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859B1 -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859B1
KR102608859B1 KR1020230002956A KR20230002956A KR102608859B1 KR 102608859 B1 KR102608859 B1 KR 102608859B1 KR 1020230002956 A KR1020230002956 A KR 1020230002956A KR 20230002956 A KR20230002956 A KR 20230002956A KR 102608859 B1 KR102608859 B1 KR 10260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server
processor
mark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엽
김덕용
박민혁
Original Assignee
우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승엽 filed Critical 우승엽
Priority to KR102023000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의 판매 상품에 대한 상품 통합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싱 마켓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 정보를 판매 마켓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ONLINE MARKET MANAGEMENT INTEGRATED PLATFORM}
본 발명은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온라인 쇼핑몰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가 쇼핑몰을 통해 다수의 구매자들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다수의 쇼핑몰 정보를 모아서 제공하는 오픈 마켓의 형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쿠팡이나, 티몬 또는 위메프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인 소셜 커머스의 형태도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종래에는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을 개설하고, 다양한 광고들을 통하여 다수의 소비자들을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할 수 있게 유도하곤 하였으나, 최근에는 쿠팡, 티몬, 위메프, 옥션, 지마켓, 11번가 등 다수의 오픈 마켓 내지 다수의 소셜 커머스 등의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오픈 마켓이나 소셜 커머스에 접속한 후, 상품을 선택하거나 쇼핑몰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즉,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면서도, 한 번에 복수의 오픈 마켓이나 소셜 커머스(이하, 오픈 마켓 으로 통합하여 지칭함)에서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록하여 판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오픈 마켓의 경우 여러 판매자들이 자신의 상품을 제한 없이 등록하여 판매하거나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상품 노출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판매자가 여러 오픈 마켓에 동일한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히 자신의 상품을 자신의 쇼핑몰이나 오픈 마켓에 등록하여 판매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이베이나 아마존과 같은 소스 마켓으로부터 상품을 가져다가 판매하는 방식도 성행하고 있다. 다만, 상품 정보 중 상품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다 등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저작권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품 이미지 등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목적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의 판매 상품에 대한 상품 통합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싱 마켓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 정보를 판매 마켓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소싱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이 업로드된 웹페이지 각각의 소스코드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재고 수량을 획득하고, 획득된 재고 수량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고, 평가된 상기 신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재고 수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 마켓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싱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 문의 내역, 리뷰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 내역, 상기 문의 내역, 상기 리뷰 내역을 상기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싱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의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판매 마켓 서버에 업로드할 등록 상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된 상기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3D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정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좌측면 이미지, 우측면 이미지, 상단 이미지, 하단 이미지, 분해도, 입체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정면 이미지, 상기 후면 이미지, 상기 좌측면 이미지, 상기 우측면 이미지, 상기 상단 이미지, 상기 하단 이미지, 상기 분해도, 상기 입체도를 상기 판매 마켓 서버에 업로드할 등록 상품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플랫폼으로 다수의 마켓에 대한 상품 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서 판매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소싱 마켓으로부터 상품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다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성된 이미지를 상품 이미지로 사용하므로 저작 이슈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통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품 통합 관리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 내용에 관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소싱 마켓 서버로부터 획득 내지 수신된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재생성된 이미지를 판매 마켓 서버에 등록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상품 통합 관리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통합 관리 시스템(10)은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 소싱 마켓 서버(101), 판매 마켓 서버(102), 판매자 단말(200), 구매자 단말(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동작들은 서버(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플랫폼(예: 웹 페이지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 내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하고, 출력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소싱 마켓 서버(sourcing market server)(101)(예: 해외 쇼핑몰(e-bay, amazon 등)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획득된 상품 정보에 대하여 상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 재고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변동되는 가격 정보, 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소싱 마켓 서버(101)는 판매자가 대행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판매자가 소스를 얻어와서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루트에 상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품 정보를 판매 마켓(예: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 수정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판매 마켓(예: 판매 마켓 서버(102))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 및 문의 내역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주문 내역 및 문의 내역을 판매자 단말(200) 및 구매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수집된 주문이 해외 주문인 경우 상기 주문에 대한 통관고유부호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수집된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마켓에 등록될 당시와 현재 가격변동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집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싱 마켓 서버(101)를 통해 상품을 주문 요청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주문 요청 후 배송대행지 주문서를 등록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판매자, 구매자) 요청에 의하여 배송 조회를 할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기 상품에 대한 배송이 해외 배송인 경우, 국내 통관 및 국내 배송 통화 조회를 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은 오픈 마켓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혹은 본인의 개인 쇼핑몰을 운영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은 PC,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태블릿, 태블릿 PC 등 컴퓨팅 기능을 가진 통상의 단말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 상품 정보, 주문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된 판매자의 회원 정보, 상품 정보, 주문 정보를 기초로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에서는 각 판매자 단말(200)에서 관리되는 웹사이트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는 판매자의 오픈마켓 웹사이트 서버 내지 개인 홈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재고 수량을 표시하거나, 품절 상태, 공지 사항 등을 기재하는 직접 개입을 수행하거나 판매자의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정보만을 오픈마켓 웹사이트 서버 내지 개인 홈 쇼핑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은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에 판매하려는 상품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은 상기 요청에 대한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의 승인을 받은 경우, 상품의 상품 정보를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상품의 이름, 상품의 가격, 상품의 홍보 문구, 상품 키워드, 상품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판매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판매자 단말(200)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300)은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하는 단말기로서, 이는 구매자가 판매 마켓 서버(102)에 접속하여 상품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을 결제하여 구매할 수 있다. 판매 마켓 서버(102)는 판매자의 상품을 마케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판매자의 온라인 상품을 구매자에게 홍보하거나 추천하여 거래가 촉진되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300)은 구매 처리를 위한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구매 처리를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 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300)은 판매 마켓 서버(102)에서 제공하는 상품들을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구매자는 상기 구매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상품을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 및 구매자 단말(3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다.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 구매자 단말(300) 및 판매자 단말(200)은 각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5G 등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내용에 관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싱 마켓 서버(101)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판매 마켓 서버(102)(예: 적어도 하나의 오픈 마켓(또는, 오픈 마켓 서버로 지칭) 또는 개인 쇼핑몰(또는, 오픈 마켓 서버로 지칭))에 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각 소싱 마켓 서버(101)에서의 재고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고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판매 마켓 서버(102)에 통합 반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판매자의 입력에 따라 소싱 마켓 서버(101)와 판매 마켓 서버(102)를 매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매자의 입력에 따라 A마켓으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마켓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A마켓과 제1 마켓을 매칭하고, B 마켓으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마켓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B 마켓과 제2 마켓을 매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판매자의 입력에 따라 판매 마켓 서버(102)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명칭이나, 색상, 사이즈 등의 옵션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상품의 명칭이나, 색상, 사이즈 등의 정보를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품 정보를 판매 마켓(예: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정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판매 마켓(예: 판매 마켓 서버(102))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 및 문의 내역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주문 내역 및 문의 내역을 판매자 단말(200) 및 구매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로부터 상품 명칭 정보,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색상 정보, 상품 리뷰 정보, 상품 재고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 명칭 정보, 상품 가격 정보, 상품 색상 정보, 상품 리뷰 정보, 상품 재고 정보 등을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싱 마켓 서버(101)로부터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여, 판매 마켓 서버(102)에 상품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로부터 획득한 상품 이미지를 그대로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된 상품 이미지에 기반한 재생성 이미지를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면에서 기술될 수 있다.
도 3은 소싱 마켓 서버(101)로부터 획득 내지 수신된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재생성된 이미지를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10)는 소스 마켓 서버(100)로부터 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획득된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할 등록 상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기 상품 이미지에 대응하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3D 이미지에 기반하여 판매 마켓 서버(102)에 등록할 등록 상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3D 이미지 생성 가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품 이미지만으로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업로드된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기 상품의 상품 종류, 업로드된 상기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전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및/또는 측면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10)는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상품 모형을 크롤링하거나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상기 상품 종류가 가방인 경우, 가방에 해당할 수 있는 다수의 모형들을 추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추측된 상기 모형들에 상기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전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및/또는 측면 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추측된 모형들 중 상기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전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및/또는 측면 이미지와 매칭되는 하나의 추측 모형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모형 및 상기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전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및/또는 측면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포함된 전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및/또는 측면 이미지 각각에서 라인을 검출하고, 검출된 라인에 따른 폐영역(closed resion)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폐영역들 별로 RGB 값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모형에 폐영역들을 결합시키고, 추출된 RGB 값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품 이미지만으로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업로드된 상품 이미지 및 획득된 추가 이미지에 기반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들이 미리 설정된 개수(예: 2개) 이하의 이미지거나 임계 해상도 이하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상품 이미지만으로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상품 모델명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다른 이미지들을 크롤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10)는 오픈 소스 검색 엔진에 상기 상품 모델명을 서칭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다른 이미지를 다운로드 내지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10)는 소싱 마켓 서버(101)에 업로드된 상기 제1 상품 이미지 및 상기 제1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상품 모델명에 기반하여 검색된 제2 상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생성된 3D 이미지를 다각도로 분해한 2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싱 마켓에 등록된 상품 이미지가 전면 이미지와 후면 이미지 밖에 없었다고 하더라도, 프로세서(110)는 3D 이미지를 통해 전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뿐만 아니라 좌측면 이미지, 우측면 이미지, 상단 이미지 및 하단 이미지를 포함한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또한, 단순히 상품만의 이미지가 아니라, 상품을 더욱 잘 나타낼 수 있는 객체를 생성하여, 상품과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상기 2D 이미지를 홍보하는 모습의 아바타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아바타와 상기 2D 이미지를 나타낸 제3 상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품이 TV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단순히 3D 이미지를 통해 2D TV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TV 선반 객체를 생성하여, TV 및 TV 선반이 포함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품 이미지로부터 상품 모델명을 추출함에 있어서, 상품에 대한 영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이미지 내에 있는 다른 객체(사람, 다른 제품)에 의하여 상품을 검출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10)는 효과적으로 상품을 검출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영상 데이터를 인공 신경망에 입력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통해 검출된 상품에 대한 모델명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공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객체 식별 알고리즘인 SSD(Single Shot Detector), R-CNN(Region with CNN) 또는 YOLO(you only look once)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상품에 대한 영상 데이터에 따른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을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할 수 있으며,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은 인공 신경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많은 수의 인공 뉴런(또는, 노드)들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인 시스템의 계산 능력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현된 예측 모델이다.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은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 학습부에 의해서 '상품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서 인식된 상품에 대하여 라벨링된 데이터'을 이용하여 지도 학습될 수 있다. 이때 지도 학습이란, 입력값과 그에 따른 출력값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주어진 입력값에 따른 출력값을 찾는 학습을 의미하며, 정답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라벨링된 데이터는 상품의 모델명을 라벨링한 데이터일 수 있다. 지도 학습에 주어지는 입력값과 출력값 세트를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라고 한다. 즉, 상술한 ' 상품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라벨링된 데이터 '는 각각 입력값과 출력값으로서,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의 지도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10)는 미리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된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모델명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도학습된 상기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크기의 입력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의 출력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모델명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식별된 상품의 모델명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모델명에 기초하여 상품의 스펙(SPEC; specification)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펙 정보는 상품의 제조사에 대한 정보, 상품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포함하는 크기에 대한 정보, 상품의 중량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생성된 이미지를 판매 마켓 서버(102)에 상기 상품의 등록 상품 이미지로 업로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상품 통합 관리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서버(100)의 동작이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명령어들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서버(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도 5에 따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상품 통합 관리 서버 101: 소싱 마켓 서버
102: 판매 마켓 서버 200: 판매자 단말
300: 구매자 단말

Claims (5)

  1. 판매자의 판매 상품에 대한 상품 통합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소싱 마켓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된 상품 정보를 판매 마켓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소싱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의 제1 상품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이미지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고, 상기 제1 상품 이미지가 임계 해상도를 초과하는 이미지인 경우,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마켓 서버에 등록할 등록 상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이미지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상품 이미지가 상기 임계 해상도 이하의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모델명을 식별하는 동작;
    식별된 상기 상품 모델명을 이용하여 외부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추가 이미지들을 크롤링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제2 상품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상품 이미지와 상기 제2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 상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 모델명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상품 이미지를 지도학습된 인공신경망 기반의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에 입력 데이터로 입력하는 동작; 및
    상기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상품 모델명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신경망 기반의 상품 모델명 추측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객체 식별 알고리즘인 SSD(Single Shot Detector), R-CNN(Region with CNN) 또는 YOLO(you only look once)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마켓 서버에 등록할 등록 상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상품의 상품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종류에 대응하는 다수의 모형들을 크롤링하는 동작;
    크롤링된 상기 다수의 모형들 중 상기 제1 상품 이미지에 매칭되는 모형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정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 각각에서 라인을 검출하는 동작;
    검출된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폐영역들(closed resions)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된 상기 폐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RGB 값들을 추출하는 동작;
    결정된 상기 모형에 상기 폐영역들을 결합시키고, 추출된 상기 RGB값들을 상기 모형에 적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생성된 상기 3D 이미지를 분해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정면 이미지, 후면 이미지, 좌측면 이미지, 우측면 이미지, 상단 이미지, 및 하단 이미지를 상기 등록 상품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서버.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다수의 소싱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이 업로드된 웹페이지 각각의 소스코드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재고 수량을 획득하는 동작;
    획득된 재고 수량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는 동작; 및
    평가된 상기 신뢰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재고 수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 마켓 서버에 업로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버.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소싱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 문의 내역, 리뷰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 내역, 상기 문의 내역, 상기 리뷰 내역을 상기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서버.
  4. 삭제
  5. 삭제
KR1020230002956A 2023-01-09 2023-01-09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0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56A KR102608859B1 (ko) 2023-01-09 2023-01-09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956A KR102608859B1 (ko) 2023-01-09 2023-01-09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859B1 true KR102608859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956A KR102608859B1 (ko) 2023-01-09 2023-01-09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8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402A (ko) * 2000-01-14 2001-08-01 신병석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방법
KR20180079813A (ko) * 2017-01-02 2018-07-11 문준호 가상의 실사 제품 이미지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0035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샐러드랩 온라인 쇼핑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9132B1 (ko) * 2020-09-25 2021-10-29 주식회사 쿨앤쿨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KR20220041002A (ko) * 2020-09-24 2022-03-31 윤성민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402A (ko) * 2000-01-14 2001-08-01 신병석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방법
KR20180079813A (ko) * 2017-01-02 2018-07-11 문준호 가상의 실사 제품 이미지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0035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샐러드랩 온라인 쇼핑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1002A (ko) * 2020-09-24 2022-03-31 윤성민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9132B1 (ko) * 2020-09-25 2021-10-29 주식회사 쿨앤쿨 쇼핑몰을 위한 상품정보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102B2 (en) Matching user provided representations of items with sellers of those items
US20240028658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quality score based recommendation
US20230005039A1 (en) Matching user provided representations of items with sellers of those items
JP6802370B2 (ja) 製品タイトルの選択
CN107111591A (zh) 在设备之间传送认证的会话和状态
US11769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S e-commerce assistant
US20170270600A1 (en) Visually generated consumer product presentation
US20170098170A1 (en) Trading goods based on image processing for interest, emotion and affinity detection
US20230298069A1 (en) Promoting representations of items to users on behalf of sellers of those items
KR102505103B1 (ko) 온라인 커머스 데이터 기반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7038880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CN111967924A (zh) 商品推荐方法、商品推荐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KR102571415B1 (ko) 온라인 직거래 마케팅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0880133A (zh) 商品信息推送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608859B1 (ko) 온라인 마켓 관리 통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22523649A (ja) 購入行動を使用したリアルタイムユーザマッチング
US2014033061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pre-sale price matching
KR102354982B1 (ko)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의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026003A1 (en) Extended Commerce Platform for Organized and Unorganized Business Sectors
KR102572280B1 (ko) 전자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구매자에게 온라인 상품을 마케팅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2273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providing assistance to a user with shopping
KR102609202B1 (ko) 이커머스 기반의 콘텐츠 제작자 선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486548B1 (ko) 판매 데이터를 통한 개선점 도출 방법
CN110969435B (zh) 一种基于线下进店行为的电子凭证推送方法和装置
US20140330680A1 (en) E-commerce system that allows for seller restrictions based on social media account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