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977B1 -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 Google Patents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977B1
KR102606977B1 KR1020210075159A KR20210075159A KR102606977B1 KR 102606977 B1 KR102606977 B1 KR 102606977B1 KR 1020210075159 A KR1020210075159 A KR 1020210075159A KR 20210075159 A KR20210075159 A KR 20210075159A KR 102606977 B1 KR102606977 B1 KR 10260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erebrospinal fluid
conduit
passa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435A (ko
Inventor
박성호
김형찬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7Cerebrospinal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뇌척수액 수집을 위해 요추 천자 방식으로 척수강 내에 진입되는 것으로, 선단이 요추 천자가 가능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와 소통되는 아우터측 슬릿들이 원주방향을 둘러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우터 카테터; 및 상기 아우터 카테터의 통로에 삽입되는 것으로, 뇌척수액 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로와 아우터측 슬릿들을 소통시키는 인너 슬릿들이 형성되어 있는 도관 본체부와, 약물이나 식염수와 같은 액상 치료물질을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에 주입시켜 줄 수 있도록 그 도관 본체부에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와 소통되는 소통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통공간 내의 물질 유입 여부에 따라 뇌척수액 공간에 상기 아우터 카테터가 제대로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인너 카테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Catheter unit for cerebro spinal fluid test}
본 발명은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뇌척수액을 검사하기 위해 카테터를 척수강에 진입해야할 경우 그 카테터의 척수강 진입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요추천자(Spinal tapping)시술 또는 척추천자(Lumbar puncture)시술은 뇌척수압을 측정하거나 뇌척수액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시술방법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천자는 신경계통 질환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뇌척수액을 얻거나 약제를 척수강에 주입하기 위해 허리뼈 사이에서 카테터를 거미막밑 공간으로 찔러 넣는 검사법이자 처치법이다.
요추천자를 위해 종래의 카테터를 척수강에 진입시킬 경우 그 카테터의 척수강 진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인너 니들(inner needle)을 아우터 니들(outer needle)에서 꺼낸 후 척수가 외부로 흘러나오는지를 확인해야하고, 상기 척수가 흘러나오지 않을 경우 그 니들을 척수강으로 진입시키거나 후퇴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이때, 척수강 주위 정맥혈이 니들로 유입될 경우 혈전에 의해 그 니들이 폐색(occlusion)되기 때문에, 니들 전체를 인체에서 제거한 후 플러싱(flushing)하고 다시 척수강으로 진입 또는 후퇴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요추천자 시 이용되는 종래의 카테터는 처치(시술)시간을 증가시키고 환자의 척수 경막(dura mater)에 손상을 줄수 있으며, 두개내 저혈압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고, 척수강 주위 정맥에 구멍을 형성시켜 출혈에 의한 혈종을 생성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6447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추천자 시 처치(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척수 경막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하고, 두개내 저혈압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요추천자 과정에서 출혈에 의한 혈종을 생성시키지 않도록 하는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은,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뇌척수액 수집을 위해 요추 천자 방식으로 척수강 내에 진입되는 것으로, 선단이 요추 천자가 가능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와 소통되는 아우터측 슬릿들이 원주방향을 둘러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우터 카테터; 및 상기 아우터 카테터의 통로에 삽입되는 것으로, 뇌척수액 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로와 아우터측 슬릿들을 소통시키는 인너 슬릿들이 형성되어 있는 도관 본체부와, 약물이나 식염수와 같은 액상 치료물질을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에 주입시켜 줄 수 있도록 그 도관 본체부에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와 소통되는 소통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통공간 내의 물질 유입 여부에 따라 뇌척수액 공간에 상기 아우터 카테터가 제대로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인너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소통공간 내에 유입된 물질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팽창되는 벌룬형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인너 카테터의 도관 본체부를 상기 접속부와 식별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소통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카테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카테터는, 후단에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너 카테터는, 상기 플랜지부의 회전방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그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의 회전방지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회전방지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위치결정돌기의 임의 이탈을 억제시키기 위한 이탈억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억제수단은, 상기 회전방지홈을 한정하는 일면에 형성된 엠보형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은, 아우터 카테터가 요추천자 방식으로 척수강 내에 진입되고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며 그 통로와 소통되는 아우터측 슬릿들을 형성하고, 인너 카테터의 도관 본체부가 뇌척수액 이동을 위한 유로와 아우터측 슬릿들과 소통되는 인너 슬릿들을 구비하고, 접속부가 도관 본체부와 연결되어 유로에 액상 치료물질을 주입시켜줄 수 있게 하고, 식별부가 도관 본체부의 유로와 소통되는 소통공간을 가지며 물질 유입 여부에 따라 뇌척수액 공간에 아우터 카테터가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요추천자 시 처치(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척수 경막에 손상을 주지 않고, 두개내 저혈압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하며, 요추천자 과정에서 출혈에 의한 혈종을 생성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식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엠보형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XI-XI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고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XII-XII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아우터 카테터에서 인너 카테터의 회전 시 아우터측 슬릿들과 인너 슬릿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식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은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뇌척수액 수집을 위해 요추 천자 방식으로 척수강 내에 진입되는 것으로, 아우터 카테터(100) 및 인너 카테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는,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통로와 소통되는 아우터측 슬릿들(110)이 원주방향을 둘러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환자에 대한 요추천자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는 내부에 형성된 통로에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요추천자 시 척수강 내에 진입함으로써 뇌척수액이 상기 아우터측 슬릿들(110)로 유입되게 하여 그 인너 카테터(200)를 통해 뇌척수액의 유체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인너 카테터(200)는, 아우터 카테터(100)의 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측 슬릿들(110)과 소통되어 그 아우터측 슬릿들로 유입된 뇌척수액의 유체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액상 치료물질의 유체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인너 카테터(100)는 도관 본체부(210), 접속부(220) 및 식별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도관 본체부(210)는, 아우터 카테터(100)의 통로에 삽입되고 내부에 유로(211)를 형성하여 뇌척수액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그 유로(211)와 아우터측 슬릿들(110)을 소통시키는 인너 슬릿들(21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인너 슬릿들(212)은 상기 아우터측 슬릿들(110)로 유입되는 뇌척수액을 상기 유로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인너 카테터(200)에 주입된 액상 치료물질을 상기 아우터측 슬릿들(110)을 통해 척수강에 주입될 수도 있게 한다.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접속부(220)는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도관 본체부(210)에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약물이나 식염수와 같은 액상 치료물질을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에 주입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속부(220)는 도관 본체부(21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에 포트부(22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도관 본체부(210)의 유로(211)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주사기를 이용해 그 유로(211)에 액상 치료물질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아우터 카테터(100) 및 인너 카테터(200)의 단부는 환자의 피부(S)에 진입된 상태임으로, 상기 도관 본체부(210)의 유로(211)는 외부로부터 차단되고, 그 유로(211)에 주입된 식염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수용된다.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식별부(230)는, 상기 도관 본체부(210)의 유로(211)와 소통되는 소통공간(231)을 형성하고 상기 인너 슬릿들(221)의 반대쪽 도관 본체부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소통공간(231)내의 물질 유입 여부에 따라 뇌척수액 공간에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가 제대로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은, 아우터 카테터(100)가 요추천자 방식으로 척수강 내에 진입되고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며 그 통로와 소통되는 아우터측 슬릿들(110)을 형성하고, 인너 카테터(200)의 도관 본체부(210)가 뇌척수액 이동을 위한 유로(211)와 아우터측 슬릿들(110)과 소통되는 인너 슬릿들(212)을 구비하고, 접속부(220)가 도관 본체부(210)와 연결되어 유로에 액상 치료물질을 주입시켜줄 수 있게 하고, 식별부(230)가 도관 본체부(210)의 유로(211)와 소통되는 소통공간을 가지며 물질 유입 여부에 따라 뇌척수액 공간에 아우터 카테터가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요추천자 시 처치(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척수 경막에 손상을 주지 않고, 두개내 저혈압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하며, 요추천자 과정에서 출혈에 의한 혈종을 생성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식별부(230)는, 상기 소통공간 내에 유입된 물질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팽창되는 벌룬형 카테터(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부(230)의 벌룬형 카테터(232)는, 상기 접속부(220)를 통해 인너 카테터(200)의 유로(211)에 식염수가 충진된 상태에서 아우터 카테터(100)가 인너 카테터(200)와 함께 척수공간에 삽입된 경우, 뇌척수액이 상기 아우터측 슬릿들(110) 및 인너 슬릿들(212)을 경유해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유로(211)측으로 유입되면 그 유입에 따른 압력으로 상기 식염수의 소통공간 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팽창된다.
따라서, 상기 식별부(230)의 벌룬형 카테터(232)는 뇌척수액이 인너 카테터(200)측에 유입될 때 그 뇌척수액의 유입에 따른 압력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척수강으로의 카테터 유닛의 진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너 카테터(200)를 아우터 카테터(100)에서 빼낸 후 뇌척수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확인할 필요 없이 상기 진입여부를 즉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아우터 카테터(100)에 인너 카테터(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바로 척수강 진입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요추천자 시 시술시간을 단축하며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카테터 유닛의 인체내 반복 삽입에 의한 척수 경막 손상을 방지하고 요추천자 과정에서 출혈에 의한 혈종을 생성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밸브(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240)는,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도관 본체부(210)를 상기 접속부(220)와 식별부(230)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소통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카테터(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240)가 도관 본체부(210)와 접속부(220)를 소통시킬 경우, 식염수는 그 도관 본체부(210)의 내부에 충진된다. 한편 상기 밸브(240)가 도관 본체부(210)와 식별부(230)를 소통시킬 경우, 상기 식염수는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와 인너 카테터(200)의 척수강 진입 시 인너 카테터(200)로 유입되는 뇌척수액에 의해 상기 식별부로 유체이동하여 벌룬형 카테터(232)를 팽창시킨다.
한편,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는 플랜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의 플랜지부(120)는 그 아우터 카테터(100)의 후단에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홈(121)을 형성한다.
상기 인너 카테터(200)는 위치결정돌기(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돌기(250)는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의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회전 방지홈(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그 회전 방지홈(121)에 삽입됨으로써, 인너 카테터(200)가 아우터 카테터(100)의 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하는 것을 억제시키고, 상기 인너 슬릿들(212)이 아우터측 슬릿들(110)과 소통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게 하여 뇌척수액의 원활한 유입이나 액상치료물질의 뇌척수강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엠보형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XI-XI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고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XII-XII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아우터 카테터에서 인너 카테터의 회전 시 아우터측 슬릿들과 인너 슬릿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아우터 카테터(100)에 형성된 플랜지부(120)와 인너 카테터의 위치결정돌기(25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플랜지부(120)는 회전방지홈(121)을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거나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탈억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억제수단은, 회전방지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위치결정돌기(250)의 임의 이탈을 억제시키기 위해, 회전방지홈(121)을 한정하는 일면에 형성된 엠보형 스토퍼(122)를 포함한다.
상기 엠보형 스토퍼(122)는, 상기 아우터 카테터(100)의 통로에 인너 카테터(200)가 삽입될 때,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위치결정돌기(250)가 표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회전 방지홈(12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회전 방지홈(121)의 입구측에 위치하며 타원형의 표면을 형성한다(도 11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방지홈(121)은 아우터 카테터(100)의 내부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 방지홈(121)은 아우터 카테터(100)의 척수강 진입 시 식염수의 수용과, 척수강 진입 시 뇌척수액의 유입을 위한 인너 카테터(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도 12 참조).
아울러 본 실시예에 채용된 인너 카테터(200)의 위치결정돌기(250)는, 탄성볼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인너 카테터의 회전 시 상기 회전 방지홈(121)에서 슬라이딩하며 돌출되어 그 회전 방지홈의 삽입홈(도면부호 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인너 카테터(200)의 회전과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한다(도 12의 (c) 참조).
또한, 상기 위치결정돌기(250)는 상기 회전방지홈(121)에 접촉되는 단면에 돌기(도면부호미도시)를 구비하고 그 회전방지홈(121)에 형성된 삽입홈(도면부호미도시)에 그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인너 카테터(2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도 12의 (b)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는 척수강 삽입전에, 밸브(240)를 회전시켜 도관 본체부(210)와 접속부(220)를 서로 소통시킨 후, 상기 인너 카테터(200)를 아우터 카테터(100)에서 회전시켜 아우터측 슬릿들(110)과 인너 슬릿들(212)을 소통되지 않게 교차배열시킨다. 이때 상기 도관본체부(210)와 접속부(220)는 외부와 소통되지 않기 때문에, 접속부를 통해 주입된 상기 식염수를 유로(211)에 수용할 수 있게 한다(도 13의 (a) 참조).
이후 본 실시예는 뇌척수강으로의 진입시키고자 할때, 밸브(240)를 회전시켜 도관 본체부(210)와 식별부(230)를 서로 소통시킨 후, 인너 카테터(200)가 삽입된 아우터 카테터(100)를 뇌척수강에 진입시키고, 상기 인너 카테터(200)를 회전시켜 아우터측 슬릿들(110)과 인너 슬릿들(212)을 소통시킨다(도 13의 (b) 참조).
이 과정에서 뇌척수액은 상기 아우터측 슬릿들(110)과 인너 슬릿들을(212) 경유하여 도관 본체부(210)측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에 따른 압력으로 식염수가 식별부로 이동하여 벌룬형 카테터(232)를 팽창시킨다. 이때 시술자는 팽창된 벌룬형 카테터를 확인하며 카테터 유닛의 척수강 진입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척수 경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단시간안에 요추천자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아우터 카테터 110: 아우터측 슬릿들
120: 플랜지부 121: 회전 방지홈
122: 엠보형 스토퍼 200: 인너 카테터
210: 도관 본체부 211: 유로
212: 인너 슬릿들 220: 접속부
221: 포트부 230: 식별부
231: 소통공간 232: 벌룬형 카테터
240: 밸브 250: 위치결정돌기

Claims (6)

  1.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뇌척수액 수집을 위해 요추 천자 방식으로 척수강 내에 진입되는 것으로, 선단이 요추 천자가 가능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와 소통되는 아우터측 슬릿들이 원주방향을 둘러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우터 카테터; 및
    상기 아우터 카테터의 통로에 삽입되는 것으로, 뇌척수액 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로와 아우터측 슬릿들을 소통시키는 인너 슬릿들이 형성되어 있는 도관 본체부와, 약물이나 식염수와 같은 액상 치료물질을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에 주입시켜 줄 수 있도록 그 도관 본체부에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부와,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와 소통되는 소통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통공간 내의 물질 유입 여부에 따라 뇌척수액 공간에 상기 아우터 카테터가 제대로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인너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소통공간 내에 유입된 물질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팽창되는 벌룬형 카테터를 포함하며,
    상기 벌룬형 카테터는, 상기 도관 본체부의 유로에 식염수가 충진된 상태에서 아우터 카테터가 인너 카테터와 함께 척수공간에 삽입된 경우, 뇌척수액이 상기 인너 카테터의 유로 측으로 유입됨에 따른 압력으로 상기 식염수의 소통공간 측 이동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카테터의 도관 본체부를 상기 접속부와 식별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소통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카테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카테터는, 후단에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 카테터는, 상기 플랜지부의 회전방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그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회전방지홈을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회전방지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위치결정돌기의 임의 이탈을 억제시키기 위한 이탈억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억제수단은, 상기 회전방지홈을 한정하는 일면에 형성된 엠보형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KR1020210075159A 2021-06-10 2021-06-10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KR10260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59A KR102606977B1 (ko) 2021-06-10 2021-06-10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59A KR102606977B1 (ko) 2021-06-10 2021-06-10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35A KR20220166435A (ko) 2022-12-19
KR102606977B1 true KR102606977B1 (ko) 2023-11-29

Family

ID=8453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159A KR102606977B1 (ko) 2021-06-10 2021-06-10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6893B (zh) * 2023-02-10 2023-09-12 迈德微创(天津)医疗器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腰椎穿刺后脑脊液测压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6739A (ja) * 2003-10-27 2007-06-28 エピメ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全な脊髄カテーテル
JP2008237309A (ja) * 2007-03-26 2008-10-09 Jms Co Ltd カテーテル先端位置確認用部材
KR101638284B1 (ko)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7931A2 (en) * 1999-08-24 2002-05-29 Neuron Therapeutics, Inc. Lumbar drainage cath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6739A (ja) * 2003-10-27 2007-06-28 エピメ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全な脊髄カテーテル
JP2008237309A (ja) * 2007-03-26 2008-10-09 Jms Co Ltd カテーテル先端位置確認用部材
KR101638284B1 (ko) 2015-03-03 2016-07-08 김동준 복수천자용 배액 체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35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1770A (en) Surgical instrument
JP6218341B2 (ja) 頭蓋腔用カテーテル装置
US20100030102A1 (en) Active Delivery and Flow Redirections: Novel Devices and Method of Delivery of Materials to Patients
KR102606977B1 (ko) 뇌척수액 검사를 위한 카테터 유닛
JP7171951B2 (ja) 血管圧変化測定用区画を持つ非外傷性閉塞システム
WO2007133776A9 (en) Active delivery and flow redirection: novel devices and method of delivery of materials to patients
ES2955387T3 (es) Conjunto de catéter de balón para la inserción y el posicionamiento de dispositivos terapéuticos dentro de un sistema vascular
US20120253278A1 (en) Cathet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S61162956A (ja) リ−クバル−ンカテ−テル
US20230173238A1 (en) Balloon catheter assembly for insertion and positioning therapeutic devices within a vascular system
US10207080B2 (en) Catheter apparatus for cranial cavity
CN113398439B (zh) 一种双球囊溶栓取栓装置
US20220126071A1 (en) Balloon catheter with porous outer member for air purging
KR102295832B1 (ko)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US11690607B2 (en) Vascular closure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11766544B2 (en) Vascular closure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H02950B2 (ko)
KR100353685B1 (ko) 카테테르
KR20220093456A (ko) 뇌압조절밸브를 이용한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