르레부와 상기 전동 윈치를 연결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20210046405A 2021-04-09 2021-04-09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261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05A KR102610363B1 (ko) 2021-04-09 2021-04-09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20230119600A KR102638285B1 (ko) 2021-04-09 2023-09-08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05A KR102610363B1 (ko) 2021-04-09 2021-04-09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9600A Division KR102638285B1 (ko) 2021-04-09 2023-09-08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06A KR20220140206A (ko) 2022-10-18
KR102610363B1 true KR102610363B1 (ko) 2023-12-06

Family

ID=838036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05A KR102610363B1 (ko) 2021-04-09 2021-04-09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20230119600A KR102638285B1 (ko) 2021-04-09 2023-09-08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9600A KR102638285B1 (ko) 2021-04-09 2023-09-08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03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47B1 (ko) * 2007-11-15 2010-03-17 박동원 트러스 상판 해체 장치 및 방법
KR100947452B1 (ko) * 2008-03-26 2010-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755A (ko) 2023-09-18
KR102638285B1 (ko) 2024-02-19
KR20220140206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65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운반선
US8671863B2 (en) Hull conversion of existing vessels for tank integration
KR101049230B1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용기
US2003010632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gas
JP7382975B2 (ja) 液体ドームの組み立て方法
US8091494B2 (en) Liquefied gas tank with a central hub in the bottom structure
KR102132069B1 (ko) 트러스 비계 시스템
EP2247888A1 (en) A liquefied gas tank with a central hub in the bottom structure
KR10261036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WO2010069910A2 (en) Method for cooling a hydrocarbon stream and a floating vessel therefor
KR20210027350A (ko) 액화 가스 스프레이 장치가 장착된 적재 및/또는 하역 타워
KR20100081027A (ko) 상시 검사 및 수리 가능한 lng 저장탱크 및 상기 lng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N105644722A (zh) 压缩天然气运输船
KR102581639B1 (ko) 발판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지지방법
KR101223492B1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용기
WO2017065363A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멤브레인 용접을 위한 멤브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용접장치 가이드 시스템
KR101818524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고정장치
KR101041783B1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용기
KR20120043305A (ko) 액화가스 운반선용 펌프타워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1064576B1 (ko) 열교환기 분리형 천연가스 액화 장치
KR20220170140A (ko) 발판 구조물용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20230083564A (ko)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방법
KR200469781Y1 (ko) Lng 저장탱크 유지보수용 발판구조체
KR20100010368U (ko) Lng 저장탱크의 하부경사면 유지보수용 발판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