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66B1 -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66B1
KR102608666B1 KR1020187003122A KR20187003122A KR102608666B1 KR 102608666 B1 KR102608666 B1 KR 102608666B1 KR 1020187003122 A KR1020187003122 A KR 1020187003122A KR 20187003122 A KR20187003122 A KR 20187003122A KR 102608666 B1 KR102608666 B1 KR 10260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ate
drive system
optical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636A (ko
Inventor
스테판 부티농
미셸 노쉬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8003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5Fluid-filled lenses, e.g. electro-wett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s Barrel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Lens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100)에 관한 것으로: 투명 가요성 판(150); 원통형 면에 내접되는 리지(115)를 갖는 본체(110); 만곡에 의해 판(150)을 변형시키도록 리지(115)와 접촉하는 판(150)의 제2 부분과 별개인 판(150)의 제1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는 요소(160); 및 판(150)과 본체(110) 사이에 포함되는 액체(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가 또한 제안된다.

Description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본 발명은 광학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탄성막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경되고 유체로 충전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가변 배율의 렌즈가 예를 들어, 문서 EP 2 034 338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서에서, 유체의 압력을 변경하고 따라서 막을 변형시키기 위해 (기계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챔버의 체적이 달라지게 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법은 구형 형상이 막에 주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연신을 통한 막의 탄성 변형에 기반하고, 그러므로, 이러한 해결법은 주어진 광축을 따른 렌즈의 구면 도수가 달라지게 하는 것이 원해질 때, 매우 적절하다.
비점수차의 획득이 그에 반해서 그러한 시스템이 예를 들어, 불균일하고/하거나 이방성의 재료로 만들어진 막의 사용을 필요로 하므로, 그러한 시스템에서 더 복잡하다.
이러한 맥락으로, 본 발명은: 가요성 투명 플레이트; 원통형 면에 내접되는 리지를 갖는 본체; 벤딩에 의해 플레이트를 변형시키도록 리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의 제2 부분과 별개의 플레이트의 제1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는 요소; 및 플레이트와 본체 사이에 포함되는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따라서 가요성 플레이트가 리지의 형상을 더 크거나 더 작은 정도로 근접하게 추종하도록 (단방향 벤딩에 의해) 가요성 플레이트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렌즈의 광선 굴절 특성들이 변경되고 원주 광학 도수의 원하는 변화가 리지의 원통형 형상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이고 그러므로 비제한적인 특징들에 따르면:
- 요소는 리지에 대하여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부분을 압착시키도록 본체에서 병진 운동으로 인도되고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이며;
-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링은 볼트/너트 시스템에 의해 제어부와 상호 작용하며;
- 플레이트는 본체의 중심 개구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예를 들어, 렌즈의 광축에 상응하는) 중심 개구부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 리지는 중심 개구부를 둘러싸는 벽의 단부 에지에 의해 형성되며;
- 액체는 (압력 단독으로 인해) 플레이트의 (연신에 의한) 변형을 야기하기에 불충분한 압력으로 플레이트와 본체 사이에 수용되며;
- 액체는 플레이트 및 주변 탄성막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에 유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은 제1 렌즈 및 광축을 따른 구면 도수가 가변인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선택적이고 그러므로 비제한적인 특징들에 따르면:
- 구면 도수는 제2 렌즈의 기계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달라지며;
- 제1 렌즈의 본체는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 제1 구동 시스템은 제1 렌즈의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제2 구동 시스템은 제2 렌즈의 기계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제3 구동 시스템은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본체를 구동시키도록 설계되며;
- 제3 구동 시스템은 광축을 중심으로의 회전에서 본체와 공동으로 광학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며;
- 제3 구동 시스템은 제1 렌즈의 요소 및 제2 렌즈의 기계 요소와 관계 없이 본체를 구동시키도록 설계되며;
- 제1 구동 시스템 및 제2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는 수단은 본체와 제1 렌즈의 요소 사이의 주어진 상대 위치를 보존하도록 제1 구동 시스템을 조종하고, 본체와 제2 렌즈의 기계 요소 사이의 주어진 상대 위치를 보존하도록 제2 구동 시스템을 조종하도록 설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막 정의된 것과 같은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주어지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광학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광학 어셈블리의 사시 절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는 여기서 하나이고 동일한 프레임 (또는 본체)(110)의 양측 상에 각각 위치된다. 공통 프레임(110) 상에 장착되는 (투명한) 변형 불가능한 분리 플래튼(11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의 액체 충전 챔버들을 한정하고, 따라서 2개의 렌즈(100, 200)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변형예로서, 2개의 렌즈(100, 200) 중 어느 하나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 각각의 렌즈(100, 200)를 별도로 설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렌즈(100)는 제1 렌즈의 광축(X)을 따라 가변의 원주 광학 도수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제2 렌즈(200)는 제2 렌즈(200)로서는 제1 렌즈(100)의 광축(X)과 동일한 제2 렌즈(200)의 광축을 따라 가변의 구면 광학 도수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제1 렌즈(100)는 프레임 (또는 본체)(110) 및 가요성 투명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제1 (투명) 폐쇄 플레이트(130)에 의해 일단부에서 그리고 분리 플래튼(118)에 의해 타단부에서 폐쇄되는 중심 개구부(120)를 가지며; 가요성 투명 플레이트(150)는 제1 폐쇄 플레이트(130)와 분리 플래튼(118) 사이의 중심 개구부(120)에 위치된다.
프레임(110)으로 통합되는 2개의 벽은 광축(X)을 중심으로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플레이트(150)가 인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프레임(110)은 중심 개구부(120)의 주변 상에 놓여있고 축이 광축(X)에 수직이고 교차하는 원통형 면에 내접되는 리지(115)를 갖는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으로 중심 개구부(120)를 둘러싸고 자유 단부 에지가 앞서 언급한 리지(115)를 한정하는 벽(112)을 포함한다.
리지(115)의 기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벤딩에 의한)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곡률에 대한 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멈추개를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지(150)의 원통형 형상(즉, 리지(115)가 내접되는 원통형 면)은 전형적으로 대략 40 ㎜ 이하의 - 최대 원하는 원주 도수에 상응하는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갖는다.
제1 렌즈(100)는 또한 가요성 플레이트(150)에 단단히 고정되는 제1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 제어부(160)는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주변 부분에 단단히 고정된다.
제1 제어부(160)는 여기서 중심 개구부(120)를 둘러싸고 180°반대인 2개의 구역 각각과 수평의 외부 스레드를 포함하는 환형 제어 플래튼의 형태를 취한다.
제1 제어부(160)는 광축(X)을 따라 병진 운동으로 인도되도록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제어부(160)는 상기 원통형 면의 축에 수직으로 광축(X)을 따라 병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 렌즈(100)는 또한 원통형 형상이고 프레임(110) 및 제1 제어부(160)를 연결시키는 제1 탄성막(170)을 포함한다.
가요성 플레이트(150), 제1 제어부(160), 제1 탄성막(170), 중간 플래튼(118) 및 프레임(110)은 액체(190)로 충전되는 챔버를 형성한다. 여기서, 이러한 액체(190)는 문서 US8000022에 사용되는 액체, 즉(예를 들어, Rhodrosil 오일 47 타입의) 실리콘 오일과 동일하다.
프레임(110)은 챔버의 다양한 부분 사이의 액체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벽(112)에 유체의 통과를 위한 구멍들(195)을 포함한다.
제1 탄성막(17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벤딩에 의해 야기되는 액체(190)로 충전되는 챔버의 체적의 변화들을 보상하기 위해 (특히 연신에 의해) 변형되도록 설계된다. 도 2 및 도 3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막(170)은 프레임(110)의 주변 상에 위치되고 그러므로 어떤 광학 역할도 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원통형 제1 렌즈(100)는 광축(X)을 중심으로 주어진 각도를 통해 회전적으로만 움직여질 수 있는 제1 제어 링(180)을 포함한다. 제1 제어 링(180)은 광축(X) 상에 중심이 두어지고 제1 제어부(160)의 외부 스레드와 계합하는 (여기서 정사각형 단면의) 내부 스레드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링(180)은 또한 톱니 휠을 형성하고 따라서 제1 구동 시스템(미도시), 예를 들어 출력 차축이 제1 제어 링(180)의 톱니들(185)과 상호 작용하는 웜 나사를 포함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도록 제1 제어 링(180)의 주변을 죽 도는 복수의 톱니(185)를 갖는다.
더욱이 예를 들어, 프레임(110)과 제1 제어 링(180) 사이에 형성되는 단단한 멈추개에 의해 제1 제어 링(18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요성 플레이트(150)가 굽혀지고 따라서 가변의 원주 광학 도수가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션들을 이제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 제1 제어부(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배향을 고려하여) 제1 제어부(160)의 최고 위치에 즉, 제1 폐쇄 플레이트(130)에 가장 근접하게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60)의 이러한 위치에서, 가요성 플레이트(150)는 리지(115)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1 제어 링(180)이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제1 구동 시스템에 의해) 회전될 때, 제1 제어부(160)는 가요성 플레이트(150)가 프레임(110)에 단단히 고정되는 원통형 리지(115)와 접촉할 때까지, 수 도를 통해 볼트/너트 시스템을 통하여 (도 2에서의 아래쪽으로) 병진되기 시작한다(이러한 접촉은 도 2의 리지(115)의 상단(116)에서, 즉 광축(X) 및 리지(115)를 포함하는 원통형 면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먼저 발생함).
상세하게는, 제1 제어부(160)가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상기 주변 부분을 이동시키는데 반해, 이러한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다른 부분이 리지(115)와 접촉한다.
제1 제어 링(180)의 회전이 계속됨으로써, 제1 제어부(160) 및 가요성 플레이트(150)로부터 형성되는 어셈블리는 가요성 플레이트(150)가 제1 제어 링(180)의 회전의 각도와 직접 관련되는 (만곡) 반경값으로 점진적으로 굽혀지기 시작하도록 (도 2에서의 아래쪽으로, 즉 제1 폐쇄 플레이트(130)로부터 떨어져) 어셈블리의 병진 운동을 계속한다.
원통형 형상의 리지에 의해, 가요성 플레이트(150)는 우선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변형될 것이며, 이는 앞서 언급한 벤딩 반경의 값에 따른 가변 배율을 갖는 필요로 하고 있는 원통형 교정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가요성 플레이트의 변형이 원통형 면에 내접되는 리지(150)에 의해 개시된다는 사실로 인해, 이러한 원통형 교정의 축은 이러한 원통형 면의 축(즉, 프레임(110)에 대하여 고정되고 광축(X)에 수직인 축)에 상응한다.
가요성 플레이트(150)가 일반적으로 또한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이방성,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벤딩 강도 및 제1 탄성막(170)의 변형과 연관된 압력 증가에 따라 더 크거나 더 작은 크기의 제2 변형을 겪는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따라서, 가요성 플레이트(150)는 일반적으로 순전히 원통형 형상을 갖지 않고, 원환체 형상을 갖는다.
부가 구형 성분이 그 다음 여기서 후술하는 제2 렌즈(200) 상의 작용을 통하여 다른 광학 수단에 의해 가능하게는 선택적으로 보정될 것이다.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변형 동안, 액체(190)로 충전되는 챔버 내의 체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가요성 플레이트(150)의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 증가는 유용한 구역에서 비롯되는 액체(190)의 이동을 흡수하기 위해 제1 탄성막(170)이 변형되게 한다.
더욱이, (가요성 플레이트(150)에 의해 인가되는) 이러한 근소한 압력이 간극이 볼트/너트 시스템에서 제거되는 것을 보장하면서, 모션이 가역으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요컨대, 제1 구동 시스템에 의해 회전하도록 제1 제어 링(180)을 구동시킴으로써, 제1 렌즈(100)의 원주 도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달라지게 된다(원통형 교정의 축은 그에 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대하여 고정됨).
제2 렌즈(200)는 중심 개구부(220)를 갖는 홀더, 중심 개구부(220)에 수용되는 제2 탄성막(250), 제2 탄성막(250)에 단단히 고정되는 제2 제어부(260) 및 제2 제어 링(280)을 포함한다.
제2 렌즈(200)의 홀더는 여기서 제1 렌즈(110)의 프레임(110)에 단단히 고정되고 예를 들어, 제1 렌즈(110)의 프레임(110)과 단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2 제어부(260)는 여기서 3개의 인도하는 단에 의해 홀더에서 병진 운동으로 인도되도록 장착된다.
제2 제어 링(280)은 광축(X)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만 이동될 수 있고 제2 제어 링(280)의 회전 모션들 동안,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60)의 외부 스레드와 상호 작용하는 제2 제어 링(280)의 내부 스레드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너트 시스템에 의해 광축(X)을 따라 병진 운동으로 제2 제어부(260)가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탄성막(250), 제2 제어부(260), 분리 플래튼(118) 및 홀더(여기서 공통 프레임(110))는 제2 제어부(260)의 병진 운동 모션이 제2 탄성막(250)의 (연신으로의) 탄성 변형을 야기하도록 액체 충전 챔버를 형성하며, 액체 충전 챔버는 따라서 제2 제어부(260)의 위치에 따른 곡률 반경을 갖는 근본적으로 구형 형상을 채용한다.
따라서, 필요로 하고 있는 가변 구면 도수가 얻어진다.
제2 제어 링(280)은 톱니 휠을 형성하고 따라서 제2 구동 시스템(미도시), 예를 들어 출력 차축이 제2 제어 링(280)의 톱니들(285)과 상호 작용하는 웜 나사를 포함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도록 제2 제어 링(280)의 주변을 죽 도는 복수의 톱니(285)를 갖는다.
따라서, 제2 구동 시스템에 의해 회전하도록 제2 제어 링(280)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200)의 구면 도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달라지게 된다.
움직임의 전체는 구조적 간극이 없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한 제어 규칙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반대의 경우에, 막이 볼록한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지날 때, 움직임 상에 가해지는 힘들의 방향이 반전하므로, 임의의 구조적 간극이 제어 규칙을 벗어내거나 이러한 제어 규칙의 정의를 복잡하게 하는 것을 감행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도록 각각 (예를 들어, 제1 구동 시스템에 의해) 제1 제어 링(180) 및 (예를 들어, 제2 구동 시스템에 의해) 제2 제어 링(280)을 구동시킴으로써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로부터 형성되는 광학 어셈블리로 얻어지는 교정의 원주 도수 및 구면 도수를 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렌즈(100)로 얻어지는 원통형 교정의 원통축이 달라지게 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광학 어셈블리는 고정된 기준 프레임에 대하여(특히, 광학 어셈블리가 주관적 굴절력의 검사의 맥락에서 배치되는 환자의 눈에 대하여) 광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 때 예를 들어, 광학 어셈블리의 주변 상의 프레임(110)의 외부 벽 상에 제공되는 톱니들의 세트(111)에 의해 (앞서 언급한 고정된 기준 프레임에 대하여) 광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110)을 구동시키도록 설계되는 예를 들어, 제3 구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시스템, 제2 구동 시스템 및 제3 구동 시스템은 고정된 기준 프레임에 장착되고 고정된 기준 프레임에 대하여 (제3 구동 시스템으로 달성되는) 프레임(110)의 회전은 한편으로는 제1 제어 링(180)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제어 링(280)에 대하여 프레임이 회전하게 한다(이러한 2개의 제어 링(180, 280)은 제1 및 제2 구동 시스템들에 의해 구동되지 않을 때, 고정된 기준 프레임에서 움직이지 않음).
이러한 경우에, 원주 도수 및 구면 도수의 원하는 값들을 보존하기 위해 프레임(110), 제1 제어 링(180) 및 제2 제어 링(280)의 상대 위치를 보존하도록 (선택적으로 프레임(110)의 회전과 동시에) 제1 구동 시스템 및 제2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구성은 제1 구동 시스템 및 제2 구동 시스템이 프레임(110)에 강성으로 부착되고 제3 구동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기준 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후자 가능성이 또한 구상 가능하며, 이 경우에 제3 구동 시스템이 광축을 중심으로 본체와 공동으로 광학 어셈블리(특히,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를 회전시키도록 설계된다.
막 설명하였던 광학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주관적 굴절력의 검사에 사용 가능한 시력 교정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시력 교정 디바이스는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로부터 형성되는 광학 어셈블리, (회전하도록 제1 제어 링(180)을 구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앞서 언급한 제1 구동 시스템, (회전하도록 제2 제어 링(280)을 구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앞서 언급한 제2 구동 시스템, 및 (회전하도록 프레임(110)을 구동시키도록 설계되는) 앞서 언급한 제3 구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광학 어셈블리의 광축(X)은 그 때 주관적 굴절력의 검사를 받는 사람이 시력 교정 디바이스를 통해 볼 수 있는 관찰축에 상응한다.

Claims (16)

  1.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100)로서:
    - 가요성 투명 플레이트(150);
    - 원통형 면에 내접되는 리지(115)를 갖는 본체(110);
    - 상기 플레이트(150)의 제2 부분과 구분되는 상기 플레이트(150)의 제1 부분을, 상기 플레이트(150)를 벤딩시켜 변형시키도록, 상기 플레이트(150)가 상기 리지(115)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플레이트(150)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리지(115)와 접촉하게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요소(160);
    - 상기 플레이트(150)와 상기 본체(110) 사이에 수용되는 액체(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상기 리지(115)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150)의 상기 제2 부분을 압착시키도록 상기 본체(110)에서 병진 운동으로 인도되고 상기 플레이트(150)의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60)인,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링(180)은 볼트/너트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어부(160)와 상호 작용하는,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50)는 상기 본체(110)의 중심 개구부(1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중심 개구부(120)를 통과하는 축(X)을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115)는 상기 중심 개구부(120)를 둘러싸는 벽(112)의 단부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190)는 상기 플레이트(150)의 변형을 야기하기에 불충분한 압력으로 상기 플레이트(150)와 상기 본체(110) 사이에 수용되는,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190)는 상기 플레이트(150) 및 탄성막(170)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에 유지되는,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면의 축은 상기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50)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150)의 주변 부분인, 렌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렌즈인 제1 렌즈(100) 및 광축(X)을 따른 구면 도수가 가변인 제2 렌즈(200)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도수는 상기 제2 렌즈(200)의 기계 요소(280)를 이동시킴으로써 달라지는, 광학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100)의 본체(110)는 상기 광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광학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 도수는 상기 제2 렌즈(200)의 기계 요소(280)를 이동시킴으로써 달라지고,
    제1 구동 시스템은 상기 제1 렌즈(100)의 요소(160)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제2 구동 시스템은 상기 제2 렌즈(200)의 상기 기계 요소(280)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제3 구동 시스템은 상기 광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110)를 구동시키도록 설계되는, 광학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 시스템은 상기 광축(X)을 중심으로의 회전에서 상기 본체(110)와 공동으로 상기 광학 어셈블리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는, 광학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 시스템은 상기 제1 렌즈(100)의 상기 요소(160) 및 상기 제2 렌즈(200)의 상기 기계 요소(280)와 관계 없이 상기 본체(110)를 구동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1 구동 시스템 및 상기 제2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본체(110)와 상기 제1 렌즈(100)의 상기 요소(160) 사이의 주어진 상대 위치를 보존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시스템을 조종하고, 상기 본체(110)와 상기 제2 렌즈(200)의 상기 기계 요소(280) 사이의 주어진 상대 위치를 보존하도록 상기 제2 구동 시스템을 조종하도록 설계되는, 광학 어셈블리.
  16. 제13항에 청구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KR1020187003122A 2015-08-04 2016-08-04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KR102608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7532 2015-08-04
FR1557532A FR3039901B1 (fr) 2015-08-04 2015-08-04 Lentille de puissance optique variable, ensemble optique comprenant une telle lentille et dispositif de compensation visuel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optique
PCT/FR2016/052032 WO2017021663A1 (fr) 2015-08-04 2016-08-04 Lentille de puissance optique variable, ensemble optique comprenant une telle lentille et dispositif de compensation visuel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636A KR20180039636A (ko) 2018-04-18
KR102608666B1 true KR102608666B1 (ko) 2023-12-01

Family

ID=5502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22A KR102608666B1 (ko) 2015-08-04 2016-08-04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34936B2 (ko)
EP (1) EP3332275B1 (ko)
JP (1) JP2018525673A (ko)
KR (1) KR102608666B1 (ko)
CN (1) CN107923998B (ko)
FR (1) FR3039901B1 (ko)
IL (1) IL257180B2 (ko)
WO (1) WO2017021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410B1 (ko) * 2017-06-30 2024-01-11 폴라이트 에이에스에이 적응형 렌즈
EP3598211A1 (en) 2018-07-20 2020-01-2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value of a global sensitivity parameter of a subject, methods using this value and system for determining said value
CN110989056B (zh) * 2019-11-25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挤压式液体透镜及镜头模组
CN110927836A (zh) * 2019-12-06 2020-03-27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螺纹直线超声电机的薄膜型可变焦透镜
CN111110182B (zh) * 2019-12-27 2022-05-27 河北工业职业技术学院 视力检测用镜组结构和视力检测方法
EP3881752A1 (en) 2020-03-20 2021-09-22 Essilor International System for determining a subjective value of an optical feature of at least a corrective lens adapted to an eye of a subject and associated method
EP3910398B1 (en) * 2020-05-13 2023-11-01 Essilor International Three-state optical art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8357A1 (en) * 2005-05-14 2010-08-19 Holochip Corporation Fluidic lens with reduced optical aber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3059B (en) * 1985-11-05 1989-09-27 Michel Treisman Suspension system for a flexible optical membrane
JPS62239106A (ja) * 1986-04-11 1987-10-20 Canon Inc 可変焦点光学素子
US5229885A (en) * 1991-09-03 1993-07-20 Quaglia Lawrence D Infinitely variable focal power lens units precisely matched to varying distances by radar and electronics
EP2034338A1 (en) 2007-08-11 2009-03-11 ETH Zurich Liquid Lens System
FR3016705B1 (fr) * 2014-01-20 2017-06-16 Essilor Int Systeme de compensation visuelle et dispositif binoculaire d'optometri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8357A1 (en) * 2005-05-14 2010-08-19 Holochip Corporation Fluidic lens with reduced optical aber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0232A1 (en) 2018-07-26
WO2017021663A1 (fr) 2017-02-09
CN107923998B (zh) 2020-03-24
FR3039901B1 (fr) 2017-09-08
IL257180B2 (en) 2023-09-01
EP3332275B1 (fr) 2020-03-25
IL257180A (en) 2018-03-29
FR3039901A1 (fr) 2017-02-10
EP3332275A1 (fr) 2018-06-13
IL257180B1 (en) 2023-05-01
US10634936B2 (en) 2020-04-28
KR20180039636A (ko) 2018-04-18
CN107923998A (zh) 2018-04-17
JP2018525673A (ja)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666B1 (ko) 가변 광학 배율의 렌즈, 그러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어셈블리 및 그러한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시력 교정 디바이스
RU2605521C2 (ru) Линзы, заполненные жидкостью, и их исполнительные системы
JP7050199B2 (ja) 視力測定装置、かかる装置を含む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KR101993117B1 (ko) 유체-충전된 렌즈 및 그의 안과적 적용
KR102320825B1 (ko) 시각 보정 시스템 및 시력 측정 쌍안 디바이스
US8154810B2 (en) Optical assemblies for adjusting working distance and field of view in an imaging system
BR112019027960A2 (pt) lente adaptativa
US8503875B2 (en) Fluidic viewfinder device
KR20170042659A (ko) 매크로 렌즈
TW200706916A (en) Variable lens
CN112236713A (zh) 紧凑的可变聚焦配置
US20170153442A1 (en) Lens Barrel And Loupe
CN102667532A (zh) 流体填充透镜及其膨胀机构
KR101090015B1 (ko) 렌즈 시스템 어셈블리
TWI424211B (zh) 彈性體透鏡與可撓性影像感測元件之整合裝置
WO2021137149A2 (en) Adaptive optical device
EP4194906A2 (en) Optical device and tuning unit for the optical device
RU150314U1 (ru) Очки
JP7252243B2 (ja) 内部にスロットを備えたレンズ系用のカム
KR20230111772A (ko) 대물렌즈의 편심조정이 가능한 휴대용 현미경 및 3차원 이미지 수득용 휴대용 현미경
Zou et al. MEMS tunable optics
Yongchao et al. MEMS tunable opticsLiquid and solid methods
CN118151413A (zh) 一种新型可调焦距镜片结构及眼镜
Rawicz et al. Optical Properties of a Radially Tensioned Liquid-Filled Flexible Lens
PL196280B1 (pl) Sposób wykonania zespolonego wkładu optycznego do urządzeń o zmiennych właściwościach optycznych oraz takie urządze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