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292B1 - 의복 밀착형 턱받이 - Google Patents

의복 밀착형 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292B1
KR102606292B1 KR1020230037166A KR20230037166A KR102606292B1 KR 102606292 B1 KR102606292 B1 KR 102606292B1 KR 1020230037166 A KR1020230037166 A KR 1020230037166A KR 20230037166 A KR20230037166 A KR 20230037166A KR 102606292 B1 KR102606292 B1 KR 10260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outer shell
coupled
shell
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양
Original Assignee
조수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양 filed Critical 조수양
Priority to KR102023003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밀착형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의복 외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의 상부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목을 따라 상기 의복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내피; 및 상기 외피 또는 내피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고, 착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양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세안이나 미용 시 의복의 외면은 물론, 목 안으로 유입되는 물이나 미용액으부터 신체나 의복이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복 밀착형 턱받이{BIB}
본 발명은 의복 밀착형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안을 하거나 미용 시 물이나 미용액이 흘러 신체나 의복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복 밀착형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을 할 때 물이 튀거나, 물이 목을 따라 몸 안으로 흘러 신체 또는 의복이 젖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안을 하기 위해 고개를 숙일 경우 의복이 자중에 의해 신체와 떨어져 세면대에 닿아 젖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턱받이가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턱받이는 목 안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의복 안쪽이 젖어 오염되는 문제점과, 고개를 숙일 경우 턱받이가 자중에 의해 세면대 안으로 들어가 물에 젖어 오염되고, 다시 고개를 들 경우 젖거나 오염된 턱받이가 의복에 닿아 턱받이에 의해 의복이 젖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는 세안뿐만 아니라, 미용 시 미용액이 목을 따라 흘러 몸 안으로 흐르거나, 각질과 같은 노폐물이 목 아래로 떨어지거나 흘러 신체 또는 의복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02073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34310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469155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4377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세안 시 물이 튀어 의복이 젖거나, 얼굴에서 목을 따라 몸 안으로 들어가 신체 또는 의복이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안 시 고개를 숙일 경우 의복 또는 턱받이가 세면대에 닿아 젖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착용자가 미용 시 미용액이나 각질과 같은 노폐물이 의복에 떨어지거나, 목을 따라 흘러 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는, 착용자의 의복 외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의 상부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목을 따라 상기 의복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내피; 및 상기 외피 또는 내피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고, 착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양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착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피 및 내피에는 자성체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의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자성 결합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외피 및 내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피 및 내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자성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 밀착형 턱받이에 따르면, 외피와 외피의 상단에 결합된 내피로 형성되어 외피가 의복 외측에 배치되고 내피가 의복 안으로 삽입되어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세안이나 미용 시 의복의 외면은 물론, 목 안으로 유입되는 물이나 미용액으부터 신체나 의복이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의복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와 의복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가 의복을 사이에 두고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의복에 고정됨으로써, 세안 시 고개를 숙일 경우 외피가 외복과 이격되어 세면대에 닿아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복 밀착형 턱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는 세안이나 미용 시 의복이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100)는 외피(110), 내피(120) 및 착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110)는 물이나 미용액으로부터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의복의 외측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외피(110)는 방수 또는 흡수 가능한 면, 고무 및 합성수지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외피(110)는 의복의 외측 전면부를 모두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외피(110)는 착용자의 연령 또는 신체에 따라 면적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110)의 테두리에는 제1 자성체(111)가 결합된다.
상기 제1 자성체(111)는 상기 외피(110)의 테두리 전역에 결합되거나, 일정 간격을 따라 복수로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자성체(111)는 상기 외피(110)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110)의 테두리에는 테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제1 공간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간부(112)에는 상기 제1 자성체(11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피(110)의 전방 하단에는 흘러 내리는 물이나 미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포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피(120)는 상기 외피(110)와 같이 물이나 미용액으로부터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피(110)와 포개지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외피(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내피(120)는 상기 외피(110)와 동일한 재질로 방수 또는 흡수 가능한 면, 고무 및 합성수지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내피(120)는 상기 외피(1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피(120)는 상기 외피(110)와 다르게 의복의 목 부분을 통해 물이나 미용액이 의복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외피(110)와 자성 결합되어 의복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피(110)보다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피(12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1 자성체(111)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2 자성체(121)가 결합된다.
상기 제2 자성체(121)는 상기 제1 자성체(111)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피(120)의 테두리 전역에 결합되거나, 일정 간격을 따라 복수로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자성체(121)는 상기 제1 자성체(111)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피(120)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피(120)의 테두리에는 테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제2 공간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간부(122)에는 상기 제2 자성체(1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착용부(130)는 상기 외피(110) 및 내피(120)를 착용자의 목에 착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피(110) 또는 내피(1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된다.
상기 착용부(130)는 착용자의 머리를 통해 목에 걸려 고정되도록 링 령상으로 형성되거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양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착용부(130)는 양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별도의 고정수단(131)에 의해 탈부착된다.
예컨대, 상기 고정수단(131)은 단추, 스냅단추, 클립 및 벨크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자성체(111) 및 제2 자성체(121)는 각각 자석으로 형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가 자석, 나머지가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성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 밀착형 턱받이(200)는 외피(210), 내피(220) 및 착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210)는 물이나 미용액으로부터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의복의 외측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외피(210)는 방수 또는 흡수 가능한 면, 고무 및 합성수지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외피(210)는 의복의 외측 전면부를 모두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외피(210)는 착용자의 연령 또는 신체에 따라 면적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210)의 테두리에는 테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제1 공간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간부(212)의 후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도록 제1 개구부(2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간부(2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프레임부(213)가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213)는 상기 제1 개구부(212a)와 마주보는 위치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213)는 상기 외피(210)의 유연함과 대응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프레임부(213)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자성체(211)가 결합된다.
상기 제1 자성체(211)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자성체(211)에는 후방에 안착공(211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211a)의 일단부에는 커버(211b)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211a)에는 자성 결합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된 바늘부(211d)가 결합된다.
상기 바늘부(211d)는 의복을 관통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바늘과 같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바늘부(211d)의 타단부는 착용자의 신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늘부(211d)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자성체(211)와 연결되도록 와이어(211c)가 결합된다.
상기 바늘부(211d)는 금속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성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211)의 안착공(211a)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바늘부(211d)는 상기 안착공(211a)에 안착 시 뾰족한 일단부가 상기 커버(211b) 내에 인입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늘부(211d)는 상기 안착공(21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출 시 상기 제1 개구부(212a)를 통해 상기 외피(210)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외피(210)의 전방 하단에는 흘러 내리는 물이나 미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포켓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피(220)는 상기 외피(210)와 같이 물이나 미용액으로부터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피(210)와 포개지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외피(2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내피(220)는 상기 외피(210)와 동일한 재질로 방수 또는 흡수 가능한 면, 고무 및 합성수지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내피(220)는 상기 외피(2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피(220)는 상기 외피(210)와 다르게 의복의 목 부분을 통해 물이나 미용액이 의복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외피(210)와 자성 결합되어 의복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피(210)보다 같거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피(220)의 테두리에는 테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제2 공간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간부(222)의 전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도록 제2 개구부(222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간부(22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프레임부(223)가 결합된다.
상기 제2 프레임부(223)는 상기 내피의 유연함과 대응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프레임부(223)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 자성체(221)가 결합된다.
상기 제2 자성체(221)는 상기 제1 자성체(211)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자성체(221)의 전방에는 상기 바늘부(211d)의 일단부가 자성에 의해 결합 및 삽입되도록 인입공(221a)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공(221a)은 상기 제2 개구부(222a)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자성체(211) 및 제2 자성체(221)는 상기 의복을 사이에 두고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의복이 두꺼워 서로 자성에 의해 결합되지 않을 시 상기 바늘부(211d)를 분리 후 상기 의복을 관통시켜 상기 제2 자성체(221)에 인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착용부(230)는 상기 외피(210) 및 내피(220)를 착용자의 목에 착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피(210) 또는 내피(2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된다.
상기 착용부(230)는 착용자의 머리를 통해 목에 걸려 고정되도록 링 령상으로 형성되거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양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착용부(230)는 양측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별도의 고정수단(231)에 의해 탈부착된다.
예컨대, 상기 고정수단(231)은 단추나 벨크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복 밀착형 턱받이에 따르면, 외피와 외피의 상단에 결합된 내피로 형성되어 외피가 의복 외측에 배치되고 내피가 의복 안으로 삽입되어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세안이나 미용 시 의복의 외면은 물론, 목 안으로 유입되는 물이나 미용액으부터 신체나 의복이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의복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와 의복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가 의복을 사이에 두고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의복에 고정됨으로써, 세안 시 고개를 숙일 경우 외피가 외복과 이격되어 세면대에 닿아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턱받이 110: 외피
111: 제1 자성체 112: 제1 공간부
120: 내피 121: 제2 자성체
122: 제2 공간부 130: 착용부
131: 고정수단

Claims (4)

  1. 착용자의 의복 외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의 상부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목을 따라 상기 의복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내피; 및
    상기 외피 또는 내피의 상부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에는 자성체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의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자성 결합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외피 및 내피의 각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밀착형 턱받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및 내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자성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밀착형 턱받이.
KR1020230037166A 2023-03-22 2023-03-22 의복 밀착형 턱받이 KR10260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166A KR102606292B1 (ko) 2023-03-22 2023-03-22 의복 밀착형 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166A KR102606292B1 (ko) 2023-03-22 2023-03-22 의복 밀착형 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292B1 true KR102606292B1 (ko) 2023-11-24

Family

ID=8897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7166A KR102606292B1 (ko) 2023-03-22 2023-03-22 의복 밀착형 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2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782A (ja) * 2003-02-12 2004-09-02 Sayuri Hosoya よだれかけ
KR20130003119U (ko) * 2011-11-17 2013-05-27 이형동 다중 턱받이
KR101343101B1 (ko) 2012-11-28 2013-12-23 김제룡 일회용 턱받이
KR102020735B1 (ko) 2018-09-10 2019-09-10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유아용 턱받이
KR102437793B1 (ko) 2022-02-03 2022-08-29 이승재 턱받이
KR102469155B1 (ko) 2021-02-26 2022-11-22 주식회사 뉴베슬 유아용 턱받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782A (ja) * 2003-02-12 2004-09-02 Sayuri Hosoya よだれかけ
KR20130003119U (ko) * 2011-11-17 2013-05-27 이형동 다중 턱받이
KR101343101B1 (ko) 2012-11-28 2013-12-23 김제룡 일회용 턱받이
KR102020735B1 (ko) 2018-09-10 2019-09-10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유아용 턱받이
KR102469155B1 (ko) 2021-02-26 2022-11-22 주식회사 뉴베슬 유아용 턱받이
KR102437793B1 (ko) 2022-02-03 2022-08-29 이승재 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289A (en) Baby bib
US2851690A (en) Shampoo garment
US20170007007A1 (en) Hairdressing cape and fastening
KR102058424B1 (ko)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KR102606292B1 (ko) 의복 밀착형 턱받이
KR20170017211A (ko) 환자복
JP2018016895A (ja) 衣類
JP6345730B2 (ja) 作業用フード
KR200485084Y1 (ko) 턱받이
JP5584482B2 (ja) シールド付き防塵フード
KR101040863B1 (ko) 머리 세척용 얼굴 커버
JPH09228112A (ja) スキ−パンツ
CN212754338U (zh) 医用防护服
JP5891568B2 (ja) 襟ガード付き理美容用クロス
KR102240586B1 (ko) 애완동물용 다용도 앞치마
KR200485492Y1 (ko) 유아용 턱받이
KR20130084647A (ko) 탈의와 착의가 간편한 런닝셔츠
CN209546984U (zh) 一种畜牧兽医用防护服
JP2006241635A (ja) 日焼け防止用アームカバー
KR200485519Y1 (ko) 지퍼를 구비한 수영복
KR200316035Y1 (ko) 안면 가리개
KR102444440B1 (ko) 수건
CN210445783U (zh) 一种便于清洗后进行分科的护士服
JP3204308U (ja) 理美容用クロス
CN105595596A (zh) 一种多功能剪发围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