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28A -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 Google Patents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28A
KR20190002928A KR1020170083240A KR20170083240A KR20190002928A KR 20190002928 A KR20190002928 A KR 20190002928A KR 1020170083240 A KR1020170083240 A KR 1020170083240A KR 20170083240 A KR20170083240 A KR 20170083240A KR 20190002928 A KR20190002928 A KR 20190002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ate
exercise
us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698B1 (ko
Inventor
박승훈
최성수
김환성
Original Assignee
힐라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라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힐라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6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8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other bio-electrical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디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한다.

Description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SMART EXERCISE BAR FOR TRAINING, MEASUREMENT AND EVALUATION}
본 발명은 효율적인 운동과 운동능력의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 집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드밀, 헬스사이클 등이 다양하게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트레드밀, 헬스 사이클의 경우 가정용으로 출시되면서 제품의 크기가 많이 축소되기는 하였으나, 제품의 기본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을 차지해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종래의 가정용 운동기구들은 획일화되고 제한된 운동 유형만을 제공한다는 한계가 있어, 소비자들은 구입 후 단기간 동안만 이용한 후 대부분 방치하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한편, 신체의 유연성을 기르고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 방법 중 하나로 운동봉을 이용한 운동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운동봉은 한 손 또는 양 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이들을 조합한 방향 등으로 움직이면서 유연성 및 근력을 기를 수 있으며, 일정 횟수 이상 빠른 속도로 반복적으로 움직일 경우 유산소 운동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운동봉은 단순히 한 개의 직선 몸통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으며, 동작할 때 피드백이 전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도자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면서 따라하기 등만을 할 수밖에 없어서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운동봉을 이용한 운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에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행하는 동작의 범위와 속도를 느끼는 것은 물론, 콘텐츠 등에 피드백하고, 운동 효과를 측정,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운동봉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795호(발명의 명칭: 길이 가변형 운동봉)는 두 개 이상의 운동봉, 운동봉의 일측에 운동봉을 연장 결합시키는 이음장치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운동봉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동봉을 파지한 상태에서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오는 신호들을 수집, 처리하여 운동 동작의 궤적과 속도, 각속도 등에 대해 분석한 후, 정확한 운동방법과 비교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심폐지구력, 근력, 민첩성, 유연성, 균형성, 협응성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체력을 측정, 평가하여 이를 운동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봉을 이용한 운동에 대하여 지속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운동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디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에서의 센싱 정보와 상기 제 1 상태 이후 상기 동작에 대한 제 2 상태에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되,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에서 파지한 상기 바디부의 양단의 파지부 각각에 대한 위치, 속도 및 이들 각각의 변화량을 포함하는 상기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바디부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레퍼런스 촬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주변 영상에 대한 동일 레퍼런스 지점을 비교한 결과를 더 추가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에서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더 추가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양 단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마커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마커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동작에 대한 정지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상태 이후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된 경우에 대응되는 상태이거나, 상기 제 1 상태 이후의 궤적과 반대되는 궤적으로 이동 직전의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설정된 또는 기 설정된 각도로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설정된 또는 기 설정된 길이로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설정된 각도 또는 길이로 고정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 상에는 길이 또는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기 설정된 단위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량부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중량 별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에 저장된 중량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궤적의 정보에 상기 독출된 중량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 바디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 바디부에는 각각 상기 제어부가 포함되며, 양단에는 상기 중량부가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분리 및 결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은 음향 발생부, 진동 발생부, 광 발생부 및 향기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음향, 진동, 광 및 향기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정보는 근력 정보, 유산소 정보 및 유연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산출된 궤적과 및 각종정보를 미리 수집한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로 사용자의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심전도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심전도 또는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신체상태, 운동강도의 적정도를 판단하거나 운동 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신체상태, 운동강도의 적정도 및 운동 능력 평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 운동 처방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개인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통계 데이터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계 데이터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갱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된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각종 임계값들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산출된 궤적과 각종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스마트 운동봉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디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센싱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운동봉을 이용한 동작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운동봉의 구조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스마트 운동봉으로도 다양한 운동 기구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운동봉의 길이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스마트 운동봉의 부분 바디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스마트 운동봉의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의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스마트 운동봉을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 및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운동봉(100),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운동봉(100)은 종래 일반적인 운동봉에 비하여 다양한 운동 정보를 분석 및 제공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시 관리 서버(200)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분석된 운동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운동봉(100)으로부터 개인 식별정보로 구분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데이터에 저장하고 이를 갱신한다. 그리고 갱신된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스마트 운동봉(100) 및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며,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TV,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뿐만 아니라,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과 같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그밖에 사용자 디바이스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터치스크린 키오스크와 같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운동을 위한 콘텐츠나, 분석된 운동 정보나 운동 능력 평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바디부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기본적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사용자가 운동봉을 이용한 운동을 하기에 적합하도록 무겁지 않은 나무 또는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따라 플렉서블 정도 등이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 상에는 기 설정된 단위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자로서의 기능을 하는 스마트 운동봉(100)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키, 팔 길이 등)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2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면, 사용자의 신체 정보로 활용하여 후술하는 운동 정보 또는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부(110)의 전체 또는 일부에는 사용자가 한 손 또는 양 손을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10)는 길이 조절부(111), 각도 조절부(112), 중량부(113) 및 체결부(1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스마트 운동봉(100)의 길이 조절부(11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길이 조절부(111)는 바디부(110)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설정된 또는 기 설정된 길이로 가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111)는 바디부(110) 상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길이 조절부(111)는 바디부(110) 상에 두 곳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길이 조절부(111)에 의해 바디부(110)의 길이는 약 3분의 1 정도로 축소 가변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길이 조절부(11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111)는 예를 들어, 길이 조절부(111)를 기준으로 중앙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큰 관체로 형성되고, 양쪽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는 작은 관체로 형성되어 큰 관체의 내부에 작은 관체가 끼워진 상태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조절부(111)는 상기 설정된 길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는 작은 관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걸림홈 및 걸림부로 구성되거나, 길이 조절부(111)의 고무 패킹이 작은 관체 및 큰 관체에 결속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운동봉(1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스마트 운동봉(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중량부(113)를 바디부(1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이용할 경우, 하나의 스마트 운동봉(100)을 통해 바벨 또는 덤벨로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스마트 운동봉(100)의 부분 바디부(110a, 110b)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바디부(110)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부분 바디부(110a, 110b)로 구성될 수 있다.
부분 바디부(110a, 110b)는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체결부(114)를 통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바디부(110a, 110b)의 외표면과 체결부(114)의 내표면이 서로 암수 나사 결합되어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와 걸림홈을 통해 체결되는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체결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부분 바디부(110a, 110b)에는 각각 제어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부분 바디부(110a, 110b)마다 각각 제어부(120)가 포함됨에 따라 후술하는 센서부(121)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바디부(110)의 각 부분마다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운동 정보를 보다 정확히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부분 바디부(110a, 110b)의 양 단을 이음줄이 형성된 체결부(114’)로 결합시켜 쌍절곤, 줄넘기 등과 같은 운동 기구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 경우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는 제어부(120) 또는 센서부(121)가 각각 포함되어 있으므로, 보다 많은 동작이나 많은 운동 정보를 센싱 및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부분 바디부(110a, 110b)의 양단에는 중량부(113)가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디부(110)가 분리된 부분 바디부(110a, 110b)의 양단에 중량부(113)를 결합하여, 부분 바디부(110a, 110b)를 통해 복수 개의 덤벨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0)는 바디부(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량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113)는 미리 정해진 중량 별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해준 중량은 색깔 등으로 구별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는 바디부(110)의 무게나 중량부(113)가 결합된 전체 무게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별도의 색상으로 확인이 가능하거나, 그밖에 음성 등을 통해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중량부(113)는 단순히 하나의 재질(철, 나무, 고무 등)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량부(113) 내부에 일정한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쇠구슬 또는 액체 등과 같이 동적인 재질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부(113)는 동적 재질의 양에 따라 무게가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함에 있어 동적 재질이 움직임에 따라 무게의 불균형에 따른 운동이 가능하고, 제어부(120)는 이에 대한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적 재질은 중량부(113)에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디부(110) 또는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형성된 중공부에도 동적 재질이 포함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바디부(110) 또는 부분 바디부(110a, 110b) 그 자체만으로도 불균형에 따른 운동이 가능하고, 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이에 대한 운동 정보 분석이 가능하다.
바디부(110)에는 기본적으로 양단에 엔드캡이 결합되어 있어 유연성 운동을 위한 운동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근력 운동 및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고자 할 경우 엔드캡을 분리하고 일정 중량을 가지는 중량부(11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중량부(113)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읽기 위한 리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RFDI 태그 또는 NFC 태그에 저장된 중량 정보를 독출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량 정보가 더 추가된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디부(110) 자체에 중량부(113)를 결합하여 유연성 운동과 더불어 근력 및 유산소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바디부(110) 또는 부분 바디부(110a, 110b)에 각각 중량부(113)를 결합할 경우 바벨 또는 복수 개의 덤벨로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중량부(113)에 대한 중량을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이 제어부(120)가 자동으로 중량부(113)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운동 정보 분석시 중량 정보를 더 고려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운동 정보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스마트 운동봉(100)의 각도 조절부(112)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각도 조절부(112)는 바디부(110)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설정된 또는 기 설정된 각도로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12)는 바디부(110) 상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각도 조절부(112)는 바디부(110) 상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경우,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각도가 가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바디부(110) 상의 일정 부분에 두 개가 형성된 경우, 해당 부분을 기준으로 각도가 가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12)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부분 바디부(110a, 110b)이 힌지 결합되어 각도가 가변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도 조절부(112)는 상기 설정된 각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토퍼는 걸림부와 걸림턱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한 부분 바디부(110a)에 구비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시 다른 부분 바디부(100b)의 단면과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각도 조절부(112)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스마트 운동봉(100)의 형상을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112)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다양한 형상의 스마트 운동봉(100)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다양한 운동 방법 및 자세로 운동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가변된 구조의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당 구조를 조절할 수 있으나, 길이 조절부(111), 각도 조절부(112) 및 체결부(114) 상에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부(120) 자체에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20)와 연동되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원하는 각도, 길이, 분리 형태를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120)는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바디부(110)의 구조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110) 또는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 기 설정된 단위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길이 조절부(111)를 통해 길이가 가변되면, 예를 들어 큰 관체 내에 삽입되어 있는 작은 관체에 의해 연장되거나 축소되더라도 1cm 단위와 같이 상기 단위에 맞도록 눈금 표시가 올바르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 조절부(112)에 의해 각도가 가변될 경우 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부(112) 부위에 해당 각도에 대한 눈금이 표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어부(120)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의 제어부(12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스마트 운동봉(100)을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 및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21)를 포함하고 있으며, 센서부(121)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센서부(121)는 위치, 시간, 속도, 가속도를 센싱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21)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는 9축 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센서부(121)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를 들어 3차원 위치 및 각도 등을 측정하는 디지털 고니오미터(Digital Goniomete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21)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디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궤적은 3차원 위치의 변화, 시간적인 움직임 벡터의 정보를 포함하며, 동적 궤적뿐만 아니라 정적인 상태에서의 궤적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제어부(120)는 스마트 운동봉(100)이 평행인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x 좌표축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운동봉(100)을 사용자의 양 어깨에 맞추어 보거나 골반 부분에 맞추어 보는 경우, 사용자의 좌우 어깨나 골반의 좌우/앞뒤 등의 수평 정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몸의 균형 상태를 제어부(120)가 분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기존의 근골격 계측기(Angulometer 또는 Posturemet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분 바디부(110a, 110b)를 통해서도 발목, 골반, 척추 측만 검사 등을 추가로 수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검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키트(눈금 확인계 등)를 제공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해당 키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하여 제공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동작은 콘텐츠에 복수 개의 동작이 미리 저장되고, 사용자가 복수 개의 동작 중 취하는 어느 하나의 동작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300) 등을 통해 영상 또는 음성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동작이 저장된 별도의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이러한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에서의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상태 이후 상기 동작에 대한 제 2 상태에서의 센싱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 파지한 바디부(110)의 양단의 파지부 각각에 대한 위치, 속도 및 이들 각각의 변화량을 포함하는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상태는 동작에 대한 정지 상태를 의미하고, 제 2 상태는 제 1 상태 이후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된 경우에 대응되는 상태이거나, 제 1 상태 이후의 궤적과 반대되는 궤적으로 이동 직전의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팔을 쭉 편 상태에서 스마트 운동봉(100)을 파지한 다음, 팔을 쭉 편 상태로 머리 뒤로 젖히는 경우, 양 팔은 어느 정도까지 움직이다가 더 이상 젖혀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스마트 운동봉(100)을 처음 파지한 상태를 제 1 상태라 인식하고, 양 팔이 움직이다가 더 이상 젖혀지지 않는 상태를 제 2 상태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양 팔이 움직이다가 더 이상 젖혀지지 않고 어느 정도 버티다가 다시 앞으로 내려오는 경우, 반대되는 궤적으로 양 팔이 내려오게 되므로 양 팔이 내려오기 직전 상태를 제 2 상태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동작을 복수 회 반복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제 1 상태(S1) 및 제 2 상태(S2)를 최초 인식한 다음, 다시 제 2 상태를 제 1 상태로 인식하고 이후 동작에 따라 제 2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을 통해 복수 회의 반복 동작에 대한 궤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사용자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바디부(11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레퍼런스 촬영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레퍼런스 촬영부(130)가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S1) 및 제 2 상태(S2)에 대한 주변 영상을 촬영하면, 제어부(120)는 제 1 상태(S1)에서의 주변 영상에 대한 레퍼런스 지점(P1, P1’)과 제 2 상태(S2)에서의 주변 영상에 대한 레퍼런스 지점(P2, P2’)을 인식한 다음, 제 1 상태(S1) 및 제 2 상태(S2)에서의 레퍼런스 지점의 위치 변화를 비교한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부(121)의 센싱 정보와 더불어 레퍼런스 지점을 비교한 결과를 더 고려하여 더욱 정확한 궤적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제어부(120)가 외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하는 카메라(400)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400)는 3D 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이나, 3D Motion Tracking System과 같은 트래킹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래킹을 위한 Electromagnetic Transmitter 등이 바닥, 천정, 벽면 등 특정 공간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가 카메라(40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에서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센싱 정보에 더 추가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의 바디부(110)의 양 단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마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커는 후술하는 특별한 색이나 빛을 출력시키는 광발생부(1213)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외부에 위치한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마커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상대적 위치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마커의 위치 변화를 누적하여 3차원 궤적을 산출하거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식별한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가 분석 가능한 운동 정보에는 근력 정보, 유산소 정보 및 유연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따른 동작이나 임의의 동작인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등의 스트레칭 동작을 통해 유연성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중량부(113)를 부착하거나 중량부(113) 없이 복수 회의 반복 운동을 통해 근력 운동 및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와 같은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 및 유산소 운동을 수행한 결과를 센싱 정보를 통해 궤적의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궤적의 정보를 미리 수집한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로 사용자의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FMS(Functional Movement Screen) 테스트 검사를 위한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개인 식별정보(ID)로 구분하여 통계 데이터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임계값을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와 같이 갱신된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임계값을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며, 이후 사용자의 동작에 대하여 산출된 궤적의 정보와 비교하여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운동봉(100)의 양단을 파지하고 머리 위로 양 팔을 쭉 편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 몸을 움직이는 동작에 대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궤적의 정보 중 각도가 90도로 측정되면 제어부(120)는 90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유연성이 보통인 것으로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연령, 키, 팔 길이, 체중 등의 신체 정보를 토대로 통계 데이터 상에서 90도의 각도가 해당 키, 연령, 팔 길이 등의 신체 정보를 가지는 불특정 다수인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훈련된 알고리즘을 통해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훈련된 알고리즘에는 인공지능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또는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Markov-Model, HMM) 기반의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러한 복수 개의 알고리즘 중 기 설정된 훈련 조건을 만족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훈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특정 다수인의 신체정보를 입력으로 설정하고, 운동 능력 평가 정보(상, 중, 하, 칼로리 소모 정보, 체지방, 근골격량, 근육량 등)를 출력으로 설정하여 훈련시킨 뒤,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한 경우 가장 정확한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출력시키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그밖에 센서부(121)는 심전도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정 센서는 바디부(110) 상의 그립부 상에는 예를 들어 각각 2개씩 총 4개의 전극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전극의 종류 및 센싱값은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그립부 상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근력, 유산소, 유연성 운동시 심전도(ECG), 심박수를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심전도, 심박수 정보에 기초하여 심폐지구력, 최대산소섭취량 등의 유산소 운동 능력 정보나 심박변이율 등을 통해 스트레스 상태 등을 운동 능력 평가 정보로 산출하고, 개인 식별정보에 따라 구별되도록 운동처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립부를 파지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전극을 통해 심전도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신체상태를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스마트 운동봉(100)을 통해 동작한 운동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정 결과를 운동 정보와 대비하여 운동 능력 평가 정보에 반영시킬 수 있으며, 운동 능력 평가 정보에 대한 운동 처방에 따라 심박수 타겟 존에서의 운동 강도(예를 들어, 콘텐츠(VR이나 MR 콘텐츠 등)에 포함된 동작의 진행 속도, 중량부(113)의 무게 추천 등)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다양한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가변된 길이, 가변된 각도 및 분리된 스마트 운동봉(100)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센싱 정보를 센서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어부(120)는 동일한 사용자의 동작이라 하더라도 가변된 구조에 따른 상이한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통신모듈(122), 메모리(123), 프로세서(124), 입력부(125) 및 디스플레이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2)은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WiFi,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3)에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운동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123)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23)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3)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4)는 상기 메모리(12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입력부(125)는 전원 온/오프, 동작 설정, 그 밖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버튼 타입, 감압식, 정전식 등의 터치 타입 등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26)는 전원의 온/오프, 현재 동작 및 그밖의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LED, LCD 등이 각각 또는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5) 및 디스플레이부(126)의 이용 예시로,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25)를 통해 전원을 켠 후, 스마트 운동봉(100)을 초기 상태로 유지시킨 뒤, 스마트 운동봉(100)을 통해 일정 동작을 수행하면, 센싱 정보 및 이를 분석한 궤적의 정보와 운동 정보, 그리고 운동 능력 평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2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5)를 통해 스마트 운동봉(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125)를 통해 ‘3차원 고니오미터 모드’를 선택한 경우 3차원 각도나 위치 변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골프 스윙 분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스윙의 속도, 궤적, 범위, 시간 등의 정보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26)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골프 스윙 분석 모드’ 선택시, 상술한 길이 조절부를 통해 각 클럽별 길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럽별로 스윙 속도, 스윙 궤적의 최적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만족하는 스윙이 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스윙 소리나 빛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바디부(110) 또는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 형성된 안착홈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즉, 제어부(120)가 바디부(110)나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디부(110)나 부분 바디부(110a, 110b)의 길이나 무게 등에 따라 충전이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바디부(110) 또는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 제어부(120)를 분리 및 결합시키기 위한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어부(12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상기 안착홈에 사용자 디바이스(300)가 결합 및 분리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부분이 제어부(120)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직접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소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이용하되, 운동시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나 스마트 폰을 바디부(110)나 부분 바디부(110a, 110b) 상에 결합시킴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디바이스(300)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된 운동 정보를 바디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음향 발생부(1211), 진동 발생부(1212), 레이저나 LED 등과 같은 광 발생부(1213) 및 향기 발생부(1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운동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음향, 진동, 광 및 향기 중 하나 이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전원의 온/오프뿐만 아니라, 콘텐츠에 포함된 동작을 따라하는 사용자가 특정 동작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에 위치하면, 진동, 음성, 빛 등을 출력시켜 현재 운동 상태의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그리고 목표 수치를 만족하며 운동 중이거나 운동을 완료한 경우, 상기 음향 발생부(1211), 진동 발생부(1212), 광 발생부(1213) 등이 활성화됨으로써 운동을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동기 부여나 재미 요소를 가미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스마트 운동봉(100)을 이용하여 요가 등 정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요가와 관련된 음악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긴장을 이완시켜 주기 위한 향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구글’의 ‘구글홈’이나 ‘아마존 에코’에서 제공하는 일병 음성인공지능장치인 ‘Google Assistant’나 ‘Amazon Alexa’ 등과 연동됨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인공인공지능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의 내용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인공지능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로부터 또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양한 운동 관련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 및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20)에서의 운동 정보 분석 기능이나, 음향 발생부(1211), 진동 발생부(1212), 광 발생부(1213), 향기 발생부(1214)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는 제어부(120) 자체의 프로세서(124)에 의해 분석 및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스마트 운동봉(100)은 제어부(120)가 프로세서(124) 및 메모리(123)를 구비하지 않고 센서부(12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300)나 관리 서버(200)로 센싱 정보가 제공되어 분석되거나 이를 토대로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스마트 운동봉(100)은 이러한 분석 정보를 제공 받아 표시하거나 또는 제어 신호 자체를 수신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가 센서부(121) 및/또는 통신모듈(122)로 구성되는 실시예의 경우도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기계적 구조 및 기능적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때의 제어부(120)는 센서로서의 역할이 크므로 이 경우 바디부(110)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 및 설치되어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운동봉(100)은 바디부(110)의 어느 일단을 통해 폼롤러를 결합시키고, 입력부(125)를 통해 ‘폼롤러’ 동작모드를 선택한 경우, 고관절 돌리기, 다리 교차하기, 상체 들어 올리기/내리기 등의 다양한 폼롤러 운동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통해 운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디부(110)의 양 단에 바퀴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롤링 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바퀴는 실내 바닥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탄성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운동봉
110: 바디부 110a, 110b: 부분 바디부
111: 길이 조절부 112: 각도 조절부
113: 중량부 114: 체결부
120: 제어부 121: 센서부
1211: 음향 발생부 1212: 진동 발생부
1213: 광 발생부 1214: 향기 발생부
122: 통신모듈 123: 메모리
124: 프로세서 125: 입력부
126: 디스플레이부 130: 레퍼런스 촬영부
200: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디바이스
400: 카메라

Claims (16)

  1. 스마트 운동봉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디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기초하여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에서의 센싱 정보와 상기 제 1 상태 이후 상기 동작에 대한 제 2 상태에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되,
    상기 제 1 상태 및 상기 제 2 상태에서 파지한 상기 바디부의 양단의 파지부 각각에 대한 위치, 속도 및 이들 각각의 변화량을 포함하는 상기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바디부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레퍼런스 촬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주변 영상에 대한 동일 레퍼런스 지점을 비교한 결과를 더 추가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동작에 대한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에서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더 추가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양 단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마커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마커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동작에 대한 정지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제 1 상태 이후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된 경우에 대응되는 상태이거나, 상기 제 1 상태 이후의 궤적과 반대되는 궤적으로 이동 직전의 상태인 것인 스마트 운동봉.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설정된 또는 기 설정된 각도로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정 부분에 대하여 임의로 설정된 또는 기 설정된 길이로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설정된 각도 또는 길이로 고정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상에는 길이 또는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기 설정된 단위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량부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중량 별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에 저장된 중량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궤적의 정보에 상기 독출된 중량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분 바디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 바디부에는 각각 상기 제어부가 포함되며, 양단에는 상기 중량부가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인 스마트 운동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분리 및 결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인 스마트 운동봉.
  12. 제 1 항에 있어서,
    음향 발생부, 진동 발생부, 광 발생부 및 향기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음향, 진동, 광 및 향기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는 근력 정보, 유산소 정보 및 유연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산출된 궤적의 정보를 미리 수집한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로 사용자의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심전도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심전도 또는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신체상태, 운동강도의 적정도를 판단하거나 운동 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신체상태, 운동강도의 적정도 및 운동 능력 평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 운동 처방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동 능력 평가 정보를 개인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통계 데이터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계 데이터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갱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된 통계 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임계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동작에 대하여 산출된 궤적의 정보를 비교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16.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스마트 운동봉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디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상기 센싱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한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궤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것인 스마트 운동봉.
KR1020170083240A 2017-06-30 2017-06-30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KR10194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40A KR101941698B1 (ko) 2017-06-30 2017-06-30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40A KR101941698B1 (ko) 2017-06-30 2017-06-30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28A true KR20190002928A (ko) 2019-01-09
KR101941698B1 KR101941698B1 (ko) 2019-02-21

Family

ID=6501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40A KR101941698B1 (ko) 2017-06-30 2017-06-30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6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82B1 (ko) * 2019-06-25 2019-11-11 (주) 앤앤컴퍼니 소도구를 이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KR20210045551A (ko) * 2019-10-16 2021-04-2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재활운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운동 방법
KR20210154532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과 장애인 표준 사업장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이커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6668B1 (ko) * 2021-10-28 2022-08-25 구본호 스틱형 운동 보조기구
KR20230001417A (ko) * 2021-06-28 2023-01-04 (주)피닉스스튜디오 피트니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89A (ko) 2020-09-29 2022-04-0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감지 운동 장치
KR102583845B1 (ko) * 2021-06-28 2023-09-27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헬스케어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093A (ja) * 2001-02-27 2002-09-03 Taito Corp 個人運動能力判定システム
KR20110023815A (ko) * 2009-08-28 2011-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처방 방법
KR101387953B1 (ko) * 2013-03-22 2014-04-22 한국기계연구원 운동기구 중량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KR101610345B1 (ko) * 2015-07-20 2016-04-07 (주)개선스포츠 아령 세트
US20170128765A1 (en) * 2014-11-10 2017-05-11 Casey Garretson Smart Barbe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093A (ja) * 2001-02-27 2002-09-03 Taito Corp 個人運動能力判定システム
KR20110023815A (ko) * 2009-08-28 2011-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처방 방법
KR101387953B1 (ko) * 2013-03-22 2014-04-22 한국기계연구원 운동기구 중량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시스템
US20170128765A1 (en) * 2014-11-10 2017-05-11 Casey Garretson Smart Barbell
KR101610345B1 (ko) * 2015-07-20 2016-04-07 (주)개선스포츠 아령 세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82B1 (ko) * 2019-06-25 2019-11-11 (주) 앤앤컴퍼니 소도구를 이용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KR20210045551A (ko) * 2019-10-16 2021-04-2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재활운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운동 방법
KR20210154532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장애인과 장애인 표준 사업장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이커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1417A (ko) * 2021-06-28 2023-01-04 (주)피닉스스튜디오 피트니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36668B1 (ko) * 2021-10-28 2022-08-25 구본호 스틱형 운동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698B1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698B1 (ko) 훈련과 측정, 평가를 위한 스마트 운동봉
US97504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raining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of strength training
JP6360072B2 (ja) 体幹筋使用を促す及び他の用途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20180133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exercise training and coaching
US82874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trength training
US9008973B2 (en) Wearable sensor system with gesture recognition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CN105031874B (zh) 虚拟锻炼装置
US11210834B1 (en) Article of clothing facilitating capture of motions
US20150364059A1 (en) Interactive exercise mat
KR20160054325A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79470A1 (en) Holistic ring-based exercise system and method
CN107961523B (zh) 基于心率检测的人体训练系统和智能健身系统
JP2017000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インソール
CN104126184A (zh) 用于包括训练计划的自动个人训练的方法和系统
Kos et al. Biomechanical biofeedback systems and applications
US20220206462A1 (en) Analysis of Body-Side Performance Differences Using Activity-Based Data Collection Devices
US11551396B2 (en) Techniques for establishing biomechanical model through motion capture
US20150265869A1 (en) Battle Rope Training Device
Arlotti et al. Benefits of IMU-based wearables in sports medicine: Narrative review
WO201513908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on exercise technique
US11901062B2 (en) Utilizing athletic activities to augment audible compositions
KR10164534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CN114585294A (zh) 游乐体验系统
US20200215390A1 (en) Fitness monitoring system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