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84B1 -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 - Google Patents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84B1
KR102608484B1 KR1020180123234A KR20180123234A KR102608484B1 KR 102608484 B1 KR102608484 B1 KR 102608484B1 KR 1020180123234 A KR1020180123234 A KR 1020180123234A KR 20180123234 A KR20180123234 A KR 20180123234A KR 102608484 B1 KR102608484 B1 KR 10260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mney
removable basket
removable
basket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477A (ko
Inventor
빌프리트 바이쓰
세실 플레
Original Assignee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filed Critical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Publication of KR2019004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8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 B01J8/0085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promoting uninterrupted fluid flow, e.g. by filtering out particles in front of the catalyst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with liquid as a fluidis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4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4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2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a cylindrical shape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78Feeding reactive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7/00Crack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to obtain lower boiling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9/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10G45/02, C10G45/32, C10G45/44, C10G45/58 or C10G47/00
    • C10G49/002Apparatus for fixed bed hydrotreatmen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2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r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805Details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814Details of the particulate material the particulate material being provides in prefill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2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with stationary particles
    • B01J2208/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2Details relating to 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f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01J2219/322Basic shape of the elements
    • B01J2219/32279Tub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2Details relating to 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f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01J2219/322Basic shape of the elements
    • B01J2219/32293Cubes or cubic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2Details relating to 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f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01J2219/33Details relating to the packing elements in general
    • B01J2219/3306Dimensions or size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2Details relating to 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f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01J2219/332Details relating to the flow of the phases
    • B01J2219/3322Co-current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9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with stationary packing material in the bed, e.g. bricks, wire rings, baff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37Hydrocarbon fractions
    • C10G2300/1044Heavy gasoline or naphtha having a boiling range of about 100 - 180 °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수평한 베이스 (1) 및 복수의 수직한 측벽들 (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원형 측벽 및, 하부 단부 (5) 및 상부 단부 (6) 에서 개방하는 복수의 수직 침니들 (3, 4) 을 포함하고, 각각의 침니는,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 단부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 (7) 을 포함하고, 제 1 침니는 상기 측벽들 (2) 위로 연장하는 상부 부분 (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침니의 상기 상부 부분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하는 여과 및 분배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반응기, 및 상기 반응기를 이용한 수소화처리 및/또는 수소화분해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REMOVABLE BASKET FOR CATALYTIC REACTOR}
본 명세서는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화학 반응기에서의 기체 및 액체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반응기는, 고압 수소 유동을 필요로 하고 고체 입자를 막히게 함으로써 형성된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는 중질 액체 공급원료로 작동하는 수소화처리와 같은 정제 분야에서 사용된다.
실제로, 특정 경우에, 수소화처리에 필요한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수소가 풍부한 가스와 액체 공급원료의 혼합물 또는 액체 공급원료는 촉매 베드 자체에 디포짓팅될 수 있는 불순물을 함유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촉매 베드의 틈새 부피를 감소시키고, 압력 강하의 점진적 증가를 가져온다. 극단적인 경우, 특히 사이클의 끝에서, 압력 강하의 매우 급격한 증가로 나타나는 촉매 베드의 막힘이 주목되며, 따라서 반응기를 통과하는 흐름을 방해한다.
압력 강하는 작동자가 반응기를 멈추고 촉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교체해야 하는 것과 같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물론 프로세스의 사이클 기간의 상당한 감소를 가져온다.
막음 공급원료 중에서, 무시할 수 없는 비율의 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아세틸렌 또는 디엔 화합물, 또는 이들 상이한 화합물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으며, 공급원료 내의 불포화 화합물의 총 비율은 90 중량% 에 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관련된 공급원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열분해 가솔린이 언급될 수 있다; 열분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열분해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중질 탄화수소 컷, 특히 가스오일, 진공 가스오일, 대기 잔류물 또는 진공 잔류물, 및 탈아스팔트 오일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중질 컷은 원유를 직접 증류하는 것으로부터 또는 비스브레이킹, 코킹, 탈아스팔트화, 접촉 분해 또는 수소화 분해와 같은 전환 공정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전술한 중질 탄화수소 컷은 또한, 다양한 불순물, 특히 퇴적물 (예: IP 375 및 390 으로 측정됨), 금속 (예: Ni, V, Fe, Ca 등)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촉매 베드의 막힘에 기여할 수 있는 철 또는 칼슘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공급원료가 수소와 접촉하게 될 때에 추가 불순물이 공급원료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Fe 황화물은 공급원료에 함유된 Fe (예: 나프테네이트 유형의 미네랄 또는 유기물) 로부터 현장에서 형성될 수 있다. 잔류물 타입의 컷은 또한, 코크스의 전구체로서 종종 기술되는 화학적 화합물인 아스팔텐을 함유한다.
촉매 베드의 일부의 차단은 여러 가지 메커니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공급원료 유동 내의 입자의 존재는 촉매 베드 내에서의 입자의 디포짓에 의해 차단을 가져오며, 이 디포짓은 보이드 비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간접적으로, 화학 반응으로부터 유래한 생성물, 전형적으로 코크스 층의 형성 (그러나, 가능하게는 공급원료에 존재하는 불순물로부터 유래된 다른 고체 생성물, 촉매 입자의 표면 상에 디포짓팅된 생성물) 은 촉매 베드의 보이드 비율의 감소에 또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막힘 입자의 디포지션이 다소 불규칙한 방식으로 촉매 베드 내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촉매 베드의 보이드 비율의 불균일한 분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우선 경로의 생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경로는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극단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왜냐하면 촉매 베드 내에서의 상들의 균일한 유동을 다소간 심각하게 중단시키거나, 온도 (예: 반경 온도차, 핫 스폿) 에 대하여 뿐만아니라 화학 반응의 진행에 불균일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촉매 베드의 조기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해결책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해결책은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된 여과 시스템의 사용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헌이 언급될 수 있다.
문헌 FR 2889973 은 여과 매체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따라서 하류에 배치된 촉매 베드에 대한 여과, 및 기체 및 액체의 분배의 기능을 제공하는 분배기 트레이를 기술한다. FR 2889973 에 따른 여과 분배기 트레이는 여과 베드의 중간에 천공된 구멍 (또는 슬롯) 을 갖는 침니를 포함하는데, 이는 여과 베드가 구멍 근처에서 막히는 경우에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여과 베드가 차단되면 두 가지의 결과로 침니의 차단이 유발될 수 있다: 분배기 트레이 아래의 액체 유동의 분포의 불균형, 및 여과 베드에 붙어서 그와 응집된 침니로 분배기 트레이를 제거하는 동안에 침니에 손상을 줄 위험.
문헌 FR 2959677 은 여과 입자를 함유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세트를 기술하고 있고, 이들 바스켓은 분배기 트레이를 수반하지 않고서 여과 장치의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분배기 트레이 상에 배치된다. 바스켓 시스템의 기계적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볼트작업 또는 체결 시스템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어, 장착 및 해체 작업을 복잡하게 한다.
문헌 FR 2996465 는 상부의 천공된 여과 지지체 및 분배 침니가 구비된 분배기 트레이를 포함하는 기체 및 액체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한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고, 여과 지지체 상에는 여과 베드가 배치되고 이 여과 베드를 통해 분배기 트레이의 침니가 통과한다. 여과 지지체는 나사결합 시스템에 의해 또는 지지체와 분배기 트레이 사이에 위치한 엘보우 피스에 의해 분배기 트레이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 시스템의 수행에 있어서의 주요 어려움은 필터 매체를 채우는 데 있는데, 이는 일단 반응기에 지지체를 설치하면, 특히 시스템의 해체 동안에 행해져야 하며, 이는 반응기 내부에서 미리 지지체를 비우는 것과 관련되고, 필터 매체의 응집 (또는 케이킹) 의 경우에 더욱 더 어렵게 만든다.
문헌 FR 3043339 는 침니가 고정되고 여과 바스켓이 배치되는 분배기 트레이를 포함하는 여과 및 분배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으며, 각 바스켓은 여과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분배기 트레이의 침니와 협력작동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제한된 두께의 여과 매체만을 포함하며, 따라서 여과 기능의 수명이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적층가능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을 제공하여, 특히 여러 개의 여과 베드들이 중첩될 수 있게 하고, 반응기의 상부 베이스 아래에 위치한 공간의 보다 나은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분배기 트레이의 하류에 위치한 촉매 베드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은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의 고정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되기에 적합할 수 있는,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여과 매체를 수용 및 보유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베이스 및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타원형 측벽 및
하부 단부 및 상부 단부에서 개방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침니들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기체 및 액체에 대해 침투성이고,
각각의 침니는,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 단부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침니는 상기 측벽들 위로 연장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침니의 상기 상부 부분은 (예를 들어, 제 1 양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 내에서) 동일한 유형의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침니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 제 1 침니는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이 쌓이면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반응기의 상부 베이스 아래의 공간과 같이, 반응기의 촉매 베드의 상류에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수 개의 줄들 (tiers) 을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 베드의 막힘 위험이 주로 상부 줄들의 레벨에 배치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과 관련이 있다면, 막혀 있는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추가 바스켓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대체를 위해 접근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바스켓의 막힘은 여과 기능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고 하류 바스켓에서의 유체의 재분배를 유발한다. 제 1 침니는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적층 및 층형성 중에 구조적 보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침니가 제공된다면, 여과 베드의 차단시에 유체의 흐름도 개선된다. 따라서, 반응기의 중앙부에서의 기체의 분포가 증가되어, 촉매 베드 내에서의 상 흐름의 균일성이 개선된다. 또한, 여과 베드가 막히게 되면, 액체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벽을 따라 위로 흘러 나올 수 있고, 그 다음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외측에서 두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 사이의 공간으로 넘치고, 그리고/또는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으로 흘러 들어가고, 그리고/또는 기체와 함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로 흘러 들어가, 분배기 트레이 아래에서 유체의 균형 분배를 유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의 일부는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과 반응기의 벽 사이의 환형 공간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침니의 상부 부분의 높이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의 하부 부분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제 1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제 2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 상에 배치되어서, 제 1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가 제 2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들 상에 놓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침니 (예를 들어, 침니의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 은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를 형성하고,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의 하부 부분의 직경은 제 1 침니의 상부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침니의 제조 단계가 감소되고 가스의 유동이 최적화된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상부 부분이 제 1 양태에 따른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에 삽입되기에 적절하다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또한 측벽들 위로 연장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침니를 포함하며, 제 2 침니의 상부 부분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하부 부분에 (예를 들어, 제 1 양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침니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 또한 벽들 위에서 연장되므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줄들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의 구조적 완전성 및 바스켓들의 중첩을 위한 안내가 개선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침니의 상부 부분의 높이는 제 1 침니의 하부 부분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침니의 하부 부분의 직경은 제 2 침니의 상부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적어도 3 개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스켓은 삼각형 프리즘, 직육면체 (예를 들어, 정사각형), 육각형 프리즘 등의 형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3 개의 측벽들은 삼각형 프리즘을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4 개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4 개의 측벽들은 직사각형 (예컨대, 정사각형) 평행육면체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6 개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6 개의 측벽들은 육각형 프리즘을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타원형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은 원형 실린더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2 개의 인접한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들로 이루어지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4 개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을 포함하며, 제 1 침니 및 제 2 침니 각각은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들 중의 하나의 중심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인접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것과 수직인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거가능한 바스켓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남겨지는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2 개의 대향하는 제 1 측벽들은 2 개의 인접한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2 개의 측벽들의 폭의 2 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침니 및 제 2 침니의 상부 부분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많은 가능한 배향이 얻어지기 때문에,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줄들의 적층이 용이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침니 및 제 2 침니의 상부 부분의 높이는 상이하다. 따라서 바스켓들은 사전 규정된 배향에 따라 그들의 적층을 제한하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침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측벽의 높이의 2 배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침니의 상부 부분의 높이는 측벽의 높이보다 실질적으로 작거나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복수의 침니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체를 침투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침니들의 상부 단부는 여과 매체의 층 위에 위치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액체는 여과 베드를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안내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복수의 침니의 상부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서, 특히 여과되지 않은 액체가 바스켓의 기체의 통과를 위해 침니로 스플래싱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및/또는 측벽은 주변 보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구조적 완전성이 보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및/또는 측벽은 예를 들어 구멍이 천공된 금속 플레이트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존슨 (Johnson) 유형의 금속 스크린과 같은 오픈워크 (openwork) 분리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스크린 또는 구멍의 메시의 크기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 매체의 구성 요소들의 평균 치수보다 엄격하게 작도록 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다루기 위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부착 지점을 구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벽 및 침니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벽 및 침니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요소에 연결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구조적 완전성이 강화되고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여과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여과 매체의 상부 층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천공된 보호 스크린을 포함한다. 따라서, 여과 매체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내부에 배치된 채로 유지되고, 반응기의 취급 단계 및 조작 단계 중에 배출되지 않는다. 특히, 보호 스크린은, 여과 매체로 채워진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여과 매체의 손실없이, 반응기 (예를 들어, 검사 해치) 에 형성된 출구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배향됨으로써 회수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을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구조적 완전성이 보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결 요소는 제거가능한 바스켓과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탭 (예를 들어, 플레이트) 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결 요소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액체는 2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 사이가 아니라 여과 베드를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안내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반응기의 천공된 트레이의 분배 수단 상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고,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천공된 트레이의 분배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와 협력작동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천공된 트레이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면, 장착 및 해체 작업은 여전히 용이해진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은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의 고정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되기에 적합할 수 있는,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여과 매체를 수용 및 보유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베이스 및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타원형 측벽 및
하부 단부 및 상부 단부에서 개방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침니들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기체 및 액체에 대해 침투성이고,
각각의 침니는,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 단부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침니는 상기 측벽들 위로 연장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침니의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관형인 형상을 가져서, 제 1 침니의 상부 부분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의 하부 부분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형상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 1 양태에 따른 모든 실시형태는 제 2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적용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는 측벽 위로 연장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침니의 하부 부분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제 2 침니의 상부 부분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둘러쌀 수 있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뿐만 아니라 다른 장점은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의 고정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한 장치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에서 개방하는, 선택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수직 침니와 같은, 분배 수단이 위에 고정되는 수평 평면에서 연장하는 천공된 트레이, 및
상기 분배 수단 상에 배치된 제 1 양태 및/또는 제 2 양태에 따른 복수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수단은 적어도 그 높이의 일부에 걸쳐 개구들을 구비한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대한 지지 기능 외에도, 천공된 트레이의 분배 수단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설치 중에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과 및 분배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여과 매체에 의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로딩이 반응기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에서 유래하는데, 이는 조작을 용이하게하고 크게 가속화하며, 후자는 로딩된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천공된 트레이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또한, 각각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여과 입자의 높이는 바스켓 단위로 (basket by basket) 매우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배 수단은 디플렉터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 디플렉터 요소는, 특히,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지지할 수 있게 하고, 분배 수단의 상부 단부를 폐쇄할 수 있게 하고, 액상이 분배 수단의 상부 단부의 개구를 통해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기상이 분배 수단의 상부 부분의 측 영역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반응기의 천공된 트레이의 분배 수단 상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고,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천공된 트레이의 분배 수단과 협력작동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분배 수단 상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줄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줄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줄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가 천공된 트레이의 분배 수단들 중 하나에 대해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분배 수단의 디플렉터 요소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와 분배 수단 사이에서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여과 및 분배 장치를 통한 기체의 접근이 용이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가 분배 수단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와 천공된 트레이 사이의 수집 공간에서 기체와 액체의 혼합물이 용이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동일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인접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동일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인접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연속적인 줄들의 구조적 완전성이 강화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일련의 피라미드형 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반응기의 상부 베이스 아래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반응기의 이용가능한 공간을 최적화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은 분배 수단과 협력작동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은 분배 수단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에 고정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부 단부가 폐쇄되고 하부 단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튜브는 분배 수단을 수용하고 그 위에 놓이기에 적합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브는 분배 수단 내에서 기상이 확산될 수 있도록 그 상부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브는 액상에 대해 침투성이며, 임의로 여과 매체로 구성된 고상을 보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브는 여과 매체의 레벨에서 축적된 액상이 분배 수단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그 높이에 걸쳐 다공성이다. 예를 들어, 개구들은 개구들 사이에서 규칙적인 피치로 튜브의 높이에 걸쳐 분포된다. 대안적으로, 튜브는 예를 들어 존슨 유형의 천공된 스크린으로부터 제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에 고정되고 분배 수단과 협력작동하도록 구성된 부착 수단을 갖춘 복수의 수직 아암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여과 및 분배 장치의 주변부에 위치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곡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는, 특히, 설치되는 반응기 벽의 만곡에 일치할 수 있는 여과 및 분배 장치를 생산하여 반응기의 단면을 콤팩트한 방식으로 덮을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2 개의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바스켓 단위로 그들의 설치 및 제거를 허용하도록 자유 공간 또는 기능적 클리어런스에 의해 분리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자유 공간은 1 내지 20 mm, 예컨대 1 내지 10 mm 이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뿐만아니라 다른 이점은
고정 촉매 베드, 및
상기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된 제 3 양태에 따른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 장치를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포함하는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기에 적합한 반응기에 의해 얻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여과 및 분배 장치는 반응기의 벽과 반응기의 벽에 인접한 주변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벽 사이에 실질적으로 환형 구역이 자유롭게 남겨지도록 반응기 내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형 구역은 반응기의 단면의 2% 내지 50%, 예를 들어 5% 내지 20% 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반응기의 상부 베이스 구역 (즉, 상부 돔) 을 채우도록 반응기 내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응기는 0.1 내지 5 cm/s, 예를 들어 0.1 내지 1 cm/s (수소화처리 반응기의 경우) 또는 1.1 내지 5 cm/s (선택적 수소화 반응기의 경우) 의 액체 속도를 갖는 병류 기체-액체 트리클 하향류로 작동하기에 적합한 반응기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이유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반응기 내에 형성된 검사 해치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뿐만 아니라 다른 장점은, 적어도 300 ℃ 의 초기 비등 온도 및/또는 적어도 500 ℃ 의 최종 비등 온도 및/또는 적어도 0.5 중량% 의 황 함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분획을 함유하는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수소화처리 및/또는 수소첨가분해를 위한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지며, 공급원료는 제 4 양태에 따른 반응기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여과 및 분배 장치가 막힘 입자 또는 코크스 형성 전구체 요소 (이는 고정 베드의 막힘을 유발할 수 있음) 가 로딩된 석유 컷의 임의의 처리 (예를 들어, 수소화) 에 적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주로 고려중인 적용은 중질 석유 컷의 촉매 처리이다.
전술한 양태들에 따른 실시형태들 뿐만 아니라 전술한 양태들에 따른 장치들의 다른 특성들 및 장점들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그리고 예시로서만 주어진 하기의 비제한적인 설명을 읽을 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프로파일이다.
도 2 는 여과 매체가 배치된 도 1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프로파일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여과 및 분배 장치를 포함하는 반응기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 는 여과 매체가 배치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요소는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제 1 양태 및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의 고정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되기에 적합할 수 있는,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사전 분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여과 매체를 수용 및 보유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여과 매체 (M) 로 채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수평인 베이스 (1) 및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의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벽들 (2) 을 포함하며, 벽들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단면 (즉, 바스켓의 높이에 대해 수직한 단면 또는 수평 단면) 을 한정한다. 이 예에서, 베이스 (1) 는 기체 및 액체에 대해 침투성이다. 한편, 선택된 구성에 따라, 베이스 및 측벽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기체 및 액체에 대해 침투성이다. 이 예에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직육면체를 형성하기 위해 4 개의 측벽 (2) 을 포함한다. 한편, 선택된 구성에 따라,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등의 프리즘을 형성하기 위해 상이한 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또한 원형의 원통형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의 타원형 측벽 (2) 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측벽 (2)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의 벽을 따라 배열되도록 의도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 (2) 상에 만곡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제 1 침니 (3) 및 제 2 침니 (4) 와 같은 침니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하부 단부 (5) 및 상부 단부 (6) 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 1 침니 (3) 및 제 2 침니 (4) 각각은 측벽들 (2) 사이에서 연장하고 베이스 (1) 에 고정된 하부 단부 (5) 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 (7) 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침니 (3) 는 또한 측벽들 (2) 위에서 연장하는 상부 부분 (8) 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침니 (3) 의 상부 부분 (8) 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으로, 즉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제거가능한 바스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및 제 2 양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 (4) 의 하부 부분(7) 으로 삽입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여러 줄들이 반응기의 촉매 베드의 상류에서 겹쳐질 수 있도록 적층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침니 (3) 의 하부 부분 (7) 및 상부 부분 (8) 뿐만 아니라 제 2 침니 (4) 의 하부 부분 (7) 은 실질적으로 관형 형상을 가져서, 제 1 침니 (3) 의 상부 부분 (8) 은 제 2 침니 (4) 의 하부 부분 (7) 의 단면의 형상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니들 (3 및 4) 의 하부 부분 (7) 및 상부 부분 (8) 은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를 형성할 수 있어서, 제 2 침니 (4) 의 하부 부분 (7) 의 직경 (D2) 이 제 1 침니 (3) 의 상부 부분 (8) 의 직경 (d1) 보다 크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상부 부분 (8) 이 제 1 및 제 2 양태에 따른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하다는 조건하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침니 (3) 의 상부 부분 (8) 의 높이 (h1) 는 제 2 침니 (4) 의 상부 부분 (7) 의 높이 (H2) 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는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들 (2)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여과 베드가 막히게 되면,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기체와 함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내로 흐를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의 상부 단부 (6) 는 액체가 여과 베드를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여과 매체 (M) 의 층 위에 위치하기에 적합하다.
도 3 에 도시된 예에서, 2 개의 대향하는 제 1 측벽들 (2) 은 다른 2 개의 측벽들 (2) 의 폭 (l) 의 2 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L) 을 갖는다. 따라서, 측벽들은 2 개의 인접한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캐비티를 형성한다. 이 예에서, 제 1 및 제 2 침니 (3, 4) 의 각각은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들 중 하나의 중심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침니들 (3 및 4) 은 3 개의 측벽 (2) 으로부터 L/4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그리고 제 4 측벽 (2) 으로부터 3L/4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하나의 동일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인접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구조와 수직인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구조적 구성이 가능하여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들 상에 수직으로 적층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상부 면은 여과 매체 (M) 의 용이한 로딩 및 언로딩을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개방되며, 이러한 작동은 반응기가 정지될 때에 일반적으로 그 외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제거가능한 바스켓 내부에 여과 매체 (M) 를 둘러싸기 위해 여과 매체 (M) 의 상부 층 위에 배치된,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천공된 보호 스크린 (9) (도 2)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 (4) 는 측벽들 (2) 위에서 연장하는 상부 부분 (8) 을 포함할 수 있어서, 제 2 침니 (4) 의 상부 부분 (8) 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으로, 즉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제거가능한 바스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및 제 2 양태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침니 (3) 의 하부 부분 (7) 으로 삽입되기에 또한 적합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침니 (3) 의 하부 부분 (7) 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제 2 침니 (4) 의 상부 부분 (8) 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둘러싸는데 적합하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2 개의 침니들 (3 및 4) 모두는 측벽들 (2) 위에서 연장되므로, 바스켓의 중첩을 위한 안내가 개선된다. 예를 들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니들 (3 및 4) 의 하부 부분 (7) 및 상부 부분 (8) 은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를 형성할 수 있어서, 제 1 침니 (3) 의 하부 부분 (7) 의 직경 (D1) 은 제 2 침니 (4) 의 상부 부분 (8) 의 직경 (d2) 보다 크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2 침니 (4) 의 하부 부분의 직경 (D2) 및 상부 부분 (8) 의 직경 (d2) 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D2 > d1 및 D1 > d2 라는 조건하에, d2 및 D2 는 다를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침니 (4) 의 상부 부분 (8) 의 높이 (h2) 는 제 1 침니 (3) 의 하부 부분 (7) 의 높이 (H1) 보다 작거나 같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의 상부 부분 (8) 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가능한 바스켓들의 배향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의 상부 부분 (8) 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어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적층은 사전 배향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예에서,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의 상부 부분 (8) 의 직경 (d1 및 d2) 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의 하부 부분 (7) 의 직경 (D1 및 D2) 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D2 > d1 및 D1 > d2 인 경우에,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 1 침니 (3)의 하부 부분 (7) 의 높이 (H1) 및/또는 제 2 침니 (4) 의 하부 부분 (7) 의 높이 (H2) 가 측벽들 (2) 의 높이 (Hp) 보다 작은 경우에, 대응하는 침니는 또한 하부 부분 (7) 위에서 연장하는, 예를 들어 상기 침니의 하부 부분 (7) 으로부터 상부 부분 (8) 으로 연장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중 적어도 하나는 측벽들 (2) 의 높이 (Hp) 의 2 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H3 및/또는 H4) 를 가질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H3 및 H4 는 측벽들 (2) 의 높이 (Hp) 의 2 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9 의 예에서, 높이 h1, h2, H1 및 H2 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 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의 상부 단부들 (6)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린 (10) 을 포함할 수 있어서, 특히 제 1 침니 (3) 및/또는 제 2 침니 (4) 를 직접 통과하는 여과되지 않은 액체의 임의의 스플래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1) 및/또는 측벽들 (2) 은 주변 보강부 (11) 를 포함할 수 있어서, 특히 기체 및/또는 액체에 대해 침투성인 스크린 또는 금속판과 같은 오픈워크 분리 요소 (12) 및/또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일체성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복수의 침니들 (3 및 4) 중 적어도 하나는 기체에 대해 침투성이도록 오픈워크형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보강부 (13)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강부 (13) 는 특히 취급 중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위한 부착 지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보강부 (13) 는 침니들 (3 및 4) 및 측벽들 (2) 에 연결된다. 보강부 (13) 는 또한 측벽들 (2) 을 서로 연결하고 그리고/또는 베이스 (1) 를 침니들 (3 및 4) 및 측벽들 (2)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연결한다.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 (2) 을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에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바스켓과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 사이의 공간을 덮는 탭 (예를 들어, 플레이트) 과 같은 연결 요소 (14) 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결 요소 (14) 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줄들의 구조적 완전성이 강화되고 액체는 여과 베드를 우선적으로 통과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조립체는, 연결 요소들 (14) 의 삽입 또는 후퇴 뿐만아니라 위치결정을 위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측벽들 사이의 자유 공간 또는 기능적 클리어런스 뿐만아니라 반응기에서 환형 공간을 자유롭게 남기면서, 반응기의 전체 단면을 덮도록 조정된다.
도 11 을 참조하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반응기 (17) 의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에 배치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과 협력작동하는 지지 수단 (18) 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분배 수단 (15) 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면, 장착 및 해체 작업은 여전히 용이해진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0.1 cm/s 내지 5 cm/s 의 액체 표면 속도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트리클 레짐 (trickle regime) 이라 불리는 유동 레짐하에, 기체 및 액체 공급원료상에서 작동하는 촉매 반응기를 공급하기 위한 기상 및 액상용의 여과 및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및 기상용의 여과 및 분배 장치는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 (17) 의 고정 촉매 베드 (19) 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반응기 (17) 의 엔클로저 (재킷) 는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갖는 벽 (20) 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여과 및 분배 장치는 천공된 트레이 (16) (분배기 트레이, 솔리드 트레이 또는 솔리드 플레이트라고도 불리움) 를 포함하는데, 이는 반응기 (17) 내로 들어가는 2상 제트를, 천공된 트레이 (16) 의 하류에 위치된 고정 촉매 베드 (19) 의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 기체/액체 혼합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여과 층의 설치에 의해 여과 기능을 포함한다.
도 11 을 참조하면, 여과 및 분배 장치는 천공된 트레이 (16) 를 포함하는데, 그 위에는 천공된 트레이 (16) 를 통과하는 수직 침니와 같은 분배 수단 (15) 이 고정된다. 예를 들어, 분배 수단 (15) 은 그 상부 단부 (21) 에서 폐쇄되고 그 하부 단부 (22) 에서 개방되고 분배 수단 (15) 의 높이에 걸쳐 분포된 측방향 구멍 (23) 이 선택적으로 천공될 수 있다. 분배 수단 (15) 에 형성된 측방향 구멍 (23) 은 슬롯의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분배 수단 (15) 은 또한 기상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폐쇄된 상부 단부 (21) 아래에 위치한 측방향 개구 (24) 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천공된 트레이 (16) 는 반응기 (17) 의 엔클로저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응기 (17) 가 원형 단면을 가지면, 천공된 트레이 (16) 의 단면 치수는 반응기 (17) 의 내경의 치수에 대응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수단 (15) 의 하부 단부 (22) 는 천공된 트레이 (16) 의 레벨에서 또는 그 아래에서 그리고 고정 촉매 베드 (19) 위에서 개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응기는 또한 천공된 트레이 (16) 아래에 배치된 분산 요소 (25) (예를 들어, 금속 스크린) 를 포함하며, 이는 분배 수단 (15) 의 하부 단부 (22) 로부터 배출된 기체/액체 혼합물의 제트를 파괴하고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분배 수단 (15) 의 개방 상부 단부 (21) 는, 상부 단부 (21) 에 인접한 측방향 개구 (24) 를 통한 액상의 도입을 방지하지만 상부 부분의 측 영역으로의 기상의 통과를 허용하는, 플레이트와 같은 디플렉터 요소 (26) 로 캡핑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및 분배 장치는 또한 천공된 트레이 (16) 위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양태 및/또는 제 2 양태에 따른 복수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과 기능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하나의 동일한 평면에 여러 줄로 적층된다 (모든 바스켓들의 가장 긴 에지들은 서로 평행하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또한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과 협력작동하는 지지 수단 (18) 을 포함한다. 또한, 도 11 의 예에서, 지지 수단 (18) 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에 대응하는데, 그 메인 치수 (예를 들어, 길이 및 폭; 직경) 는 분배 수단 (15) 의 그것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대한 지지 기능 이외에,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은 반응기 (17) 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설치하는 동안에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침니들 중 하나가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과 정렬되도록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배치될 때에, 상기 분배 수단 (15) 의 디플렉터 요소 (26) 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와 분배 수단 (15) 사이에서 기체성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및/또는 디플렉터 요소 (26) 는 각각 서로 결합하기에 적합한 (암/수 유형의) 상보적 위치결정 요소를 포함하여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천공된 트레이 (16) 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가 분배 수단 (15) 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와 천공된 트레이 (16) 사이의 수집 공간 (E) 내의 기체와 액체의 혼합물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와 같은 고정 요소의 사용이 불필요한데, 그 이유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지지 수단 (18) 이 분배 수단 (15) 과 협력작동하도록 열 (rows) 을 이루어 나란히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 수단 (18) 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다른 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배 수단 (15) 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수단 (18) 은 분배 수단 (15) 과 협력작동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및 제 2 침니 (3 및 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 (3 및 4) 의 하부 부분 (7) 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분배 수단 (15) 상에 놓이기에 적합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배 수단 (15) 은 기체의 보다 양호한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디플렉터 요소 (26) 가 없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 (18) 은 문헌 FR 3043339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 (18) 은 분배 수단 (15) 과 협력작동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들 (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 (18) 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에 고정된 튜브 (미도시) 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직경은 분배 수단 (15) 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튜브는 그 상부 단부에서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고 그 하부 단부에서 개방되어서, 튜브는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일단 제거가능한 바스켓이 설치되면, 이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에 고정된 튜브의 플레이트를 통해 분배 수단 (15) 에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의 상부 단부에 인접한 섹션은 튜브 내에서 따라서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에서 기체 유동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장착된 분배 수단 (15) 의 측방향 개구 (24) 와 연통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수단 (15) 이 그 높이에 걸쳐 분포된 구멍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바스켓으로부터 분배 수단 (15) 으로의 청정한 액상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튜브는 또한 그 높이의 적어도 하부 절반에 걸쳐, 예를 들어, 그 전체 높이에 걸쳐 다공성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 수단 (18) 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에 고정된 수직 아암 (미도시) 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 수직 아암은 예를 들어 분배 수단 (15) 의 측방향 개구 (24) 의 레벨에서 또는 분배 수단의 임의의 레벨에서 분배 수단 (15) 과 협력작동하도록 구성된 부착 수단을 구비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지지 수단 (18) 및 천공된 트레이 (16) 의 분배 수단 (15) 은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와 천공된 트레이 (16) 사이에 액상을 위한 수집 공간 (E: 액체 혼합 구역 E 라고도 불리움) 을 생성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분배 수단 (15) 상에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적어도 하나의 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및 분배 장치의 모든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나타내는 섹션은 반응기 (17) 의 섹션 전체를 차지하지 않는다. 사실상, 반응기의 벽 (20) 과 소위 "주변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여과 구역 사이에는 환형 공간 (27) 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환형 공간 (27) 은 여과 매체 (M) 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수되는 상이한 불순물들에 의해 막히는 상황에서도 액체가 수집 구역 (E) 내로 통과하게 한다.
여과 기능이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의해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천공 트레이 (16) 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액체 혼합 구역 (E) 에 위치한 분배 수단 (15) 의 측방향 구멍 (23) 을 통해 계속 기능할 수 있다. 트레이가 완전히 막히는 경우에도 압력 균형이 유지되도록 이 환형 공간의 폭이 설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형 구역 (27) 은 반응기의 단면의 2% 내지 50%, 예를 들어 5% 내지 20% 에 상응한다.
여과 및 분배 장치가 반응기 (17) 에서 사용될 때에,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여과 매체 (M) 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여과 매체는 불활성이거나 활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매체 (M) 의 층은 일반적으로 100 mm 내지 1500 mm, 바람직하게는 150 mm 내지 500 mm, 예컨대 300 mm 로 구성된 높이에 걸쳐, 보호 여과 요소라고 불리우는 여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을 구성하는 여과 요소는 다음과 같다:
여과 첨가제;
가드 재료의 입자 또는 예를 들어 Axens 에 의해 판매되는 일반적으로 보호 요소로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입자;
촉매 담체 또는 촉매 (신선한 것 또는 사용된 것 또는 재생된 것).
이러한 여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의 입자 직경을 갖는 입상 촉매, 비드 또는 압출물이다. 촉매는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담체 상에 전이 금속을 함유하는 활성 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 요소는, 예를 들어 Unicat 또는 Crystaphase 에 의해 시판되는 예를 들어 가교결합된 세라믹 또는 금속 재료와 같이, 공급원료에 함유된 막힘 입자를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교 결합된 재료는 직경이 3 내지 5 cm 이고 높이가 1 내지 3 cm 인 원형 단면을 갖는 케이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과 요소는 예를 들어 중공형이거나 또는 카트휠 (cartwheel) 의 형태인 튜브, 단순 실린더, 다중원 실린더, 비드와 같은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 목록은 비제한적이다.
대부분의 경우, 100 mm 내지 1500 mm, 바람직하게는 150 mm 내지 500 mm, 예를 들어 300 mm 의 두께를 갖는 층과 같은, 제거가능한 바스켓 당 여과 매체의 단일 층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제거가능한 바스켓 당 여과 매체의 여러 층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층의 여과 요소들의 크기는 바로 위의 층을 구성하는 여과 요소들의 크기보다 작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너무 미세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천공된 베이스 (1) 를 갖거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를 차단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매우 미세한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스켓의 베이스 (1) 와 접촉하는 층은 위에 배치된 여과 매체의 층보다 예외적으로 더 다공성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이스와 접촉하는 층의 직경은 특히 입자들의 혼합 및 편석을 회피하기 위해 상부 층의 직경보다 2 내지 10 배, 예를 들어 4 배 크다.
기상 및 액상을 갖는 병류 하향류 반응기 (17) 에 설치된 여과 및 분배 장치의 작동을 도 11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제 3 양태에 따른 여과 및 분배 장치는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촉매 베드 (19) 의 상류에 배치된다. 기체/액체 2상 공급원료가 반응기 (17) 를 따라 엇갈리게 배치된 상이한 촉매 베드들 상에 계단식으로 도입될 때에, 각각의 촉매 베드의 상류에 여과 및 분배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기체/액체 혼합물은 화살표 G/L 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여과 및 분배 장치의 헤드로 보내진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들 (3 및 4) 을 통과 (그리고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 (18) 이 튜브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 튜브의 상부 개구를 통과) 한 후에 측방향 개구 (24) 를 통해 분배 수단 (15) 에 진입하는 혼합물의 기체상 분획은 천공된 트레이 (16) 아래로 유도된다.
디플렉터 요소 (26) (도 11 참조) 에 의해 분배 수단 (15) 의 상부 부분으로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는 액체 분획에 관해서, 이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수집되어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함유된 여과 매체 (M) 의 층 또는 층들을 통해 스며든다. 액상이 여과 매체 (M) 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 (1) 의 구멍을 통해 확산하는 "세정된" 액체를 공급하도록, 촉매 베드의 오염에 관여하는 입자를 보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세정된 액체는 따라서 수집 공간 (E) 에서 수집된다. 이어서 수집 공간 (E) 에 축적된 세정된 액체는 이 공간으로 개방된 개구 (23) 를 통해 분배 수단 (15) 내로 확산되고, 분배 수단 (15) 에서 순환하는 기상과 혼합된다. 세정된 기체/액체 혼합물은 천공된 트레이 (16) 아래의 개방 하부 단부 (22) 를 통해 분배 수단 (15) 으로부터 배출된다. 이어서 기체/액체 혼합물의 제트는 촉매 베드 (19) 와 천공된 트레이 (16) 사이에 배치된 분산 요소(들) (25) 와 만나는 때에 분산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평행하지만 하나의 줄로부터 다른 줄로 오프셋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구조적 완전성이 보강된다.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각 줄의 침니들이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인접한 줄의 침니들과 정렬되도록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이 배치됨으로 인해, 도 12 는 또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줄들을 통한 우선적인 기체 경로 (28) 의 형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반응기 (17) 의 중심 부분에서의 기체의 분포가 촉진되어, 촉매 베드 내에서의 상들의 흐름의 균일성이 개선된다. 또한, 여과 베드가 막히게 되면, 액체는 벽과 침니를 따라 뒤로 흐른 다음에 기체와 함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 안으로 흐를 수 있어서, 천공된 트레이 (16) 아래에서의 유체 분포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침니 (3) 의 상부 부분 (8) 이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하다는 조건하에, 우선적인 기체 경로 (28) 의 형성이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동일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인접한 줄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구성에 수직인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어서, 특히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줄들의 구조적 완전성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도 13 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의 줄들의 피라미드형 배치를 허용한다:
제 1 줄 (29) 은 44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을 포함하고,
제 2 줄 (30) 은 제 1 줄 (29)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에 수직으로 배치된 35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을 포함하고,
제 3 줄 (31) 은 제 2 줄 (30)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에 수직으로 배치된 27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을 포함하고,
제 4 줄 (32) 은 제 3 줄 (31) 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에 수직으로 배치된 20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피라미드형 배치는, 도 11 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 (17) 의 상부 베이스 아래의 공간에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을 배치할 수 있게하므로, 공간 이득이 얻어진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고정 촉매 베드, 및 이 촉매 베드의 상류에 배치된 제 3 양태에 따른 기상 및 액상용의 여과 및 분배 장치를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포함하는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기에 적합한 반응기 (17) 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응기 (17) 는 타원형 또는 반구형일 수 있다. 도 11 의 예에서, 반응기 (17) 의 상부 베이스는 기체 및 액체 유체의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입구 튜브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공급 확산기 (미도시) 를 구비한다. 입구 튜브는, 인원 및 제거가능한 바스켓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검사 해치 (미도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반응기 (17) 의 하부 베이스 (미도시) 는 유체의 출구를 허용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출구 튜브 (미도시) 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출구 수집기 (미도시) 를 구비한다. 반응기 (17) 의 재킷은 내부기기, 특히 여과 및 분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반응기 (17) 의 촉매 베드 (19) 는 분산 요소 (25) 아래에 위치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 여과 및 분배 장치 및 반응기 (17) 는, 특히,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5 중량% 의 황 함량, 및/또는 적어도 300 ℃ 의 초기 비등 온도, 및/또는 적어도 500 ℃ 의 최종 비등 온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분획을 함유하는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수소화처리 및/또는 수소첨가분해를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는 다음의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1 중량%, 예컨대 1 내지 2 중량%, 또는 2 내지 4 중량% 의 황, 적어도 350 ℃ 의 초기 비등 온도 및 적어도 520 ℃, 예컨대 적어도 540 ℃ 의 최종 비등 온도.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천공된 트레이 (16) 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는 특히 진공 증류물 유형, 잔류물 또는 유사물, 진공 가스오일, 대기 잔류물, 진공 잔류물, 탈아스팔트 오일, 또는 예를 들어 코킹, 고정-베드, 에불레이팅-베드 또는 이동-베드 수소화처리 또는 수소첨가분해와 같은 전환 프로세스로부터 기원하는 잔류물 또는 진공 증류물인 비등점이 350 ℃ 이상인 것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잔류물 또는 진공 증류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중질 공급원료는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탄화수소 분획 또는 탄화수소 분획의 혼합물로 희석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중질 공급원료는 또한 석탄 액화 프로세스, 방향족 추출물 또는 임의의 다른 탄화수소 컷으로부터 기원하는 컷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소화처리 프로세스 및/또는 수소첨가분해 프로세스는 300 ℃ 내지 500 ℃, 예를 들어 350 ℃ 내지 430 ℃ 의 온도에서, 그리고 5 MPa 내지 35 MPa, 예를 들어 11 MPa 내지 26 MPa 의 절대 압력 하에 구현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체적 유속을 촉매의 전체 부피로 나눈 것으로서 정의되는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시간당 공간 속도는, 0.1 h-1 내지 5 h-1, 예를 들어 0.1 내지 2 h-1 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와 혼합된 수소의 양은,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입방 미터 (m3) 당 100 내지 5000 표준 입방 미터 (Nm3), 예를 들어 200 내지 2000 Nm3/m3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거가능한 바스켓 및 여과 및 분배 장치의 치수 설정의 예시적인 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L : 300 mm;
l : 150 mm;
Hp : 100 mm.
각각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직사각형 베이스 (1) 에는 하부 단부 및 상부 단부가 개방된 원형 튜브의 형태로 침니에 의해 얹히는 2 개의 구멍이 구비된다.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H3 : 180 mm; Hp + h1
H4 : 120mm; Hp + h2
h1 : 80 mm;
H1 : 100 mm;
h2 : 20 mm;
H2 : 100 mm;
d1 : 50 mm;
D1 : 60 mm;
d2 : 50 mm;
D2 : 60 mm.
따라서,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예를 들어 1 개 또는 2 개의 상이한 층으로 구성된 여과 매체 (M) 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전체 두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베이스로부터 측정하여 80 mm 이다.
680 개의 수직 침니들을 지지하는 천공된 트레이 (16) 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천공된 트레이 (16) 의 직경 : 5.5 m.
천공된 트레이 (16) 의 수직 침니들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천공된 트레이 (16) 의 침니들의 높이 : 천공된 트레이로부터 440 mm;
천공된 트레이 (16) 의 침니들의 외경 : 50 mm;
천공된 트레이 (16) 의 침니들 사이의 피치 : 150 mm.
천공된 트레이 (16) 의 침니들은 액체의 흡입을 위한 2 열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구멍들의 열 1 : 천공된 트레이 (16) 에 대한 높이 40 mm, 3 개의 5 mm 구멍;
구멍들의 열 2 : 천공된 트레이 (16) 에 대한 높이 130 mm, 3 개의 5 mm 구멍;
기체 흡입 침니의 상부의 기체 통과용 개구 : 50 mm.
장치는 또한 천공된 트레이 (16) 의 침니에 배치될 수 있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65 개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천공된 트레이 (16) 의 침니에 놓여서 베이스 (1) 를 통해 지지된다. 이 예에서, 제거가능한 바스켓들은 직육면체이고, 침니들 (3 및 4) 은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이다. 제거가능한 바스켓들 및 침니들 (3 및 4) 은, 삼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바스켓, 및/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예를 들어, 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튜브와 같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5)

  1. 병류 (co-current)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 (17) 의 고정 촉매 베드 (19) 의 상류에 배치되기에 적합할 수 있는,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여과 매체 (M) 를 수용 및 보유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으로서,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베이스 (1) 및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 (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원형 측벽 (2), 및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하부 단부 (5) 및 상부 단부 (6) 에서 개방하는 복수의 침니들 (3, 4)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2) 은 기체 및 액체에 대해 침투성이고,
    각각의 침니는, 상기 측벽들 (2)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 (1) 에 고정된 하부 단부 (5) 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 (7) 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1 침니 (3) 는 상기 측벽들 (2) 위로 연장하는 상부 부분 (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침니 (3) 의 상기 상부 부분 (8) 은 동일한 유형의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제거가능한 바스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침니 (3) 의 상기 상부 부분 (8) 의 높이 (h1) 는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 (4) 의 상기 하부 부분 (7) 의 높이 (H2)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니들 (3, 4) 은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제 2 침니 (4) 의 상기 하부 부분 (7) 의 직경 (D2) 은 상기 제 1 침니 (3) 의 상기 상부 부분 (8) 의 직경 (d1)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 (2) 위로 연장하는 상부 부분 (8) 을 포함하는 제 2 침니 (4) 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제 2 침니 (4) 의 상기 상부 부분 (8) 은 다른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침니의 하부 부분 (7) 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침니 (4) 의 상기 상부 부분 (8) 의 높이 (h2) 는 상기 제 1 침니 (3) 의 상기 하부 부분 (7) 의 높이 (H1)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침니들 (3, 4) 은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침니 (3) 의 상기 하부 부분 (7) 의 직경 (D1) 은 상기 제 2 침니 (4) 의 상기 상부 부분 (8) 의 직경 (d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 개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들 (2) 을 포함하고, 2 개의 제 1 의 대향 측벽들 (2) 은 2 개의 인접한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들로 이루어지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직육면체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2 개의 측벽들 (2) 의 폭 (l) 의 2 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L) 을 갖고, 제 1 침니 (3) 및 제 2 침니 (4) 각각은 상기 정사각형-기반 직육면체들 중의 하나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상기 복수의 침니들 (3, 4) 의 상부 단부들 (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스크린 (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1) 및/또는 상기 측벽들 (2) 은 주변 보강부 (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강화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 (13) 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 매체 (M) 의 상부 층 위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천공된 보호 스크린 (9) 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 (2) 을 인접한 제거가능한 바스켓의 측벽 (2) 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14) 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바스켓.
  13.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는 반응기 (17) 의 고정 촉매 베드 (19) 의 상류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상부 단부 (21) 및 하부 단부 (22) 에서 개방하는 분배 수단 (15) 이 위에 고정되는 수평 평면에서 연장하는 천공된 트레이 (16), 및
    상기 분배 수단 (15) 상에 배치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제거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수단 (15) 은 적어도 그 높이의 일부에 걸쳐 개구들 (23) 을 구비하는,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한 장치.
  14. 고정 촉매 베드 (19), 및
    상기 촉매 베드 (19) 의 상류에 배치된 제 13 항에 따른 기상 및 액상의 여과 및 분배를 위한 장치를 유체의 유동 방향으로 포함하는 병류 기체-액체 하향류로 작동하기에 적합한 반응기 (17).
  15.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5 중량% 의 황 함량, 및/또는 적어도 300 ℃ 의 초기 비등 온도, 및/또는 적어도 500 ℃ 의 최종 비등 온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분획을 함유하는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수소화처리 및/또는 수소첨가분해를 위한 프로세스로서,
    상기 공급원료는 제 14 항에 따른 반응기에 도입되는, 탄화수소-함유 공급원료의 수소화처리 및/또는 수소화분해를 위한 프로세스.
KR1020180123234A 2017-10-18 2018-10-16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 KR102608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9.796 2017-10-18
FR1759796A FR3072305B1 (fr) 2017-10-18 2017-10-18 Panier amovible pour reacteur cataly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77A KR20190043477A (ko) 2019-04-26
KR102608484B1 true KR102608484B1 (ko) 2023-11-30

Family

ID=6102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34A KR102608484B1 (ko) 2017-10-18 2018-10-16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10844B2 (ko)
EP (1) EP3473335A1 (ko)
KR (1) KR102608484B1 (ko)
CN (1) CN109675503B (ko)
BR (1) BR102018071269B1 (ko)
CA (1) CA3020940A1 (ko)
FR (1) FR3072305B1 (ko)
TW (1) TWI8227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3021759A2 (pt) * 2021-04-21 2024-01-23 Chevron Usa Inc Dispositivo de filtração para um reator de hidroprocessamento de fluxo descenden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1486A1 (en) 2006-02-06 2007-08-09 Courtney Ashliman Water quality drain basin insert
US20170015917A1 (en) 2014-03-14 2017-01-19 Morten Muller Ltd. Aps Scale collection and predistribution tray for vessel with downward two-phase flow
WO2017080756A1 (fr) * 2015-11-09 2017-05-18 IFP Energies Nouvelles Dispositif de filtration et de distribution pour reacteur catalytique
CN206266502U (zh) * 2016-09-26 2017-06-20 中石化洛阳工程有限公司 一种固定床加氢反应器内的过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000A (en) * 1969-04-17 1971-09-21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Internal bypass for a chemical reactor
JP2000051879A (ja) * 1998-08-10 2000-02-22 Daiwa Kogyo Kk 雑排水路水の浄化装置
EP1300190A1 (en) 2001-10-04 2003-04-09 Methanol Casale S.A. Heterogeneous catalytic reactor with modular catalytic cartridge
CN100406109C (zh) * 2004-10-29 2008-07-3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分块组装式积垢篮
FR2889973B1 (fr) 2005-08-26 2007-11-09 Inst Francais Du Petrole Plateau filtrant pour reacteur a lit a co courant descendant de gaz liquide
FR2959677B1 (fr) * 2010-05-06 2012-05-18 Inst Francais Du Petrole Paniers amovibles contenant des particules de filtration pour reacteur a lit fixe.
FR2996465B1 (fr) * 2012-10-10 2015-10-16 IFP Energies Nouvelles Plateau de distribution filtrant destine a l'alimentation d'un reacteur a lit fixe a co courant descendant de gaz et de liquide pour le traitement de charges lourdes colmatantes
EP2957339A1 (en) * 2014-06-17 2015-12-23 Casale SA Radial flow horizontal catalytic reactor
US9463427B1 (en) * 2015-05-18 2016-10-11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alyst reactor basket
FR3043339B1 (fr) * 2015-11-09 2017-12-01 Ifp Energies Now Dispositif de filtration et de distribution pour reacteur catalytiq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1486A1 (en) 2006-02-06 2007-08-09 Courtney Ashliman Water quality drain basin insert
US20170015917A1 (en) 2014-03-14 2017-01-19 Morten Muller Ltd. Aps Scale collection and predistribution tray for vessel with downward two-phase flow
WO2017080756A1 (fr) * 2015-11-09 2017-05-18 IFP Energies Nouvelles Dispositif de filtration et de distribution pour reacteur catalytique
CN206266502U (zh) * 2016-09-26 2017-06-20 中石化洛阳工程有限公司 一种固定床加氢反应器内的过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75503B (zh) 2022-09-23
BR102018071269A2 (pt) 2019-05-07
BR102018071269B1 (pt) 2022-11-29
CN109675503A (zh) 2019-04-26
US10610844B2 (en) 2020-04-07
US20190111372A1 (en) 2019-04-18
TW201922343A (zh) 2019-06-16
CA3020940A1 (fr) 2019-04-18
RU2018136352A3 (ko) 2021-11-22
FR3072305A1 (fr) 2019-04-19
FR3072305B1 (fr) 2022-05-06
TWI822703B (zh) 2023-11-21
EP3473335A1 (fr) 2019-04-24
RU2018136352A (ru) 2020-04-16
KR20190043477A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6479B (zh) 用於觸媒反應器之過濾及分佈裝置
US7070745B2 (en) Multiple bed downflow reactor
US10214699B2 (en) Scale collection and predistribution tray for vessel with downward two-phase flow
JP6387224B2 (ja) 重質閉塞性仕込原料処理用の気体および液体の下降並流を有する固定床反応器に供給するためのろ過分配プレート
US4571326A (en) Process and device for hydroconversion of hydrocarbons
US20110092754A1 (en) Pre-distribution plate filtration with overflow tube for fixed bed reactor operating in gas and liquid co-current downflow mode
FR3051375A1 (fr) Dispositif de filtration et de distribution pour reacteur catalytique.
KR102608484B1 (ko) 촉매 반응기용의 제거가능한 바스켓
RU2702597C2 (ru) Фильтрующая тарелка дл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химического реактора
JP4002733B2 (ja) 水素化精製装置及び方法
US4985209A (en) Apparatus for injecting a hydrocarbon charge into a reactor
US3195987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mixed phase fluids with a solid catalyst
JP7269739B2 (ja) 触媒反応器の着脱式バスケット
RU2771726C2 (ru) Съемная корзина дл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реактора
KR20190120761A (ko) 저용량 구획된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