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296B1 -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296B1
KR102608296B1 KR1020220143563A KR20220143563A KR102608296B1 KR 102608296 B1 KR102608296 B1 KR 102608296B1 KR 1020220143563 A KR1020220143563 A KR 1020220143563A KR 20220143563 A KR20220143563 A KR 20220143563A KR 102608296 B1 KR102608296 B1 KR 10260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aliper
rim
bicycl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브루나바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브루나바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브루나바이크
Priority to KR102022014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05Brakes; Arrangements there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brake elements, e.g. fastening of brake blocks in thei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6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 B62L1/10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by the elements mov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 B62L1/14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by the elements mov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the elements being mounted on levers pivotable about different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주행가능한 자전거에 장착되어 브레이크(정지)로 사용되는 림브레이크에 장착된 한 쌍의 패드에 대한 교체나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림을 기준으로 한 쌍의 해당 패드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 조절이 용이한 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에 구비된 림 양측을 가압하여 주행가능한 자전거의 속도조절은 물론,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 손잡이와 케이블 연결되는 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림브레이크는 케이블과 연결되며, 하부에는 림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제1패드가 구비된 제1캘리퍼와, 외면은 상기 제1캘리퍼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림 타측을 가압하는 제2패드가 구비되며,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상기 제1캘리퍼와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림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캘리퍼 및 전면은 상기 제1캘리퍼 및 상기 제2캘리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후면은 자전거와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동시에 승강시키는 패드승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캘리퍼, 상기 제2캘리퍼, 상기 패드승강수단은 자전거의 경량화는 물론, 내구성과 진동흡수율의 향상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Rim brake for bicycle with easy pad position adjustment}
본 기술은 주행가능한 자전거에 장착되어 브레이크(정지)로 사용되는 림브레이크에 장착된 한 쌍의 패드에 대한 교체나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림을 기준으로 한 쌍의 해당 패드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 조절이 용이한 림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브레이크는 크게 림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림 브레이크는 지렛대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자전거 프레임에 피봇 볼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브레이크 아암을 설치하고, 차륜의 휠 수평선 상의 반대편에도 다른 하나의 브레이크 아암을 설치한다.
또, 자전거 핸들에 설치된 브레이크 레버부터 브레이크까지 와이어로 연결하며, 와이어의 끝을 한쪽 브레이크 아암 끝에 고정한 후 다른쪽 브레이크암에 U관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양쪽의 브레이크 아암들이 안으로 모아지게 되며, 지렛대의 원리로 자전거 휠의 림을 브레이크 아암에 설치된 고무 재질의 브레이크 패드가 양쪽에서 밀착하면서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전거 림 브레이크는 고무 재질의 패드와 휠('림'부분)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활용해 제동하기 때문에 접촉으로 인한 패드의 물리적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한편, 사용자는 자전거의 제동력 향상을 위해 한 쌍의 패드를 일체로 교체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 이후에 한 쌍의 패드 중 하나 이상이 림(11)이 아닌, 타이어(12)와 접촉하면 열변형에 의해 해당 타이어의 펑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하여, 사용자는 항시 한 쌍의 패드가 림(11)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종래의 림브레이크는 한 쌍의 패드를 개별적으로 승강시켜 림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의 지연은 물론, 정확한 대칭을 이루기 어려워 상기 패드에 대한 편마모 증상은 물론, 제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7-26797호(공개일:2017.03.09.) 국내공개특허 제10-1994-6873호(공개일:1994.04.26.) 국내공개실용 제20-1995-24902호(공개일:1995.09.15.)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림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패드를 동시에 신속하게 승강시켜 위치조절을 할 수 있는 림브레이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자전거의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는 바퀴에 구비된 림(11) 양측을 가압하여 주행가능한 자전거의 속도조절은 물론,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 손잡이와 케이블(C) 연결되는 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림브레이크는 케이블(C)과 연결되며, 하부에는 림(11)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제1패드(110)가 구비된 제1캘리퍼(100)와, 외면은 상기 제1캘리퍼(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림(11) 타측을 가압하는 제2패드(210)가 구비되며, 케이블(C)의 당김에 의해 상기 제1캘리퍼(100)와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가 림(11)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캘리퍼(200) 및 전면은 상기 제1캘리퍼(100) 및 상기 제2캘리퍼(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후면은 자전거와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가 동시에 승강시키는 패드승강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캘리퍼(100), 상기 제2캘리퍼(200), 상기 패드승강수단(300)은 자전거의 경량화는 물론, 내구성과 진동흡수율의 향상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승강수단(300)은 자전거와 체결되는 지지몸체(310) 및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몸체(310)에 삽입되되 외력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체(320)가 포함되되, 상기 제1패드(110)는 상기 제1캘리퍼(100)에 형성된 제1장공(120) 내에서 승강하며, 상기 제2패드(210)는 상기 제2캘리퍼(200)에 형성된 제2장공(220) 내에서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310)는 상기 승강체(320)가 삽입되는 삽입홈(311)과, 상기 삽입홈(311)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상기 승강체(320)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승강체(320)가 관통 삽입되는 높이조절공(313)과, 상기 제1캘리퍼(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공(315)과, 상기 제2캘리퍼(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공(317) 및 자전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기(319)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체(320)는 만곡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 하부는 상기 제1패드(110)는 물론, 상기 제2패드(210)와 개별 결합하기 위해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321)와, 상기 승강체(320)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310)에 삽입되는 돌출부(323) 및 상기 돌출부(323)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310)에 관통 삽입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승강체(32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조절봉(3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 외면에는 상기 절곡부(321)와 결합하는 고리부(H)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 각각의 상단은 림(11)의 둘레면에 구비된 타이어(12)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림(11)과 타이어(12)가 서로 이어지는 이음부 라인을 기준으로 1mm 내지 1.5mm 이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사용자의 외력에 대하여 제1 및 제2패드가 일체로 승강하여 림 양측에 위치할 수 있는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패드의 편마모 증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전거에 대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에 대한 제1 및 제2패드의 위치조절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이하, 간략하게 '림브레이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설명되는 제1 및 제2캘리퍼(100,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캘리퍼(100)는 자전거(미도시) 핸들에 구비된 핸들브레이크 손잡이(미도시)와 케이블(C)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C)의 당김에 의해 한 쌍으로 구성된 제1패드(110)와 제2패드(210)가 림(11)에 접촉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구조를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제1 및 제2캘리퍼(100,200)에는 제1 및 제2패드(110,120)가 후에 설명하는 패드승강수단(300)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제1장공(120)과 제2장공(2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림브레이크(1)는 크게 제1캘리퍼(100), 제2캘리퍼(200) 및 패드승강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한 상기 림브레이크(1)를 구성하는 구성물은 자전거의 경량화는 물론, 내구성과 진동흡수율의 향상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패드승강수단(300)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패드(110,120)가 일체로 제1 및 제2장공(120,220)을 따라 승강하여 림(11)의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몸체(310) 및 승강체(3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지지몸체(310)는 제1 및 제2캘리퍼(100,200)가 케이블(C)의 인장을 통해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게 자전거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후에 설명하는 승강체(320)가 수직되게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삽입홈(311), 높이조절공(313), 제1회전공(315), 제2회전공(317) 및 결합돌기(319)를 포함한다.
삽입홈(3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310) 전면 즉, 제1 및 제2캘리퍼(100,200) 방향으로 수직길이를 갖도록 홈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내부에 승강체(320)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높이조절공(313)은 지지몸체(310) 상부에 기둥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돌출부(323)가 관통하여 승강체(32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회전공(315)은 지지몸체(310) 전면 일측에 형성되며, 제1캘리퍼(1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회전공(317)은 제1회전공(315)과 대칭되게 지지몸체(310) 전면 타측에 형성되며, 제2캘리퍼(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결합돌기(319)는 지지몸체(310) 후면에 돌출 형성되며, 자전거와 체결되어 본 발명인 림브레이크(1)가 자전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체(320)는 상술한 지지몸체(310)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 및 제2패드(110,120)가 일체로 제1 및 제2장공(120,22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곡부(321), 돌출부(323) 및 승강조절봉(325)을 포함한다.
절곡부(321)는 만곡 형상을 갖는 승강체(320)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패드(110,120) 외면에 형성된 고리부(H)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또는 삽입된다.
돌출부(323)는 승강체(320) 상방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술한 삽입홈(0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승강조절봉(325)은 돌출부(323) 후면에서 기둥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술한 높이조절공(313)에 관통 삽입되어 승강체(32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승강조절봉(325)은 높이조절공(313) 내에서 승강이 이루어진 이후에 승강체(3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너트(N)와 나사 결합할 수 있게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림브레이크(1)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패드(110,120)를 교체한 상태에서 승강조절봉(325)과 나사 결합한 너트(N)를 풀어 승강체(320)의 승강이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도록 마련 후, 한 쌍의 절곡부(321)가 제1 및 제2패드(0에 형성된 고리부(H)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돌출부(323)를 파지하거나 공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323)를 상승(또는 하강)시켜 제1 및 제2패드(110,120)가 절곡부(321)에 의해 견인되어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림(11)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패드(110,120)의 위치조절이 한번에 가능해질 수 있도록 승강체(320)에 외력을 행사한다.
이후, 승강체(320)의 위치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풀림 상태의 너트(N)를 조여 상기 승강체(320)가 지지몸체(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제1 및 제2패드(110,1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패드(110,120)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는 림(11)과 타이어(12)가 서로 이어지는 이음부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패드(110,120) 상단과의 높이가 약 1mm 내지 1.5mm 이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위치에 의해 림브레이크(1)에 의한 자전거의 제동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높이값을 통해 림브레이크(1)에 의한 제동을 실행시에 제1 및 제2패드(110,120)와 림(11) 간의 마찰력이 타이어(12)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열에 의한 타이어(12)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높이값 이상으로 설정하게 되면 마찰열에 의한 타이어(12) 손상은 방지될 수 있으나, 케이블(C) 당김에 의한 제동거리가 미세하게 늦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림브레이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사용자의 외력에 대하여 제1 및 제2패드(110,120)가 일체로 승강하여 림(11) 양측에 위치할 수 있는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패드(110,120)의 편마모 증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전거에 대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100: 제1캘리퍼
110: 제1패드 120: 제1장공
200: 제2캘리퍼
210: 제2패드 220: 제2장공
300: 패드승강수단
310: 지지몸체 311: 삽입홈
313: 높이조절공 315: 제1회전공
317: 제2회전공 319: 결합돌기
320: 승강체 321: 절곡부
323: 돌출부 325: 승강조절봉

Claims (6)

  1. 바퀴에 구비된 림(11) 양측을 가압하여 주행가능한 자전거의 속도조절은 물론,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 손잡이와 케이블(C) 연결되는 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림브레이크는
    케이블(C)과 연결되며, 하부에는 림(11)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제1패드(110)가 구비된 제1캘리퍼(100);
    외면은 상기 제1캘리퍼(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림(11) 타측을 가압하는 제2패드(210)가 구비되며, 케이블(C)의 당김에 의해 상기 제1캘리퍼(100)와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가 림(11)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캘리퍼(200); 및
    전면은 상기 제1캘리퍼(100) 및 상기 제2캘리퍼(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후면은 자전거와 체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가 동시에 승강시키는 패드승강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캘리퍼(100), 상기 제2캘리퍼(200), 상기 패드승강수단(300)은 자전거의 경량화는 물론, 내구성과 진동흡수율의 향상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성형되며,
    상기 패드승강수단(300)은 자전거와 체결되는 지지몸체(310) 및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몸체(310)에 삽입되되 외력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승강체(320)가 포함되되, 상기 제1패드(110)는 상기 제1캘리퍼(100)에 형성된 제1장공(120) 내에서 승강하며, 상기 제2패드(210)는 상기 제2캘리퍼(200)에 형성된 제2장공(220) 내에서 승강되고,
    상기 지지몸체(310)는 상기 승강체(320)가 삽입되는 삽입홈(311)과, 상기 삽입홈(311)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상기 승강체(320)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승강체(320)가 관통 삽입되는 높이조절공(313)과, 상기 제1캘리퍼(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공(315)과, 상기 제2캘리퍼(2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공(317) 및 자전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기(319)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320)는
    만곡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 하부는 상기 제1패드(110)는 물론, 상기 제2패드(210)와 개별 결합하기 위해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321);
    상기 승강체(320)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310)에 삽입되는 돌출부(323); 및
    상기 돌출부(323)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310)에 관통 삽입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승강체(32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조절봉(3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 외면에는
    상기 절곡부(321)와 결합하는 고리부(H)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110)와 상기 제2패드(210) 각각의 상단은
    림(11)의 둘레면에 구비된 타이어(12)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림(11)과 타이어(12)가 서로 이어지는 이음부 라인을 기준으로 1mm 내지 1.5mm 이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KR1020220143563A 2022-11-01 2022-11-01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KR10260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63A KR102608296B1 (ko) 2022-11-01 2022-11-01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63A KR102608296B1 (ko) 2022-11-01 2022-11-01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296B1 true KR102608296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563A KR102608296B1 (ko) 2022-11-01 2022-11-01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29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873A (ko) 1992-09-21 1994-04-26 문 앤디 자전거용 브레이크 시스템
JPH11348863A (ja) * 1998-05-27 1999-12-21 Shimano Inc 自転車用フレ―ム、自転車用ブレ―キ取付構造及び自転車用ブレ―キの取付方法
US20110139552A1 (en) * 2009-12-10 2011-06-16 Shimano Inc. Bicycle rim brake assembly
US20170036732A1 (en) * 2015-08-07 2017-02-09 Shimano Inc. Bicycle rim brake
JP2017030734A (ja) * 2015-06-30 2017-02-09 カンパニョーロ・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Campagnolo Societa A Responsabilita Limitata 自転車のブレーキ
KR20170026797A (ko)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만도 자전거의 브레이크 장치
KR20170112115A (ko) * 2016-03-30 2017-10-12 홍석영 자전거 브레이크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브레이크 조립체
US20170313377A1 (en) * 2016-04-28 2017-11-02 Lee Chi Enterprises Company Ltd. Hydraulic braking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873A (ko) 1992-09-21 1994-04-26 문 앤디 자전거용 브레이크 시스템
JPH11348863A (ja) * 1998-05-27 1999-12-21 Shimano Inc 自転車用フレ―ム、自転車用ブレ―キ取付構造及び自転車用ブレ―キの取付方法
US20110139552A1 (en) * 2009-12-10 2011-06-16 Shimano Inc. Bicycle rim brake assembly
JP2017030734A (ja) * 2015-06-30 2017-02-09 カンパニョーロ・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Campagnolo Societa A Responsabilita Limitata 自転車のブレーキ
US20170036732A1 (en) * 2015-08-07 2017-02-09 Shimano Inc. Bicycle rim brake
KR20170026797A (ko)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만도 자전거의 브레이크 장치
KR20170112115A (ko) * 2016-03-30 2017-10-12 홍석영 자전거 브레이크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브레이크 조립체
US20170313377A1 (en) * 2016-04-28 2017-11-02 Lee Chi Enterprises Company Ltd. Hydraulic bra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542B2 (en) Motorized reverse trike with tiltable body
US10399625B2 (en) Tilt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US20090038894A1 (en) Cam activated bicycle wheel brake
KR20090079868A (ko) 구름바퀴의 스토퍼장치
US8240437B2 (en) Brake systems for rollators and rollators comprising the same
KR102608296B1 (ko) 패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자전거용 림브레이크
US20100200340A1 (en) Braking device for a rimmed wheel, especially for a bike wheel
CN104071290A (zh) 带扳钮式驻车机构的摩托车把手刹车装置
KR200405570Y1 (ko) 장대레일을 운반하는 트롤리의 제동장치
CN215890879U (zh) 一种常锁式偏心圆自锁型刹车装置
KR102665474B1 (ko) 부식성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크랭크가 부설된 패드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자전거
WO2018061153A1 (ja) 歩行支援装置
CN203921094U (zh) 带扳钮式驻车机构的摩托车把手刹车装置
CN207000051U (zh) 一种带轻巧刹车装置活动脚轮
CN105774400A (zh) 一种可调节制动的脚轮
CN211995515U (zh) 轮胎制动器
CN211769366U (zh) 电缆放线轮放置架
JP2009508733A (ja) 一体型水圧ブレーキを備えた自転車フォーク
CN220020186U (zh) 一种适用于驻车制动的刹车把手装置
EP0928623A3 (en) Device for regenerating a brake, particularly for skates
CN107336564A (zh) 一种带轻巧刹车装置活动脚轮
CN220632458U (zh) 医用按压式手刹推车
CN212605644U (zh) 一种儿童车的刹车机构
CN217532409U (zh) 一种方便踩踏刹车踏板的脚轮
KR20140069640A (ko) 자전거용 안티 다이브 서스펜션 포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