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810B1 -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810B1
KR102607810B1 KR1020210102154A KR20210102154A KR102607810B1 KR 102607810 B1 KR102607810 B1 KR 102607810B1 KR 1020210102154 A KR1020210102154 A KR 1020210102154A KR 20210102154 A KR20210102154 A KR 20210102154A KR 102607810 B1 KR102607810 B1 KR 10260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measurement data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265A (ko
Inventor
하재상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락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락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락방
Priority to KR102021010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제1대상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대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1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측정디바이스, 상기 제1대상체와 대칭되는 위치의 제2대상체에 위치되어 제2대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2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측정디바이스 및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대상체의 움직임과 상기 제2대상체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균형정도를 판단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자세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BODY POSITION CHECKING SYSTEM}
본 발명은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운동 시 근육의 비대칭 발달을 방지할 수 있는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세 시대에는 건강이 중요하다.
건강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어 오프라인 운동 공간을 이용하기 어려우나, 사람들은 건강을 위하여 홈트(홈트레이닝)를 즐기고 있다. 최근 한 카드사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PT(Personal Training)서비스 이용이 약 3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하여 세계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수치를 기록하는 경기 침체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성장률이 플러스 수치를 기록하는 특이한 케이스인 것이다. 이처럼 운동에 대한 사람들의 열망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홈트 시장은 역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운동 시, 개인 트레이너를 고용하는 것은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하기 위함이다. 올바르지 않은 자세는 부상을 유발하거나, 근육 비대칭 현상을 만든다.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운동하는 것은 운동을 하지 않는 것보다 건강을 해친다.
사람은 좌, 우가 대칭되는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홈트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좌, 우의 비대칭적 운동일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신체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는 착각을 하고 있으며, 이 착각은 좌, 우의 비대칭 운동을 하게 만들어,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운동을 하게 한다.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20-007460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혼자 운동 시 좌, 우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자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운동 시 좌, 우의 근육을 대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자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은 제1대상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대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1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측정디바이스, 상기 제1대상체와 대칭되는 위치의 제2대상체에 위치되어 제2대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2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측정디바이스 및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대상체의 움직임과 상기 제2대상체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균형 정도를 판단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송부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와 제2측정디바이스 각각에는 제1자이로센서부와 제2자이로센서부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와 상기 제2측정디바이스가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기준데이터가 기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상기 제2측정데이터를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정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제서버에는 상기 기준데이터가 복수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기준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수정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가 설치된 제1대상체 또는 상기 제2측정디바이스가 설치된 제2대상체 중 어느 하나의 운동량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측정디바이스와 제2측정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좌, 우의 신체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좌, 우의 밸런스가 맞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하여 사용자가 좌, 우 밸런스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 우의 근육을 대칭적으로 키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착용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1측정디바이스의 착용도이고, 도 2b는 제1측정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3측정디바이스와 제4측정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1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2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3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4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착용도이다.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은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 단말기(200), 관제서버(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측정디바이스(110)와 제2측정디바이스(120)가 각각 고정되는 신체를 제1대상체, 제2대상체라고 명명하겠다. 제1측정디바이스(110)과 제2측정디바이스(120) 각각은 제1대상체인 좌측 손목에, 제2대상체인 우측 손목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1측정디바이스의 착용도이고, 도 2b는 제1측정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1측정디바이스(110)를 기준으로 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들을 명명 시 제1, 제2를 붙여서 명명하지 않았지만, 제1측정디바이스(110)와 제2측정디바이스(120)의 구성이 구분되어 명명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제2가 각 구성의 앞에 붙을 수 있다. 즉, 제1측정디바이스(110)의 케이스부는 제1케이스부로 명명될 수 있다.
제1측정디바이스(110)는 케이스부, 고정부, 전자부로 구성된다.
케이스부는 상부케이스부(111), 하부케이스부(112)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부(111)의 상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홈은 후술할 전자부의 스피커의 소리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부(112)의 일측에는 충전단자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전자부의 충전부(114)와 연결되어 전자부에 전기를 공급할 충전부(114)를 충전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부(111)와 하부케이스부(112)는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의 공간에는 전자부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3)는 하부케이스부(112)의 일측에 위치된다.
고정부(113)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며, 'ㄷ'의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113)의 'ㄷ'의 형상 중 개방된 부분은 맞닿게 형성된다. 고정부(113)의 맞닿아서 폐쇄된 부분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특정 대상(예를 들어 장갑의 일부분)을 위치시키면 탄성력으로 인하여 다시 이 개방된 부분은 맞닿도록 위치되어 고정부(113)는 특정 대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전자부는 충전부(114), PCB기판부(115), 자이로센서부(116), 진동센서부(118), 알림스피커부(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부는 고정브라켓부(1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부는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충전부(114), PCB기판부(115), 자이로센서부(116), 고정브라켓부(119), 진동센서부(118), 알림스피커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센서부(118)와 알림스피커부(117)는 수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부(111)와 하부케이스부(112) 사이에 위치된다.
충전부(114)는 하부케이스부(112)에 안착되어 충전부(114)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다. 충전부(114)는 전기를 PCB기판부(115)로 인가하여 PCB기판부(115)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PCB기판부(115)에는 자이로센서부(116)가 연결된다. 따라서 측정디바이스가 동작 시 자이로센서부(116)는 각 축의 각속도를 측정한다. 자이로센서부(116)가 측정한 값은 단말기(200)로 송신된다. 단말기(200)는 다시 자이로센서부(116)가 측정한 값을 관제서버(300)로 송신하여, 측정디바이스(110, 120)의 움직임을 연산할 수 있다.
진동센서부(118)와 알림스피커부(117)도 PCB기판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센서부(118)는 명칭 그대로 진동을 인가하고, 알림스피커부(117)는 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진동센서부(118), 알림스피커부(117)와 PCB기판부(115) 사이에는 고정브라켓부(119)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부(119)는 진동센서부(118), 알림스피커부(117)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브라켓부(119)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홀에는 알림스피커부(117), 진동센서부(118)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알림스피커부(117)와 진동센서부(118)는 위치가 고정되며 PCB기판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미도시되어 있으나, PCB기판부(115)에는 통신부가 위치될 수 있다. 통신부는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와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 수신하면 되므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만 있으면 문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인 제3측정디바이스 및 제4측정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각각 제3대상체와 제4대상체에 착용될 수 있다. 제3대상체는 어느 한쪽의 이두 부분(또는 종아리 부분)일 수 있으며, 제4대상체는 다른 쪽의 이두 부분(또는 종아리 부분)일 수 있다.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신축성을 가지며 각각 제3대상체와 제4대상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내장되어 이를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외부에 힘이 가해질 때 저항의 변화로 수축, 이완을 측정할 수 있음)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각각에 설치되어 근육이 움직여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경우, 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팔이 뒤틀린 경우 근육의 수축 이완 정도를 통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근육의 수축, 이완 정도를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가 측정하고, 단말기(200)를 통하여 관제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 또는 관제서버(300) 중 어느 하나는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제3대상체와 제4대상체의 근력을 비교하는 비교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하여 비교데이터를 확인하여 본인의 근육의 균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미도시되어 있지만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에는 알람스피커부, 진동센서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대상체에 제1측정디바이스(110)를 고정하고, 제2대상체에 제2측정디바이스(120)를 고정하고, 제3측정디바이스(130)를 제3대상체에 고정하고, 제4측정디바이스(140)를 제4대상체에 고정한 후 운동을 수행한다.
운동은 좌, 우 대칭으로 수행한다. 제1측정디바이스(110)는 제1대상체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여 제1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제2측정디바이스(120)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 후 제2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제3측정디바이스(130)는 제3측정데이터를,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제4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는 단말기(200)로 송신되고, 단말기(200)는 다시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관제서버(300)로 송신한다. 관제서버(300)는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대상체의 움직임과 제2대상체의 움직임, 제3대상체의 수축, 이완정도, 제4대상체의 수축, 이완정도를 비교하여 제1대상체, 제2대상체, 제3대상체, 제4대상체의 운동이 밸런스 있게 수행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대상체, 제2대상체, 제3대상체, 제4대상체의 운동량의 밸런스를 체크한다. 아울러,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간단하게 제1대상체, 제2대상체, 제3대상체, 제4대상체의 움직임만을 측정하면 되고, 복잡한 연산은 단말기(200) 또는 관제서버(300)가 수행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울 수 있다. 그리고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는 단말기(200)로 정보를 전달하면 되는 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가 탑재되면 데이터, 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1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를 수행할 때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사용자는 좌측, 우측 손목 각각에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를 착용한다. 또한,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를 이두 부근에 각각 착용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운동데이터를 관제서버(300)로 송신한다. 운동데이터는 사용자가 운동할 운동종류정보, 덤벨의 무게 인 무게정보, 체형, 근육량, 제1측정디바이스(110)와 제2측정디바이스(120),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가 설치된 위치인 설치정보 등을 포함한다.
관제서버(300)에는 기준데이터가 기설정되어 있다.
기준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시 기준이 되는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서버(300)는 단말기(200)로 기준데이터를 송부한다. 단말기(200)는 기준데이터를 수신하고, 화면에 기준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고,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측정디바이스(110)와 제2측정디바이스(120)는 제1측정데이터와 제2측정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제3측정디바이스(130)와 제4측정디바이스(140)는 제3측정데이터와 제4측정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다시 관제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관제서버(300)는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와 기준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관제서버(300)는 수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측정데이터가 10의 거리만큼 이동되어야 하는데, 7의 거리만큼 이동된 것으로 측정된 경우, 관제서버(300)는 이 이동거리 3의 차이에 해당되는 수정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는 사이즈 레터럴 레이즈를 수행 시 7의 저항값(큰 근육의 수축)이 수신되어야 하나, 3의 저항값(근육 수축이 안됨)이 수신된 경우 근육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았음을 인지하여 수정데이터를 생성한다.
관제서버(300)는 수정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수정데이터에는 수정영상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말기(200)는 수정영상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보고 본인 운동 시 좌, 우 밸런스가 맞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근육의 수축 또는 이완이 잘못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수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경고정보를 송신한다.
경고정보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측정디바이스는, 알림스피커부(117) 또는 진동센서부(118)가 동작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경고정보를 수신한 측정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으므로, 경고정보가 수신된 것을 즉각 알아차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세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알림스피커부(117)와 진동센서부(118)는 경고정보를 받으면 모두 동작될 수 있고, 그렇지 않고 어느 하나만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오프정보를 생성하여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 제3측정디바이스(130), 제4측정디바이스(140)에 전송하여 알림스피커부(117), 진동센서부(118)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온정보를 단말기(200)로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2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관제서버(300)에는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대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대비데이터는 기준데이터에 설정된 기준값을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측정디바이스(110)가 10의 거리를 움직이고, 제2측정디바이스(120)가 10의 거리를 움직이는 것이 이상적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하지 않아도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좌, 우의 밸런스 있는 근육 향상을 위한 것이 목적이므로, 제1대상체, 제2대상체가 동일하게 10으로 움직이지 않아도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대상체, 제2대상체가 기준점을 기준으로 8에 대칭되는 거리를 움직여도 문제되지 않는다.
관제서버(300)는 복수의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두 측정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측정데이터가 기준데이터와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반복되어 측정되는 경우, 해당 측정데이터를 기준데이터로 하는 대비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준데이터를 수정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10의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기준값이고, 2가 오차범위라고 가정하겠다. 사용자는 제1측정디바이스(110), 제2측정디바이스(120)를 장착하고 사이즈 레터럴 레이즈를 수행하여 제1측정데이터 10개, 제2측정데이터 10개가 각각 관제서버(300)로 수신되었다고 가정하겠다.
관제서버(300)는 분석결과, 제1측정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대상체의 이동거리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11, 10, 8, 7 등으로 일정하지 않은 반면, 제2측정데이터에 대응되는 제2대상체의 이동거리는 9로 일정하다는 정보를 획득하였다.
이 경우 관제서버(300)는 제2측정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동거리 9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대비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후 관제서버(300)는 대비데이터에 따라 기준데이터의 기준값을 변경한다. 관제서버(300)는 이후 제1측정데이터를 이동거리 9를 기준으로 한 후 대비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는 근육의 이완, 수축에 관한 것이니, 전술한 내용 중 거리는 이완 또는 수축으로 대체하여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좌, 우를 모두 교정하는 것이 아닌, 어느 한 측 만을 교정하고, 운동하면 되므로, 좌, 우 밸런스 있게 근육을 키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3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제서버(300)는 개선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개선데이터는 사용자가 좌, 우 비대칭으로 운동을 수행한 경우, 비대칭을 대칭으로 전환하여 주기 위하여 추가적인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이다.
일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제2대상체의 움직임에는 문제가 없으나, 제1대상체의 움직임이 제2대상체의 움직임 대비 부족한 경우, 그리고 제3대상체에 비해 제4대상체의 근육 수축이 부족한 경우, 제1대상체, 제4대상체를 추가적으로 운동시켜, 움직임을 보상하도록 하여준다.
일례로 관제서버(300)는 복수의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제1대상체의 움직임이 제2대상체 대비 총 8의 값만큼 부족한 경우, 또한 제4대상체의 근육 수축량이 제3대상체와 비교 시 총 4의 값만큼 운동을 덜 한 경우, 관제서버(300)는 개선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즉, 관제서버(300)는 수정데이터를 생성한 후, 개선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개선데이터에는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200)는 화면에 개선데이터의 영상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확인하고, 제1대상체, 제4대상체의 움직임을 보완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자세 제어 시스템의 제4동작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관제서버(300)는 평가정보를 생성하고, 개선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정데이터가 생성된 후, 이를 바탕으로 개선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운동의 종류가 많으므로, 기준데이터도 당연하게 복수개이다. 즉, 기준데이터는 n개일 수 있다. 사용자는 n개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서버(300)는 순차적으로 제1기준데이터, 제2기준데이터, 제3기준데이터 등을 단말기(200)로 송부한다.
사용자는 제1기준데이터가 단말기(200)에 수신되면 그에 따라 운동을 수행하고, 복수의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최종적으로 관제서버(300)로 각각의 측정데이터가 송신된다. 이는 제2기준데이터, 제3기준데이터 등이 단말기(200)로 송신 시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관제서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 기준데이터와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정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정보는 기준데이터와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부족한 부분을 평가한 정보이다.
만약 제1기준데이터와 제1측정데이터, 제2측정데이터, 제3측정데이터, 제4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특정한 대상체의 운동량이 부족한 경우 해당 대상체의 움직임을 평가하여 운동량 5부족과 같이 평가를 한다.
관제서버(300)는 제2기준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관제서버(300)는 동일하게 수정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운동량 부족 역시 평가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기준데이터에 대응하여 관제서버(300)는 각각의 평가정보를 생성하고, 각각의 평가정보를 반영하여 제1대상체, 제2대상체, 제3대상체, 제4대상체의 운동량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개선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가 다양한 운동을 수행 시, 어느 한쪽의 운동량이 부족한 것이 아닌, 좌, 우 모두 약간씩 운동량이 부족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량이 부족한 부분은 추가 운동이 많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은 부분은 약간의 운동이 필요할 것이다. 관제서버(300)는 사용자가 각각 비대칭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개선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0 : 제1측정디바이스
111 : 상부케이스부
112 : 하부케이스부
113 : 고정부
114 : 충전부
115 : PCB기판부
116 : 자이로센서부
117 : 알림스피커부
118 : 진동센서부
119 : 고정브라켓부
120 : 제2측정디바이스
130 : 제3측정디바이스
140 : 제4측정디바이스
200 : 단말기
300 : 관제서버

Claims (6)

  1. 제1대상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대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1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측정디바이스;
    상기 제1대상체와 대칭되는 위치의 제2대상체에 위치되어 제2대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제2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측정디바이스; 및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대상체의 움직임과 상기 제2대상체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균형 정도를 판단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제2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송부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와 상기 제2측정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도의 기준이 되는 기준데이터가 기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상기 제2측정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일정하면 상기 일정한 측정데이터로 대비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기준데이터를 대비데이터로 변경하며,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와 상기 제2측정디바이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위치되는 전자부 및 상기 전자부의 일면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둘레의 면과 맞닿아 고정되며,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홀에 진동센서부와 알림스피커부가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전자부와 맞닿아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와 제2측정디바이스 각각에는 제1자이로센서부와 제2자이로센서부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측정데이터와 상기 제2측정데이터를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정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에는
    상기 기준데이터가 복수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준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수정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1측정디바이스가 설치된 제1대상체 또는 상기 제2측정디바이스가 설치된 제2대상체 중 어느 하나의 운동량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제어 시스템.
KR1020210102154A 2021-08-03 2021-08-03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KR10260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54A KR102607810B1 (ko) 2021-08-03 2021-08-03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54A KR102607810B1 (ko) 2021-08-03 2021-08-03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65A KR20230020265A (ko) 2023-02-10
KR102607810B1 true KR102607810B1 (ko) 2023-11-29

Family

ID=8522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154A KR102607810B1 (ko) 2021-08-03 2021-08-03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8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368B1 (ko) * 2017-11-29 2019-06-14 권기범 스마트 운동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129488B1 (ko) * 2018-11-01 2020-07-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교정이 가능한 헬스 케어 기기
KR102141288B1 (ko) 2018-12-17 2020-08-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트레이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65A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751B2 (en) Computerized exercise apparatus
US8636631B2 (en) Arrangements for exercising via semispherical motion
US10970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tion and orientation patterns associated to physical activities of users
KR102050558B1 (ko) 신체 측정 및 성장 곡선을 이용한 어린이 또는 청소년 회원의 회원 관리 시스템
US20150364059A1 (en) Interactive exercise mat
JP2018511451A (ja) 仮想フィットネストレーニング及びトラッキング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90143174A1 (en) Motion training guide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1723849B1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080628A (ko) 모션 패턴에 따른 근력 운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Felton et al. Optimising the front foot contact phase of the cricket fast bowling action
KR20190002928A (ko)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US11219813B2 (en) Apparatus for checking golf divot
KR102607810B1 (ko) 운동 자세 제어 시스템
US11130037B2 (en) Boxing fitness devi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Lang et al. Determinants of shooting performance in elite air rifle shooters
CN117295543A (zh) 动态可调节练习系统
Lu et al. Reducing adolescent obesity with a mobile fitness application: study results of youth age 15 to 17
Floría et al. Centre of pressure correlates with pyramid performance in acrobatic gymnastics
KR20190142906A (ko) 사용자 맞춤형 피트니스 큐레이션 정보 제공 방법
KR102144196B1 (ko)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US20140207263A1 (en) Evaluating a fitness level
TW201947358A (zh) 適應性運動姿態感測系統與方法
Shin et al. A smartphone-based golf simulation exercise game for supporting arthritis patients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213294B1 (ko)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수영레벨 테스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