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161B1 -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비-역구동형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비-역구동형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161B1
KR102606161B1 KR1020217031668A KR20217031668A KR102606161B1 KR 102606161 B1 KR102606161 B1 KR 102606161B1 KR 1020217031668 A KR1020217031668 A KR 1020217031668A KR 20217031668 A KR20217031668 A KR 20217031668A KR 102606161 B1 KR102606161 B1 KR 10260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g
actuator
output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556A (ko
Inventor
브랜던 알. 린드버그
앤서니 제이. 포비넬리
마틴 알. 매튜스
야오 왕
Original Assignee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filed Critical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13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 F16D43/2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with intermediate balls or rollers
    • F16D43/208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with intermediate balls or rollers moving rad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0Couplings with means for vary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f two coaxial shafts dur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7/00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 F16D47/02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of which at least one is a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 F16D7/021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with radially applied torque-limiting friction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 F16D7/02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with a helical band or equivalent member co-operating with a cylindrical torque limiting coupl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4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01Auxiliary mechanisms for automatic or self-acting brake operation
    • F16D2127/004Auxiliary mechanisms for automatic or self-acting brake operation direction-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차량의 능동적인 공기역학을 위해서 이용되는 작동기와 같은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모듈은 정지부 모드 및 클러치 모드 모두를 갖는다. 정지부 모드 중에, 역구동력은 록킹 베어링 부재를 이용하여 작동기로부터 전환된다. 힘이 너무 큰 경우에, 클러치 모드는 역구동력을 작동기에 연결된 샤프트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것이고, 그에 의해서 작동기의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비-역구동형 클러치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능동적인 공기역학을 위해서 이용되는 작동기와 같은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입력 구동부로부터 출력 구동부로 인가되는 토크를 전달할 수 있으나 출력 구동부로부터 역으로 입력 구동부로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 장치를 설계한다.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 큰 토크 입력의 경우에, 출력 구동부는 또한 입력 구동부로부터 자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장치는 또한 출력 샤프트 진동 및 충격 부하를 장치 구조물에 그리고 입력 구동부를 통하지 않고 전달하여, 작동기를 보호하여야 한다. 충격 중에, 출력 샤프트는 분리될 수 있고, 부하가 제거되면, 장치는 기계적 해결책을 통해서 지정된 위치로 복귀되어야 하고 전기적 위치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에 관한 것이다. 비-역구동형 모듈은 내측 표면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 외부의 작동기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내에는, 공동을 형성하는 내측 표면이 있다.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을 갖는 입력 샤프트 코그(input shaft cog)가 하우징의 공동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샤프트 부분은 하우징 외부의 작동기에 연결된다. 입력 샤프트 코그는 또한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그 부분을 갖는다. 코그 부분은,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bearing recess)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의 각각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코그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치형부(teeth) 중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3 측면은 하우징의 내측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모듈은 또한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을 가지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를 가지며, 샤프트 부분은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에 연결된다.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또한, 하우징의 공동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을 갖는다.
모듈은 입력 샤프트 코그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사이에서 클러치 코그를 더 포함한다. 클러치 코그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의 클러치 코그 부분에 대한 탄성 연결 및 멈춤쇠 연결(detent connection) 모두를 갖는다. 클러치 코그는 정지부 모드를 가지며, 그러한 정지부 모드에서 클러치 코그는 클러치 코그와 하우징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에 작용하고, 클러치 코그가 입력 샤프트 코그를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클러치 코그를 록킹한다(lock). 클러치 코그는 또한, 클러치 코그를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는 클러치 모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적용 가능 분야가 이하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구체적인 설명 및 구체적인 예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의 분해 등각 상면도이다.
도 2는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의 제2의 분해 등각 상면도이다.
도 3은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의 횡단면적인 측면 등각도이다.
도 4는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의 횡단면적인 측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코그의 측면 등각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된 스프링 요소를 갖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의 측면 등각도이다.
도 7은 장치의 작동기에 연결된 클러치 코그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작동기 또는 장치에 연결된 클러치 코그의 상부 평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관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 그 적용, 또는 이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또는 모듈(10)에 관한 것이다. 모듈(10)은, 하우징을 모듈(10)의 구성요소 외부의 양-방향 작동기(13)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14, 14')를 각각 가지는 본체 단편(12) 및 커버 단편(11)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모듈(10)이 작동기(13)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모듈이 작동기(13) 내로 통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체 단편(12)은, 모듈(10)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분들을 포함하기 위한 공동(18)을 형성하는 내측 표면(16)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의 외부로 연장되고 하우징(12) 외부의 작동기(13)에 연결되는 샤프트 부분(22)을 갖는 입력 샤프트 코그(20)가 하우징(12)의 공동(18)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입력 샤프트 코그(20)는 또한 하우징(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그 부분(24)을 갖는다. 코그 부분(24)은, 제1 측면(34a 내지 34d), 제2 측면(36a 내지 36d), 제3 측면(38) 및 제4 측면(40a, 40b)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26, 28),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30, 32)를 포함한다.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26, 28)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30, 32)의 각각의 제1 측면(34a 내지 34d) 및 제2 측면(36a 내지 36d)은, 코그 부분(24)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치형부(42, 42', 42'', 42''') 중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3 측면(38)은 하우징(12)의 내측 표면(16)에 의해서 형성된다.
모듈(10)은 또한, 하우징(12)의 외부로 연장되고 작동기(13)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45)에 연결되는 샤프트(46) 부분을 가지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를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되는 장치(45)는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시스템이고, 더 구체적으로 공기 댐 및 샤프트(46)가, 링키지에 연결되고 이어서 편향부(49)를 전개 위치와 미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토크 전달 관(43)에 연결된다. 장치(45)가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시스템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모듈(10)은 역구동력으로부터의 손상이 염려되는 임의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장치의 예에는, 이동 가능 스포일러 작동기, 능동 에어댐 작동기, 능동 타이어 스패트 작동기(active tire spat actuator), 능동 D-필러 작동기, 리프트게이트 작동기, 사이드 뷰 미러 작동기, 창 작동기, 수납 가능한 런닝 보드 작동기, 슬라이딩 도어 작동기 및 시트 작동기가 포함된다.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는 또한, 하우징(12)의 공동(18)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48)을 갖는다.
모듈(10)은 입력 샤프트 코그(20)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 코그(50)를 더 포함한다. 클러치 코그(50)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의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48)과의 탄성 연결(52) 및 멈춤쇠 연결 모두를 갖는다. 탄성 연결(52)은,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48) 내의 슬롯(60)에 연결되는 제1 단부(58) 및 클러치 코그(50) 내의 홀(64)에 연결되는 제2 단부(62)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되는 스프링의 유형은 특정 적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재의 실시형태에서,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파동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멈춤쇠 연결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의 클러치 코그(50) 수용 부분(48)의 표면에 형성된 멈춤쇠 리세스(68)와 결합되는 클러치 코그(50) 상의 멈춤쇠 돌출부(66)에 의해서 제공된다. 클러치 코그(50)는 또한 클러치 코그(50)의 복수의 치형부(70, 70')를 포함한다. 복수의 치형부(70, 70')의 각각의 하나는, 입력 샤프트 코그(20)의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30, 32) 중 하나와 짝을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입력 샤프트 코그(20)가 샤프트 부분(22)을 통해서 작동기로부터의 토크에 응답하여 회전될 때, 입력 샤프트 코그(20)의 복수의 치형부(42, 42', 42'', 42''')는 복수의 치형부(70, 70')를 누를 것이고, 그에 따라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할 것이다.
클러치 코그(50)의 복수의 편평한 표면(72, 72')은 또한,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26, 28)의 각각의 하나의 제4 측면(40a, 40b)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편평한 표면(72, 72')을 갖는다. 베어링(74, 74')이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26, 28)의 각각의 하나 내에 배치된다. 도면은 볼 베어링을 도시하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베어링(74, 74')은 원통형 롤러 베어링, 원뿔형 베어링 또는 이중 단부 테이퍼링형 베어링과 같은 다른 유형의 베어링일 수 있다.
모듈(10)은 정지부 모드 및 클러치 모드를 갖는다. 정지부 모드는, 제1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에 인가될 때, 발생된다. 클러치 코그(50)는, 역구동력이 입력 샤프트 코그(20)를 통해서 작동기에 전달되는 것을 중단한다. 이러한 것은, 클러치형 코그(50)를 회전시키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발생되고, 그에 따라 클러치 코그(50)의 복수의 치형부(70, 70')가 멀리 회전되어 입력 샤프트 코그(20)의 복수의 치형부(42, 42', 42'', 42''')를 분리한다. 이러한 회전 이동 중에, 각각의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26, 28)의 제4 벽(40a, 40b)을 형성하는 복수의 편평한 표면(72, 72')이 각각의 베어링 정지 리세스(26, 28) 내의 베어링(74, 74')에 대해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26, 28) 내의 각각의 베어링(74, 74')은 제4 벽(40a, 40b)과 하우징(12)의 내측 표면(16)인 제3 벽(38) 사이에서 록킹되고, 그에 의해서 역구동력이 입력 샤프트 코그(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역구동력은 입력 샤프트 코그(20)로부터 하우징(12)으로 전환되고, 이는 작동기가 역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를 정지시키거나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입력 샤프트 코그(20) 및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는, 토크가 입력 샤프트 코그(20)로부터 인가될 때 마찰 록킹을 가능하게 하는 기하형태를 갖는다. 마찰력이 출력 샤프트 코그와 베어링 사이에서 발생되고, 그러한 베어링은, 하우징의 내측 표면 또는 외부 레이스 벽(outer race wall)에 대해서 록킹되는 실린더, 구체, 원뿔형 롤러, 스프로켓 또는 다른 적합한 요소일 수 있다. 마찰력이, 인가된 토크에 의해서 유발되는 회전 중에 생성되는 각도에 의해서 생성된 출력 샤프트 코그 사이의 수직 항력과 동일하게 되면, 시스템은 역구동될 수 없다. 입력 샤프트 코그 상의 기하형태는, 실린더가 외부 레이스에서 그러한 마찰력을 생성할 수 없게 하고, 그에 따라 토크를 출력 샤프트에 전달한다. 다양한 형상 및 스프링을 이용하여 성능을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스템의 자유 유격 또는 백래시(backlash)를 제한할 수 있거나 다양한 기능의 결합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44)에 작용하는 제1 역구동력보다 큰 제2 구동력이 너무 큰 경우에, 모듈(10)은 클러치 모드를 갖는다. 클러치 모드는, 제2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탄성 연결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 발생될 것이다.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멈춤쇠 연결을 분리시킬 것이고,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탄성 연결의 힘에 대항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것이고, 제2 역구동력의 중단 시에, 탄성 연결은 멈춤쇠 연결이 재결합되게 한다.
발명에 관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그에 따라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그러한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이며:
    공동을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외부 작동기에 연결된 샤프트 부분 및 하우징의 공동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그 부분을 갖는 입력 샤프트 코그로서, 코그 부분은,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를 포함하고,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각각은 코그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3 측면은 하우징의 공동의 내측 표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입력 샤프트 코그;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을 통해서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에 연결되는 샤프트 부분, 및 하우징의 공동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을 가지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 코그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사이의 클러치 코그로서,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대한 탄성 연결 및 멈춤쇠 연결 모두를 가지는, 클러치 코그;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의 각각의 하나의 제4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클러치 코그의 복수의 편평한 표면;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의 각각의 하나 내에 배치된 베어링;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의 정지부 모드로서, 제1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인가될 때, 클러치 코그는, 각각의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의 제4 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편평한 표면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입력 샤프트 코그를 통해서 역구동력을 작동기에 전달하는 것을 중단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내의 각각의 베어링은 제4 벽과 하우징의 내측 표면인 제3 벽 사이에서 록킹되고, 그에 의해서 역구동력이 입력 샤프트 코그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 모드; 및
    클러치 모드로서, 제2 역구동력이 제1 역구동력보다 크고 제2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탄성 연결을 극복할 수 있을 때,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멈춤쇠 연결을 분리시킬 것이고,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탄성 연결의 힘에 대항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것이고, 제2 역구동력의 중단 시에, 탄성 연결은 멈춤쇠 연결이 재결합되게 하는, 클러치 모드;
    를 포함하는,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코그의 복수의 치형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치형부의 각각의 하나는, 입력 샤프트 코그의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 중 하나와 짝을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가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또는 원뿔형 베어링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연결은, 클러치 코그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연결은, 파동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는 이동 가능 스포일러 작동기, 능동 에어댐 작동기, 능동 타이어 스패트 작동기, 능동 D-필러 작동기, 리프트게이트 작동기, 사이드 뷰 미러 작동기, 창 작동기, 수납 가능한 런닝 보드 작동기, 슬라이딩 도어 작동기 및 시트 작동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7.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이며:
    내측 표면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하우징 외부의 작동기에 연결된 샤프트 부분 및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그 부분의 샤프트 부분에 연결되는 코그 부분을 갖는 입력 샤프트 코그로서, 코그 부분은,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의 각각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코그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3 측면은 하우징의 내측 표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입력 샤프트 코그;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을 통해서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에 연결되는 샤프트 부분, 및 하우징의 공동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을 가지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및
    입력 샤프트 코그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사이의 클러치 코그로서, 클러치 코그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의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에 대한 탄성 연결 및 멈춤쇠 연결 모두를 가지고, 클러치 코그는, 클러치 코그를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는 클러치 모드, 및 클러치 코그가 클러치 코그와 하우징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에 작용하고 클러치 코그를 록킹하여 클러치 코그가 입력 샤프트 코그를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 모드를 가지는, 클러치 코그를 포함하는,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가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또는 원뿔형 베어링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탄성 연결은, 클러치 코그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탄성 연결은, 파동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정지부 모드는 제1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인가될 때 발생하고, 클러치 모드는, 제2 역구동력이 제1 역구동력보다 크고 제2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탄성 연결을 극복할 수 있을 때,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멈춤쇠 연결을 분리시키는 것, 그리고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가 탄성 연결의 힘에 대항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제2 역구동력의 중단 시에, 탄성 연결은 멈춤쇠 연결이 재결합되게 하는,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는 이동 가능 스포일러 작동기, 능동 에어댐 작동기, 능동 타이어 스패트 작동기, 능동 D-필러 작동기, 리프트게이트 작동기, 사이드 뷰 미러 작동기, 창 작동기, 수납 가능한 런닝 보드 작동기, 슬라이딩 도어 작동기 및 시트 작동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3. 양-방향 작동기를 위한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이며:
    공동을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외부 작동기에 연결된 샤프트 부분 및 하우징의 공동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코그 부분을 갖는 입력 샤프트 코그로서, 코그 부분은,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및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를 포함하고,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의 각각은 코그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치형부 중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3 측면은 하우징의 공동의 내측 표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입력 샤프트 코그;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고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을 통해서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에 연결되는 샤프트 부분, 및 하우징의 공동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러치 코그 수용 부분을 가지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입력 샤프트 코그와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 사이의 클러치 코그로서,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대한 탄성 연결 및 멈춤쇠 연결 모두를 가지는, 클러치 코그;
    클러치 코그의 복수의 치형부로서, 복수의 치형부의 각각의 하나는, 입력 샤프트 코그의 복수의 구동부 리세스 중 하나와 짝을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치형부;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의 각각의 하나의 제4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클러치 코그의 복수의 편평한 표면;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의 각각의 하나 내에 배치된 베어링;
    정지부 모드로서, 정지부 모드에서, 제1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인가될 때, 클러치 코그는, 각각의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의 제4 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편평한 표면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입력 샤프트 코그를 통해서 역구동력을 작동기에 전달하는 것을 중단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베어링 리세스 내의 각각의 베어링은 제4 벽과 하우징의 내측 표면인 제3 벽 사이에서 록킹되고, 그에 의해서 역구동력이 입력 샤프트 코그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 모드; 및
    클러치 모드로서, 클러치 모드에서, 제2 역구동력이 제1 역구동력보다 크고 제2 역구동력이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탄성 연결을 극복할 수 있을 때,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와 클러치 코그 사이의 멈춤쇠 연결을 분리시킬 것이고,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는 탄성 연결의 힘에 대항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것이고, 제2 역구동력의 중단 시에, 탄성 연결은 멈춤쇠 연결이 재결합되게 하는, 클러치 모드를 포함하는,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가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또는 원뿔형 베어링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탄성 연결은, 클러치 코그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클러치형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6. 제13항에 있어서,
    탄성 연결은, 파동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장치는 이동 가능 스포일러 작동기, 능동 에어댐 작동기, 능동 타이어 스패트 작동기, 능동 D-필러 작동기, 리프트게이트 작동기, 사이드 뷰 미러 작동기, 창 작동기, 수납 가능한 런닝 보드 작동기, 슬라이딩 도어 작동기 및 시트 작동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비-역구동형의 클러치형 모듈.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7031668A 2019-03-07 2020-03-06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비-역구동형 클러치 장치 KR102606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5078P 2019-03-07 2019-03-07
US62/815,078 2019-03-07
PCT/US2020/021376 WO2020181185A1 (en) 2019-03-07 2020-03-06 Active aerodynamics non-backdriveable clutch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556A KR20210135556A (ko) 2021-11-15
KR102606161B1 true KR102606161B1 (ko) 2023-11-23

Family

ID=7000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668A KR102606161B1 (ko) 2019-03-07 2020-03-06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비-역구동형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24411B2 (ko)
EP (2) EP3918217B1 (ko)
JP (1) JP2022524036A (ko)
KR (1) KR102606161B1 (ko)
CN (1) CN113544397A (ko)
CA (1) CA3132380C (ko)
WO (1) WO2020181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1767A1 (en) * 2021-07-20 2023-01-26 Magna Exteriors Inc. Coaxial rotating automated stepping surface
US11945405B2 (en) 2021-11-15 2024-04-02 Winbo-Dongjian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Extendable and retractable vehicle ste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791A1 (en) 2007-10-25 2009-04-30 Lin Zhu Isolator decoupler
WO2016028196A1 (en) 2014-08-18 2016-02-25 Husqvarna Ab Vibration absorber and work equipment having the same
US20190010997A1 (en) 2017-07-08 2019-01-1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orque limi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061A (ja) * 1995-02-28 1996-09-10 Iwaya Co Ltd 軸回転操作装置
KR100490313B1 (ko) * 2003-07-12 2005-05-1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US7163097B2 (en) * 2004-02-26 2007-01-16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to prevent backdrive
CN101184932B (zh) * 2005-04-07 2010-05-19 卞东焕 防止反向输入的离合器轴承组件
CN107636339B (zh) * 2015-04-24 2019-08-27 麦格纳动力系有限公司 离合器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791A1 (en) 2007-10-25 2009-04-30 Lin Zhu Isolator decoupler
WO2016028196A1 (en) 2014-08-18 2016-02-25 Husqvarna Ab Vibration absorber and work equipment having the same
US20190010997A1 (en) 2017-07-08 2019-01-1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orque limi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44397A (zh) 2021-10-22
CA3132380A1 (en) 2020-09-10
KR20210135556A (ko) 2021-11-15
CA3132380C (en) 2024-01-02
EP3971435A1 (en) 2022-03-23
WO2020181185A1 (en) 2020-09-10
US20220136571A1 (en) 2022-05-05
JP2022524036A (ja) 2022-04-27
EP3918217B1 (en) 2023-07-05
US11624411B2 (en) 2023-04-11
WO2020181185A8 (en) 2021-09-10
EP3918217A1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161B1 (ko) 능동적인 공기역학적 비-역구동형 클러치 장치
US11499595B2 (en) Sealed actuator with internal clutching
US5284455A (en) Shaft coupling having multiple rib connectors
US10883300B2 (en) Drive assembly of a closure element assembly
US4852707A (en) Reversible self-locking clutch
US10625792B2 (en) Movable front spoiler device
EP1970598B1 (en) Feed screw mechanism
US8764205B2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US7353930B2 (en)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or brake assembly for transmissions
CN107701681B (zh) 包括依赖于负载的制动器的旋转式驱动装置
US3416386A (en) Threaded drive gear with abutment for screw shaft
US10683901B2 (en) Roller tailgate clutch
US6336373B1 (en) Rotary electromagnetic actuator
US7163097B2 (en)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to prevent backdrive
JP2007315512A (ja)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6525481A (ja) 電気モータの後方駆動を防止するためのクラッチ組立体
US7963560B2 (en) Pivoting device for a centrifugal traction assembly of a vehicle
CN108238122B (zh) 工程机械
US20200164805A1 (en) Drive mechanism and rear view device
CN114321208B (zh) 一种双向可控的离合器、动力总成及汽车
AU2021393852B2 (en) Vehicle differential locking device
KR20220039749A (ko) 전동 액추에이터
JPWO2020181185A5 (ko)
JP2024038974A (ja) 回転伝達装置、操舵装置、及び、輸送用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