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903B1 -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903B1
KR102606903B1 KR1020210069758A KR20210069758A KR102606903B1 KR 102606903 B1 KR102606903 B1 KR 102606903B1 KR 1020210069758 A KR1020210069758 A KR 1020210069758A KR 20210069758 A KR20210069758 A KR 20210069758A KR 102606903 B1 KR102606903 B1 KR 10260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reless charging
charging
charging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708A (ko
Inventor
손나민
원유승
박성아
Original Assignee
손나민
원유승
박성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나민, 원유승, 박성아 filed Critical 손나민
Priority to KR102021006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전기 차량을 호환성 있게 무선방식으로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전기 차량의 충전 방식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에 있어서,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 무선충전모듈;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이 이격, 설치되는 충전모듈설치부; 및 상기 충전모듈설치부를 구동시켜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 중 특정 무선충전모듈을 전기 차량에 정위치 시키는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송수단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기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도록 진입측에 설치되는 차량감지수단; 및 상기 차량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이송수단 및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ER FOR VEHICLES AND WIRELESS CHARGE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전기 차량을 호환성 있게 무선방식으로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전기 차량의 충전 방식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연료로서 휘발유, 경유 등의 석유나, LPG 등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된 자원으로 시간이 갈수록 고갈되고 있고 그 가격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화석연료는 그 사용과정에서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는 다양한 배기가스가 배출될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그 대안으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동하는 전기자동차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순수 전기자동차(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 전동기와 엔진을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전기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 전기자동차는 가격, 사용상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순수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활성화와 보급 확대를 위해 충전 인프라의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전기자동차는 플러그인 방식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게 되므로 소비자가 충전 시스템에 정위치하고 하차한 후 수작업에 의해 충전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무선충전장치는 자기유도방식(WPC,Wireless Power Consortium)과 자기공명방식(A4PC, Alliance for Wireless Power)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한 자기유동방식(WPC)은 100kHz ~ 205kHz의 주파수에서 전력을 전송하고 자기공명방식(A4WP)은 6.78MHz의 주파수에서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양쪽 방식의 무선충전장치는 효율적인 충전을 위해서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서로 다른 차이가 있다.
그리고, 차량 제조사는 보유 기술, 차종, 모델 등에 따라 전술한 자기유도방식(WPC) 수전장치 또는 자기공명방식(A4PC) 수전장치 중에서 선택, 탑재한 차량을 제조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무선충전방식은 제조사, 차종, 모델에 따라 서로 달라서 차량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차량에 맞는 충전소 찾아 방문하여야 하므로 충전이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 방식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더라도 여전히 충전시 긴 대기시간과 충전시간이 요구되어 매우 불편하고, 전기 차량이 장시간 동안 넓은 토지를 점유하여야 하므로 충전시설을 운영하는 업체 또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실정에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1715호 "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7082호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전기 차량을 호환성 있게 무선방식으로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차량의 충전 방식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에 있어서,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 무선충전모듈;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이 이격, 설치되는 충전모듈설치부; 및 상기 충전모듈설치부를 구동시켜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 중 특정 무선충전모듈을 전기 차량에 정위치 시키는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과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설치부는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과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이 상하로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듈설치부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체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연결되게 이격, 설치되고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및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이 설치되는 복수의 충전모듈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는 승강로드를 갖는 직선이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과 자기유동방식 수전장치와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전기차량의 자기공명방식 수전장치과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수단; 및 상기 거리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차량과 자기유동방식 수전장치와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전기차량의 자기공명방식 수전장치과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갖도록 상기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기구는 작동로드의 단부에 상기 회전체의 양단에 접속되는 U자 형상의 모듈설치부지지부재가 결합된 단일의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설치부회전수단은 상기 모듈설치부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이동기구는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접속되는 모듈설치부지지부재가 작동로드의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접속되는 상기 모듈설치부지지부재가 작동로드의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설치부회전수단은 상기 모듈설치부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량이송수단; 및 상기 차량이송수단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술한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송수단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기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도록 진입측에 설치되는 차량감지수단; 및 상기 차량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이송수단 및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에 정위치하도록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동시키는 충전장치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장치이동부는,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 및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전동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송수단은 상기 전기 차량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이송수단은 직선부 컨베이어와, 곡선부 컨베이어가 연이어 배치되어 상기 이동경로가 지그재그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양쪽으로 충전소외벽이 형성되되, 상기 직선부 컨베이어 및 상기 곡선부 컨베이어의 연결부위에 상기 전기 차량의 진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소외벽이 형성되지 않은 출구가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의 충전모듈이 충전모듈설치부에 설치되어 모듈설치부구동수단 및 모듈설치부회전수단에 의해 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전기 차량을 호환성 있게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충전시설 운용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전기 차량의 충전 방식을 자동으로 인식한 후 차량이송수단을 의한 흐름 이동을 통해 다수의 전기 차량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일자형 벨트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곡선부 벨트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100)는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전기 차량을 호환성 있게 무선방식으로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 무선충전모듈, 복수 무선충전모듈이 이격, 설치되는 충전모듈설치부(130), 및 충전모듈설치부(130)를 구동시키는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이 구비되어 있다.
무선충전모듈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과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2에서는 한 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과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이 복수 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방식은 자기유도방식 및 자기공명방식 외에도 전자기파방식이 있지만 전자기파방식은 전력의 전송거리가 수 km 이상도 가능한 장거리 전송기술임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전송거리가 짧은 자기유도방식(예컨대 통상 전송거리가 수 mm 내지 수 cm) 및 자기공명방식(예컨대 전송거리가 수 cm 내지 수십 cm)의 충전모듈로 구성한다.
여기서,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은 기판(111)상에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코일(미도시) 간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자기유도방식 송전장치(미도시)의 전력드라이버(미도시)를 통해 교류전원이 전달되면 두 코일의 권선수와 코일간의 거리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차량(v)에 구비된 수전장치(미도시)에 충전전력을 송전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유도방식 송전장치(미도시) 및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의 세부구성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주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은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의 송수신단 간에 주파수를 통해 전력을 보내는 방식으로서, 자기공명방식 송전장치(미도시)의 전력드라이버를 통해 교류전원이 전달되면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은 전기 차량에 구비된 수전장치(미도시)에 충전전력을 송전한다. 이러한 자기공명방식 송전장치 및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의 세부구성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주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충전모듈설치부(130)는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과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이 상하로 설치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체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회전부재(131)와, 이 회전부재(131) 사이에 연결되게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충전모듈고정부재(132)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모듈고정부재(132)는 대략 연결봉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부재(131)의 상부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이 설치되는 제1 충전모듈고정부재(1321)와, 제1 충전모듈고정부재(1321)와 마주보는 회전부재(131)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이 설치되는 제2 충전모듈고정부재(132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은 충전모듈설치부(130)를 구동시켜 복수 무선충전모듈 중 특정 무선충전모듈을 전기 차량에 정위치 시키는 구성으로서, 즉 수전방식 중 자기유도방식 수전장치가 탑재된 전기 차량이 진입하면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이 전기 차량(v)의 수전장치에 정위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하고, 자기공명방식 수전장치가 탑재된 전기 차량이 진입하면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이 수전장치에 정위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은 충전모듈설치부(130)에 접속되는 승강로드를 갖는 직선이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선이동기구는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 다양한 직선이동기구로 구성할 수 있지만, 작동로드(142)의 단부에 충전모듈설치부(130)의 양단에 접속되는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3)가 결합된 단일의 실린더(140a)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140a)는 회전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고, 높이 제어가 가능한 유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유압실린더는 접속되는 유압호스(미도시)로 전달되는 유압작동유에 의해 전후진 되는 복동실린더로 구성된 것으로서, 유압호스는 주지된 바와 같이 유압탱크, 유압펌프 및 제어밸브 등이 구비된 유압공급유닛(미도시)으로부터 유압작동유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압공급유닛은 유압구동식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주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을 생략한다.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3)는 실린더(140a)의 작동로드(142)에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회전부재(131)에 결속되는 연결봉(1432)이 굴곡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봉(1432)는 도2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는 자기유도방식 수전장치(미도시)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사이의 거리와, 자기공명방식 수전장치와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수단(150)과,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충전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거리감지수단(150)은 적외선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이 거리측정이 가능한 센서 중에서 선택하여 충전모듈설치부(130)의 충전모듈고정부재(132) 등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미도시)는 거리감지수단(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전기 차량의 수전장치(미도시)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사이의 거리와, 전기 차량의 수전장치(미도시)와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갖도록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을 구동시키고, 설정된 거리에 도달되면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는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및 충전모듈(120)이 전기 차량의 수전장치에 정위치하도록 충전모듈설치부(130)를 회전시키는 모듈설치부회전수단(160)이 구성되어 있다.
모듈설치부회전수단(160)은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3)에 일측에 설치되고 출력축이 충전모듈설치부(130)에 접속되는 구동모터(161)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161)는 감속기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모터(161)는 모터고정브라켓(165)에 의해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3)에 결합된다. 여기서, 모터고정브라켓(165)는 구동모터(161)에 조립되는 제1 프랜지(1651)와,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3)의 연결봉(1432)에 결합되는 제2 프랜지(165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61)의 출력축은 회전부재(131)의 중심에 천공된 홀에 키 조립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100)는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과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 복수 무선충전모듈이 이격, 설치되는 충전모듈설치부(130), 및 충전모듈설치부(130)를 구동시키는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이 구비되되,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은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충전모듈설치부(130)에 접속되는 승강로드를 갖는 직선이동기구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선이동기구는 충전모듈설치부(130)의 일측에 접속되는 'ㄱ'자형의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7)가 작동로드(142)의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실린더(140b)와, 충전모듈설치부(130)의 타측에 접속되는 'ㄱ'자형의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7)가 작동로드(142)의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실린더(140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설치부회전수단(160)은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7)에 일측에 설치되고 출력축이 회전부재(131)에 접속되는 구동모터(16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61)는 모터고정브라켓(165)에 의해 모듈설치부지지부재(147)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은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 실린더(140b)와 제2 실리더(140c)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및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을 포함하는 충전모듈설치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충전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주요 구성요소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일자형 벨트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외관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술한 차량 무선충전장치(100)를 전기 차량(v)의 이동경로 하부(지하 통로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에 복수로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량이송수단(200)이 구비되어 있고, 이 차량이송수단(20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차량 무선충전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량이송수단(200)은 전기 차량(v)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컨베이어(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컨베이어는 전기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방식의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차량의 타이어가 올려져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200a)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는 공지된 통상의 일자형 벨트컨베이어와 유사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프레임(210), 벨트롤러(220), 컨베이어벨트(113), 및 컨베이어구동장치(114)를 구비한 것으로서, 세부 구성은 벨트 컨베이어의 일반적인 구조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차량이송수단(200)이 배치된 이동경로를 따라 양쪽으로 충전소외벽(4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차량이송수단(200)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v)의 종류를 감지하도록 진입측 및 차량 무선충전장치(100)와 접하여 설치되는 차량감지수단(30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감지수단(300)은 전기 차량의 차종, 모델, 외관 등을 감지하여 시스템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이송수단(200)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에 탑재된 수전장치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또는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 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ccd 카메라 모듈과 같은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술한 차량감지수단(300) 외에도 차량 무선충전장치(10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전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이송수단(200)을 통해 이동되는 전기 차량(v)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위치감지수단(6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기 차량이 차량 무선충전장치(100)의 상부에 정위치하도록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동시키는 충전장치이동부(500)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장치이동부(500)는 차량 무선충전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장치이동부(500)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510)과, 차량 무선충전장치(100)가 설치되어 이송레일(520)을 따라 이송되는 전동대차(5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대차(520)는 이송레일(52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가 마련된 것으로서, 구동부는 공지의 모노레일용 전동기구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충전이 필요한 전기 차량과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미도시), 충전 필요 차량에 제공되는 충전 제공량을 산출하는 충전 제공량 산출부(미도시), 및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시스템제어부는 차량감지수단(3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차량이송수단(200) 및 차량 무선충전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통신부, 충전 제공량 산출부를 제어하여 무선 충전량에 대해 과금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제어부(미도시)에 의한 과금은 주지된 과금 알고리즘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제어부는 충전 필요 차량으로부터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 제공 차량을 검색하도록 충전 제공 차량 검색부를 제어하고, 충전 제공 차량이 존재하면 충전 제공 차량으로 충전 필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충전 필요 차량 정보 제공부를 제어하며, 충전 제공 차량의 충전 제공량에 대한 금액 및 누적량 금액을 산출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도록 결제 정보 생성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결제 정보를 충전 필요 차량 및 충전 제공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방법은 전기 차량이 충전소 입구에 도착하면 차량감지수단(300)에 의해 전기 차량의 차종, 모델, 외관 등을 감지하여 시스템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하게 되고, 미리 서버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해당 전기 차량의 수전장치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또는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 차량의 충전 방식 검출은 차량 소유자가 시스템의 입구에 마련된 별도의 입력부(터치패널이나 버튼 등으로 구성된 조작패널)를 통해 입력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고, 입력부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량의 설정이나 결제 등의 과정을 선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술은 주지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운전자가 하차하게 되면 시스템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차량이송수단(200)이 작동되면서 차량 무선충전장치(100)가 위치한 지점까지 전기 차량을 이송하게 된다. 연이어 해당 전기 차량이 차량 무선충전장치(100)에 정위치하게 되면 미리 파악된 충전모듈이 해당 전기 차량의 수전장치를 향해 배치되도록 모듈설치부회전수단(160)이 작동되어 충전모듈설치부(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전기 차량의 수전장치에 맞게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110) 또는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120)이 위치하게 되면 모듈설치부구동수단(140)이 작동되어 최적의 충전 조건이 되도록 높낮이 조정작업이 수행되고 충전작업이 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어 시스템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운전자의 단말기로 충전완료를 경보하게 되면 운전자가 탑승한 후 출차하게 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복수의 전기 차량이 차량이송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면서 동시에 충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충전작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주요 구성요소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곡선부 벨트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외관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량이송수단(200), 이 차량이송수단(30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량 무선충전장치(100)를 구비하되, 차량이송수단(200)은 직선부 컨베이어(200a)와, 곡선부 컨베이어(200b)가 연이어 배치되어 이동경로가 지그재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직선부 컨베이어(200a)는 도7에 도시된 일자형 벨트 컨베이어를 직선구간에 복수 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곡선부 컨베이어(200b)는 도9에 도시된 반원형 경로를 따라 전기 차량(v)이 이송되도록 구성된 반원형 벨트컨베이어로서, 컨베이어프레임(250), 벨트롤러(260), 컨베이어벨트(미도시), 및 컨베이어구동장치(280)를 구비한 공지된 반원형 벨트컨베이어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서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은 차량이송수단(200)이 배치된 이동경로를 따라 양쪽으로 충전소외벽(400)이 형성되되, 직선부 컨베이어(200a) 및 곡선부 컨베이어(200b)의 연결부위에 전기 차량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충전소외벽이 형성되지 않은 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방법은 시스템제어부의 제어하에 차량이송수단(200) 및 차량 무선충전장치(100)가 작동되면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수행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경우 충전이 완료된 전기 차량은 전 이동경로를 경유할 필요 없이 가장 가까운 출구로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충전 중인 전기 차량의 정체를 줄일 수 있고, 운전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충전 시스템의 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차량 무선충전장치
110: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120: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
130:충전모듈설치부
140:모듈설치부구동수단
150:거리감지수단
160:모듈설치부회전수단
200:차량이송수단
300:차량감지수단
400:충전소외벽
500:충전장치이동부

Claims (12)

  1. 차량 무선충전장치에 있어서,
    충전방식이 서로 다른 복수 무선충전모듈;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이 이격, 설치되는 충전모듈설치부; 및 상기 충전모듈설치부를 구동시켜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 중 특정 무선충전모듈을 전기 차량에 정위치 시키는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무선충전모듈은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과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설치부는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과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이 상하로 설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모듈설치부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연결되게 이격, 설치되고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및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이 설치되는 복수의 충전모듈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는 승강로드를 갖는 직선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차량과 자기유동방식 수전장치와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전기차량의 자기공명방식 수전장치과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수단; 및
    상기 거리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기 차량과 자기유동방식 수전장치와 상기 자기유도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전기차량의 자기공명방식 수전장치과 상기 자기공명방식 충전모듈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갖도록 상기 모듈설치부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기구는 작동로드의 단부에 상기 회전체의 양단에 접속되는 U자 형상의 모듈설치부지지부재가 결합된 단일의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설치부회전수단은 상기 모듈설치부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기구는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접속되는 모듈설치부지지부재가 작동로드의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회전체의 타측에 접속되는 상기 모듈설치부지지부재가 작동로드의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설치부회전수단은 상기 모듈설치부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
  7.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량이송수단; 및
    상기 차량이송수단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송수단으로 진입하는 상기 전기 차량의 종류를 감지하도록 진입측에 설치되는 차량감지수단; 및
    상기 차량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이송수단 및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에 정위치하도록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동시키는 충전장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이동부는,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 및
    상기 차량 무선충전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전동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송수단은 상기 전기 차량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송수단은 직선부 컨베이어와, 곡선부 컨베이어가 연이어 배치되어 상기 이동경로가 지그재그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양쪽으로 충전소외벽이 형성되되, 상기 직선부 컨베이어 및 상기 곡선부 컨베이어의 연결부위에 상기 전기 차량의 진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소외벽이 형성되지 않은 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KR1020210069758A 2021-05-31 2021-05-31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KR10260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58A KR102606903B1 (ko) 2021-05-31 2021-05-31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58A KR102606903B1 (ko) 2021-05-31 2021-05-31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08A KR20220161708A (ko) 2022-12-07
KR102606903B1 true KR102606903B1 (ko) 2023-11-29

Family

ID=8444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758A KR102606903B1 (ko) 2021-05-31 2021-05-31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3683A (ja) 2014-09-19 2016-04-25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回転体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受電コイル薄膜基板
WO2017154985A1 (ja) * 2016-03-09 2017-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車両充電システム、駐車場システム及び車両の充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264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어드벤스드테크놀러지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탁자
KR20170011715A (ko)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KR101985490B1 (ko) * 2016-07-25 2019-06-03 최봉호 무선 충전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무선 충전 방법
KR20180047082A (ko) 2016-10-31 2018-05-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무선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3683A (ja) 2014-09-19 2016-04-25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回転体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受電コイル薄膜基板
WO2017154985A1 (ja) * 2016-03-09 2017-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車両充電システム、駐車場システム及び車両の充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708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1635B2 (en) Electric power system
US9873346B2 (en)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relative position between power-supplying coil and power-receiving coil
US11641128B2 (en) Mobile charging stations with fuel-cell generators for electric-drive vehicles
KR101298223B1 (ko)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CN103492219B (zh) 扭矩控制装置以及非接触充电系统
JP6024106B2 (ja) 移載装置及び移動車両
KR20110042403A (ko)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WO2013039143A1 (ja) 移動車両給電システム
CN103228481A (zh) 非接触受电装置、非接触输电装置以及非接触送受电系统
CN102209647A (zh) 车辆用供电系统、电动车辆以及车辆用供电设备
WO2008105434A1 (ja) 架線レス交通システム及びその充電方法
KR20110041307A (ko) 세그먼트화된 전기자동차용 급전제어 방법 및 장치
EP2974992A1 (en) Tyre-type gantry crane and straddle carrier for receiving supply of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KR10140086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주차장치
CN107825970B (zh) 一种电动汽车路段式移动无线充电站
CN204068362U (zh) 一种轨道式自主移动电动车供电装置
CN202394114U (zh) 非接触式供电自动导引车
CN107491926A (zh) 一种基于管网的城市物流系统
CN111002847A (zh) 一种电动汽车移动无线充电系统及方法
CN205395801U (zh) 一种电动汽车的无线充电系统
CN206685986U (zh) 一种移动式无线充电装置
CN204186108U (zh) 一种可非接触式充电的立体车库
KR102606903B1 (ko) 차량 무선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CN110461692A (zh) 用于在电驱动的机动车的装配期间运送该机动车的方法和车辆
KR102467861B1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곡선 이동식 팬터그래프 자동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