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741B1 -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741B1
KR102607741B1 KR1020210154015A KR20210154015A KR102607741B1 KR 102607741 B1 KR102607741 B1 KR 102607741B1 KR 1020210154015 A KR1020210154015 A KR 1020210154015A KR 20210154015 A KR20210154015 A KR 20210154015A KR 102607741 B1 KR102607741 B1 KR 10260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nozzle
wire
powd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8077A (ko
Inventor
이한승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74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31Wire arc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06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34Plasma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용사 장치는,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작업 대상물에 대해 금속 용사를 수행하는 금속 용사건, 상기 금속 용사건에 금속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상기 금속 용사건에 금속 파우더를 공급하는 파우더 공급부, 및 상기 금속 용사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METAL THERMAL SPRAY EQUIPMENT USING METAL WIRE AND POWDER}
본 발명은, 아크 방식 또는 플라즈마 방식의 금속 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대해 전자기파 차폐 등의 목적으로 금속 피막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용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용사 공법은 표면 가공 공법의 일종으로서 금속 와이어(혹은 금속 선재)와 전극 사이에 또는 2개의 금속 와이어 사이에 아크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아크 열에 의한 고온의 플라즈마를 통해 금속 와이어를 가열하거나 녹여 미립자 상태로 만들어 압축 공기로 분사하여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증착시킴으로써 입자에 의한 금속 피막 혹은 금속 용사층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금속 용사 공법은 전자기파 차폐를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사용되거나 선박 등의 금속 도장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하나의 금속 와이어 또는 한가지 종류의 금속 와이어만을 사용하는 금속 용사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용사 장치는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형성되는 금속 피막의 품질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효율성 측면 등에 있어서 시공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5477호(발명의 명칭: 아크 용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크 용사 방법, 공고일자: 2016년 04월 26일)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1981호(발명의 명칭: 도장용 금속 용사건의 에어분사장치, 공개일자: 2004년 03월 11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용사 시공에 있어서 금속 와이어와 금속 파우더를 필요에 따라 혼용하여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형성되는 금속 피막의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금속 용사에 있어서 시공 성능 또는 작업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와이어와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작업 대상물에 대해 금속 용사를 수행하는 금속 용사건, 상기 금속 용사건에 금속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상기 금속 용사건에 금속 파우더를 공급하는 파우더 공급부, 및 상기 상기 금속 용사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금속 와이어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분사공 측으로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관,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공 측으로 분사하는 제1 노즐, 및 상기 제1 노즐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우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파우더와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공 측으로 분사하는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분사공과 대응하도록 상기 노즐 조립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방사 방향으로 상기 제1 노즐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금속 와이어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 파우더를 상기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함으로써,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금속 파우더가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되는 금속 와이어와 함께 상기 작업 대상물에 금속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공 측으로 분사하는 제3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노즐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방사 방향으로 상기 제2 노즐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노즐은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금속 파우더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플라즈마와 이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금속 와이어 및 상기 금속 파우더가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 영역 밖으로 분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용사 장치는 상기 노즐 조립체에서 상기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노즐의 금속 파우더 분사를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노즐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소재 혹은 재료로서 금속 와이어와 함께 금속 파우더를 사용하되, 제1 노즐에 배치된 전극을 통해 금속 와이어 사이에 플라즈마를 형성시키고 제2 노즐을 통해 금속 파우더와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금속 와이어만 사용하는 종래의 금속 용사 장치에 비하여 작업 대상물에 형성되는 금속 피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금속 파우더를 함께 사용하는 덕분에 종래의 금속 용사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는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속 와이어가 용융되는 속도가 그만큼 빨라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금속 용사에 있어서 시공 성능 또는 작업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와 제1 노즐에 배치된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금속 와이어와 금속 파우더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제1 노즐 및 제2 노즐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3 노즐을 통해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플라즈마와 이에 의해 용융되는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가 노즐 조립체의 분사 영역 밖으로 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속 용사 장치에서 금속 용사건의 노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금속 용사 장치에서 금속 용사건의 노즐 조립체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용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용사 장치는 금속 용사건(100), 와이어 공급부(210), 파우더 공급부(220) 및 에어 공급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금속 용사 장치는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체에 전자기파 차폐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해 금속 용사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용사란 표면 가공 공법의 일종으로서 금속 와이어(혹은 금속 선재)와 전극 사이에 아크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아크 열에 의한 고온의 플라즈마를 통해 금속 와이어를 가열하거나 녹여 미립자 상태로 만들어 압축 공기로 분사하여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증착시킴으로써 입자에 의한 금속 용사층 혹은 금속 피막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한다. 참고로, 금속 용사에 사용되는 금속 와이어는 스테인리스 스틸, 주석, 아연, 알루미늄, 아연-알루미늄 합금, 신주, 금동, 청동, 황동, 순동, 은 및 양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속 용사건(100)은 작업자(시공자)가 휴대 가능한 '건(Gun)' 구조로 제공되고, 시공 혹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 대상물(예컨대, 콘크리트 표면)을 향해 적정 거리를 두고 금속 용사를 수행하기 위한 공구이다. 이러한 금속 용사건(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용사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 용사건 본체(110),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20), 및 용융된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참고로, 용사건 본체(1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 공급부(210)는 금속 용사건(100)에 금속 와이어(혹은 금속 선재)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내부에 권취된 형태로 수납된 금속 와이어를 금속 용사건(100)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공급부(2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는 통상의 금속 용사 장치에 있어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더 공급부(220)는 금속 용사건(100)에 금속 파우더(혹은 금속 분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이때 금속 파우더는 와이어 공금부(210)에 의해 공급되는 금속 와이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와이어와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우더 공급부(220)는 와이어 공급부(210)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이와 다르게 와이어 공급부(210)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잇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 공급부(230)는 금속 용사건(10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이때 압축 공기는 금속 용사건(100)의 노즐 조립체(13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의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된 금속 와이어와 금속 파우더를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대해 분사시키는 매체로 기능한다. 이러한 에어 공급부(2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는 통상의 금속 용사 장치에 있어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어 공급부(23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후술할 노즐 조립체(130)의 제1 노즐(131), 제2 노즐(132), 및 제3 노즐(133)에 각각 공급된다.
도 2는 도 1의 금속 용사 장치에서 금속 용사건의 노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금속 용사 장치에서 금속 용사건의 노즐 조립체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금속 용사건(100)의 노즐 조립체(130)는 와이어 안내관(135), 제1 노즐(131), 제2 노즐(132), 및 제3 노즐(133)을 포함한다.
와이어 안내관(13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공급부(210)에 의해 공급되는 금속 와이어(W)를 노즐 조립체(130)의 선단부에 형성된 분사공(134) 측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안내관(1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조립체(130)의 선단 블록(136)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되, 분사공(134)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와이어 안내관(135)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다른 하나의 와이어 안내관은 노즐 조립체(130)의 선단 블록(136)의 상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선단 블록(136)은 노즐 조립체(130)의 메인 블록과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제1 노즐(1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131a)이 내부에 배치되고 에어 공급부(230)의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노즐 조립체(130)의 분사공(134) 측으로 분사한다. 이때, 제1 노즐(131)의 내부에 배치된 전극(131a)은 음극 전극으로 기능하고, 이에 따라 제1 노즐(131)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 공기는 음극 가스로 분사되어 양극으로 기능하는 금속 와이어(W)와 사이에 아크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아크 열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금속 와이어(W)를 용융시키는 동시에 용융된 혹은 미립자 상태로 된 금속 와이어(W)가 압축 공기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 충돌됨으로써 그 입자에 의한 금속 용사층 혹은 금속 피막을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노즐(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조립체(130)의 분사공(134)과 대응하도록 노즐 조립체(13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노즐(1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즐(131)과 이격 배치되고 파우더 공급부(220)에 의해 공급되는 금속 파우더와 에어 공급부(23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노즐 조립체(130)의 분사공(134) 측으로 분사한다. 이때, 제2 노즐(1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조립체(130)의 방사 방향 혹은 반경 방향으로 제1 노즐(131)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노즐(132)을 통해 분사되는 금속 파우더는 앞서 제1 노즐(131)의 전극(131a)과 금속 와이어(W) 사이에서 아크 열에 의해 형성되는 고온의 플라즈마에 의해 융융되는데, 이와 같이 용융된 금속 파우더는 앞서 설명한 용융된 금속 와이어(W)와 함께 작업 대상물에 대해 금속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제2 노즐(132)은 금속 와이어(W)와 전극(131a)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금속 와이어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금속 파우더를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함으로써,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되는 금속 파우더가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되는 금속 와이어(W)와 함께 작업 대상물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 용사 장치는 콘크리트 표면 등의 작업 대상물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소재 혹은 재료로서 금속 와이어와 함께 금속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와이어만 사용하는 종래의 단일 노즐 방식의 금속 용사 장치에 비하여 작업 대상물에 형성되는 금속 피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금속 파우더를 함께 사용하는 덕분에 종래의 단일 노즐 방식의 금속 용사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는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금속 와이어가 용융되는 속도가 그만큼 빨라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금속 용사에 있어서 시공 성능 또는 작업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노즐(13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공급부(230)에 dmlo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노즐 조립체(130)의 분사공(134) 측으로 분사한다. 이때, 제3 노즐(133)은 노즐 조립체(130)의 방사 방향 혹은 반경 방향으로 제2 노즐(132)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3 노즐(133)은 금속 와이어(W)와 전극(131a)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금속 와이어(W)와 금속 파우더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제1 노즐(131) 및 제2 노즐(132)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플라즈마와 이에 의해 용융되는 금속 와이어(W) 및 금속 파우더가 노즐 조립체(130)의 분사 영역(예컨대 분사공(134)과 인접한 영역) 밖으로 분산 혹은 확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용사 장치는 첨부된 도면들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작업 대상물 또는 작업 현장에 따라 금속 파우더의 사용까지는 필요 없는 경우, 노즐 조립체(130)에서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제2 노즐(132)의 금속 파우더 분사를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노즐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 설정부는 작업자(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금속 용사건(100)에 예컨대 버튼이나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다르게 상기 노즐 설정부는 파우더 공급부(220) 등의 다른 장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 설정부는 작업자(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파우더 공급부(220)의 작동을 정지시켜 제2 노즐(132)에서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파우더 공급부(220)와 제2 노즐(132)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차단 밸브를 설치해두고 상기 차단 밸브를 닫는 신호를 상기 차단 밸브에 전달하여 제2 노즐(132)에서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2 노즐(132)에서 분사되는 압축 공기도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 제2 노즐(132)에서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제2 노즐(132)에서 분사되는 압축 공기는 차단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 설정부는 필요에 따라 작업자(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3 노즐(133)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지 않도록 제3 노즐(133)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 설정부는 에어 공급부(230)과 제3 노즐(133)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차단 밸브를 설치해주고 상기 차단 밸브를 닫는 신호를 상기 차단 밸브에 전달하여 제3 노즐(133)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금속 용사건
110 : 용사건 본체
120 : 손잡이
130 : 노즐 조립체
131 : 제1 노즐
132 : 제2 노즐
133 : 제3 노즐
134 : 분사공
135 : 와이어 안내관
210 : 와이어 공급부
220 : 파우더 공급부
230 : 에어 공급부

Claims (8)

  1. 콘크리트 구조체에 전자기파 차폐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대해 금속 용사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용사 장치로,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작업 대상물에 대해 금속 용사를 수행하는 금속 용사건;
    상기 금속 용사건에 금속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상기 금속 용사건에 금속 파우더를 공급하는 파우더 공급부; 및
    상기 금속 용사건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금속 와이어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분사공 측으로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관;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공 측으로 분사하는 제1 노즐; 및
    상기 제1 노즐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우더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파우더와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공 측으로 분사하는 제2 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분사공과 대응하도록 상기 노즐 조립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방사 방향으로 상기 제1 노즐보다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금속 와이어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금속 파우더를 상기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함으로써,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금속 파우더가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용융되는 금속 와이어와 함께 상기 작업 대상물에 금속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조립체에서 상기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노즐의 금속 파우더 분사를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노즐 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 설정부는 작업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상기 금속 용사건에 버튼이나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노즐 설정부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우더 공급부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제2 노즐에서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파우더 공급부와 상기 제2 노즐을 연결하는 유로 상에 차단 밸브를 설치해두고 상기 차단 밸브를 닫는 신호를 상기 차단 밸브에 전달하여 상기 제2 노즐에서 금속 파우더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노즐 조립체의 방사 방향으로 상기 제2 노즐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공 측으로 분사하는 제3 노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노즐은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고온의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금속 파우더가 용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플라즈마와 이에 의해 용융되는 상기 금속 와이어 및 상기 금속 파우더가 상기 노즐 조립체의 분사 영역 밖으로 분산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금속 용사건에 버튼이나 스위치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노즐 설정부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3 노즐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되지 않도록 상기 제3 노즐을 차단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고,
    상기 와이어 안내관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선단 블록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하나는 상기 선단 블록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선단 블록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선단 블록은 상기 노즐 조립체의 메인 블록과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메인 블록과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54015A 2021-11-10 2021-11-10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KR10260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015A KR102607741B1 (ko) 2021-11-10 2021-11-10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015A KR102607741B1 (ko) 2021-11-10 2021-11-10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077A KR20230068077A (ko) 2023-05-17
KR102607741B1 true KR102607741B1 (ko) 2023-11-29

Family

ID=8654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015A KR102607741B1 (ko) 2021-11-10 2021-11-10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7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879A (en) * 1988-12-22 1990-05-29 The Perkin-Elmer Corporation Wire and power thermal spray gun
KR20090044157A (ko) * 2007-10-31 2009-05-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합재료 코팅장치
JP5649942B2 (ja) * 2010-12-10 2015-01-07 株式会社フジエンジニアリング プラズマ溶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077A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30503A (ja) プラズマ溶射装置
AU605002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high density thermal spray coatings
RU2317183C2 (ru) Ручная питаемая порошком горелка для лазерной сварки плавлением
EP0633821B1 (en) Welding assembly for feeding powdered filler material into a torch
US91020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er welding with mixed gas plasma suppression
US6322856B1 (en) Power injection for plasma thermal spraying
US5109150A (en) Open-arc plasma wire spray method and apparatus
EP0949036A3 (en) Arc thermal spray gun extension and gas jet member therefor
US200400797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welding implement contact tip
KR20140106654A (ko) 현탁액 플라즈마 용사 공정에서 보호된 플라즈마 용사 또는 보호된 액체 현탁액 주입의 활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07741B1 (ko) 금속 와이어 및 금속 파우더를 이용한 금속 용사 장치
CN109295455A (zh) 金属表面涂层制备装置
JPH0450381B2 (ko)
KR101837374B1 (ko) 용접토치용 전방분사 디퓨저
CN100357036C (zh) 特别在焊接或激光表面硬化中使细小流体射流对准的方法和设备
JP3437630B2 (ja) 亜鉛めっき鋼板の溶接方法
JPH06325895A (ja) プラズマ溶射法及びプラズマ溶射装置
CN110369842A (zh) 等离子粉末堆焊的嵌入式焊嘴、粉末喷出引导件以及等离子粉末堆焊焊枪
KR20120065251A (ko) 플라즈마 용사 장치
KR20160020337A (ko) 아크 용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크 용사 방법
US7915562B2 (en) High energy density beam welding system using molten metal droplet jetting
US66800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rmal spraying for the coating of surfaces
GB160079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utting welding and surface treating
JP7260451B2 (ja) インサートチップ、インサートキャップ、プラズマ溶接トーチ及びプラズマ溶接装置
PL190514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rozpylania materiałów powłokowych, zwłaszcza met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