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623B1 -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623B1
KR102605623B1 KR1020230079591A KR20230079591A KR102605623B1 KR 102605623 B1 KR102605623 B1 KR 102605623B1 KR 1020230079591 A KR1020230079591 A KR 1020230079591A KR 20230079591 A KR20230079591 A KR 20230079591A KR 102605623 B1 KR102605623 B1 KR 10260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plate
triangular fixing
support fram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연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디자인 filed Critical (주)동연디자인
Priority to KR102023007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각 연결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직각 연결된 한쌍의 가로프레임과 연결되어 직각도를 유지시키는 삼각고정판부; 및 상기 삼각고정판부를 지주프레임에 가압 결착시켜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삼각고정판부는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된 가로프레임을 함께 지주프레임에 가압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EASY-TO-ASSEMBLE FURNITURE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고정하기 앞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임시로 가결합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단일 결합수단으로 보다 편리하게 가구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 침대, 책장, 선반 등과 같은 가구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프레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프레임이 구비된다.
특히 침대 등과 같은 가구는, 편안하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안락하게 떠받히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틀' 형상의 가구프레임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구프레임의 내측에 매트리스 받침대 등이 구비되며, 사용용도 및 규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작된다.
통상 상기 가구프레임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주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가로프레임들이 직각 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가지게 형성된다.
종래의 침대에 사용되는 가구프레임들은 기능적인 부분에만 집중되어 있을 뿐 가구프레임의 분해 및 결합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구프레임을 분해 및 결합시 추가적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 침대에 사용되는 가구프레임의 결합방법은 크게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을 체결하고, 지주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서 브라켓을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방법은 많은 갯수의 너트와 볼트가 필요하고, 또한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을 체결할 때 상호 간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1인이 작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32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고정하기 앞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임시로 가결합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단일 결합수단으로 보다 편리하게 가구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부품이 간소하고, 1인 작업자가 가구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각 연결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에 직각 연결된 한쌍의 가로프레임과 연결되어 직각도를 유지시키는 삼각고정판부; 및 상기 삼각고정판부를 지주프레임에 가압 결착시켜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삼각고정판부는 결합수단을 통해 연결된 가로프레임을 함께 지주프레임에 가압 결착되고, 상기 가로프레임은 결합단 하부에 연장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연장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프레임은 상기 연장프레임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공과, 상기 거치공에 상향 돌출되어 연장프레임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삼각고정판부는 조립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후판과, 상기 후판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평 절곡되는 제1삼각고정판과, 제2삼각고정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삼각고정판의 꼭지점에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모서리 간섭을 피해 이동할 수 있는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양측에는 가로프레임에 가결합 상태에서 가로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편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각 가로프레임에는 상기 삼각고정판부에 형성된 가압편이 삽입되는 절개구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주프레임의 바깥면 모서리에 밀착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프레임을 거쳐 삼각고정판부의 후판으로 노출되는 장볼트와, 상기 삼각고정판부의 후판으로 노출된 장볼트에 체결되는 가압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지지블럭의 저면에는 후크 형태의 걸이구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에 따르면, 결합수단 없이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을 임시로 가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절개구에 삽입되는 가압편을 통해 가로프레임에 대해 삼각고정판부를 임시로 가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장볼트의 체결만으로,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가 동시 결착시켜 설치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이 간소하여 1인 작업자가 용이하게 가구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발췌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지주프레임에 가결합되는 가로프레임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은 지주프레임에 가결합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지주프레임에 결착되는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나타내는 결합도,
도 10은 장볼트를 대체한 렌지볼트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지지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5는 지주프레임에 가결합되는 가로프레임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발췌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지주프레임에 가결합되는 가로프레임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8은 지주프레임에 가결합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지주프레임에 결착되는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고정하기 앞서,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를 임시로 가결합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단일 결합수단으로 보다 편리하게 가구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주프레임(10)과, 가로프레임(20)과, 삼각고정판부(30) 및 결합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프레임(10)은 중공의 사각 관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2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지주프레임(10)에 수평방향으로 직각 연결되어 가구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결합수단(40)으로 고정하기 앞서, 임시로 상호 간 가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가로프레임(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결합단 하부에 연장되는 연장프레임(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프레임(10)은 상기 연장프레임(21)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공(11)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거치공(11)에는 상향 돌출되는 끼움돌기(1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21)에는 상기 끼움돌기(111)와 삽입되는 결합공(211)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프레임(20)의 연장프레임(21)이 상기 지주프레임의 거치공(11)에 거치시키면, 결합공(211)이 거치공(11)에 형성된 끼움돌기(11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가로프레임(20)은 상기 지주프레임(10)에서 분리되지 않고 가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삼각고정판부(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에 직각 연결된 한쌍의 가로프레임(20)과 연결되어 직각도를 유지시키면서, 도 8과 같이, 가결합된 가로프레임(20)을 지주프레임(10)에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삼각고정판부(30)는 도 6과 같이, 조립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후판(31)과, 상기 후판(31)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평 절곡되는 제1삼각고정판(32a)과, 제2삼각고정판(3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삼각고정판(32a,32b)의 양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두고 가압편(322)이 다수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가로프레임(20)에는 도 5와 같이,상기 삼각고정판부(30)에 형성된 가압편(322)이 삽입되는 절개구(22)가 다수 형성됨으로, 상기 삼각고정판부(30)를 가로프레임(20)에 대해 가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삼각고정판(32a,32b)은 꼭지점에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모서리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개부(321)가 형성되어 지주프레임(1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40)은 삼각고정판부(30)를 지주프레임(10)에 가압 결착시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수단(40)은 도 5와 같이, 지주프레임(10)의 바깥면 모서리에 밀착되는 지지블럭(41)과, 상기 지지블럭(4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20)을 거쳐 삼각고정판부(30)의 후판(31)으로 노출되는 장볼트(42)와, 상기 삼각고정판부(30)의 후판(31)으로 노출된 장볼트(42)에 체결되는 가압너트(4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주프레임(10)은 지지블럭(41)에 고정된 장볼트(42)를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공(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41)은 도 1, 도 4 및 도 9와 같이, 가로프레임(20)의 바깥면 모서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Λ"의 형상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 장볼트(42)는 지지블럭(41)의 밀착면 중심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지주프레임(10)의 내부를 거쳐 삼각고정판부(30)의 타측에 노출되어 가압너트(43)와 체결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후판(31)을 향해 가압너트(43)를 가압 체결하면, 상기 삼각고정판부(30)와, 상기 삼각고정판부(30)의 가압편(322)에 연결된 가로프레임(20)과, 지지블럭(41)은 지주프레임(10) 방향으로 동시 가압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착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를 결국 가구프레임의 조립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장볼트를 대체한 렌지볼트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지지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블럭(41)의 저면에는 도 11과 같이, 후크 형태의 걸이구(411)가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이구(411)는 옷, 가방 등 거치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도 10과 같이, 결합수단(40)의 장볼트(42) 및 가압너트(43) 없이 지지블럭(41)에 체결되는 렌치볼트(44)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의 설치에 관하여 간단히 서술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지주프레임에 가결합되는 가로프레임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12 및 도 14와 같이, 지주프레임(10)에 형성된 거치공(11)에 가로프레임(20)에서 연장된 연장프레임(21)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5와 같이, 상기 연장프레임(21)에 형성된 결합공(211)을 거치공(11)에 형성된 끼움돌기(111)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가로프레임(20)은 지주프레임(10)에 대해 분리되지 않고 가결합 상태가 된다.
이 후, 상기 삼각고정판부(30)의 가압편(322)을 지주프레임(10)에 대해 직각 설치된 가로프레임(20)의 절개구(22)에 삽입시켜 가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구(22)은 가압편(322)에 비해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삼각고정판부(30)는 지주프레임(10)의 모서리에 간섭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수단(40)인 "Λ" 형태의 지지블럭(41)을 가로프레임(20)의 바깥면 모서리에 밀착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지블럭(41)에 고정된 장볼트(42)는 가이드공(12)을 통해 지주프레임(10)을 거쳐 삼각고정판부(30)의 후판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후판(31)을 향해 가압너트(43)를 체결 가압하면, 상기 삼각고정판부(30)와, 상기 삼각고정판부(30)의 가압편(322)에 연결된 가로프레임(20)과, 지지블럭(41)은 지주프레임(10) 방향으로 동시 가압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착 상태가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는 하기와 같은 차별적인 특징이 있다.
첫째: 결합수단 없이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을 가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하다.
둘째: 절개구에 삽입되는 가압편을 통해 가로프레임에 대해 삼각고정판부를 가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하다.
셋째: 단일 장볼트의 체결만으로, 지주프레임에 대해 가로프레임과 삼각고정판부가 동시 가압되어 결착되므로 조립과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
넷째: 부품이 간소하고, 1인 작업자가 용이하게 가구프레임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지주프레임 11: 거치공 111: 끼움돌기
12: 가이드공
20: 가로프레임 21: 연장프레임 211: 결합공
22: 절개구
30: 삼각고정판부 31: 후판 32a: 제1삼각고정판
32b: 제2삼각고정판 321: 절개부
322: 가압편
40: 결합수단 41: 지지블럭 411: 걸이구
42: 장볼트 43: 가압너트
44: 렌치볼트
100: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Claims (6)

  1. 가구의 사방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프레임(10);
    상기 지주프레임(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각 연결되는 가로프레임(20); 및
    상기 지주프레임(10)에 직각 연결된 한쌍의 가로프레임(20)과 연결되어 직각도를 유지시키는 삼각고정판부(30);
    상기 삼각고정판부(30)를 지주프레임(10)에 가압 결착시켜 고정시키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삼각고정판부(30)는 결합수단(40)을 통해 연결된 가로프레임(20)을 함께 지주프레임(10)에 가압 결착되고,
    상기 가로프레임(20)은 결합단 하부에 연장되는 연장프레임(21)과, 상기 연장프레임(21)에 형성되는 결합공(2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프레임(10)은 상기 연장프레임(21)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공(11)과, 상기 거치공(11)에 상향 돌출되어 연장프레임(21)의 결합공(21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고정판부(30)는
    조립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후판(31)과,
    상기 후판(31)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평 절곡되는 제1삼각고정판(32a)과, 제2삼각고정판(32b)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삼각고정판(32a,32b)의 꼭지점에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모서리 간섭을 피해 이동할 수 있는 절개부(321)가 더 형성되고, 양측에는 가로프레임(20)에 가결합 상태에서 가로프레임(20)을 가압하는 가압편(322)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로프레임(20)에는 상기 삼각고정판부(30)에 형성된 가압편(322)이 삽입되는 절개구(22)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바깥면 모서리에 밀착되는 지지블럭(41)과,
    상기 지지블럭(4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0)을 거쳐 삼각고정판부(30)의 후판(31)으로 노출되는 장볼트(42)와,
    상기 삼각고정판부(30)의 후판(31)으로 노출된 장볼트(42)에 체결되는 가압너트(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41)의 저면에는 후크 형태의 걸이구(411)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KR1020230079591A 2023-06-21 2023-06-21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KR10260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591A KR102605623B1 (ko) 2023-06-21 2023-06-21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591A KR102605623B1 (ko) 2023-06-21 2023-06-21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623B1 true KR102605623B1 (ko) 2023-11-23

Family

ID=8897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591A KR102605623B1 (ko) 2023-06-21 2023-06-21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6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5202A1 (fr) * 2007-04-24 2008-10-29 Ziur I, S.L. Bride/collier perfectionnée pour assemblage de structures de meubles
KR200460702Y1 (ko) * 2011-05-13 2012-06-13 (주)캠퍼스라인 테이블 다리의 결합구조
KR20140121496A (ko) * 2013-03-27 2014-10-16 김선갑 조립식 책상
KR101499874B1 (ko) * 2014-12-30 2015-03-12 (주)캠퍼스라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 결합구조
KR101829883B1 (ko) * 2017-08-03 2018-03-29 (주)힘멜 테이블 프레임 결합구조
KR101883217B1 (ko) 2018-01-24 2018-07-30 주식회사 나비드 침대프레임 결합수단
KR102249471B1 (ko) * 2020-11-20 2021-05-11 (주)퍼맥스 프레임 코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5202A1 (fr) * 2007-04-24 2008-10-29 Ziur I, S.L. Bride/collier perfectionnée pour assemblage de structures de meubles
KR200460702Y1 (ko) * 2011-05-13 2012-06-13 (주)캠퍼스라인 테이블 다리의 결합구조
KR20140121496A (ko) * 2013-03-27 2014-10-16 김선갑 조립식 책상
KR101499874B1 (ko) * 2014-12-30 2015-03-12 (주)캠퍼스라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 결합구조
KR101829883B1 (ko) * 2017-08-03 2018-03-29 (주)힘멜 테이블 프레임 결합구조
KR101883217B1 (ko) 2018-01-24 2018-07-30 주식회사 나비드 침대프레임 결합수단
KR102249471B1 (ko) * 2020-11-20 2021-05-11 (주)퍼맥스 프레임 코너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128B1 (ko) 가구프레임의 결합장치
KR102092133B1 (ko) 좌,우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US9044100B1 (en) Bed frame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102283655B1 (ko) 조립식 가구
JP4635647B2 (ja) 家具の脚装置
KR102605623B1 (ko)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JP3737507B1 (ja) 組立て構造
KR101744350B1 (ko) 열람대
KR20130000056U (ko) 탁자 프레임 체결구조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100977210B1 (ko) 모서리 연결구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765424B1 (ko) 침대 프레임
US11118617B1 (en) Table leg attachment
KR102659006B1 (ko) 인서트블럭을 갖는 침대프레임 조립체
JP5701051B2 (ja) カウンターにおけるハイユニットと可動仕切パネルの固定装置
KR101614834B1 (ko) 장식 가구용 접이식 패널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4972759B2 (ja) 天板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ることが可能な家具及び天板連結具の組
US6929096B1 (en) Stringer/shelf frame construction
JP2006296607A (ja) 天板付家具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JP3568740B2 (ja) 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