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11B1 - 네트워크 자격 증명들의 전송 및 획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자격 증명들의 전송 및 획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11B1
KR102605311B1 KR1020207000901A KR20207000901A KR102605311B1 KR 102605311 B1 KR102605311 B1 KR 102605311B1 KR 1020207000901 A KR1020207000901 A KR 1020207000901A KR 20207000901 A KR20207000901 A KR 20207000901A KR 102605311 B1 KR102605311 B1 KR 10260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redentials
user
network
light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373A (ko
Inventor
카그다스 도너
Original Assignee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01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1One-way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Intensity modulation
    • H04B10/541Digital intensity or amplitu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 H04B10/5563Digital frequency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7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without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71Ke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exchange, e.g. in peer-to-pe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7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nfrared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5Environment-dependent, e.g. using captured environment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 2 디바이스(50)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디바이스(50)로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개시되어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에서, 사용자는 제 2 디바이스(50)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 2 디바이스(50)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는 변조된 광을 제 2 디바이스(50)로 전송한다. 전송된 광은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상기 광이 변조된다. 제 2 디바이스(50)는 사용자 디바이스(10)로부터 변조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광 센서 및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얻기 위해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갖는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자격 증명들의 전송 및 획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 및 획득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면 일반적으로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네트워크에 제공해야한다. 일부 디바이스들의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키보드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직접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지만, 키보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 디바이스들이 많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게하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된 광은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변조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광 센서 및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것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제공하는 간단한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특히 기술적으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덜 위협적일 수 있으며 그리고 액세스하기 어려운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제공하는데 특히 편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법은 주파수 편이 변조(FSK)이다. 다른 예에서, 광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법은 진폭 편이 변조(ASK)이다.
일례에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또는 UTF(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변조된 광이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이진 비트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도록 상기 광은 ASCII 또는 UTF 포맷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된다.
일례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타이핑함으로써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보드를 갖는다. "키보드"는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및/또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키보드는 완전한 "QWERTY" 키보드일 필요는 없다. 키보드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할 때 유용한 특정 키 또는 바로 가기(short cut)가 있는 특화된 것일 수도 있다.
일례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자격 증명(network credentials)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광을 방출하는 광 소스; 및
방출될 광을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변조된 광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변조된 광을 수신하는 광 센서, 전송된 광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상기 광이 변조되며; 그리고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상기 광 센서에서 수신된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사용자 디바이스가 다음을 수행하도록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게하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변조된 광은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변조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광 센서 및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리고 실시예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첨부 도면들이 일례로서 참조된다.
도 1은 사용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광 변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자격 증명(network credentials)을 요구하는 많은 디바이스들이 존재하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은 네트워크로 전달되어 네트워크가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디바이스들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디바이스를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설정한 다음, "캡티브 포털(captive portal)" 등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하다. 소비자는 기술적인 면에는 신경을 쓰지 않으며 또는 기술적으로 능숙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 디바이스로 의도된 디바이스의 경우 이것은 특히 문제가 된다. 또한, 특히 디바이스가 소정의 장소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면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적 액세스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례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한다. 그 후, 사용자 디바이스는 변조된 광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된 광은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변조된다.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변조된 광을 수신하기위한 광 센서 및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얻기 위해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갖는다.
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위에서 언급 한 "제 2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단순히 입력한 다음, 변조된 광(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됨)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 2 디바이스를 향해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향(point)시키기만 하면 된다.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얻기 위해 수신된 변조된 광을 복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디바이스(전술한 "제 2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소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종종 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또는 공장 등과 같은 빌딩의 로컬 네트워크일 수 있는 로컬 네트워크에 적어도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WiFI 또는 다른 무선 연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IoT 디바이스는 일부 원격 중앙 데이터베이스 또는 제어기 등으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 등을 보고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연결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특히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이한 디바이스들은, 감지된 온도를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센서에서부터 첨단 기능들을 가진 비교적 복잡한 디바이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간단한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면 상당히 복잡한 기술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설사, 디바이스에 원칙적으로 사용자가 디바이스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더라도, 기술적으로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이것이 여전히 힘든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바이스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건물의 천장에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도달하기 어려운 장소들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일례를 통해 극복되거나 적어도 완화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 및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50)의 일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일례의 사용자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프로세서(14) 및 데이터 저장소(16)를 갖는다. 프로세서(14)는 본 명세서에 서술된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에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본 일례의 사용자 디바이스(10)는 또한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2G, 3G, 4G 등) 및/또는 WiFi 또는 다른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는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연결 모듈(18)을 갖는다. 이 예의 사용자 디바이스(10)는 무선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20)를 갖는다. 사용자 디바이스(10)는 광 방출기(22)를 갖는다. 광 방출기(22)는 예를 들어 고체 레이저 또는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레이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광 방출기(22)는 단순한 "토치(torch)" 또는 "플래시 라이트"(코히어런트 광을 방출하지 않음)일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사용자 디바이스(10)는 소위 스마트폰 또는 다른 셀룰러 폰이지만,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다른 셀룰러 폰인 사용자 디바이스(10)의 이점은 이들이 많은 사용자들에게 친숙하고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때 사용자를 위협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50)는 프로세서(52) 및 데이터 저장소(54)를 갖는다. 디바이스(50)는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2G, 3G, 4G 등) 및/또는 WiFi 또는 다른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50)는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연결 모듈(56)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58)를 갖는다. 디바이스(5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원(58)을 가지며, 이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일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주 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에 의해 전송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 센서(60)를 갖는다. 광 센서(60)는 예를 들어 입사광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이 전형적으로 감소되는 포토-레지스트 또는 광-의존성 저항일 수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50)는 소위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IoT 디바이스는, 어드레스가능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블루투스 식별자(ID), 근거리 통신(NFC) ID 등)를 가지며,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IoT 디바이스는 냉장고, 오븐, 전자 레인지, 냉동고, 식기 세척기, 세탁기, 의류 건조기, 퍼니스(furnace), 에어컨, 온도 조절기, 텔레비전 및 기타 가전 제품, 조명 기구(light fixtures), 진공 청소기, 스프링클러, 전기 계량기, 가스 계량기 등을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50)가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디바이스(50)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요구한다. 정확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 및 필요한 포맷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특성 및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액세스가능성 요건들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은 디바이스(50)가 연결될 네트워크의 일부 식별자 및 연결을 인증하기 위해 필요한 일부 암호들 또는 암호문들을 포함할 것이다. 특정 예로서,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경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은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암호 또는 암호문을 포함할 것이다. SSID(Service Set Identifier)는 무선랜(WLAN)을 명명하는 일련의 문자들이다.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디바이스(50)에 제공해야한다. 이 경우, 이는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사용자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앱"으로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가지며, 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필요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할 수 있게하고, 그리고 변조된 광이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유효하게 인코딩되도록 네트워크 자격 증명에 따라 광 방출기(20)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변조할 수 있게 한다.네트워크 자격 증명은 키보드(이동 키를 가진 키보드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의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일 수 있음)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10)에 입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10)의 마이크로폰으로 말하게한 다음, 수신된 오디오를 텍스트로 유효하게 변환하기 위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일단 네트워크 자격 증명이 사용자 디바이스(10)에 입력되고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디바이스(50)로 전송할 준비가 되면, 사용자 디바이스(1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상기 광이 인코딩되고 그리고 디바이스(50)에 의해 복조될 수 있는 포맷으로, 광 방출기(2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변조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에 소정의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방출된 광이 디바이스(50)의 광 센서(60)에 입사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를 디바이스(50)를 향해 지향시킨다.
광을 수신하면, 디바이스(50)는 수신된 광을 복조하여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추출한다. 그 후, 디바이스(50)는 네트워크(즉,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자격 증명이 획득되었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네트워크에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50)는 충분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이 획득된 즉시 그리고 자율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이 디바이스(50)로 전송되게한 다음,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에 의해 방출된 적절하게 변조된 광 빔을 이용하여 디바이스(50)로 커맨드를 전송하여, 디바이스(50)로 하여금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달하기 위한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가 해야할 일이라고는 고작해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앱을 실행하고,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하고(예를 들어, 프롬프트되면),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쪽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향시키는(point) 것이며, 따라서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되고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서 방출된 광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에 의해 방출된 광선을 변조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변조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기술은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이다. 도 2는 FSK를 사용한 광 변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요컨대, 디지털 1(1) 또는 디지털 0(0)이 전송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이산 주파수 변경들(discrete frequency changes)이 사용된다. 도시된 일례에서, 저주파 버스트는 0 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고주파 버스트는 1 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따라서, 본 일례에서는 저주파 버스트에 후속하여 고주파 버스트가 이어지고 그 다음으로 2 개의 연속적인 저주파 버스트가 후속되는 바와 같이, 0 다음에 1 이 오고 그 뒤에 두 개의 0이 후속된다). 다른 구성들도 또한 가능하다.
FSK에 대한 대안으로서, 진폭 편이 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가 사용될 수 있는바, 특히 방출되는 광의 강도가 제어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10)의 경우, ASK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SK는 전송 속도를 더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광으로 변조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실제 포맷에 대해 여러가지 옵션들이 이용가능하다. 사용자 디바이스(1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또는 UTF(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는 전송되는 광을 인코딩하기 위해 이진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다음을 유의해야 하는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 또는 회로는 실제로는 단일 칩 또는 집적 회로 또는 복수의 칩들 또는 집적 회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칩셋,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칩 또는 칩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 그리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을 구현하기위한 회로(가능하면 펌웨어 뿐만 아니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가능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비일시적으로) 그리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유형적으로 저장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및 유형적으로 저장된 펌웨어)의 조합에 실행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가 언급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소는 단일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및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례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일례로서 이해되어야한다. 추가의 실시예 및 일례들이 예상된다. 임의의 하나의 일례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피처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피처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하나의 일례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피처들은 또한 임의의 다른 일례 또는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피처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일례 또는 실시예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등가물들 및 수정예들이 또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제 2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자격 증명(network credentials)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게하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된 광은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변조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광 센서 및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를 이용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진폭 편이 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를 이용하여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또는 UTF(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변조된 광이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이진 비트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도록 상기 광은 ASCII 또는 UTF 포맷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키보드를 가지며,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를 타이핑함으로써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는 방법.
  7. 제 2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자격 증명(network credentials)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광을 방출하는 광 소스; 및
    방출될 광을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변조된 광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주파수 편이 변조(FSK)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진폭 편이 변조(ASK)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아스키(ASCII) 또는 UTF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조기는 변조된 광이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이진 비트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도록 상기 광을 ASCII 또는 UTF 포맷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키보드를 가지며, 상기 키보드 상의 사용자 타이핑에 의해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13. 삭제
  14. 저장 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게하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변조된 광은 상기 네트워크 자격 증명으로 인코딩되도록 변조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변조된 광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광 센서 및 수신된 변조된 광으로부터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광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00901A 2017-06-19 2017-12-27 네트워크 자격 증명들의 전송 및 획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5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6710.6A EP3419194A1 (en) 2017-06-19 2017-06-19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obtaining network credentials
EP17176710.6 2017-06-19
PCT/EP2017/084649 WO2018233862A1 (en) 2017-06-19 2017-12-27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OBTAINING NETWORK IDENTITY SUPPOR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373A KR20200016373A (ko) 2020-02-14
KR102605311B1 true KR102605311B1 (ko) 2023-11-23

Family

ID=5921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901A KR102605311B1 (ko) 2017-06-19 2017-12-27 네트워크 자격 증명들의 전송 및 획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01199B2 (ko)
EP (1) EP3419194A1 (ko)
JP (1) JP7202320B2 (ko)
KR (1) KR102605311B1 (ko)
CN (1) CN110785948B (ko)
TR (1) TR201709435A2 (ko)
WO (1) WO2018233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7770B (zh) * 2018-08-21 2021-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输出联网认证信息的方法、联网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632366B1 (en) * 2018-09-28 2023-04-18 F5, Inc. Multi-device authentication
FR3091798B1 (fr) * 2019-01-15 2021-07-09 Seb Sa Procédé de paramétrage d’un appareil électroménager par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via une technologie de communication par la lumière
EP3694185B1 (en) 2019-02-07 2021-08-11 F5 Networks, Inc. Method for facilitating federated single sign-on (sso) for internal web appl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3439A (ja) * 2013-07-19 2015-02-02 Kddi株式会社 無線lanの設定装置および被設定装置
US20150121470A1 (en) * 2013-10-25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onboarding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over various communication interfaces
US20150223277A1 (en) * 2014-01-31 2015-08-0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manage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723B2 (ja) * 2004-06-01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通信方法
GB2427101B (en) * 2005-06-10 2008-04-02 Motorola Inc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JP2007235250A (ja) 2006-02-27 2007-09-13 Nakagawa Kenkyusho:Kk 無線lanの初期設定を行う光設定器及び該光設定器により無線lanの初期設定が行われる情報家電
JP4841326B2 (ja) 2006-06-20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734181B2 (en) 2007-04-09 2010-06-08 Ajang Bah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EP1981183A3 (en) * 2007-04-09 2008-11-05 Ajang Bah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US7974536B2 (en) * 2007-09-06 2011-07-05 Motorola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configuring and authenticating data communication links
JP2009260579A (ja) 2008-04-15 2009-11-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移動体通信端末、情報送信設定システム及び情報送信設定方法
KR101662838B1 (ko) * 2008-10-10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 포인트 장치가 피제어 장치의 보안을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116394B2 (en) * 2012-10-26 2018-10-30 Solpad, Inc. Optical pairing
JP6139121B2 (ja) 2012-12-12 2017-05-31 Kddi株式会社 無線lan設定端末、無線lan端末および無線lan設定方法
CN105409261A (zh) 2013-07-23 2016-03-16 天龙马兰士集团有限公司 使用音频端口的远程系统配置
TWM501462U (zh) 2013-09-04 2015-05-21 Cheng-Hua Tan 可見光辨識系統
EP3044886B1 (en) * 2013-09-13 2018-11-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rtificial light source based messaging platform
WO2015054254A1 (en) 2013-10-07 2015-04-16 Google Inc. Hazard detection unit facilitating user-friendly setup experience
US9301141B1 (en) * 2013-12-20 2016-03-29 Amazon Technologies, Inc. Secure wireless network credential sharing
US9794782B2 (en) 2014-10-15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Simplification of attaching devices to secured wireless networks
RU2018112507A (ru) 2015-09-10 2019-10-10 Филипс Лайтинг Холдинг Б.В. Уменьшение межсимвольной интерференции в кодированном свете
US9974146B2 (en) 2015-09-25 2018-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mmissioning method of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visual light communication
TWM524592U (zh) 2016-01-19 2016-06-21 尚宏電子股份有限公司 可見光通訊裝置及可見光通訊系統
EP3446549B1 (en) * 2016-04-21 2022-06-08 Signify Holding B.V.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credentials
US10243656B2 (en) * 2016-08-08 2019-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hentication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6412882B (zh) 2016-10-19 2020-01-24 深圳市晟碟半导体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和系统
DE102018116500A1 (de) * 2018-07-08 2020-01-09 Tobias Rückert Verfahren zum Anmelden eines Zielgeräts an ein Netzwe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3439A (ja) * 2013-07-19 2015-02-02 Kddi株式会社 無線lanの設定装置および被設定装置
US20150121470A1 (en) * 2013-10-25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onboarding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over various communication interfaces
US20150223277A1 (en) * 2014-01-31 2015-08-0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manage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3862A1 (en) 2018-12-27
CN110785948A (zh) 2020-02-11
JP2020524460A (ja) 2020-08-13
CN110785948B (zh) 2023-05-26
US20200137048A1 (en) 2020-04-30
TR201709435A2 (tr) 2019-01-21
EP3419194A1 (en) 2018-12-26
JP7202320B2 (ja) 2023-01-11
US11601199B2 (en) 2023-03-07
KR20200016373A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311B1 (ko) 네트워크 자격 증명들의 전송 및 획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578511B2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
US20190215074A1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US9054961B1 (en) Setup of multiple IOT devices
US20170289901A1 (en) Network device source entity triggered device configuration setup
US9468029B2 (en) Unifying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10313892B2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WO2016028779A1 (en) Retail triggered device configuration setup
KR101899744B1 (ko) Wifi 네트워크 발견 및 트래픽 모니터링의 위임
CN105069875B (zh) 电子钥匙、电子设备及电子设备组网/配对方法
CN106788719B (zh) 控制设备联网的方法及装置
KR2020007473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6294814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52709B2 (en) Data transceiv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ceiving thereof
CN107294815B (zh) 进入工作网络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384739B2 (ja) 接続設定デバイスおよびその方法
Yadav Smart HAC system
KR101709684B1 (ko) 아두이노와 푸쉬 스마트 버튼을 활용한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Steane et al. An evaluation and enhancement of a novel IoT joining protocol
Steane et al. An enhanced implementation of a novel IoT joining protocol
JP2017030078A (ja) 可搬式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94815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199932A1 (en) Executing control command in dependence on presence being detected
KR102510246B1 (ko) 전구형 공유기
EP3435559B1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operating environmen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