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74B1 - 수냉식 충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냉식 충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74B1
KR102606474B1 KR1020237001031A KR20237001031A KR102606474B1 KR 102606474 B1 KR102606474 B1 KR 102606474B1 KR 1020237001031 A KR1020237001031 A KR 1020237001031A KR 20237001031 A KR20237001031 A KR 20237001031A KR 102606474 B1 KR102606474 B1 KR 10260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nnector
charging
coupled
manifold assembly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846A (ko
Inventor
추엔 초우
파스칼-안드레 포르땅
Original Assignee
테슬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슬라, 인크. filed Critical 테슬라,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1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2Cooling of charg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05Electrical coupling combined with fluidic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충전 커넥터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을 포함한다.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가 제공되어,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되고 제 2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과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을 생성한다. 입구 도관, 내부 공간 및 출구 도관은 함께 유체 유동 경로를 생성하도록 매니폴드 어셈블리 내에 있는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

Description

수냉식 충전 커넥터{LIQUID-COOLED CHARGING CONNECTOR}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용 충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차량용 수냉식 충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 및 하이브리드는 일반적으로 충전식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로부터의 전력을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충전식 배터리는 다른 에너지원으로부터 재충전되어야 한다. 충전 커넥터가 부착된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충전 입구에 에너지 서플라이(energy supply)를 연결함으로써 충전 표시 시 재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에너지를 더 빠르게 전달하고 충전 시간을 줄이기 위해, 케이블 및 충전 커넥터는 고전류 부하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전류 충전 커넥터는 열을 방출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지원할 수 있는 전류 부하가 제한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충전 커넥터가 필요하다.
본 개시는 새로운 충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충전 커넥터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을 구비한다.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되고 제 2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manifold assembly)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과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를 둘러싸며,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와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hollow interior space)을 생성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을 구비하여 입구 도관, 내부 공간 및 출구 도관은 함께 유체 유동 경로를 생성한다. 냉각 유체는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흐르고 충전 커넥터를 냉각시킨다. 작동 중에, 냉각 유체는 제 1 슬리브 주위를 흐르는 제 1 유체 스트림 및 제 2 슬리브 주위를 흐르는 제 2 유체 스트림으로 분기(bifurcate)된다. 제 1 유체 스트림 및 제 2 유체 스트림은 출구 도관의 상류에서 통합된다.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을 둘러싸며, 제 1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을 둘러싼다. 전기 소켓에 의해 발생된 열이 냉각 유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냉각 슬리브는 열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실시예에서, 이 열 전도성 재료는 열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차량용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충전 시스템은 전기 차량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한다. 충전 시스템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충전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충전 케이블의 제 1 단부는 파워 서플라이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은 제 2 단부에 연결된다. 충전 커넥터는 전기 차량의 충전 입구에 충전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는 폼 팩터(form factor)를 구비한다. 충전 커넥터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을 구비한다.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되고 제 2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과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를 둘러싸며,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와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을 생성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을 구비하여 입구 도관, 내부 공간 및 출구 도관은 함께 유체 유동 경로를 생성한다. 냉각 유체는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흐르고 충전 커넥터를 냉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차량의 충전 커넥터용 핸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핸들 어셈블리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며, 충전 케이블의 제 1 단부는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다. 충전 케이블의 제 2 단부는 충전 커넥터에 결합된다. 충전 커넥터는 전기 차량의 충전 입구에 충전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는 폼 팩터를 구비한다. 충전 커넥터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을 구비한다.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되고 제 2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과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를 둘러싸며,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와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을 생성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매니폴드 어셈블리 내에 형성된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을 구비하여 입구 도관, 내부 공간 및 출구 도관은 함께 유체 유동 경로를 생성한다. 핸들 하우징은 충전 커넥터 및 충전 케이블을 둘러싸며 충전 케이블은 핸들 하우징의 일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전기 소켓은 핸들 하우징의 다른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핸들 하우징은 충전 케이블이 외측으로 연장되게 하는 제 1 개구와, 제 1 전기 소켓 및 제 2 전기 소켓이 핸들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하는 제 2 개구를 형성한다. 냉각 유체는 충전 커넥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유체 유동 경로를 통해 흐른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전기 차량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용 핸들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어셈블리가 없는 충전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체가 충전 커넥터 주위에서 흐르는 유체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 및 그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된다. 유사한 참조 번호는 하나 이상의 도면에 도시된 유사한 요소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그 안에 도시된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차량(100)을 도시한다. 차량(100)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전기 차량(100)을 지면 위로 추진하기 위한 파워트레인(미도시)을 포함한다. 차량(100)은 차량(100)을 추진하기 위해 전기 파워트레인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에 적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에너지 저장 수단일 수도 있다. 차량(100)은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입구(102)를 포함한다. 충전 입구(102)는 전기 에너지가 충전 입구(102)를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 장치에 내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충전 차량(100)을 위한 충전 시스템(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충전 시스템(200)은 파워 서플라이(202)를 포함한다. 파워 서플라이(202)는 배전망(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을 통해 이용 가능한 교류(AC) 파워 서플라이일 수 있다. AC 파워 서플라이는 적절한 변환 수단을 통해 직류(DC) 파워 서플라이로 변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파워 서플라이(202)는 또한 DC 파워 서플라이일 수 있다. 충전 시스템(200)은 제 1 단부(206) 및 제 2 단부(208)를 구비하는 충전 케이블(204)을 포함한다. 충전 케이블(204)의 제 1 단부(206)는 파워 서플라이(202)에 결합되고 제 2 단부(208)는 충전 커넥터(210)에 결합된다. 충전 커넥터(210)는 핸들 어셈블리(300)를 구비하며(도 3에 도시됨), 이는 사용자가 충전 커넥터(210)의 내부 구성 요소들과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충전 커넥터(210)를 잡을 수 있게 한다.
도 3은 충전 커넥터(210)의 핸들 어셈블리(300)를 도시한다. 핸들 어셈블리(300)는 충전 커넥터(21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핸들 하우징(302)을 포함한다. 핸들 하우징(302)은 또한 충전 케이블(204)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핸들 하우징(302)은 제 1 개구(304)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충전 케이블(204)이 연장된다. 핸들 하우징(302)은 제 2 개구(306)를 더 형성하며 이를 통해 충전 커넥터(2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이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핸들 하우징(302)이 없는 충전 커넥터(210)를 도시한다. 충전 커넥터(210)는 제 1 전기 소켓(404) 및 제 2 전기 소켓(406)을 포함한다. 제 1 슬리브(410)는 제 1 전기 소켓(404) 주위에 동심으로 결합되며, 제 2 슬리브(412)는 제 2 전기 소켓(406) 주위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충전 커넥터(210)는 제 1 전기 소켓(404) 및 제 2 전기 소켓(406)과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를 둘러싸는 매니폴드 어셈블리(414)를 더 포함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414)와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416)을 생성한다.
도 5는 충전 커넥터(21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커넥터(210)는 제 1 전기 소켓(404) 및 제 2 전기 소켓(406)을 포함한다. 제 1 전기 소켓(404)은 일반적으로 중공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제 1 전기 소켓(404)의 외부 표면(502)은,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슬리브가 제 1 전기 소켓(404)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전기 소켓(406)은 제 1 전기 소켓(404)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전기 소켓(406)은 제 1 전기 소켓(404)과 비교하여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충전 커넥터(210)는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를 포함한다. 제 1 슬리브(410)는 일반적으로 제 1 단부(504) 및 제 2 단부(506)를 갖는 중공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제 1 슬리브(410)의 외부 표면(508)은 제 1 단부(504) 및 제 2 단부(506)를 향해 융기된 프로파일(510)(raised profile)들을 포함하여, 제 1 단부(504)에서 제 2 단부(506)까지 연장되는 제 1 슬리브(410)의 외부 표면(508) 위에 홈이 형성된다. 제 2 슬리브(412)는 제 1 슬리브(410)의 구조와 정확히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기 소켓(404) 및 제 2 전기 소켓(406)에 동심으로 결합된다. 제 1 슬리브(410)는 압입 조립에 의해 제 1 전기 소켓(404)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리브(410)는 또한 오버 몰딩 공정을 통해 제 1 전기 소켓(404)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전기 소켓(404)은 기판 재료로 취급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제 1 슬리브(410)는 제 1 전기 소켓(404)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제 1 슬리브(410)는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에 적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계적 결합 수단을 통해서도 제 1 전기 소켓(40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커넥터(210)는 매니폴드 어셈블리(414)를 더 포함한다. 매니폴드 어셈블리(414)는 충전 커넥터(210)의 다양한 다른 구성 요소들을 둘러싸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매니폴드 어셈블리(414)는 입구 도관(512) 및 출구 도관(514)을 구비한다. 도 7은 입구 도관(512) 및 출구 도관(514)을 보여주는 충전 커넥터(210)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오링(O-ring)이 제 1 슬리브(410)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제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링(702)은 제 1 슬리브(410)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있으며, 제 2 오링(704)은 제 2 슬리브(412)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오링(702)은 제 1 슬리브(410)의 융기된 프로파일(510)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있다. 유사하게, 제 2 오링(704)은 제 1 슬리브(410)의 융기된 프로파일(510)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있다.
제 1 오링(702) 및 제 2 오링(704)은 제 1 슬리브(410)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효과적인 결합을 제공하여 중공 내부 공간(416) 또는 유체 유동 경로로부터 유체가 빠져나가지 않는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오링(보이지 않음)은 제 2 슬리브(412)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슬리브(410)는 제 1 전기 소켓(404)에 동심으로 결합되어 제 1 슬리브(410)가 제 1 전기 소켓(404)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싼다. 유사하게, 제 2 슬리브(412)는 제 2 전기 소켓(406)에 동심으로 결합되어 제 2 슬리브(412)가 제 2 전기 소켓(406)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싼다. 전기 소켓(404, 406)에 의해 발생된 열이 슬리브(410, 412)를 통해 제거되도록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는 열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입구 도관(512)은 매니폴드 어셈블리(414)와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 사이에 형성된 중공 내부 공간(416)에 연결된다. 출구 도관(514) 또한 매니폴드 어셈블리(414)와 제 1 슬리브(410) 및 제 2 슬리브(412) 사이의 중공 내부 공간(416)에 연결된다. 입구 도관(512), 중공 내부 공간(416) 및 출구 도관(514)은 함께 유체 유동 경로(802)를 생성한다. 도 8은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내에 있는 유체 유동 경로(802)를 도시한다. 냉각 유체는 전기 소켓(404, 406)에 의해 발생된 열을 충전 커넥터(21)로부터 멀리 전달하기 위해 유체 유동 경로(80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냉각 유체는 입구 도관(512)을 통해 매니폴드 어셈블리(414)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런 다음 냉각 유체는 제 1 유체 스트림(804) 및 제 2 유체 스트림(806)으로 분기된다. 제 1 유체 스트림(804)은 (제 1 슬리브(410)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의) 중공 내부 공간(416) 주위를 흐른다. 유사하게, 제 2 유체 스트림(806)은 (제 2 슬리브(412) 및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사이의) 중공 내부 공간(416) 주위를 흐른다. 실시예에서, 냉각 유체는 에틸렌글리콜이다. 실시예에서, 냉각 유체는 전기 전도성 유체이다.
냉각 유체는 전기 소켓(404, 406)의 열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한다. 슬리브(410, 412)는 열 전도성,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기 소켓(404, 406)으로부터의 열은 슬리브(410, 412)를 통해 냉각 유체로 전달된다. 중공 내부 공간(416) 주위를 흐른 후, 제 1 유체 스트림(805) 및 제 2 유체 스트림(806)은 함께 출구 도관(514)의 상류에서 통합되고 출구 도관(514)을 통해 매니폴드 어셈블리(414)의 외부로 흐른다. 출구 도관(514)을 통해 매니폴드 어셈블리(414)의 밖으로 흐르는 냉각 유체는 열 교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장소(미 도시)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냉각 유체에 의해 흡수된 열을 제거하기 위해 열 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흡수된 열을 제거한 후, 충전 커넥터(210)의 추가 냉각을 위해 냉각 유체가 입구 도관(512)으로 다시 재순환될 수 있다.
도 9는 충전 커넥터(210)에 의해 포함된 또 다른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PCBA)(902)는 충전 커넥터(210)에 열적으로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PCBA(902)는 2 파트 구조이다. PCBA의 제 1 파트(904)가 전기 소켓(404, 406)의 상부에 놓이도록 PCBA의 제 1 파트(904)는 충전 커넥터(210)에 결합된다. PCBA의 제 2 파트(908)는 리지드-플렉스(rigid-flex) PCB 구조 또는 다른 유사한 상호 연결을 통해 PCBA의 제 1 파트(904)에 연결된다. PCBA(902)의 2 파트 구조는 충전 커넥터(210)의 전선의 보다 효율적인 라우팅을 가능하게 하며, 충전 커넥터(210)의 전체 크기는 편리하게 감소될 수 있다.
도 10은 전기 소켓(406)이 없는 충전 커넥터(210)를 도시한다. 충전 커넥터(210)는 온도 센서(1002)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1002)는 전기 소켓(406)에 열적으로 결합된다. 전기 소켓(404) 아래에는 전기 소켓(404)에 열적으로 결합된 다른 온도 센서(미 도시)가 제공된다. 온도 센서들의 열 결합은 온도 센서들을 통해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보다 양호한 감지 반응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개시된 충전 커넥터(210)는 부분적으로 매니폴드 어셈블리(414) 내의 유체 유동 경로(802)를 통해 한 쌍의 전기 소켓(404, 406)의 효율적인 냉각을 제공한다. 냉각 유체는 유체 유동 경로(802)를 흐르며, 전기 소켓(404, 406)으로부터의 열을 제거한다. 냉각 유체는 임의의 적합한 열 교환 방식을 통해 나중에 열을 제거할 수 있다. 충전 커넥터(210)의 다양한 양태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전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충전 커넥터(210) 또한 이러한 충전 커넥터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응용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개시는 본 개시를 개시된 특정 사용 분야 또는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비추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암시된 것이든지 간에,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 및/또는 수정이 가능함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므로,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와 세부 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수정되거나 달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는 개시된 에어 벤트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를 만들고 사용하는 방식을 당업자에게 가르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개시의 형태는 대표적인 실시예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동등한 요소, 재료, 공정 또는 단계는 본 명세서에서 대표적으로 예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의 특정 특징은, 본 개시의 이러한 설명의 이점을 얻은 후에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다른 특징의 사용과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하고 주장하는데 사용된 "포함하는", "포함하는", "포함하는", "구성된", "구비한다", "이다"와 같은 표현은 비 배타적인 방식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며, 즉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항목, 구성 요소 또는 요소가 제시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복수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결코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모든 결합자 참조(예를 들어, 부착된, 고정된, 결합된, 연결된 등)는 본 개시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또는 시스템의 위치, 방향 또는 사용에 대한 제한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있다면, 결합자 참조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결합자 참조는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반드시 추론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제 1", "제 2", "제 3", "1차", "2차", "주"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모든 숫자 용어 또는 임의의 다른 일반 및/또는 숫자 용어는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요소, 실시예, 변형 및/또는 수정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자로만 취해야 하며, 다른 요소, 실시예, 변형 및/또는 수정에 대해 또는 그 이상의 임의의 요소, 실시예, 변형 및/또는 수정의 순서 또는 선호도에 대한 특정한 어떠한 제한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림/도면에 묘사된 하나 이상의 요소가 보다 분리되거나 통합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응용 분야에 따라 유용한 것처럼 특정 경우에 제거되거나 작동 불가능한 것으로 렌더링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그림/도면의 모든 신호 해치는 달리 구체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충전 커넥터에 있어서,
    슬리브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전기 소켓들을 둘러싸는 매니폴드 어셈블리로서,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중공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및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으로서, 냉각 유체가 상기 충전 커넥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 도관 및 상기 출구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입구 도관 및 상기 출구 도관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입구 도관을 통해 유입하고 하나 이상의 스트림으로 분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트림은, 상기 슬리브들 주위로 유동하고 나서, 상기 출구 도관 밖으로 유동하기 위해 상류에서 함께 통합되고,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내부에서 상기 입구 도관으로 다시 재순환되는 충전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제 2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충전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들은 열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들은 오버 몰딩 공정 또는 압입 조립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대응 전기 소켓들에 결합되는 충전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2 파트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PCBA)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슬리브 및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사이에 제공된 한 쌍의 오링들을 더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켓에 결합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
  9. 전기 차량을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파워 서플라이;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충전 케이블로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 상기 충전 케이블;
    상기 제 2 단부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에 결합된 충전 커넥터로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 입구에 대응하는 폼 팩터를 갖고, 상기 충전 커넥터는,
    슬리브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전기 소켓들을 둘러싸는 매니폴드 어셈블리로서,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및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으로서, 냉각 유체가 상기 충전 커넥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 도관 및 상기 출구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입구 도관 및 상기 출구 도관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입구 도관을 통해 유입하고 하나 이상의 스트림으로 분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트림은, 상기 슬리브들 주위로 유동하고 나서, 상기 출구 도관 밖으로 유동하기 위해 상류에서 함께 통합되고,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내부에서 상기 입구 도관으로 다시 재순환되는,
    상기 충전 커넥터
    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슬리브는 제 1 전기 소켓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제 2 슬리브는 제 2 전기 소켓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충전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들은 열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들은 오버 몰딩 공정 또는 압입 조립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대응 전기 소켓들에 결합되는 충전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2 파트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PCBA)를 더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2 파트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PCBA)는 상기 전기 소켓들의 상부에 위치된 제 1 파트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 파트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PCBA)는 리지드-플렉스 구조를 통해 상기 제 1 파트에 연결된 제 2 파트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기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켓에 결합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8. 전기 차량의 충전 커넥터를 위한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충전 케이블로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상기 제 1 단부는 파워 서플라이에 결합된, 상기 충전 케이블;
    상기 제 2 단부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에 결합된 충전 커넥터로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 입구에 대응하는 폼 팩터를 갖고, 상기 충전 커넥터는,
    슬리브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전기 소켓들을 둘러싸는 매니폴드 어셈블리로서,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는 그 사이에 중공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및
    입구 도관 및 출구 도관으로서, 냉각 유체가 상기 충전 커넥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 도관 및 상기 출구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상기 입구 도관 및 상기 출구 도관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입구 도관을 통해 유입하고 하나 이상의 스트림으로 분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트림은, 상기 슬리브들 주위로 유동하고 나서, 상기 출구 도관 밖으로 유동하기 위해 상류에서 함께 통합되고,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매니폴드 어셈블리 내부에서 상기 입구 도관으로 다시 재순환되는,
    상기 충전 커넥터; 및
    상기 충전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핸들 하우징으로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핸들 하우징의 일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 1 전기 소켓 및 상기 제 2 전기 소켓이 상기 핸들 하우징의 타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충전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핸들 하우징
    을 포함하는 핸들 어셈블리.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기 소켓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소켓에 결합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핸들 어셈블리.
KR1020237001031A 2018-03-22 2019-03-19 수냉식 충전 커넥터 KR102606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28,307 US11084390B2 (en) 2018-03-22 2018-03-22 Liquid-cooled charging connector
US15/928,307 2018-03-22
KR1020207029771A KR102488784B1 (ko) 2018-03-22 2019-03-19 수냉식 충전 커넥터
PCT/IB2019/052239 WO2019180622A1 (en) 2018-03-22 2019-03-19 Liquid-cooled charging conn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771A Division KR102488784B1 (ko) 2018-03-22 2019-03-19 수냉식 충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846A KR20230010846A (ko) 2023-01-19
KR102606474B1 true KR102606474B1 (ko) 2023-11-30

Family

ID=663973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771A KR102488784B1 (ko) 2018-03-22 2019-03-19 수냉식 충전 커넥터
KR1020237001031A KR102606474B1 (ko) 2018-03-22 2019-03-19 수냉식 충전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771A KR102488784B1 (ko) 2018-03-22 2019-03-19 수냉식 충전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084390B2 (ko)
EP (2) EP3768546B1 (ko)
JP (1) JP7049477B2 (ko)
KR (2) KR102488784B1 (ko)
CN (2) CN117021990A (ko)
ES (1) ES2943262T3 (ko)
FI (1) FI3768546T3 (ko)
PT (1) PT3768546T (ko)
WO (1) WO2019180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7011A1 (de) * 2016-09-09 2018-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ktrisch leitfähiges Kontaktelement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GB201801455D0 (en) * 2018-01-30 2018-03-14 Cejn Ab Multicoupling with control means
DE102018102207A1 (de) * 2018-02-01 2019-08-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ladekabel
DE102018215875A1 (de) * 2018-09-18 2020-03-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strangeinrichtung für eine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JP7103135B2 (ja) * 2018-10-04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装置
KR102575157B1 (ko) * 2018-10-23 202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을 위한 커넥팅 시스템
CH715611B1 (de) * 2018-12-05 2022-05-13 BRUGG eConnect AG Anschlusselement zum elektrischen Anschliessen einer fluidkühlbaren Einzelleitung, fluidkühlbare Einzelleitungseinheit und Ladekabel.
US10988041B2 (en) * 2019-03-27 2021-04-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ble heat exchanger for a power connector
US11469531B2 (en) 2019-07-19 2022-10-11 Yazaki North America, Inc. Liquid-cooled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KR102428044B1 (ko) * 2019-11-06 2022-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용 케이블 어셈블리
CN111002860A (zh) * 2019-12-18 2020-04-14 重庆国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大功率充电桩温度智能监控系统
CN110994229B (zh) * 2020-01-08 2021-04-06 山东银浦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散热充电枪
DE102020128791A1 (de) * 2020-11-02 2022-05-0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ühlfluidleitgehäuse sowie elektrisches Verbindersystem mit einem Kühlfluidleitgehäuse
US11951857B2 (en) * 2020-11-04 2024-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quid cooled electrical connectors
WO2022216822A1 (en) * 2021-04-08 2022-10-13 Tesla, Inc. Charging system with cooling system
CN113085608A (zh) * 2021-04-30 2021-07-09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散热效果好的端子的液冷结构
CN113147454A (zh) * 2021-04-30 2021-07-23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全覆盖型端子的液冷结构
EP4112366A1 (en) * 2021-06-30 2023-01-04 ABB E-mobility B.V. Charging connector for an electric vehicle
CN114590145B (zh) * 2022-03-31 2023-11-14 深圳市道通合创数字能源有限公司 电连接器、充电桩及充电系统
DE102022109244A1 (de) * 2022-04-14 2023-10-19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Steckver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44558A1 (en) 2015-11-19 2017-05-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ctric line arrangement
WO2017162494A1 (de) * 2016-03-22 2017-09-28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m gekühlten kontaktelement
WO2018046994A1 (de) * 2016-09-09 2018-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ktrisch leifähiges kontaktelement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426B2 (ja) * 1993-10-19 2002-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用充電器の冷却構造
US5670860A (en) * 1995-06-06 1997-09-23 Hughes Electronics High power, high frequency, liquid-cooled transmission cable and charging system
EP0982832A3 (en) * 1996-08-07 2000-08-0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3943912B (zh) * 2008-11-12 2018-02-27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具有热交换器的电池系统
US9287646B2 (en) * 2010-10-14 2016-03-15 Gregory thomas mark Actively cooled electrical connection
EP2765677B1 (en) * 2011-10-04 2018-09-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rge control apparatus and charge control method
US9586497B2 (en) * 2013-08-22 2017-03-07 Lightening Energy Electric vehicle recharging station including a battery bank
US9321362B2 (en) 2014-02-05 2016-04-26 Tesia Motors, Inc. Cooling of charging cable
US9643510B2 (en) * 2014-11-25 2017-05-09 Atieva, Inc. Battery pack charging protocol selection system
US10377264B2 (en) * 2015-01-30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ductive charge port having cooling infrastructure
EP3411883B1 (en) 2016-02-01 2023-08-23 Huber+Suhner AG Cable assembly
DE102016105311A1 (de) * 2016-03-22 2017-09-28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m gekühlten Kontaktelement
DE102016204895B4 (de) * 2016-03-23 2020-11-12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Ladestecker mit einem Leistungskontaktsystem und Ladestation zur Abgabe elektrischer Energie an einen Empfänger elektrischer Energie
JP3223818U (ja) * 2016-05-20 2019-11-07 サウスワイヤ・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液体冷却式充電ケーブルシステム
DE102016209607A1 (de) 2016-06-01 2017-12-07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Ladekabel zur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Ladestecker und Ladestation zur Abgabe elektrischer Energie an einen Empfänger elektrischer Energie
DE102016117261B3 (de) * 2016-09-14 2017-11-30 HARTING Automotive GmbH System aus einem Steckverbinder, einem fluidgekühlten Kabel und einer Anschlusseinheit
CN106347166B (zh) * 2016-11-22 2018-09-18 飞洲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的整体冷却充电装置
CN107425323B (zh) * 2017-08-28 2022-07-05 深圳市沃尔新能源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接母端子及应用该母端子的充电枪、充电枪用插座
DE102017125265A1 (de) * 2017-10-27 2019-05-02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Ladestecker und Ladestation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44558A1 (en) 2015-11-19 2017-05-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ctric line arrangement
WO2017162494A1 (de) * 2016-03-22 2017-09-28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m gekühlten kontaktelement
WO2018046994A1 (de) * 2016-09-09 2018-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ktrisch leifähiges kontaktelement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1588A1 (en) 2019-09-26
CN111936347B (zh) 2023-09-22
EP4147902A1 (en) 2023-03-15
PT3768546T (pt) 2023-04-24
EP3768546B1 (en) 2023-03-15
FI3768546T3 (fi) 2023-06-06
EP3768546A1 (en) 2021-01-27
CN111936347A (zh) 2020-11-13
CN117021990A (zh) 2023-11-10
ES2943262T3 (es) 2023-06-12
JP2021517716A (ja) 2021-07-26
KR102488784B1 (ko) 2023-01-18
KR20230010846A (ko) 2023-01-19
US20220037821A1 (en) 2022-02-03
KR20200130733A (ko) 2020-11-19
WO2019180622A1 (en) 2019-09-26
JP7049477B2 (ja) 2022-04-06
US11084390B2 (en)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474B1 (ko) 수냉식 충전 커넥터
US10003112B1 (en) Battery backplane assembly with integrated bus bar connections and thermal management features
US9701210B2 (en) Cooling of charging cable
US7813128B2 (en) Method for cooling a static electronic power converter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US1138759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odular cooling features
KR101853106B1 (ko) 액체 냉각식 전자 모듈들 및 액체 냉각식 전자 모듈들을 교체하기 위한 방법들
WO2017143295A1 (en) Charge connector with liquid cooling
JP7235458B2 (ja) 電気接続デバイスおよびその冷却
US20070107962A1 (en) Cool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drive which comprises two motors
US11919411B2 (en) Leak detection in a cable assembly
US20240123850A1 (en) Charging Connector for an Electric Vehicle
JP2021535546A (ja) 方法および装置
US20230299512A1 (en) Hybrid electric charging in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