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866B1 -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866B1
KR102608866B1 KR1020220069081A KR20220069081A KR102608866B1 KR 102608866 B1 KR102608866 B1 KR 102608866B1 KR 1020220069081 A KR1020220069081 A KR 1020220069081A KR 20220069081 A KR20220069081 A KR 20220069081A KR 102608866 B1 KR102608866 B1 KR 10260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onitoring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동
최혜정
김명수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Priority to KR102022006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의 결과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포함된 적응지수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적응지수에 부합하도록 모니터링 레벨을 조정하여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DIGITAL THERAPEUTICS FOR IMPROVING CANCER TREATMENT ADHEREN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암 치료의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OVID-19 시대에 접어들면서 모든 생활에 있어서 비대면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에 병원은 면역력이 약한 다수의 환자들이 드나들고 코로나 진료까지 진행하게 됨에 따라 코로나 전염 위험이 매우 높은 공간으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을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환자가 직접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하기에 부담을 가지게 됨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비대면 진료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탑, 랩탑, 스마트폰 등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질병을 자가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 가이드나 원격으로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받을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 대상 중 항암 치료의 경우, 항암제 투여 이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환자들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항암 치료는 환자의 치료 부위, 현재 건강상태, 병력, 약물이상반응 과거력, 정신건강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그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종래의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이러한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일률적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환자 개개인에 대한 순응도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965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복약 또는 치료 이후의 행동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환자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암 치료에 대한 환자 개인별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치료약을 투여했거나 특수한 치료방법을 수행한 경우에 각각의 상황에 따른 환자의 적응도를 체크하고, 적응도가 저하된 경우 모니터링의 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항암 치료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환자 개인별 특성에 맞게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모니터링 과정에서 이상 행동, 부작용 등이 감지되었을 시 즉각적으로 대응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항암제 투여 또는 치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의 결과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포함된 적응지수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적응지수에 부합하도록 모니터링 레벨을 조정하여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전자장치로 확인 질문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발생여부 및 발현 레벨에 관한 응답을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발현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초과하거나, 상기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전자장치로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움직임 정보, 실시간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상기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응지수는, 치료약 종류, 투여 또는 복용횟수, 투여 또는 복용량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적응지수와, 치료방법 종류, 치료 빈도수, 치료 시간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적응지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레벨은, 상기 카테고리별 적응지수의 분포 범위 및 가중치에 기초하여 구분된 복수 개의 모니터링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모니터링 레벨은 각각 고유의 모니터링 시간, 주기, 활성 장치 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포함된 적응지수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적응지수에 부합하도록 모니터링 레벨을 조정하여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복약 또는 치료 이후의 행동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환자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암 치료에 대한 환자 개인별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면, 환자에게 치료약을 투여했거나 특수한 치료방법을 수행한 경우에 각각의 상황에 따른 환자의 적응도를 체크하고, 적응도가 저하된 경우 모니터링의 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항암 치료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환자 개인별 특성에 맞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면, 환자의 모니터링 과정에서 이상 행동, 부작용 등이 감지되었을 시 즉각적으로 대응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항암제 투여 또는 치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flow-chart)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 서버, 모니터링 장치, 제2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시퀀스도(sequence-chart)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 설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들)와 제2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예컨대, "명령(command)", "명령어(instruction)", "제어 정보", "메시지", "정보", "데이터", "패킷", "데이터 패킷", "인텐트(intent)" 및/또는 "신호"는 그 표현에 구애됨 없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사상이나 구체적인 전기적 표현(예: 디지털 부호/아날로그 물리량)을 포함하거나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거된 예시적인 표현이 사용하게 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은 본 문서에서 개시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 "A가 B보다 크다"는 단순히 "A가 B보다 크다"는 의미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A가 B보다 같거나 크다"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50, 이하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장치(110)은 환자(예를 들어, 암환자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장치(130)은 의료 전문가(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병원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이거나, 환자의 보호자(예를 들어, 가족, 간병인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제1 전자장치(110)과 제2 전자장치(13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장치(110)또는 제2 전자장치(1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서버(150)는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제1 사용자의 원격 치료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10)와 제2 전자장치(130) 상호 간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내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는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혹은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50)는 개인 또는 기업에 의해 제작되어 운영되는 자체 어플리케이션(APP)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사용자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데이터는 질병, 설문조사답변, 혈당, 식사량, 운동량, 수면시간, 복약시간, 복약주기, 이동거리, 사용자의 전자건강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등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되는 사용자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의 성별, 연령, 키, 체중, ID, 주소 등과 같은 개인의 기본적인 정보뿐 아니라 의료 기관에서 진료받은 전자건강기록 데이터, 건강검진 데이터 등에 대한 정보를 제1 전자장치(110)를 활용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활용하여 유전자 정보, 가족력, 질환, 식단, 운동량,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데이터는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응지수란 환자의 특정한 약물이나 치료방법 등에 대한 부작용이 낮고,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 수치를 나타낸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된 적응지수의 초기값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기본값일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의료진 등이 개입하여 환자별 특성을 고려한 적응지수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응지수가 서버(150)에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적응지수를 설정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응도에 따라 1 내지 10의 값이 설정되는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환자가 느끼는 부작용의 정도가 적고 효과가 높을수록 10에 가까운 적응지수가 설정되고, 부작용의 정도가 크고 효과가 낮을수록 1에 가까운 적응지수가 설정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치료약 투여 또는 복용의 상황이나, 특수한 치료방법이 수행된 상황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응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항암제 X의 투여 이후 제1 사용자가 구토 등의 이상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항암제 X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를 기존 값보다 하향 보정할 수 있다. 반대로, 서버(150)는 항암 치료방법 Y의 수행 이후 제1 사용자가 5시간동안 이상 상태를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항암 치료방법 Y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를 기존 값보다 상향 보정할 수 있다.
적응지수는 카테고리별로 설정된 복수 개의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약 종류, 투여 또는 복용횟수, 투여 또는 복용량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적응지수가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치료방법 종류, 치료 빈도수, 치료 시간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적응지수가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치료약 Z의 복용횟수가 일 3회씩, 회당 400mg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1이 설정될 수 있고, 제1 사용자가 상기한 복용법에 따라 치료약 Z를 복용했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의 정도 및 약의 효과 정도에 따라 카테고리 1에 대한 적응지수가 설정 및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모니터링데이터는 제1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움직임 정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 도 2에 도시됨)로부터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는 다양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는 제1 사용자의 혈압, 혈당 수치, 체중, 맥박, 심전도 등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동의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수면시간, 이동거리 등을 체크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는 전술한 혈압 등의 다양한 생체 정보, 움직임 정보 등을 감지하여 서버(150)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70)는 전술한 정보를 제1 전자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고, 제1 전자장치(110)가 이를 전달받아 서버(1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150)가 사용자데이터 및 모니터링데이터를 분석하여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이후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데이터 및 모니터링데이터를 데이터항목별로 서로 상이하고 암호화된 키(이하, 암호화키)로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상기 암호화키를 사용자별, 데이터 항목별, 저장시점별로 등록할 수 있다. 서버(150)는 키관리(KEY Vault)를 활용하여 상기 암호화키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azure key vault, oracle key vault 등을 활용하여 해당 암호화키를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50)는 HSM(hardware security module)를 활용하여 암호화키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서버(150)는 데이터항목, 암호화키,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실 데이터정보 및 메타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하나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데이터항목, 암호화키,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사용자정보 등과 해당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50)는 복수의 트랜잭션들과 블록해더(Block Header)를 포함하여 하나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해더는 해당블록해시값, 이전블록(pre-block) 해시값, 머클루트(merkle root) 해시값, 버전(Version)정보, 타임(time)정보, 넌스(nouce)정보, 난이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는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복수의 노드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상에 저장될 정보를 공동으로 검증하고, 그 검증된 정보를 해당 네트워크에 기록 및 공유함으로써 공인된 제3자에 의존하지 않고, 위의 기록된 정보의 무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식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퀀텀, 메디블록 등과 같은 종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갖는 특성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 퍼블릭(public)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혼합형 네트워크 등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발생했거나, 이상 상태의 발현 정도가 극심하거나,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110)를 통한 응답메시지가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130)는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보유한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고, 이때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 제1 사용자의 부작용 형태, 발현 정도, 응급 출동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130)는 제1 사용자의 가족, 간병인 등의 보호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고, 이때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로 제1 사용자의 부작용 형태, 긴급 확인 필요여부, 가능한 응급처치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모니터링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70)는 필요에 따라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모니터링 장치(170)는 제1 사용자를 포함하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 장치(170)는 제1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주기, 혈압, 체온 등의 생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는 의료측정기구 또는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 장치(170)는 제1 사용자의 관절 포인트의 이동 속도 및 거리, 정지 상태의 지속 시간, 수면 상태, 운동 상태 등의 움직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는 액션 캠(action-cam), 모션 감지장치 또는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70)는 제1 사용자의 비명이나 불규칙한 호흡 소리 등을 녹음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거나, 제1 사용자의 발작이나 마비 등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를 포함한 환자의 사생활 침해 방지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녹음 또는 촬영된 음성, 이미지, 영상은 서버(150)의 이상 상태 판단에 필요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서버(150) 내에서 영구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7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전자장치(11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 전자장치(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170) 중에서 제1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는 제1 전자장치(110)의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70) 중에서 제1 사용자의 심박수 등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 워치는 제1 전자장치(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스마트 워치가 수집된 생체 정보를 제1 전자장치(110)로 전달한 후 제1 전자장치(110)가 서버(150)로 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버(150)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는 버스(210), 디스플레이(220), 통신회로(230), 데이터베이스(240), 메모리(250), I/O 인터페이스(26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버(15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는 서버(150)의 구성요소들(210, 220, 230, 240, 250, 260, 2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버스(210)는 구성요소들(220 내지 27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버스(210)는 구성요소들(220 내지 270) 간의 통신(예를 들면,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각종 콘텐츠를 구성하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혹은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펜 혹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혹은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0)는 액정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기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서버(150)에 포함되어 구현되거나, 서버(150)와 별도로 구현되되 상기 서버(150)에 기능적(operatively)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회로(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한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과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회로(230)는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와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 및 위험 알림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회로(230)는 제1 전자장치(110) 및 제2 전자장치(130)와 치료약 또는 치료방법의 부작용 관리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제1 사용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에 활용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음성,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검출 및 분석되는 사용자의 행동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40)에는 항암제의 부작용 관리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240)는 암환자의 신상 정보, 설문 정보, 투여 항암제 정보 및 그에 대한 부작용 정보, 암환자의 진단 정보 및 피드백 정보 등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40)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240)를 내부에 포함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24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는 PROMs(Patient Reported Outcome Measures)의 방식을 통해 항암 치료 부작용을 체계화하여 시스템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고객의 민감한 정보이므로, 상기 정보들의 이용에 관한 보안성 향상을 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4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되면, 데이터베이스(240)에 포함된 정보의 전송, 수정(modification), 삭제, 추가 등의 이력은 당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더욱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서버(150)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혹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5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270)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패키지 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60)는 사용자 혹은 다른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혹은 데이터를 서버(15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60)는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외부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단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중앙처리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혹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버스(210)를 통하여 메모리(250), 디스플레이(220) 및 통신회로(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 중에, 메모리(250)에 저장된 명령어, 프로그램 혹은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명령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은 프로세서(27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사용자의 치료약 투여 또는 복용의 상황이나, 특수한 치료방법이 수행된 상황에서,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가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이용하여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모니터링데이터 및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하고,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적응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보정된 적응지수에 부합하도록 모니터링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조정된 모니터링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전자장치(130)로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발생했거나, 이상 상태의 발현 정도가 극심하거나,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110)를 통한 응답메시지가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전술한 상황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전자장치(130)로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flow-chart)이다.
단계 S401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제1 사용자의 부작용 발생 여부 등에 대한 체크에 활용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장치(170)가 제1 전자장치(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경우, 서버(15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에서 제1 전자장치(110)로 전달된 모니터링데이터를 제1 전자장치(11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모니터링데이터는 제1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움직임 정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는 제1 사용자의 혈압, 혈당 수치, 체중, 맥박, 심전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제1 사용자의 관절 움직임, 수면상태, 수면시간, 운동상태, 운동량, 이동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데이터는, 제1 사용자의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비명이나 과호흡 소리에 대한 음성, 발작이나 실신 상태에 관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3에 따르면, 서버(150)는 모니터링 데이터 및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행동상태란 제1 사용자의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중에서 치료약의 투여 또는 특수한 치료방법의 수행 이후에 새롭게 나타난 신호 또는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평상 시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에서 측정되지 않았던 새로운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이 검출되면, 이를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로 판단하고 그 새로운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405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상태란 환자에게 치료약이 투여되었거나 특수한 치료방법이 수행되었을 때,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여 환자의 생체 신호 또는 외부 행동으로 표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상태는 제1 사용자의 발열, 기침, 통증, 경련, 발작, 구토, 실신, 심정지 등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가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데이터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이용하여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상태 검출조건이란 제1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움직임 정보 등이 환자의 특정한 부작용에 대한 증거가 될 때,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서버(150)에 미리 저장된 조건을 의미한다. 서버(150)는 모니터링데이터 중에서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에는 “고열”이라는 부작용의 이상 상태 검출조건이 “측정 체온 39°C 이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모니터링 장치(170)로부터 39°C 이상의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고열"에 의한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7에 따르면, 서버(150)는 이상 상태의 검출 여부에 따라 적응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사용자데이터는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응지수란 환자의 특정한 약물이나 치료방법 등에 대한 부작용이 낮고,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된 적응지수의 초기값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기본값일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의료진 등이 개입하여 환자별 특성을 고려한 적응지수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응지수가 서버(150)에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적응지수는 치료약 각각에 대한 카테고리별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고, 치료방법 각각에 대한 카테고리별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응지수는 치료약 종류, 투여 또는 복용횟수, 투여 또는 복용량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치료약 Z의 복용횟수가 일 3회씩, 회당 400mg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1이 설정될 수 있고, 서버(150)에는 제1 사용자가 상기한 복용법에 따라 치료약 Z를 복용했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의 정도 및 약의 효과 정도에 따라 카테고리 1에 대한 적응지수가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치료약 카테고리별 적응지수의 초기값은 동일군 환자의 평균적인 적응지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적응지수는 치료방법 종류, 치료 빈도수, 치료 시간 정보에 따른 카테고리별 적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치료방법 A의 치료 빈도수가 월 1회이고, 치료 시간이 1시간인 경우에 대한 카테고리 2가 설정될 수 있고, 서버(150)에는 제1 사용자가 상기한 정보에 따라 치료방법 A에 의한 치료를 받았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의 정도 및 치료의 효과 정도에 따라 카테고리 2에 대한 적응지수가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치료방법 카테고리별 적응지수의 초기값은 동일군 환자의 평균적인 적응지수를 적용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치료약 투여 또는 복용의 상황이나, 특수한 치료방법이 수행된 상황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응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치료약이 투여된 이후 제1 사용자가 구토 등의 이상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치료약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를 기존 값보다 하향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치료방법의 수행 이후 제1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이상 상태를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치료방법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를 기존 값보다 상향 보정할 수 있다.
단계 S409에 따르면, 서버(150)는 보정된 적응지수에 부합하도록 모니터링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데이터는 모니터링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레벨이란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강도에 대한 상대적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모니터링 레벨을 설정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환자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1 내지 10의 값이 설정되는 방식일 수 있다. 복수 개로 구분된 모니터링 레벨은 각각 고유의 모니터링 시간, 주기, 활성 장치 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가 항암제 B에 대한 부작용이 항상 높게 나타남에 따라 항암제 B에 대한 낮은 적응지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한 항암제 B의 모니터링 레벨은 1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모니터링 레벨은 1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치료약 및 치료방법별 모니터링 레벨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저장된 모니터링 레벨의 초기값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기본값일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의료진 등이 개입하여 환자별 특성을 고려한 치료약 및 치료방법별 모니터링 레벨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설정된 모니터링 레벨이 서버(150)에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 레벨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단계 S411에 따르면, 서버(150)는 모니터링 수행 시간, 주기, 활성 장치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15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를 통한 모니터링의 강도를 설정된 모니터링 레벨에 부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용자에 대한 항암제 B의 모니터링 레벨이 높은 경우,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전부 수집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모니터링 장치(170)에 의하여 모니터링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니터링 시간은 항암제 B의 투여 이후 10시간동안 길게 이루어지고, 모니터링 주기는 5분마다 자주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사용자에 대한 항암제 C의 모니터링 레벨이 낮은 경우,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에 의하여 모니터링데이터의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모니터링 시간은 항암제 C의 투여 이후 2시간동안 짧게 이루어지고, 모니터링 주기는 20분마다 낮은 빈도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치료약 및 치료방법별로 설정된 모니터링 레벨에 따라 모니터링 강도를 조정하여 제어함으로써,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대비가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위험이 적은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데이터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니터링 레벨은 카테고리별 적응지수의 분포 범위 및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모니터링 레벨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치료약 D의 투약 횟수 변화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 변화가 큰 경우에, 서버(150)는 각 투약 횟수에 대한 카테고리별 적응지수의 분포가 큰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 카테고리별 모니터링 레벨의 격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치료약 D의 1회 투약량보다 투약 횟수 변화에 따른 제1 사용자의 적응지수 변화가 큰 경우에, 서버(150)는 1회 투약량에 대한 카테고리별 모니터링 레벨보다 투약 횟수에 대한 카테고리별 모니터링 레벨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그 카테고리 간의 모니터링 레벨 격차가 더 크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 서버, 모니터링 장치, 제2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시퀀스도(sequence-chart)이다.
단계 S501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170)는 서버(150)로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170)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받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모니터링 장치(170) 중에서 카메라로부터 제1 사용자의 치료약 복용 후 1시간 동안의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503에 따르면, 서버(150)는 모니터링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505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분석한 결과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7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제1 전자장치(110)로 확인 질문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확인 질문메시지는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서버(150)가 검출한 것과 동일한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예컨대, 확인 질문메시지는 “환자분의 고열 상태가 검출되었습니다. 맞습니까?”라는 질문을 포함할 수 있고, “열감의 정도는 1에서 10까지의 수치 중 어느 정도입니까?”라는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9에 따르면, 제1 전자장치(110)는 서버(150)로부터 제공받은 확인 질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제1 전자장치(110)를 통해 응답메시지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응답메시지는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발생여부 및 발현 레벨에 관한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응답메시지는 “네. 고열 상태가 맞습니다.”라는 이상 상태 발생여부에 관한 응답과, “열감의 정도는 8입니다.”라는 발현 레벨에 관한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11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응답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서버(150)가 응답메시지를 분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질문메시지 및 응답메시지의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항목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자연어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응답의 내용을 구별할 수도 있다.
단계 S513에 따르면, 서버(150)는 발현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초과하거나,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작용에 대한 발현 레벨의 기준 레벨은 서버(15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심박수 증가”의 부작용에 대한 기준 레벨은 “심박수 분당 140회”로 설정될 수 있고,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심박수가 분당 140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응답메시지의 미수신 대기 시간에 대한 기준시간은 서버(15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시간은 “1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로 확인 질문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1시간동안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15에 따르면, 서버(150)는 제2 전자장치(130)에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50)는 발현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초과하거나,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전자장치(130)로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제1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 레벨인 140회를 초과하거나, 응답메시지가 기준시간인 1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제2 전자장치(130)에 제1 사용자의 부작용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제2 전자장치(130)를 보유한 경우, 제2 전자장치(130)로 “환자의 심박수가 너무 높은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응급 출동 필요합니다.”라는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50)는 환자의 보호자가 제2 전자장치(130)를 보유한 경우, 제2 전자장치(130)로 “환자의 심박수 증가 이후 1시간 동안 응답이 오지 않습니다. 신속한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라는 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서버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 설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나타낸 예시는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해 환자의 중증도(Triage)에 기반하여 생성된 설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설문 정보는 항암제에 의해 발생 또는 예측되는 질환, 증상 항목들에 따라 PROMs를 수행할 수 있는 페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페이지는 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반드시 체크해야 할 환자의 항목들을 차례대로 열거하여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는 이러한 설문 정보에 대한 페이지들의 합산 항목에 따른 진단 정확도에 따라 분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진료 과목, 전문 과목을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문 정보의 페이지에 따라 부가된 위험도 가중치 산출을 통해 비대면 진료에 적합하지 않는 고위험군 환자를 선별하여 의료진에게 경고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설문 정보는 제1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직접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설문 정보는 제1 전자장치(110)에 인체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1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통증 부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설문 정보는 설문 문항(410) 하에서 복수의 선택지들을 단일 또는 중복으로 선택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설문 문항(410) 별로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거나, 선택지(420a, 420b) 별로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b)에서 제1 사용자가 당뇨에 대한 객체(420a)를 선택하는 경우에 가중치를 1.0으로 부여할 수 있고, 뇌혈관계 질환에 대한 객체(420b)를 선택하는 경우에 가중치를 1.2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를 참조하면, 설문 정보는 미리 구성된 설문 문항 및 선택지 외에 제1 사용자가 직접 증상이나 투여 중인 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외에 사진도 첨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증상이나 약에 대한 정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에 설문 정보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가 제1 전자장치(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500)을 통해 설문 정보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10)로부터의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5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진단 정보(520)는 code D, code C, code B1-B3, code A, code S의 등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50)는 진단 정보(520)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피드백 정보(510)를 획득하여 제1 전자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피드백 정보(510)는 지침 미제공, 지침 제공, 경과 관찰, 확인 중, 진료 전/진료 중/진료 완료, 앱 피드백, 알람 피드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에게 SMS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510)를 제공할 수 있다. 혹은, 서버(150)는 제1 전자장치(110)에 SNS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5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50)는 설문 정보(예를 들면, 복통에 관한 대질문/중질문 등)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환자)의 진단 정보를 등급으로 나누어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등급에 따라 적합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제1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전자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방법에서 피드백 정보는 프로세스 정보(610), 부작용 정보(620), 증상 정보(630) 및 가이드 정보(6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정보(610)는 현재 항암제의 부작용 레벨에 따라 제1 사용자(환자)에게 필요한 의료 프로세스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정보(610)는 비대면 모니터링, 진료 시스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작용 정보(620)는 현재 치료 중인 항암제들에 따라 각기 다른 부작용들을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작용 정보(620)는 정기적으로 제2 사용자에게 보고해야 할 증상을 정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증상은 중요도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작용 정보(620)는 다음 항암 시작일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주요 부작용, 다음 항암 시작일에 영향을 덜 미치나 항암치료 전체 일정 완수에서 중요한 부작용, 다음 항암 시작일에 영향을 덜 미치나 삶의 질(신체의 외형 또는 기능 변화)을 저하시키는 부작용, 기타 보고된 항암제 관련 부작용, 증상 정도 변화의 추이가 중요한 증상(통증, 피로, 어지러움 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증상 정보(630)는 현재 항암제의 부작용 레벨에 따른 로직으로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장치(130)의 대쉬보드에 실시간 알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증상 정보(630)는 각 부작용에 대해 심각, 중간, 경미 등에 따라 상이한 형태(예: 색상 등)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항암 시작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부작용들을 사전에 필터링하여 선제적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환자에 대한 항암 순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가이드 정보(640)는 항암제의 부작용 레벨에 따라 각각의 치료 방법 및 과정에 대해 피드백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정보(640)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사용자의 각 증상 별로 적절한 처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처방에 대한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생활 습관, 항암제 투여 용량, 주기, 식단, 운동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방법은, 예를 들어 CTCAE ver 5.0 기준으로 부작용 레벨을 5단계로 분류하고, 부작용 레벨에 따라 안심(경과관찰), 대증적 치료, 전담 간호사 비대면 상담, 의료진 비대면 진료 등 4단계의 분류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 정보나 피드백 정보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방법에서 제2 전자장치(13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원격 치료 방법에서 제2 전자장치(130)에 표시되는 대쉬보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대쉬보드는 제1 정보 내지 제7 정보(710 내지 7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710)는 제1 사용자의 제1 전자장치(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500)과 실시간 연동되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알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정보(710)는 환자의 신상 정보, 암 진행 상태, 항암제 투여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720)는 암의 성질 및 항암제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설정을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경우 제2 정보(720)는 유방암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제3 정보(730)는 항암제 합병증 관련 모니터링이 필요한 혈액검사 소견 등을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제3 정보(730)는 클라우드 상 데이터의 인풋 및 아웃풋 이루어져 대학병원과 개인의원 간의 검사결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4 정보(740)는 현재 제1 사용자에게 투여되는 항암제의 종류에 따라 항암제 일정 또는 용량 감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부작용들을 맵핑하여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4 정보(740)는 제2 사용자가 환자의 부작용 증상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텍스트와 그래프 등의 형태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정보(750)는 진단 등급(예를 들면, CTCAE 레벨)에 따라 비대면 모니터링 또는 비대면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모듈이나 다운로드가 필요 없이 즉각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행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서는 비대면 모니터링 상태를 준비/대기/진료/완료의 단계로 표시할 수 있다.
제6 정보(760)는 현재 제1 사용자와 동일 환자 유형군에 대해 다른 의료진들은 어떤 약제, 검사 등을 처방하였는지 의료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제6 정보(760)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처방 별로 사용 퍼센티지를 표시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7 정보(770)는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정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7 정보(770)는 수많은 개별 항암제의 부작용과 치료방법을 제2 사용자가 모두 기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CTCAE 기준에 따라 각 부작용들의 레벨마다 평가 기준, 관리 및 치료법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s)는 제1 전자장치(110)와 대응될 수 있으며, 환자의 웨어러블 헬스 디바이스(wearable health deivces)는 모니터링 장치(170)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의사, 간호사)의 웹 접속이 가능한 환경은 제2 전자장치(130)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캔모어 시스템은 서버(150)와 대응될 수 있고,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베이스(240)와 대응될 수 있다. 환자 서비스 서버 및 의료진 서비스 서버는 프로세스(270)와 대응될 수 있으며, 환자 서비스 서버 및 의료진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스(27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1000)은 MCU(1010), 메모리(1020), 입출력 I/F(1030) 및 통신 I/F(1040)를 포함할 수 있다.
MCU(101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되어 있는 항암제의 부작용 관리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예를 들면, 설문 정보 제공 프로그램, 진단 정보 생성 프로그램, 피드백 정보 생성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키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설문 정보, 응답 정보, 진단 정보, 피드백 정보 등 여러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술한 도 3에 나타낸 서버(150)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1020)는 항암제의 부작용 관리 등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0)는 클라이언트(예를 들면, 제1 전자장치(110), 제2 전자장치(130) 등)로부터 수신한 설문 정보, 응답 정보, 진단 정보, 피드백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020)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1020)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1020)는 RAM,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1020)는 ROM, PROM, EA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메모리(1020)들의 예를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 I/F(10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미도시)와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의 출력 장치와 MCU(1010) 사이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1040)는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I/F(1040)를 통해 별도로 마련된 외부 서버로부터 항암제의 부작용 관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1020)에 기록되고, MCU(101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3에서 도시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복약 또는 치료 이후의 행동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환자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암 치료에 대한 환자 개인별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면, 환자에게 치료약을 투여했거나 특수한 치료방법을 수행한 경우에 각각의 상황에 따른 환자의 적응도를 체크하고, 적응도가 저하된 경우 모니터링의 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항암 치료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환자 개인별 특성에 맞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면, 환자의 모니터링 과정에서 이상 행동, 부작용 등이 감지되었을 시 즉각적으로 대응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항암제 투여 또는 치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 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 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서버, 혹은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장치, 외부 장치, 웨어러블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가정용 로봇,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항암제에 의해 발생 가능한 증상에 관한 설문 정보를 제1 전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문 정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응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응답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진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와 동일한 유형을 갖는 다른 환자들에게 제2 사용자와는 다른 의료진들이 제공한 피드백 정보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인 제2 전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사용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 상기 제1 사용자의 생체 신호 혹은 움직임 중에서 치료약의 투여 혹은 특수한 치료방법의 수행 이후에 새롭게 나타난 신호 혹은 움직임 - 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의 결과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 중에서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검출된 것이 맞는지 확인을 위하여 제1 전자장치로 확인 질문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발생여부 및 발현 레벨에 관한 응답을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이상 상태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데이터에 포함된 적응지수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적응지수에 부합하도록 모니터링 레벨을 조정하여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발현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초과하거나, 상기 응답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진단 정보에 따른 위험 등급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전자장치에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적응지수는,
    치료약 종류, 투여 또는 복용횟수, 투여 또는 복용량 정보에 따른 제1 적응지수와, 치료방법 종류, 치료 빈도수, 치료 시간 정보에 따른 제2 적응지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레벨은,
    상기 제1 적응지수 및 상기 제2 적응지수 각각의 분포 범위 및 가중치에 기초하여 구분된 복수 개의 모니터링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모니터링 레벨은 각각 고유의 모니터링 시간, 주기, 활성 장치 수를 갖으며,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움직임 정보, 실시간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중에서 상기 이상 상태 검출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행동상태를 상기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상기 진단 정보와 상기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설정된 복수의 등급으로 구성되는
    원격 치료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69081A 2022-06-07 2022-06-07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0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81A KR102608866B1 (ko) 2022-06-07 2022-06-07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81A KR102608866B1 (ko) 2022-06-07 2022-06-07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866B1 true KR102608866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081A KR102608866B1 (ko) 2022-06-07 2022-06-07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869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200107159A (ko) * 2019-03-06 2020-09-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200136950A (ko) * 2018-03-23 2020-12-08 바이오사인즈 피티이 리미티드 개인화된 약물 치료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650B1 (ko) 2020-10-28 2021-05-10 주식회사 한국지에스티 개인별 복약패턴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869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200136950A (ko) * 2018-03-23 2020-12-08 바이오사인즈 피티이 리미티드 개인화된 약물 치료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7159A (ko) * 2019-03-06 2020-09-1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249650B1 (ko) 2020-10-28 2021-05-10 주식회사 한국지에스티 개인별 복약패턴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92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medical devices
US10664572B2 (en) Recommendations for health benefit resources
JP6568851B2 (ja) 患者ケアの提供を容易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90355447A1 (en) Devices and method for a healthcare collaboration space
US10811130B2 (en) Pulse oximeter integration for evaluating and updating a drug administration schedule using effectiveness rating
US20160157735A1 (en) Techniques for near real time wellness monitoring using a wrist-worn device
US20190221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iagnosis and treatment
US20180322946A1 (en) Healthcare Actionable Intelligence Data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S20210050098A1 (en) Post-Operative Monitoring Via Patient Reported Outcomes
AU2015301787A1 (en) Electronically predicting corrective options based on a sense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CA3010910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US20140156297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pharmacist-assisted treatment of patients
WO20191361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lthcare service
CN111344796A (zh) 患者监测系统及相关推荐方法
CN113825442A (zh) 人群健康平台
WO2019209831A1 (en) Clinician/patient data input an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2608866B1 (ko)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58521B1 (ko) 사용자 건강정보를 고려한 해결책 추천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287081B1 (ko)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KR102542675B1 (ko)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서버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150062843A (ko)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스마트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Reamer et al. Continuous Remote Patient Monitor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ascade Study): Protocol for a Mixed Methods Feasibility Study
WO2024024316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学習モデル生成方法
KR20220135387A (ko) 사용자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를 자동작성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JP20230759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