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909B1 -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909B1
KR102606909B1 KR1020210141320A KR20210141320A KR102606909B1 KR 102606909 B1 KR102606909 B1 KR 102606909B1 KR 1020210141320 A KR1020210141320 A KR 1020210141320A KR 20210141320 A KR20210141320 A KR 20210141320A KR 102606909 B1 KR102606909 B1 KR 10260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tsn
virtual
bridge
ts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196A (ko
Inventor
변일무
고경준
안우진
김영주
박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09B1/ko
Priority to PCT/KR2022/013207 priority patent/WO2023068543A1/ko
Publication of KR2023005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04L12/4675Dynamic sharing of VLAN information amongst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91Mapping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기술에 따른 통신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간 민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한 스트림이 끊기지 않고, 제1 단말 및 제1 가상 TSN(Time Sensitive Networks) 브릿지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제2 단말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간 민감 네트워크(Time Sensitive Networks, TSN)는 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설정할 때 스트림 별로 누적 지연(accumulated latency)을 정의하고, 누적 지연 값이 변화하면 스트림 연결이 끊어졌다고 판단한다. 유선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장치들이 유선으로 연결이 되므로 지연시간이 일정하지만,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장치들이 이동하므로 지연시간이 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으로 형성된 가상 TSN 브릿지가 이동하게 되면 누적 지연 변화로 스트림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이는 통신 장치의 이동 시 스트림 연결 끊김과 재설정이 반복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네트워크에 많은 부담을 주고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단점이 된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장치들이 안정적인 가상 브릿지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Q 표준의 시간 민감 네트워크는 스트림을 설정하기 위해 SRP(Stream Reservation Protocol)를 이용한다. SRP는 기본적으로 중앙제어장치 없이 네트워크 구성 장치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아 스트림을 설정하는 분산형태이다. 또한, IEEE 802.11Qcc에서 SRP의 향상된 기능으로 CNC(Centralized Network Configuration)가 중앙제어장치 역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의 스트림을 설정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중앙집중형태나 분산형태 모두 스트림을 예약해서 신호 전송을 위한 도메인을 형성할 때 누적 지연(Accumulated Latency)을 파라미터로 이용한다. 분산형태일 경우에는 스트림 형성을 위해 신호를 주고 받을 때 경로에 있는 장치들이 자신의 지연시간을 더하여 누적지연을 계산한다. CNC가 있는 경우에는 CNC가 네트워크 구성 장치들로부터 지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말들이 스트림을 형성하는 경우 저장한 정보를 이용하여 누적지연을 계산한다. 이때, 누적지연은 스트림 예약의 주요 파라미터이다. IEEE 802.1Q표준에서는 특정 스트림의 누적지연시간이 변경되면 해당 스트림을 페일(Fail)로 선언하도록 되어 있다.
시간 민감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를 가정하여 개발하였으므로 누적지연시간이 변경되면 스트림 예약을 페일로 선언한다. 하지만, 시간 민감 네트워크 내에 무선 통신 링크가 있는 경우에는 누적지연시간이 변화하여 스트림 설정이 페일로 선언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통신 채널이 다이나믹하게 변화하므로 누적지연시간이 쉽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간 민감 네트워크에 무선 통신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신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간 민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한 스트림이 끊기지 않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 및 제1 가상 TSN(Time Sensitive Networks) 브릿지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제2 단말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의 식별 정보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개수,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와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들 중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개수,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들 중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들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단말로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는,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의 개수, 상기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및 상기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 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스트림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스트림 설정 요청을 기초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스트림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중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단말로 스트림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림 설정 요청은, 스트림 그룹들의 개수 및 상기 스트림 그룹 별 QoS(Quality of Servi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림 설정 정보는, 상기 스트림 그룹 별 스트림의 개수, 상기 스트림 그룹 별 QoS,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결정된 가상 TSN 포트의 개수 및 가상 TSN 포트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별 신뢰도, 데이터 레이트 및 트래픽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스트림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스트림의 개수 및 스트림 별 Qo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스트림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스트림의 개수보다 많도록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 별 QoS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 중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 연결이 되지 않거나 QoS를 만족하지 않은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과 매핑되는 가상 TSN 포트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 중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 연결되고 QoS를 만족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과 매핑되는 가상 TSN 포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은 통신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간 민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한 스트림이 끊기지 않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과 제1 가상 TSN 브릿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은 분산형태의 시간 민감 네트워크(Time Sensitive Networks, TSN)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제1 통신 장치(100a) 및 제2 통신 장치(20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예와 달리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통신 장치의 개수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통신 장치(100a) 및 제2 통신 장치(200a)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장치(100a) 및 제2 통신 장치(200a)는 철도 차량,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00a)는 제1 단말(110), 제1 TSN 브릿지(120) 및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200a)는 제2 단말(210), 제2 TSN 브릿지(22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민감 네트워크에서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연속된 메시지를 스트림(Stream)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210)은 스트림을 생성하거나 수신하여 소비하는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제1 TSN 브릿지(120),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제2 TSN 브릿지(22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트래픽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일 수 있다.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210)은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경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210)은 스트림 예약(stream reserv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에서는 단말과 브릿지가 요청(Request)과 지시(indication)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스트림 예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110)은 제1 TSN 브릿지(120) -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 제2 TSN 브릿지(220) -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를 통해 제2 단말(2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유선으로 연결된 제1 TSN 브릿지(120)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무선으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무선으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으로부터 수신한 트래픽을 유선으로 연결된 제1 TSN 브릿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00a) 및 제2 통신 장치(200a)는 IEEE 802.1Q TSN 표준에 따라 예약된 스트림에 대해서 누적 지연 시간을 저장하고, 누적 지연 시간이 변경되면 스트림 예약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는 제2 TSN 브릿지(22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20)은 중앙집중형태의 시간 민감 네트워크(Time Sensitive Networks, TSN)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20)은 제1 통신 장치(100b) 및 제2 통신 장치(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00b)는 제1 단말(110), 제1 TSN 브릿지(120),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제1 CNC(Centralized Network Configuration)(140) 및 제1 CUC(Centralized User Configuration)(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200a)는 제2 단말(210), 제2 TSN 브릿지(220), 제2 가상 TSN 브릿지(230), 제2 CNC(140) 및 제2 CUC(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110), 제1 TSN 브릿지(120),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제2 단말(210), 제2 TSN 브릿지(22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CNC(140) 및 제2 CNC(140)는 제1 TSN 브릿지(120),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제2 TSN 브릿지(22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로부터 정보를 취합하고 브릿지의 설정을 담당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CUC(150) 및 제2 CUC(150)는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210)로부터 스트림에 대한 요구사항을 취합하고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중앙집중형태에서는 제1 CNC(140) 및 제2 CNC(140)가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210)의 스트림 예약 요청을 받으면 스트림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00b) 및 제2 통신 장치(200b)는 IEEE 802.1Q TSN 표준에 따라 예약된 스트림에 대해서 누적 지연 시간을 저장하고, 누적 지연 시간이 변경되면 스트림 예약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TSN 브릿지가 무선 통신 구간에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설정하고, 각 가상 TSN 포트 별로 스트림 예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110)과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110) 및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 MSRP (Multi Stream Reservation Protocol) 애플리케이션, MAD,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피지컬 계층(physical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링크 계층보다 상위 계층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스트림 예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TSN 포트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TSN 브릿지를 형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가상 TSN 브릿지(130)가 특정 스트림을 비활성화면 제1 단말(110)이 해당 스트림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또한, 해당 스트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여부는 제1 단말(110) 및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의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은 모를 수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은 해당 스트림으로는 데이터 전송이 오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MSRP 애플리케이션보다 상위 계층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MSRP 애플리케이션 외에 추가로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의 하위 계층에 해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될 수 있다. 만약, MSRP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에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바로 상위 계층에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할 수도 있다.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무선 통신 기술 내에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은 서로 다른 가상 TSN 포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와 제2 가상 TSN 브릿지(230)가 5G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 5G 통신 기술 내에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와 제2 가상 TSN 브릿지(230)가 5G 통신 기술과 Wi-Fi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된 경우, 5G 통신 기술 및 Wi-Fi 통신 기술에 각각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은 가상 TSN 포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무선 통신 기술 내에 형성된 가상 TSN 포트들은 하나의 가상 TSN 포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 기술를 이용하여 m개의 가상 TSN 포트를 형성하고, Wi-Fi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n개의 가상 TSN 포트를 형성하면, m개의 가상 TSN 포트들은 제1 가상 포트 그룹이 되고, n개의 가상 TSN 포트들은 제2 가상 포트 그룹이 될 수 있다. 즉, 가상 TSN 포트 그룹이 동일하면, 일반적으로 동일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TSN 포트 그룹에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이 포함되는 경우, 가상 TSN 포트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또는 플로우)에 1대1로 매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TSN 포트들을 각각 서로 다른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에 매핑시킴으로써, 제1 단말(110)의 이동 및 채널 변화에 따라 특정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이 생성되거나 끊어지는 경우에도 다른 가상 TSN 포트는 지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와 제2 가상 TSN 브릿지(230)가 5G 통신 기술 또는 LTE 통신 기술로 연결되면, 제1 가상 TSN 포트는 EPS Bearer ID가 5인 Default Bearer에 매핑되고, 제2 가상 TSN 포트는 EPS Bearer ID가 9인 Dedicated Bearer에 매핑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트림 그룹은 복수의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스트림 그룹은 복수개일 수 있다. 스트림 그룹 내 복수의 스트림들이 포함되는 것은 동일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복수의 스트림들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스트림 그룹 내 스트림들은 서로 다른 가상 TSN 포트를 통해 통신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가상 TSN 포트가 비활성화되면, 동일한 스트림 그룹 내 다른 스트림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끊김없이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스트림 그룹 내 복수의 스트림들은 각각 서로 다른 가상 TSN 포트 그룹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스트림 그룹 내 복수의 스트림들은 각각 동일 가상 TSN 포트 그룹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들 중 서로 다른 가상 TSN 포트에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 예는 제2 단말(21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의 제1 통신 장치(100a) 및 제2 통신 장치(200a) 또는 도 2의 제1 통신 장치(100b) 및 제2 통신 장치(200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110)이 가상 TSN 브릿지 연결을 요청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예들은 제2 단말(210)이 가상 TSN 브릿지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110)은 사전에 제2 단말(210)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210)은 사전에 제1 단말(110) 및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제1 단말(110)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은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의 식별 정보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에 따라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개수,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와 제1 단말(110) 사이의 제1 지연 시간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연 시간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가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수신한 시점의 시간과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 차일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210)이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로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 제2 단말(210) 사이의 제2 지연 시간은 제2 가상 TSN 브릿지(230)가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수신한 시점의 시간과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 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하나의 가상 TSN 포트 그룹이 포함되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복수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이 포함되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복수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을 통해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통신 기술들 중 통신 연결이 불가능한 무선 통신 기술이 존재하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 해당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는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들 중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로부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개수,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까지 가는데 걸리는 제3 지연 시간,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 제2 단말(210) 사이의 제2 지연 시간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로부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은 현재 통신 연결이 가능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지연 시간은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시점의 시간과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 차일 수 있다. 제3 지연 시간은 가상 TSN 포트 그룹 별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 하나의 가상 TSN 포트 그룹이 포함되면,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 복수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이 포함되면, 제2 가상 TSN 브릿지(230)는 복수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을 통해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들 중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수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수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수보다 적으면,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을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들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들을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들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의 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가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까지 가는데 걸리는 제4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4 지연 시간은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시점의 시간과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 차일 수 있다. 제4 지연 시간은 가상 TSN 포트 그룹 별로 산출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제1 단말로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는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의 식별 정보,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의 개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및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 별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210) 사이의 제5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가상 TSN 포트를 통해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5 지연 시간은 제1 지연 시간, 제2 지연 시간, 제3 지연 시간 및 제4 지연 시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TSN 브릿지(130)가 제3 지연 시간을 아는 경우, 제5 지연 시간은 제1 지연 시간, 제2 지연 시간 및 제3 지연 시간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가 제3 지연 시간을 모르고, 제4 지연 시간을 아는 경우, 제1 지연 시간, 제2 지연 시간 및 제4 지연 시간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가 제2 지연 시간을 모르는 경우, 제5 지연 시간은 제1 지연 시간을 두배한 값과 제3 지연 시간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제1 단말(110)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스트림 설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은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해지면 제2 단말과 연결할 스트림 그룹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10)은 각 스트림 그룹 별 QoS(Quality of Service)를 결정한 뒤, 제1 가상 TSN 브릿지(130)에 스트림 설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트림 설정 요청은 설정하려는 스트림 그룹들의 개수 및 스트림 그룹 별 Qo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그룹 별 QoS는 제5 지연 시간, 스트림 그룹 별 신뢰도, 오류율, 데이터 레이트, 트래픽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래픽 특성은 GBR(Guaranteed Bit Rate) 또는 Non GBR 여부, Delay critical data 여부(time sensitive 패킷 여부), 시간 민감 네트워크의 트래픽 클래스(class CDT or A or B or BE), Priority Code Point(일반적으로 3비트), Drop eligible indicator(일반적으로 1비트) 및 VLAN ID(일반적으로 12비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스트림 설정 요청을 기초로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스트림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별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210) 사이의 제6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6 지연 시간을 제5 지연 시간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별 신뢰도, 데이터 레이트 및 트래픽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스트림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스트림의 개수 및 스트림 별 QoS를 결정할 수 있다. 스트림 그룹이 복수의 스트림들을 갖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복수의 스트림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스트림 그룹에 포함된 스트림들은 동일한 QoS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은 시간 민감 네트워크의 Class CDT(Control Data Traffic) 전송을 위해 복수의 스트림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하나의 스트림 그룹에 포함된 스트림들은 각각 서로 다른 가상 TSN 포트에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림 그룹에 포함된 스트림의 수는 가상 TSN 포트의 수를 초과할 수 없다.
단계 S415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복수의 스트림들의 개수를 기초로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중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스트림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스트림의 개수보다 많도록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가상 TSN 포트의 수는 스트림 그룹 내 스트림의 수보다 커야 한다. 또한, 가상 TSN 포트의 수는 전체 스트림의 수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있다. 가상 TSN 포트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에 1 대 1 매핑되므로 가상 TSN 포트의 수와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 별 QoS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417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에 매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 중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 연결이 되지 않거나 QoS를 만족하지 않은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과 매핑되는 가상 TSN 포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 중 제2 가상 TSN 브릿지(230)와 연결되고 QoS를 만족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과 매핑되는 가상 TSN 포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419에서,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스트림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단말(110)로 스트림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트림 설정 정보는 스트림 그룹 별 스트림의 개수, 스트림 그룹 별 QoS,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결정된 가상 TSN 포트의 개수 및 가상 TSN 포트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1 단말(110)은 제2 단말(210)과의 통신을 위한 스트림을 설정하기 위해서 시간 민감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스트림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110)은 SRP 또는 제1 CNC(140)를 이용하여 스트림을 설정할 수 있다.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이 MSRP 애플리케이션에게 스트림 설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21에서, 제1 단말(110)은 활성화된 가상 TSN 포트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스트림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 단말(2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210)은 활성화된 가상 TSN 포트에 매핑된 하나 이상의 스트림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210)은 활성화된 가상 TSN 포트를 통과하는 스트림을 이용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10)은 스트림 그룹 내 복수의 스트림이 존재하면, QoS가 가장 좋은 스트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상 TSN 브릿지(130)는 주기적으로 각 가상 TSN 포트의 활성화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신 시스템
100a: 제1 통신 장치
110: 제1 단말
120: 제1 TSN 브릿지
130: 제1 가상 TSN 브릿지
200a: 제2 통신 장치
210: 제2 단말
220: 제2 TSN 브릿지
230: 제2 가상 TSN 브릿지

Claims (12)

  1. 제1 단말 및 제1 가상 TSN(Time Sensitive Networks) 브릿지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제2 단말 및 제2 가상 TSN 브릿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요청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의 식별 정보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개수,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와 상기 제1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들 중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의 개수,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 및 타임 스탬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상기 가상 TSN 포트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TSN 포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 그룹들 중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들에 포함된 가상 TSN 포트들을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상기 가상 TSN 포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에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단말로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TSN 브릿지 연결 정보는,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의 식별 정보,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의 개수, 상기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 별 가상 TSN 포트의 개수 및 상기 통신에 이용될 가상 TSN 포트 그룹들 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에 스트림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스트림 설정 요청을 기초로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의 통신에 이용될 복수의 스트림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중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단말로 스트림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설정 요청은,
    스트림 그룹들의 개수 및 상기 스트림 그룹 별 QoS(Quality of Servi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림 설정 정보는,
    상기 스트림 그룹 별 스트림의 개수, 상기 스트림 그룹 별 QoS, 가상 TSN 포트 그룹 별 결정된 가상 TSN 포트의 개수 및 가상 TSN 포트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가상 TSN 포트들 별 신뢰도, 데이터 레이트 및 트래픽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스트림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스트림의 개수 및 스트림 별 Qo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스트림 그룹들 각각에 포함된 스트림의 개수보다 많도록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에 매핑될 가상 TSN 포트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 별 QoS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 중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 연결이 되지 않거나 QoS를 만족하지 않은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과 매핑되는 가상 TSN 포트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들 중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와 연결되고 QoS를 만족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세션과 매핑되는 가상 TSN 포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 상기 제2 단말 및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는,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와 상기 제2 가상 TSN 브릿지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가상 TSN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 중 동일한 스트림 그룹에 포함된 스트림들을 각각 서로 다른 가상 TSN 포트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TSN 브릿지가 상기 복수의 스트림들 중 서로 다른 스트림 그룹에 포함된 스트림들을 각각 동일한 가상 TSN 포트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210141320A 2021-10-21 2021-10-21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60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20A KR102606909B1 (ko) 2021-10-21 2021-10-21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PCT/KR2022/013207 WO2023068543A1 (ko) 2021-10-21 2022-09-02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20A KR102606909B1 (ko) 2021-10-21 2021-10-21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196A KR20230058196A (ko) 2023-05-03
KR102606909B1 true KR102606909B1 (ko) 2023-11-24

Family

ID=8605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320A KR102606909B1 (ko) 2021-10-21 2021-10-21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909B1 (ko)
WO (1) WO20230685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7993B (zh) * 2019-01-11 2021-1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持时间敏感通信的方法、通信设备及介质
CN115695324A (zh) * 2019-01-15 2023-02-03 欧芬诺有限责任公司 基于控制面的时间敏感网络配置
CN111436048B (zh) * 2019-02-03 2022-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持时间敏感通信的方法及通信设备
CN114008993B (zh) * 2019-06-17 2023-08-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网络中的会话建立的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543A1 (ko) 2023-04-27
KR20230058196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136B2 (en) Radio access network control method and radio access network
EP3672173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21003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connected ring protection
US8989019B2 (en) Transmission system, managing computer, and logical path construction method
CN111034104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JP2005198331A5 (ko)
JP5071165B2 (ja) 経路多重化通信システム、通信ノード及び通信方法
JP7320673B2 (ja) 端末間マルチホップサイドリンク無線通信におけるデータパケット伝送実行の方法および装置
EP2503742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shared mesh protection, equipment and optical network system
CN111869310A (zh) 用于执行小数据快速路径通信的方法和系统
US202303888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rerouting
KR102606909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50261007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l2cap channel dedicated for data flow transmission in bluetooth networks
CN113259986B (zh) 一种传输方法及网络设备
KR101969304B1 (ko) 패킷-아웃 메시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장애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1029027A (ja) 経路指定された信号を転送する中継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7258B1 (ko) 보호 절체 방법 및 장치
JP4817143B2 (ja) パス設定方法及び通信装置
US20220141123A1 (en) Network device, network system,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program
CN113473536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1029291A1 (ja) 経路指定された信号を転送する中継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64582A1 (en) Node, mast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US9439228B2 (en) Method for managing at least one dynamic virtual connec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e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communication network
Lee et al. Protocols and use cases for media independent management in SDN-based wireless access networks
KR20200088763A (ko)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분산을 위한 스티어링 규칙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