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890B1 -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890B1
KR102606890B1 KR1020210131838A KR20210131838A KR102606890B1 KR 102606890 B1 KR102606890 B1 KR 102606890B1 KR 1020210131838 A KR1020210131838 A KR 1020210131838A KR 20210131838 A KR20210131838 A KR 20210131838A KR 102606890 B1 KR102606890 B1 KR 10260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emperature
cooling state
terminal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302A (ko
Inventor
정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Publication of KR2023002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와 탈착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전송하는 밴드형 온도측정모듈; 및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조건에 상기 측정결과가 부합하면, 상기 음료의 냉각상태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A device that controls and informs the cooling state of a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시원하게 먹기 위해 냉동실에 넣어두었다가, 임의의 시간에 꺼내 보았을 때, 음료가 충분히 시원해 지지 않았거나, 음료가 너무 심하게 얼어서 먹기 힘들었던 경험을 종종 하였습니다. 이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음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알려주는 기계는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음료의 종류, 기압 및 냉동고의 온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서 음료의 어는점이 다르다. 그러므로 온도만으로는 음료의 상태를 판단할 수 없다.
음료를 냉동실에서 냉각시킬 때. 도 1)의 그래프의 특성을 갖는다. 영하 1도 영하 2도 근처에서 영상 2도 3도까지 튀는 구간이 있는데, 이는 과냉각상태의 음료가 얼기 시작하면서 발생하는 융해열에 의해서 온도상승이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변화로 이 시점 음료의 상태를 얼음 초입기로 판단하고, 알람을 발생시켜준다,
또한 온도 하강 곡선을 이용하여 시간당 냉각열량을 계산하여 시간당 상태 변화량을 산정하여 얼음초입기에서 설정된 얼음양에 따른 시간 지연후 알람을 발생시켜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온도의 음료나, 설정된 얼음비율의 음료를 설정하여 해당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정보 및 해당시간에 알람발생 등의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음료는 대부분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센서의 모양은 음료의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벨크로 재질의 밴드형태로 구성되며, 냉동실 내에서의 열전달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물에 적셔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체의 종류에 따라 얼음의 분포가 비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얼음 초입부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음료의 용기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진동자를 추가하여, 얼음을 큰덩어리로 합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07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와 탈착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음료의 냉각상태를 분석하는 밴드형 온도측정모듈; 및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조건에 상기 분석결과가 부합하면, 상기 음료의 냉각상태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은 상기 음료용기의 온도와 주변 환경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박막형 온도 센서부; 상기 음료용기의 측정온도가 과냉각 온도에 도달되면, 액체에서 고체로의 물성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기초로 음료용기 내의 음료상태를 분석하는 MCU를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설정값을 기초로 음료용기 내의 액체와 고체 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은 상기 음료용기의 온도와 주변 환경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음료의 종류에 따른 냉각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능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음료용기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곡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음료의 냉각상태까지 도달되는 예상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냉각상태에 따른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고, 감에 의존한 적당한 냉각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예컨대, 사용자가 의도하는 고체와 액체의 비)의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적당한 상태로 얼어있는 음료는, 알람 후 냉장실에 보관하면, 그 상태가 상당히 오랜 시간 보존되어, 미리 만들어 두고, 추후 냉장실에서 꺼내 먹을 수도 있고, 또한, 얼음이 얼고 있는 시점에서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가 아닌 영상 2도~4도 사이이므로, 냉장실 온도에서의 보관으로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의 장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서블 온도센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에서 실행되는 음료 냉각상태 표시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의 장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레서블 온도센서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세부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에서 실행되는 음료 냉각상태 표시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100)는 밴드형 온도측정모듈(200) 및 단말(300)을 포함한다.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200)은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와 탈착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전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200)은 음료용기의 온도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음료의 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음료상태에 도달시 연동되는 단말(300)로 기 설정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200)은 상기 음료용기의 측정온도가 과냉각 온도에 도달되면, 액체에서 고체로의 물성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물리적 진동 또는 초음파 진동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200)은 랩핑부재(201), 박막형 온도센서부(210), MCU(220), 진동부(230), 저장부(24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랩핑부재(201)는 온도 측정 대상물, 예컨대, 음료용기의 표면을 감싸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벨크로를 통해 음료용기와 탈부착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박막형 온도 센서부(210)는 상기 랩핑부재(201)의 내면에 구비되어, 음료용기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박막형 온도 센서부(210)는 도 2 참조, 복수 개의 플렉서블 온도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온도센서는 기판(211), 전극(212) 및 금속패드(2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211)은 절연 물질인 유연성을 갖는 기판일 수 있으며, 전극(212)은 전도성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기법으로 토출시켜 패터닝하여 제작된 구성일 수 있고, 금속 패드(213)는 전극(212)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기판(21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전극(212)은 직렬구조, 메시구조 및 병렬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패드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Ag, Au, Pt, Al, Zn, Fe, Cu, Sn, Ni, 및 Pb 를 포함 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MCU(220)는 후술하는 박막형 온도 센서부(210)에서 계측된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기초로 음료용기 내의 음료상태를 분석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단말(300)에서 설정한 음료상태 설정값 도달될 경우, 해당 단말(300)로 알람출력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MCU(220)는 후술하는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설정값을 기초로 음료용기의 음료상태(예컨대, 액체와 고체의 비)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상태(액체와 고체 비)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부(230)는 음료용기의 음료가 과냉각 온도로 진입시에 미세진동 또는 미세초음파 진동을 음료용기에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진동부(230)는 MCU(220)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진동 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진동주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음료상태(온도 변화에 따른 액체와 고체 비)에 따라 가변된다.
다음으로, 저장부(240)는 단말(300)에서 제공된 사용자 설정값 및 음료상태에 대한 정보(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의 냉각온도 및 냉각상태 또는 냉각결정크기 등에 대한 설정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250)는 단말(300)과 근거리 통신하는 구성으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300)은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조건에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에서 측정한 음료상태가 도달되면 상기 음료의 냉각상태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단말(300)은 밴드형 온도측정모듈(200)이 착용된 음료의 온도변화에 따른 냉각상태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단말(300)은 상기 음료용기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곡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음료의 냉각상태까지 도달되는 예상시간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300)은 기 설치된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과 연동될 수 있고, 상기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은 사용자가 지정한 음료의 냉각온도, 냉각상태 또는 냉각결정크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단말(300)은 통신부(310), 저장부(320), 표시부(330), 음성 출력부(340) 및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단말장치(3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을 실행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3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 상기 다른 단말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후술할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연결되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과 관련한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3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플랫폼을 실행하는 단말(3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320)는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3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되고, 제어부(35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플랫폼의 운영과 관련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320) 및 제어부(35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30)는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플랫폼의 실행 결과 화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알람)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3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340)는 상기 제어부(350)에 의해 플랫폼(앱)의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350)는 단말(3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3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3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에 설치된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또는 터치/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0)는 해당 전용 앱을 실행하여, 앱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330)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단말(300)에 설치된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은 음료종류, 음료용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료의 냉각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를 지원한다.
또한,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은 선택한 음료의 냉각상태(액체와 고체 간의 비)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2)를 지원한다.
해당 인터페이스(12)는 음료의 냉각상태인 액체와 고체 간의 비를 게이지 바 형태로 설정하도록 지원하고, 게이지 바의 위치변화에 따른 음료상태의 대략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냉각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은 해당 음료의 냉각상태에 대한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시각화하고, 해당 음료의 현재온도, 환경온도(냉동고, 냉장고 내부 온도), 사용자가 설정한 냉각상태까지 도달될 예상시간 등을 분석하여 제공하고, 지정한 냉각상태 또는 예상시간에 맞춰 알람이 되도록 설정하는 인터페이스(13)를 지원한다.
한편, 상기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은 냉동고에서의 상태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는 지점에서 액체에서 고체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한 알람설정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음료상태 표시 플랫폼(10)은 이가 시려서 너무 차가운 물을 못 먹는 사람은 상온 10도~15도 등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시원하게 먹고 싶은 사람은 0도~영하2도 등으로 설정하여 얼기 직전의 음료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슬러시 같은 부드러운 얼음상태의 음료를 먹고 싶은 사람은 얼기 시작된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 이후로는 10% 20% 등으로 얼음의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에서 제시하는 장치를 이용한 음료냉각상태를 실험한 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 실험 예
슬러시의 양이 많은 경우 음료용기에 입구에 걸리는 현상이 있으므로, 슬러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과냉각 온도를 기준으로 진동자로 진동을 주어서 슬러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500g 생수병을 기준으로 테스트 하였을 때 - 0.5도에서는 약 50.5g(10.1%), -1.0도에서는 110.3g(22.1%) -1.5도에서는 153.3g(31.05%), -2.0도 에서는 197.5g(39.5%)로 측정이 되었고, 결론적으로 0.5도 마다 약 10% 정도의 슬러시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해당 실험은 과냉각 온도에 도달하면, 진동을 주어서, 슬러시를 유도하고, 측정결과 슬러시가 되었을때 꺼내서 망에 물을 거르고, 슬러시를 용기에 담아서, 녹았을때 무게를 측정하여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의 냉각상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에 도달될 경우에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감에 의존한 적당한 냉각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예컨대, 사용자가 의도하는 고체와 액체의 비)의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적당한 상태로 얼어있는 음료는, 알람 후 냉장실에 보관하면, 그 상태가 상당히 오랜 시간 보존되어, 미리 만들어 두고, 추후 냉장실에서 꺼내 먹을 수도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얼음이 얼고 있는 시점에서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가 아닌 영상 2도~4도 사이이므로, 냉장실 온도에서의 보관으로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200: 밴드형 온도 측정모듈
210: 박막형 온도 센서부
220: MCU
230: 진동부
240: 저장부
300: 단말

Claims (5)

  1.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와 탈착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음료의 냉각상태를 분석하는 밴드형 온도측정모듈; 및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조건에 상기 분석결과가 부합하면, 상기 음료의 냉각상태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은
    상기 음료용기의 온도와 주변 환경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박막형 온도 센서부;
    상기 음료용기의 측정온도가 과냉각 온도에 도달되면, 액체에서 고체로의 물성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음료용기의 표면온도를 기초로 음료용기 내의 음료상태를 분석하는 MCU를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설정값을 기초로 음료용기 내의 액체와 고체 비를 판단하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온도측정모듈은
    상기 음료용기의 온도와 주변 환경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음료의 종류에 따른 냉각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능을 지원하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음료용기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곡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음료의 냉각상태까지 도달되는 예상시간을 제공하는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KR1020210131838A 2021-08-13 2021-10-05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KR102606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7444 2021-08-13
KR1020210107444 202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302A KR20230025302A (ko) 2023-02-21
KR102606890B1 true KR102606890B1 (ko) 2023-11-29

Family

ID=8532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38A KR102606890B1 (ko) 2021-08-13 2021-10-05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8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869A (ja) 2004-05-04 2005-11-17 Chunpyo Hong シャーベットの製造方法、その装置および飲料過冷却装置
KR102145681B1 (ko) 2019-02-08 2020-08-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캔음료 냉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44B1 (ko) * 2011-11-29 2013-09-10 장진우 제빙완료 예상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818857B1 (ko) * 2016-06-20 2018-01-15 김광진 체온 측정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밴드형 온도계
KR20190051738A (ko) * 2017-11-07 2019-05-15 권용진 전자기기 냉각 장치
KR200492764Y1 (ko) 2018-11-16 2020-12-07 김기용 음료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869A (ja) 2004-05-04 2005-11-17 Chunpyo Hong シャーベットの製造方法、その装置および飲料過冷却装置
KR102145681B1 (ko) 2019-02-08 2020-08-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캔음료 냉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302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6696A1 (en) Method of configuring watch screen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ES2910460T3 (es) Cola de contenido inteligente desde un dispositivo secundario
US20170236497A1 (en) Low Power Display Updates
EP3018582A2 (en) Multi-processor device
US10217401B2 (en) Displaying content on a display in power save mode
US8593401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ouble-sided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54181B2 (en) Wearable flexible interface with interlocking modules
KR2016002632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알림 제공 방법
WO2012087809A3 (en) Efficiently handling large data sets on mobile devices
JP2015531530A5 (ko)
JP2013003597A5 (ko)
KR20160071069A (ko) Avn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웨어러블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12084176A3 (en) Representation of large, variable size data sets on small displays
JP2016517585A5 (ko)
KR102606890B1 (ko) 음료의 냉각상태를 조절 및 알려주는 장치
US20140337799A1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selecting content
JP2012044420A5 (ko)
JP2011081833A5 (ko)
JP2016015157A5 (ko)
CN106020653A (zh) 一种人机交互装置和方法
EP311587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05460B2 (en) Prerecorded video experience container
EP3125090B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Anglisano Garmin D2 Charlie: Nexrad, Better Maps: It's taken a few product generations, but Garmin's aviator watch is finally gaining real-world utility with weather radar display and better topo maps
WO2016052500A1 (ja)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