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877B1 -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877B1
KR102607877B1 KR1020220006677A KR20220006677A KR102607877B1 KR 102607877 B1 KR102607877 B1 KR 102607877B1 KR 1020220006677 A KR1020220006677 A KR 1020220006677A KR 20220006677 A KR20220006677 A KR 20220006677A KR 102607877 B1 KR102607877 B1 KR 10260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mart
circuit system
unit
coupl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008A (ko
Inventor
봉현
이운형
이민수
최지영
채영석
윤현구
최은석
Original Assignee
봉현
이운형
최지영
채영석
윤현구
최은석
이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현, 이운형, 최지영, 채영석, 윤현구, 최은석, 이민수 filed Critical 봉현
Priority to KR102022000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7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통합회로를 포함하고, 통합회로는 헬멧에 장착되는 스마트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전원회선; 스마트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데이터회선, 및 기전송중인 데이터신호에 우선하는 인터럽트신호를 스마트장치에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인터럽트회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Smart circuit system for helmets}
본 발명은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멧에 장착되어 착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말한다. 헬멧에는 군인이 착용하는 전투용 헬멧, 자전거, 오토바이 등 교통수단의 이용자가 착용하는 헬멧, 및 산업 현장에서 인부들이 착용하는 산업용 헬멧 등이 있다.
헬멧에는 다양한 장치들, 예컨대 조준경, 투시경, 플래쉬 등이 장착되며, 이러한 장치들은 착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을 위한 회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회로는 헬멧에 장착되는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착용자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헬멧이 개별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러한 경우 헬멧의 크기가 변하므로 헬멧의 외형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헬멧의 외형에 따라 개별적인 회로의 설치가 요구되므로, 종래에는 헬멧에 설치되는 회로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헬멧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장착되는데, 종래의 회로는 각각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었고,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복수의 배터리로 인하여 헬멧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장치들 간의 데이터 연결이 어려웠으며, 헬멧을 착용한 착용자들 사이의 정보 교환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헬멧의 외형에 따라 개별적인 통합회로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고, 스마트장치들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다양한 스마트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통합회로를 포함하고, 통합회로는 헬멧에 장착되는 스마트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전원회선; 스마트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데이터회선, 및 기전송중인 데이터신호에 우선하는 인터럽트신호를 스마트장치에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인터럽트회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회선은 일 방향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회선, 및 타 방향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회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원회선에는 상기 통합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회선에는 상기 헬멧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전기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통합회로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헬멧에 결합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회로는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헬멧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헬멧에 결합되고,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복수 개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결합기구 중에서 상기 스마트장치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기구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는 직선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결합기구가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통합회로를 수용하도록, 상기 통합회로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장치 및 상기 결합기구를 연결하는 장착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기구는 상기 결합기구에 삽입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기구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장착홈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기구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결합본체, 상기 제1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본체로부터 일 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본체로부터 타 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구부러지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베이스 보다 높은 강도(Hardness)를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조절본체, 상기 조절본체로부터 상기 결합기구를 향하여 돌출된 조절부재, 및 상기 결합기구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절부재에 형성된 조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조절본체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결합기구의 일 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1 조절부재, 및 상기 결합기구의 타 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면은 상기 결합기구의 일 측에 접촉되고 경사지도록 상기 제1 조절부재에 형성된 제1 조절면, 및 상기 결합기구의 타 측에 접촉되고 경사지도록 상기 제2 조절부재에 형성된 제2 조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면 및 상기 제2 조절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결합기구의 위치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전원회선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장치에 포함된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합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통합회로와 상기 스마트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식별하면 피아식별(Identification Friend or Foe)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헬멧의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헬멧의 착용자의 부상을 식별하면 부상신호를 생성하는 식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유닛은 상기 피아식별신호 또는 상기 부상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기진행중인 일반모드를 중단시키고 수신된 상기 피아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영역 내의 피아식별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헬멧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에 위치하는 대상물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이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진동유닛은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이 감지한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헬멧의 상이한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감지유닛과 감지된 대상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과 지면 사이의 거리정보 또는 상기 헬멧의 기울기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헬멧을 착용한 착용자의 자세를 판별하는 자세판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의 지형정보를 탐지하는 지형탐지유닛,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지형탐지유닛이 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감지영역 내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형성유닛, 및 상기 경로형성유닛이 생성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헬멧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통합회로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으로부터 대상물이 이탈되면 이탈신호를 생성하는 이탈신호생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이 상기 이탈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진동유닛은 진동 또는 소리를 생성하되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이 감지한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헬멧의 상이한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에 배치되어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의 동작을 위한 이탈신호생성유닛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헬멧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헬멧의 외형에 따라 통합회로의 형상도 함께 변하므로, 헬멧의 외형에 따라 개별적인 통합회로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은 스마트장치들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사용상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이 헬멧에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회로가 스마트장치에 연결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조절기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조절기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조절기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위치조절기를 통해 결합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위치조절기를 통해 위치가 조절된 결합기구를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진동유닛에 관한 일 예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이 헬멧에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회로가 스마트장치에 연결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조절기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조절기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조절기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위치조절기를 통해 결합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I-I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위치조절기를 통해 위치가 조절된 결합기구를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진동유닛에 관한 일 예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헬멧(100, 도 1에 도시됨)에 설치되는 다양한 스마트장치(5)에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통합회로(2), 레일(3), 통합배터리(4), 및 스마트장치(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에 있어서, 헬멧(100)에 배치되는 통합회로(2)는 헬멧(100)에 장착되는 스마트장치(5)에 전원을 공급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전원회선(21), 스마트장치(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데이터회선(22); 및 기전송중인 데이터신호에 우선하는 인터럽트신호를 상기 스마트장치(5)에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인터럽트회선(2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원회선(21)은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데이터회선(22)은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인터럽트회선(23)은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0)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헬멧(100)의 외형에 따라 통합회로(2)의 형상이 함께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헬멧(100)의 외형에 따라 형상이 다른 통합회로(2)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통합회로(2)의 설치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회로(2)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스마트장치(5)에 전원만을 공급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데이터회선(22)을 이용하여 스마트장치(5)들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헬멧(100)을 착용한 착용자 사이의 정보 교환을 가능케 하는 등의 다양한 스마트장치(5)를 이용한 사용상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합회로(2), 레일(3), 통합배터리(4), 및 스마트장치(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통합회로(2)는 헬멧(100)에 배치된다. 통합회로(2)는 헬멧(100)에 설치된 스마트장치(5)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스마트장치(5)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인터럽트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회로(2)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합회로(2)는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회로(2)는 Polyimide base 소재를 갖는 Flexible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회로(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헬멧(10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합회로(2)는 볼트를 이용하여 헬멧(10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합회로(2)는 헬멧(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회로(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을 통해 헬멧(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통합회로(2)가 레일(3)을 통해 헬멧(100)에 결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합회로(2)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회로(2)는 헬멧(100)의 중간부분, 헬멧(100)의 일 측, 및 헬멧(100)의 타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통합회로(2)는 전원회선(21), 데이터회선(22), 및 인터럽트회선(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회선(21)은 스마트장치(5)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회선(21)은 통합배터리(4)에 연결되어 통합배터리(4)로부터 전원을 스마트장치(5)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회선(21)은 제1 전원회선 및 제2 전원회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회선은 전원회선(21)의 일 방향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회선은 전원회선(21)의 일 면인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레벨은 7V(Voltage)일 수 있다.
제2 전원회선은 전원회선(21)의 타 방향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원회선은 전원회선(21)의 타 면인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회선(21)은 일 면과 타 면이 분리되어 각각 낮은 레벨의 전원 및 높은 레벨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위 이중전원회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헬멧(100)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스마트장치(5)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장치(5)는 저전압, 저전력 특성을 갖는 전자장치(A, 도 14에 도시됨) 및 기계적 운동을 위한 전기장치(B,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A)는 프로세서(51A, MCU : Micro Controller Unit), RF, 센서, 디스플레이,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장치(B)는 기계적 운동을 위한 유닛(예컨대, 진동유닛(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A)는 작동전압과 제어신호전압이 동일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예컨대 1.8V, 3.3V, 5V 등의 저전압을 사용한다. 전기장치(B)는 기계적 운동을 위한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전동 액츄에이터, 및 고전압 고전력 장치(예컨대, 고출력 레이저, 플래쉬, 열화상 센서)를 포함하기 때문에, 예컨대 9~24V정도의 고전압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자장치(A)는 제1 전원회선에 연결되어서 기설정된 레벨 미만의 전원을 공급받고, 전기장치(B)는 제2 전원회선에 연결되어서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장치(5)가 서로 다른 레벨의 전원 공급이 필요한 전자장치(A) 및 전기장치(B)를 포함함에도, 전원회선(21)이 단일전원회선으로 구현된 비교예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단일전원회선을 이용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승강압을 거치며 전원 공급의 효율이 저하된다. 둘째, 비교예는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추가 회로의 설치가 요구되므로,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전자장치(A)와 전기장치(B) 각각에 허용되는 전원 노이즈 정도가 다름에도, 단일전원회선으로 구성할 경우 스마트장치(5)에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즉, 전기장치(B)에서는 전원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을 레벨의 전압이 전자장치(A)에서는 심각한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넷째, 전압강하는 전기장치(B)에 더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단일전원회선으로 구성할 경우 스마트장치(5)에 공급되는 전원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전원회선(21)이 이중전원회선으로 구현됨으로써, 전원 공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회선(21)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며, 스마트장치(5)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도할 수 있고, 스마트장치(5)에 공급되는 전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회선(21)은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회선(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배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통합회로(2)는 복수 개의 전원회선(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회로(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원회선(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데이터회선(22)은 스마트장치(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헬멧(100)에 장착되는 다양한 스마트장치(5)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회선(22)은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회선(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배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통합회로(2)는 복수 개의 데이터회선(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회로(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데이터회선(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인터럽트회선(23)은 긴급신호의 일종으로, 기전송중인 데이터신호에 우선하는 인터럽트신호를 스마트장치(5)에 전송한다. 예컨대, 피아식별(Identification Friend or Foe)신호 또는 헬멧(100)의 착용자에 대한 부상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생성된 경우, 인터럽트신호는 생성될 수 있다. 인터럽트신호가 생성되면, 프로세서(51A)는 피아식별(Identification Friend or Foe)과정 및 위치알림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피아식별이란, 전자발신을 사용하여 아군이 장치한 장비가 자동적으로 응답하게 하는 체제이다. 예컨대, 헬멧(100)에 장착된 스마트장치(5) 사이의 전파를 통해, 적군과 아군이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에 있어서, 인터럽트신호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인터럽트회선(23)은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럽트회선(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직선으로 배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에 있어서, 통합회로(2)는 2개의 전원회선(21), 2개의 데이터회선(22), 및 1개의 인터럽트회선(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적은 개수의 회선을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회선의 기능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합회로(2)는 절대다수 DC전원을 사용할 것 이므로 2개 이상의 전원회선(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데이터회선(22)은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관이 있는데, 직렬통신이 일반적이고, N:1, N:N 통신이 가능해야 하므로 주소지정방식이 유리하다. 또한, 데이터회선(22)은 하드웨어측에서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해야 한다. 상기 2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고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2선의 I2C(주소지정), 2선의 CAN(주소지정), 2선의 UART, 1선의 1-wire, 4선의 SPI(주소지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장치(5)의 수에 따라 회선이 1개씩 추가될 수 있다. 상기의 인터페이스 중에서 UART, SPI는 상대적으로 기능성이 떨어지고, 1-wire는 데이터회선(22)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나 저속이며 특정 제조사에 따라 제조 및 활용이 제한적이므로,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I2C, CAN 통신을 포함하게 되고, 결론적으로 통합회로(2)는 2개의 데이터회선(22)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회로(2)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차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는 통합회로(2)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회로(2)는 차폐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통합회로(2)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통합회로(2)의 사용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차폐부는 감광성 솔더마스크 페인트 또는 고무패킹일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레일(3)은 헬멧(100)에 결합된다. 레일(3)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이 복수 개의 통합회로(2)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통합회로(2)와 동일한 숫자의 레일(3)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3)은 통합회로(2)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스마트장치(5)를 헬멧(100)에 결속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고 있는 레일(3)은 특정한 기능을 갖는 장치만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아니라, 헬멧(100) 착용자에게 임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장치(5)를 헬멧(100)에 결속시키는 마운트(Mount)와 같은 기계적 결합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레일(3)은 베이스(31), 및 결합기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베이스(31)는 레일(3)의 본체로 기능한다. 베이스(3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헬멧(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31)는 탄성을 갖는 고무의 일종인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31)에 형성되는 여러가지 홈(Groove) 내지 공(Hole)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베이스(31)에는 삽입홈(31a), 결합공(31b), 결합홈(31c), 및 수용홈(31d)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삽입홈(31a), 결합공(31b), 결합홈(31c), 및 수용홈(31d)이 베이스(31)에 형성된 위치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삽입홈(31a)에는 결합기구(32)가 삽입된다. 삽입홈(31a)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3)이 복수 개의 결합기구(32)를 포함하는 경우, 삽입홈(31a)은 결합기구(32)와 동일한 숫자로 베이스(3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삽입홈(31a)은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결합공(31b)에는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된다. 결합부재는 결합공(31b)에 삽입되어서 베이스(31)와 헬멧(100)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합부재는 볼트일 수 있다. 결합공(31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31b)은 복수 개가 베이스(31)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1c)에는 결합핀(3a, 도 5 및 도 6에 도시됨)이 삽입된다. 결합핀(3a)은 결합기구(32)를 베이스(31)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합핀(3a)이 결합기구(32)의 일 측 및 결합기구(32)의 타 측에 결합되어 결합홈(31c)에 삽입되면, 결합기구(32)는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3)이 복수 개의 결합기구(32)를 포함하는 경우, 결합홈(31c)은 결합기구(32)와 동일한 숫자로 베이스(31)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1d)에는 통합회로(2)가 수용된다. 수용홈(31d)은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1d)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통합회로(2)가 수용홈(31d)에 수용되면, 통합회로(2)는 베이스(31) 및 결합기구(3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결합기구(32)에는 스마트장치(5)가 결합된다. 스마트장치(5)는 결합기구(32)에 결합됨에 따라 레일(3)에 결합되어, 헬멧(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장치(5)가 결합기구(32)에 결합되는 일 예를 첨부된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스마트장치(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기구(50)를 통해 결합기구(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기구(50)는 스마트장치(5) 및 결합기구(32)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기구(32)가 장착기구(50)에 형성된 장착홈(5a)에 삽입되면, 장착기구(50)는 결합기구(32)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기구(32)는 장착홈(5a)에 삽입되는 결합본체(320), 결합본체(320)로부터 일 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32a), 및 결합본체(320)로부터 타 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재(32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기구(32)가 장착홈(5a)에 삽입되면, 제1 돌출부재(32a)는 제1 지지면(50a)에 접촉되고, 제2 돌출부재(32b)는 제2 지지면(50b)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기구(50) 및 결합기구(32)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마트장치(5)가 결합기구(32)를 통해 레일(3)에 결합되고, 스마트장치(5)가 헬멧(1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면(50a)은 장착홈(5a)에 대향하도록 장착기구(50)의 내면에 형성되고, 제2 지지면(50b)은 제1 지지면(50a)과 이격된 위치에서 장착홈(5a)에 대향하도록 장착기구(5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기구(32)는 베이스(31)에 결합된다. 결합기구(32)는 삽입홈(31a)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기구(32)의 일 측 및 결합기구(32)의 타 측이 삽입홈(31a)에 각각 삽입되면, 결합기구(32)는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기구(32)는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서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기구(3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스마트장치(5)가 하나의 레일(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결합기구(32) 중에서 스마트장치(5)가 결합되는 결합기구(32)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베이스(31)는 직선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직선으로 변형되는 베이스(31)의 부분은 결합기구(32)들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베이스(31)가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 결합기구(32)에 스마트장치(5)가 결합되더라도, 결합기구(32)들이 결합된 부분의 베이스(31)는 직선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결합기구(32) 중에서 스마트장치(5)가 결합되는 결합기구(32)도 직선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베이스(31)가 구부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31)의 일부가 직선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헬멧(100)에 결합되어 휘어져 있는 상태의 레일(3)에도 스마트장치(5)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레일(3)이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장치(5)를 레일(3)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스마트장치(5)를 결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기구(32)는 베이스(31)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스마트장치(5)가 결합기구(32)에 체결되는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외부의 충격에도 결합기구(32)의 변형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스마트장치(5)가 결합기구(32)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결합기구(32)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레일(3)은 위치조절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기(33)는 베이스(31)에 결합되어 결합기구(32)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조절기(33)는 복수 개의 결합기구(32) 중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결합기구(32',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조절기(33)는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기구(3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조절기(33)에 의해 결합기구(32)의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결합핀(3a)은 결합홈(31c)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기구(3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고하면, 위치조절기(33)는 조절본체(331), 및 조절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본체(331)는 베이스(31)에 결합된다. 조절본체(331)의 일부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31a)에 삽입됨에 따라 조절본체(331)는 베이스(31)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본체(331)는 베이스(3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절본체(331)는 위치조절기(33)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조절부재(332)는 조절본체(331)로부터 결합기구(32)를 향해 돌출된다. 조절부재(332)는 결합기구(3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절본체(331)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재(332)는 결합기구(32)의 하측에서, 결합기구(32)를 상하방향을 따라 상승시킬 수 있다. 조절부재(332)는 조절본체(3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절부재(332)는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조절본체(331)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위치조절기(33)를 베이스(3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결합기구(32)의 위치를 조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결합기구(32)를 조절하는 영역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결합기구(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조절부재(332)는 제1 조절부재(332a), 및 제2 조절부재(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332a)는 결합기구(32')의 일 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2 조절부재(332b)는 결합기구(32)의 타 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 조절부재(332a) 및 제2 조절부재(332b) 사이의 이격거리(L)가 조절됨에 따라, 결합기구(32')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격거리(L)는, 제1 조절부재(332a)의 단부와 제2 조절부재(332b)의 단부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위치조절기(33)는 조절면(3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면(333)은 경사지도록 조절부재(332)에 형성된다. 조절면(333)은 결합기구(32)에 대향하도록 조절부재(332)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면(333)은 결합기구(32)에 접촉될 수 있다. 조절면(333)은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면(333)은 제1 조절면(333a) 및 제2 조절면(3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면(333a)은 결합기구(32)의 일 측에 접촉되도록 제1 조절부재(332a)에 형성된다. 제1 조절면(333a)은 제2 조절면(333b)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2 조절면(333b)은 결합기구(32)의 타 측에 접촉되도록 제2 조절부재(332b)에 형성된다. 제2 조절면(333b)은 제1 조절면(333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2 조절면(333b) 및 제1 조절면(333a)의 사이의 이격거리(L)가 조절됨에 따라, 결합기구(32')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위치조절기(33)는 조절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기구는 조절본체(331)에 형성된 조절공(331a, 도 9,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됨)에 삽입된다. 조절기구는 볼트로 구현되어 회전함에 따라 이격거리(L)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공(331a)을 향하는 조절본체(331)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조절기(33)를 이용하여 결합기구(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위치조절기(33)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기구(32') 및 상기 결합기구(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기구(32)에 스마트장치(5)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한다.
우선, 도 11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조절부재(332a) 및 제2 조절부재(332b) 사이의 이격거리(L)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조절기구를 조절공(331a)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거리(L)는 감소될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면(333a) 및 제2 조절면(333b) 사이의 이격거리(L)는 감소된다. 제1 조절면(333a) 및 제2 조절면(333b)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이격거리(L)가 감소됨에 따라 제1 조절면(333a)은 결합기구(32')의 일 측을 상승시키고, 제2 조절면(333b)은 결합기구(32')의 타 측을 상승시킨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기(33)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기구(32')의 높이는 증가된다. 이에 따라, 위치조절기(33)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기구(32')의 높이 및 상기 결합기구(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기구(32)의 높이 차가 발생된다. 스마트장치(5)는 상기 결합기구들(32', 32)에 걸처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마트장치(5) 또한 경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위치조절기(33)를 조작하는 작업을 통해 스마트장치(5)가 레일(3)에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결합기구들(32', 32)에 결합되는 스마트장치(5)가 카메라 또는 후레쉬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스마트장치(5)를 레일(3)로부터 분리시키는 등의 조작 없이도 위치조절기(33)를 통해 스마트장치(5)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위 환경에 따른 스마트장치(5)의 사용상의 대응력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통합배터리(4)는 스마트장치(5)에 포함된 전자장치(A) 및 전기장치(B) 모두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전자장치(A) 및 전기장치(B)에 포함된 각각의 장치들에 개별적인 배터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헬멧(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고 사용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합배터리(4)는 전원회선(21)을 통해 스마트장치(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마트장치(5)는 헬멧(100)에 장착되어 착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장치(5)는 복수 개의 결합기구(32)들이 이격된 공간의 사이에 삽입되어 통합회로(2)에 접촉됨으로써, 통합회로(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스마트장치(5)의 실시예들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스마트장치(5)는 프로세서(51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A)는 통합회로(2), 및 스마트장치(5)에 포함된 전자장치(A)와 전기장치(B)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A)는 통합회로(2), 및 스마트장치(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51A)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51A)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스마트장치(5)는 진동유닛(51B)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유닛(51B)은 헬멧(100)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진동유닛(51B)은 통합회로(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진동유닛(51B)은 진동체, 모터, 스피커 등의 기계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장치(5)는 식별유닛(52A)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 도 15에 도시됨) 내에 위치하는 사람을 식별하거나 헬멧(100)의 착용자가 부상을 당한 것을 식별한다. 감지영역(S)은 헬멧(100)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는 소정의 영역일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에 위치하는 사람을 식별하면 피아식별신호를 생성하고, 헬멧(100)의 착용자가 부상을 당한 것을 식별하면 부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에 위치하는 사람의 존재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유닛(52A)은 헬멧(100)의 착용자의 맥박, 출혈량, 심장박동수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피아식별신호를 생성하면,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에 존재하는 사람이 적 또는 아군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에 존재하는 사람이 착용하는 헬멧(100)에 장착된 스마트장치(5)로부터 전달되는 전파에 포함된 피아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이 적 또는 아군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헬멧(100)의 착용자의 맥박이 기설정된 횟수 미만이거나, 헬멧(100)의 착용자의 출혈량이 기설정된 량을 초과하거나, 헬멧(100)의 착용자의 심장박동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일 경우, 부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유닛(52A)은 피아식별신호 또는 부상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인터럽트신호는, 인터럽트회선(23)을 통해 프로세서(51A)를 포함한 전자장치(A) 및 전기장치(B)에 전달될 수 있다.
인터럽트신호가 생성되면, 프로세서(51A)는 기진행중인 일반모드를 중단시키고, 감지영역(S) 내의 피아식별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하거나 헬멧(100)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헬멧(100)이 사용되는 환경이 급박하고 신속을 요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헬멧(100)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51A), 진동유닛(51B), 식별유닛(52A), 거리측정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장치(5)가 헬멧(1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가정한다.
우선, 일반모드의 일 예에서, 프로세서(51A)는 거리측정기가 측정한 헬멧(100)과 대상물(200) 사이의 거리값을 수신받고, 디스플레이에 화면 갱신 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헬멧(100)에 접근중인 대상물(200, 도 15에 도시됨)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일반모드에서 거리측정기가 거리값을 측정 후, 프로세서(51A)는 헬멧(100)에 접근하는 대상물(200)의 감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물(200)의 거리값 또는 대상물(200)의 위치에 따라, 진동유닛(51B)은 상이한 크기 및 헬멧(100)의 상이한 위치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일반모드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별유닛(52A)이 피아식별신호 또는 부상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피아식별신호 또는 부상신호는 즉각적으로 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프로세서(51A)는 기진행중인 일반모드를 중단시키고, 감지영역(S) 내의 피아식별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하거나 헬멧(100)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별유닛(52A)은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51A)에 제공하고, 프로세서(51A)는 진동유닛(51B), 거리측정기,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데이터회선(22)을 이용하여 일반모드에서 진행중이 진동유닛(51B), 거리측정기, 디스플레이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진행중인 일반모드는 중단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51A)는 감지영역(S) 내에 존재하는 사람이 적 또는 아군인지를 우선하여 판별함으로써 피아식별과정을 처리하고, 헬멧(100)의 착용자의 위치를 GPS를 통해 우선적으로 아군에게 알림으로써 위치알림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만일, 인터럽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모드가 진행되고 있는 중간에 피아식별과정을 처리하거나 위치알림과정을 처리하는 비교예는, 기진행중인 일반모드의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서야 피아식별과정과 위치알림과정이 처리되기 때문에 급박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인터럽트신호가 생성되면 기진행중인 일반모드를 중단시켜서 피아식별과정과 위치알림과정이 우선적으로 처리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아군을 사살하는 상황을 원척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부상당한 착용자를 빠르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을 도모할 있다.
스마트장치(5)는 감지유닛(53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유닛(53A)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의 대상물(200)을 감지한다. 감지유닛(53A)은 감지영역(S) 내에 대상물(200)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감지유닛(53A)은 통합회로(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감지유닛(53A)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물(200)은 사람 또는 바위 등과 같은 지형 지물일 수 있다.
감지유닛(53A)이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진동유닛(51B)은 헬멧(100)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유닛(51B)은 헬멧(100)의 착용자에게 대상물(200)이 감지영역(S) 내에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유닛(53A)은 감지영역(S) 내에서 대상물(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유닛(51B)은 헬멧(100)의 상이한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53A)이 감지영역(S) 내에서 북쪽(N)에 대상물(200)이 있음을 감지하면, 진동유닛(51B)은 이에 대응되도록 헬멧(100)의 전방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북쪽(N)에 대상물(200)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53A)이 감지영역(S) 내에서 동쪽(E)에 대상물(200)이 있음을 감지하면, 진동유닛(51B)은 이에 대응되도록 헬멧(100)의 우측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동쪽(E)에 대상물(200)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유닛(53A)은 감지영역(S) 내에서 대상물(200)과 헬멧(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유닛(51B)은 서로 다른 크기의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53A)이 제1 감지영역(S1) 상에서 대상물(200)을 감지하면, 진동유닛(51B)은 제1 크기(=제1 진폭)를 갖는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53A)이 제2 감지영역(S2) 상에서 대상물(200)을 감지하면, 진동유닛(51B)은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제2 진폭)를 갖는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대상물(200)이 점차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제1 감지영역(S1)은 제2 감지영역(S2)에 비해 헬멧(100)으로부터 더 큰 반경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유닛(53A)이 감지영역(S) 내에서 대상물(200)과 헬멧(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함에 따라, 진동유닛(51B)은 서로 다른 진동수(주기)를 갖는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장치(5)는 감지유닛(53A)이 감지영역(S) 내에서 대상물(200)과 헬멧(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함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유닛은 감지유닛(53A)이 감지한 결과에 따라 헬멧(100)의 상이한 위치에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서로 다른 크기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마트장치(5)는 자세판별유닛(54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판별유닛(54A)은 헬멧(100)을 착용한 착용자의 자세를 판별한다. 자세판별유닛(54A)은 헬멧(100)과 지면 사이의 거리에 관한 정보 또는 헬멧(100)의 기울기 정보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헬멧(100)을 착용한 착용자의 자세를 판별할 수 있다. 자세판별유닛(54A)은 통합회로(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자세판별유닛(54A)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예 : 3분) 동안 헬멧(100)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낮아진 상태가 유지되거나, 기설정된 시간(예 : 3분) 동안 헬멧(100)의 기울기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자세판별유닛(54A)은 착용자가 부상상태임을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세판별유닛(54A)은 현재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GPS 를 이용하여 프로세서(51A)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원은 헬멧(1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통해 헬멧(100)의 착용자의 위치를 알고, 착용자를 구조할 수 있다.
스마트장치(5)는 지형탐지유닛(55A)을 포함할 수 있다.
지형탐지유닛(55A)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의 지형정보를 탐지한다. 지형탐지유닛(55A)은 GPS를 통해 감지영역(S) 내의 지형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 지형탐지유닛(55A)은 감지영역(S) 내의 도로, 바위, 하천, 횡단보도 등과 같은 지형을 탐지할 수 있다. 지형탐지유닛(55A)은 통합회로(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스마트장치(5)는 경로형성유닛(56A)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형성유닛(56A)은 지형탐지유닛(55A)이 탐지한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생성한다. 경로형성유닛(56A)은 바위와 같은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로형성유닛(56A)은 통합회로(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로형성유닛(56A)이 생성한 경로는 디스플레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로를 따라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진동유닛(51B)은 경로형성유닛(56A)이 생성한 경로를 이용하여 헬멧(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헬멧(100)에 발생된 진동의 위치를 이용하여 경로형성유닛(56A)이 생성한 경로를 이동함에 따라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1A)는 헬멧(100)의 착용자가 이동한 기 이동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헬멧(100)의 착용자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고자 할 경우, 프로세서(51A)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 이동경로를 헬멧(100)의 착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이탈신호생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신호생성유닛은 기설정된 감지영역(S)으로부터 대상물(200)이 이탈되면 이탈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대상물(200)은 아군일 수 있다. 즉, 아군이 기설정된 감지영역(S)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진동유닛(51B)은 헬멧(100)의 착용자에게 진동 또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헬멧(100)의 착용자는 아군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탈신호생성유닛은 전자장치(A)로, 통합회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유닛(51B)은 이탈신호생성유닛이 감지한 대상물(200)의 위치에 따라 헬멧(100)의 상이한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5a 내지 도 15c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적으로 일체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이 이탈신호생성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1)은 이탈안내유닛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안내유닛조작부는 이탈신호생성유닛의 동작을 위한 것이다. 이탈안내유닛조작부은 헬멧(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안내유닛조작부는 통합회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이탈안내유닛조작부가 1회 조작되면, 이탈신호생성유닛은 동작할 수 있다. 이탈안내유닛조작부가 1회 더 조작되면, 이탈신호생성유닛은 동작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설정된 감지영역(S)으로부터 대상물(200)이 이탈되면, 대상물(200)에 장착된 헬멧(100)에서 소리가 발생되거나, 대상물(200)에 장착된 헬멧(100)의 센서가 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200)의 위치가 다른 헬멧(100)의 착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여기서, 헬멧(100)의 센서는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센서, 또는 비가시광선(UV : Ultraviolet Ray, IR : Infrared Ray)을 발광하는 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탈안내유닛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대상물(200)에 장착된 헬멧(100)에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대상물(200)에 장착된 헬멧(100)의 센서를 발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2 : 통합회로
3 : 레일 4 : 통합배터리
5 : 스마트장치 A : 전자장치
B : 전기장치 21 : 전원회선
22 : 데이터회선 23 : 인터럽트회선
31 : 베이스 32 : 결합기구
33 : 위치조절기 3a : 고정핀
31a : 삽입홈 31b : 결합공
31c : 결합홈 31d : 수용홈
331 : 조절본체 332 : 조절부재
333 : 조절면 331a : 조절공
51A : 프로세서 51B : 진동유닛
52A : 식별유닛 53A : 감지유닛
54A : 자세판별유닛 55A : 지형탐지유닛
56A : 경로형성유닛

Claims (23)

  1. 헬멧(Helmet, 100)에 배치되는 통합회로(2) 및 스마트장치(5)를 갖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회로(2)는,
    상기 헬멧(100)에 장착되는 상기 스마트장치(5)에 전원을 공급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전원회선(21);
    상기 스마트장치(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데이터회선(22); 및
    기전송중인 데이터신호에 우선하는 인터럽트신호를 상기 스마트장치(5)에 전송하고,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인터럽트회선(23);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장치(5)는,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100)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유닛(51B); 및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에 위치하는 대상물(200)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유닛(53A);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53A)이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진동유닛(51B)은 상기 감지유닛(53A)이 감지한 대상물(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헬멧(100)의 상이한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선(21)은
    일 방향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회선; 및
    타 방향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회선에는 상기 통합회로(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51A)를 포함하는 전자장치(A)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회선에는 상기 진동유닛(51B)을 포함하는 전기장치(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회로(2)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100)에 결합되는 레일(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회로(2)는 상기 레일(3)을 통해 상기 헬멧(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헬멧(100)에 결합되고,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베이스(31); 및
    상기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복수 개가 상기 베이스(31)에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장치(5)가 결합되는 결합기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기구(32) 중에서 상기 스마트장치(5)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기구(32)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31)는 직선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은 상기 결합기구(32)가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3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은 상기 통합회로(2)를 수용하도록, 상기 통합회로(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31)에 형성된 수용홈(31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장치(5) 및 상기 결합기구(32)를 연결하는 장착기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기구(50)는 상기 결합기구(32)에 삽입되는 장착홈(5a), 상기 장착홈(5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기구(32)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50a), 및 상기 제1 지지면(50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장착홈(5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기구(32)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50b)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기구(32)는 상기 장착홈(5a)에 삽입되는 결합본체(320), 상기 제1 지지면(50a)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본체(320)로부터 일 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32a), 및 상기 제2 지지면(50b)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본체(320)로부터 타 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재(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1)는 구부러지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구(32)는 상기 베이스(31) 보다 높은 강도(Hardness)를 갖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1)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기구(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기(33)는,
    상기 베이스(31)에 결합되는 조절본체(331);
    상기 조절본체(331)로부터 상기 결합기구(32)를 향하여 돌출된 조절부재(332); 및
    상기 결합기구(32)에 접촉되도록 상기 조절부재(332)에 형성된 조절면(3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332)는 상기 베이스(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조절본체(331)의 양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332)는 상기 결합기구(32)의 일 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1 조절부재(332a), 및 상기 결합기구(32)의 타 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2 조절부재(332b)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면(333)은 상기 결합기구(32)의 일 측에 접촉되고 경사지도록 상기 제1 조절부재(332a)에 형성된 제1 조절면(333a), 및 상기 결합기구(32)의 타 측에 접촉되고 경사지도록 상기 제2 조절부재(332b)에 형성된 제2 조절면(333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절면(333a) 및 상기 제2 조절면(333b)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결합기구(32)의 위치는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선(21)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장치(5)에 포함된 전자장치(A) 및 전기장치(B)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합배터리(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장치(5)는,
    상기 통합회로(2)와 상기 스마트장치(5)를 제어하는 프로세서(51A); 및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식별하면 피아식별(Identification Friend or Foe)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헬멧(100)의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헬멧(100)의 착용자의 부상을 식별하면 부상신호를 생성하는 식별유닛(52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유닛(52A)은 상기 피아식별신호 또는 상기 부상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프로세서(51A)는 기진행중인 일반모드를 중단시키고 수신된 상기 피아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영역(S) 내의 피아식별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헬멧(100)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과정을 우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51B)은, 상기 감지유닛(53A)과 감지된 대상물(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장치(5)는,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100)과 지면 사이의 거리정보 또는 상기 헬멧(100)의 기울기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헬멧(100)을 착용한 착용자의 자세를 판별하는 자세판별유닛(54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장치(5)는,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의 지형정보를 탐지하는 지형탐지유닛(55A); 및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상기 지형탐지유닛(55A)이 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감지영역(S) 내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형성유닛(56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유닛(51B)은 상기 경로형성유닛(56A)이 생성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헬멧(100)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장치(5)는,
    상기 통합회로(2)에 연결되고, 기설정된 감지영역(S)으로부터 대상물(200)이 이탈되면 이탈신호를 생성하는 이탈신호생성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이 상기 이탈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진동유닛(51B)은 진동 또는 소리를 생성하되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이 감지한 대상물(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헬멧(100)의 상이한 위치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헬멧(100)에 배치되어 상기 이탈신호생성유닛의 동작을 위한 이탈신호생성유닛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KR1020220006677A 2022-01-17 2022-01-17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KR10260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77A KR102607877B1 (ko) 2022-01-17 2022-01-17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77A KR102607877B1 (ko) 2022-01-17 2022-01-17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08A KR20230111008A (ko) 2023-07-25
KR102607877B1 true KR102607877B1 (ko) 2023-11-30

Family

ID=8742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677A KR102607877B1 (ko) 2022-01-17 2022-01-17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8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53B1 (ko) * 2015-05-22 2016-01-11 전상보 안전 헬멧
CN206365527U (zh) * 2016-12-09 2017-08-01 点子建有限公司 一种集成智能头戴式设备
WO2020237189A1 (en) * 2019-05-22 2020-11-26 Gentex Corporation Helmet accessory mounting system
US20210315314A1 (en) * 2020-04-14 2021-10-14 Wilcox Industries Corp. Modular helme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53B1 (ko) * 2015-05-22 2016-01-11 전상보 안전 헬멧
CN206365527U (zh) * 2016-12-09 2017-08-01 点子建有限公司 一种集成智能头戴式设备
WO2020237189A1 (en) * 2019-05-22 2020-11-26 Gentex Corporation Helmet accessory mounting system
US20210315314A1 (en) * 2020-04-14 2021-10-14 Wilcox Industries Corp. Modular helme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08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17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ed device position and orientation determination
KR20060131775A (ko) 헬멧 위치 측정 시스템, 헬멧 어셈블리, 및 동공 응시 방향계산 방법
CN109444773B (zh) 一种固连外部磁体和磁传感器阵列的磁源检测装置
US20190037954A1 (en) Hard Hat Assembly
RU2644760C1 (ru) База для зарядки батареи и способ зарядки с применением такой базы
KR102607877B1 (ko) 헬멧용 스마트 회로 시스템
JP2006236109A (ja) ロボットの自動充電システム。
JP6906821B2 (ja) 移動ロボット
CN110161987B (zh) 用于保护人员免受自主操作机器影响的系统
CN109407834B (zh) 电子设备、计算机设备、空间定位系统及方法
CN105229475B (zh) 传感器单元、传感器模块的铠装体、电子设备和移动体
KR1024152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817236B2 (en)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system having multiple attachment members
KR20200114164A (ko) 카메라 모듈형 센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0859773B1 (ko) 자율무인잠수정의 수중 도킹을 위한 광학 가이드 장치
KR20200092120A (ko) 구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029131A (zh) 一种实弹射击靶标机器人系统
JP4782816B2 (ja) センサユニット
EP3540473A1 (en) Photoelectric sensor
KR20200067446A (ko)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 2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 2 장치의 자세 제어 방법
WO2023167906A4 (en) Robotic system including a link tracker
US10698418B2 (en) Target-following carrier
CN112439179B (zh) 用于可穿戴训练计算机的自适应天线装置
US10990107B2 (en) Foot with obstacle detecting ability and robot having the same
JPWO2020036217A1 (ja) 物体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