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89B1 -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89B1
KR102604589B1 KR1020230072324A KR20230072324A KR102604589B1 KR 102604589 B1 KR102604589 B1 KR 102604589B1 KR 1020230072324 A KR1020230072324 A KR 1020230072324A KR 20230072324 A KR20230072324 A KR 20230072324A KR 102604589 B1 KR102604589 B1 KR 10260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binding
side plate
lower plate
stir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규
노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건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건업
Priority to KR102023007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하는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를 갖춘 무해제 거푸집에 있어서: 다수의 기재판(11)에 코너판(12)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판부재(10); 다수의 기재판(21)에 마감판(22)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하판부재(10)의 코너판(12)에 연결되는 측판부재(20);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연결 부분을 U-스터럽(31)과 결속클립(33)으로 유지하는 결속부재(30); 및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시공 과정에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부가되는 보강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보를 형성하면서 해제되지 않는 일체형 거푸집으로서 많은 수량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하고 현장에서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조립되므로 현장 시공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Non removing form with site assembling structure}
본 발명은 무해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보를 형성하는 작업현장으로 이송하여 투입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공법을 간소화하는 방안의 하나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 해체가 불필요한 무해체 거푸집의 활용이 선호된다. 무해체 거푸집은 바닥의 수평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수직판을 결합하여 대략 "└┘" 형태를 이루고 있다. 무해체 거푸집으로 시공하는 경우 조립 과정에서 용접을 배제하여도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뿐더러 후속된 별도의 마감부재가 없어도 비교적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무해체 거푸집과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7797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178069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데크를 절곡하여 형성한 하부부재와 측면부재및 코너부재 3개 단면형상의 단위부재를 조합하여 다양한 규격의 거푸집을 구성하도록 하여 자재의 모듈화 및 단순화하여 부재 강판의 종류를 감소시키고, 박판의 데크를 절곡하여 형성하여 자중 및 자재비를 절감시키며, 강성을 증가시켜 구조용 보 영구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는 본체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스트립을 용접으로 결합하므로 생산성을 향상하기에 한계성을 드러낸다.
선행문헌 2는 복수의 연장판재를 인접하게 맞물린 상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단위부재; 단위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외력에 의한 소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파지부재; 및 단위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도록 파지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작업의 편의성과 더불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여 활용성 증대를 도모한다.
다만, 이는 거푸집을 "└┘" 형태로 조립하여 차량으로 운반하기 때문에 탑재되는 수량이 적어서 개선의 여지를 보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77979호 "비탈형 보 거푸집" (공개일자 : 2017.09.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178069호 "내진형 무해체 조립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 (공개일자 : 2020.11.1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보를 형성하면서 해제되지 않는 일체형 거푸집으로서 많은 수량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하고 현장에서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하는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를 갖춘 무해제 거푸집에 있어서: 다수의 기재판에 코너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판부재; 다수의 기재판에 마감판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하판부재의 코너판에 연결되는 측판부재;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의 연결 부분을 U-스터럽과 결속클립으로 유지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의 시공 과정에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부가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측판부재는 모두 연결을 위한 슬릿부와 보강을 위한 엠보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속부재의 결속클립은 일단에 형성되는 단턱부, U-스터럽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 타단에 형성되는 끼움부, 요홈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재는 대향하는 측판부재를 연결하는 보강철근, 측판부재의 상단에 수용되는 보강채널, U-스터럽과 결속밴드로 연결되는 보강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결속부재는 U-스터럽의 설치 간격을 변동하기 위해 와이어 구조의 보조결속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보를 형성하면서 해제되지 않는 일체형 거푸집으로서 많은 수량을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하고 현장에서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조립되므로 현장 시공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운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공하는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를 갖춘 무해제 거푸집에 관하여 제안한다. 건축물 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 해체가 불필요한 무해체 거푸집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장 시공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을 위해 무용접과 무볼팅의 기술 사상을 요체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판부재(10)가 다수의 기재판(11)에 코너판(12)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판부재(10)를 구성하는 기재판(11), 코너판(12), 절곡부(13) 등이 나타난다. 기재판(11)은 양단에 절곡부(13)를 이용하여 맞물리며 원하는 치수로 연장이 가능한 구조이다. 하판부재(10)는 기재판(11)의 양단에 동일한 구조의 코너판(12)을 연결하여 완성된다. 코너판(12)의 양단에도 연결을 위한 절곡부(13)가 형성된다. 절곡부(13)는 ㄱ자형으로 한 번 절곡되거나 ㄷ자형으로 2번 절곡되어 상호 맞물린다. 하판부재(10)를 구성하는 기재판(11)과 코너판(12)의 연결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무용접/무볼팅 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재판(21)에 마감판(22)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측판부재(20)가 하판부재(10)의 코너판(12)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1에서, 측판부재(20)를 구성하는 기재판(21), 마감판(22), 절곡부(23) 등이 나타난다. 기재판(21)을 연결하는 구성과 절곡부(23)의 형태는 전술한 하판부재(10)와 동일성을 유지한다. 측판부재(20)는 기재판(21)의 일단(시공시 상단)에 마감판(22)을 연결하여 완성된다. 타단(하단)의 기재판(21)은 하판부재(10)의 양측으로 코너판(12)과 맞물려 연결된다. 측판부재(20)를 구성하는 기재판(21)과 마감판(22)의 연결도 무용접/무볼팅 방식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는 모두 연결을 위한 슬릿부(15)(25)와 보강을 위한 엠보싱부(17)(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에 형성되는 슬릿부(15)(25)와 엠보싱부(17)(27)가 나타난다. 하판부재(10)의 슬릿부(15)는 절곡부(1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측판부재(20)의 슬릿부(25)도 절곡부(2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슬릿부(15)(25)는 후술하는 결속부재(30)의 맞물림에 활용된다.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의 엠보싱부(17)(27)는 길이가 긴 아연도금강판 소재의 인장, 처짐, 비틀림 강도를 보강하도록 형성된다. 엠보싱부(17)(27)의 치수는 영역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속부재(30)가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연결 부분을 U-스터럽(31)과 결속클립(33)으로 유지하는 구조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결속부재(30)를 구성하는 U-스터럽(31)과 결속클립(33)이 나타난다. U-스터럽(31)은 하판부재(10)의 양측에 측판부재(20)를 직각으로 연결하여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U-스터럽(31)의 상단은 건축물의 슬라브 형성을 위한 데크형 거푸집(도시 생략)에 연결될 수 있다. 결속클립(33)은 하판부재(10)의 기재판(11) 간의 연결, 측판부재(20)의 기재판(21) 간의 연결,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의 연결, U-스터럽(31)의 연결에 있어서 모두 동일한 구조로 표준화되어 적용된다. 결속클립(33)은 강판을 절단한 단순한 구조로서 무용접/무볼팅의 연결 방식을 구현하는 요체이다. 결속클립(33)은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의 슬릿부(15)(25)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맞물린다.
도 2에서,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를 받침목을 이용하여 적층한 상태로 차량으로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는 각각 다수의 결속클립(33)을 이용하여 평판 형태로 가조립된 상태이다. U-스터럽(31)은 하판부재(10) 상에 결속클립(33)을 이용하여 맞물린 동시에 눕혀진 상태로 운반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를 운반하는 경우 차량에 탑재하는 수량이 증가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속부재(30)의 결속클립(33)은 일단에 형성되는 단턱부(34), U-스터럽(31)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35), 타단에 형성되는 끼움부(36), 요홈부(35)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착부(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속클립(33)을 구성하는 단턱부(34), 요홈부(35), 끼움부(36), 압착부(37) 등이 나타난다. 결속클립(33)의 두께는 슬릿부(15)(25)에 보통끼워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대략 C자형의 요홈부(35)의 일측으로 단차진 단턱부(34)가 타측으로 절개된 끼움부(36)가 형성된다. 단턱부(34)와 끼움부(36)는 동일한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결속클립(33)은 작업자의 수동력으로 요홈부(35)의 개구를 통하여 출입이 용이하다. 압착부(37)는 요홈부(35)의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절개된다.
작업자는 차량에 탑재하여 현장에 도착한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를 내린 후에, 하판부재(10)의 양측에 측판부재(20)를 세우고 눕혀진 결속클립(33)을 세우면서 결속클립(33)에 신속하게 끼울 수 있다. 하판부재(10), 측판부재(20), 결속클립(33)의 긴밀한 결속을 위해 도 4의 순서로 작업한다. 도 4(a)처럼 슬릿부(15)(25)에 단턱부(34)를 밀어 넣고, 도 4(b) 및 도4(c)처럼 끼움부(36)를 슬릿부(15)(25)로 접근시키고, 도 4(d)처럼 U-스터럽(31)을 끼운 다음 공구(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압착부(37)를 누르면 긴밀한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40)가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시공 과정에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부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보강부재(40)가 슬라브와 연계되어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하중을 지탱하도록 설치된다.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가 비교적 박판이므로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부재(40)를 부가한다. 물론 보강부재(40)도 차량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하판부재(10)와 측판부재(20)에 가결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재(40)는 대향하는 측판부재(20)를 연결하는 보강철근(41), 측판부재(20)의 상단에 수용되는 보강채널(43), U-스터럽(31)과 결속밴드(47)로 연결되는 보강로드(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강부재(40)를 구성하는 보강철근(41), 보강채널(43), 보강로드(45), 결속밴드(47) 등이 나타난다. 보강철근(41)은 대향하는 측판부재(20) 사이에 연결되어 벌어짐을 방지한다. 보강철근(41)의 양단은 다른 상호 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보강채널(43)은 측판부재(20)의 마감판(22)의 절곡부(23)에 ㄷ자 구조로 맞물려 결합되고 하측의 보강로드(45)와 더불어 변형을 방지한다. 보강로드(45)는 결속밴드(47)를 이용하여 U-스터럽(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상측으로 보강채널(43)의 저면에 밀착된다. 결속밴드(47)는 강판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가압하여 아령 형태의 단면으로 결속력을 높인다. 결속밴드(47)의 외면을 프레스에서 다수의 핀으로 가압하면 결속력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결속부재(30)는 U-스터럽(31)의 설치 간격을 변동하기 위해 와이어 구조의 보조결속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재(40)의 변형예인 보조결속재(50)의 설치 상태가 나타난다. 통상 하나의 금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슬릿부(15)(25)의 간격은 설정된 치수(예컨대 200㎜)를 유지한다. 현장마다 슬릿부(15)(25) 및 U-스터럽(31)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 별도의 금형을 준비하는 것보다 보조결속재(50)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보조결속재(50)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물림부(51), 걸이부(52), 요홈부(53)를 선택적으로 갖출 수 있다. 물림부(51)는 결속클립(33)의 압착부(37)에 맞물리고 걸이부(52)는 절곡부(13)(23)에 걸 수 있다. 요홈부(53)는 U-스터럽(31)을 긴밀하게 파지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슬릿부(15)(25)에 결속클립(33)으로 고정되는 U-스터럽(31) 외에 보조결속재(50)로 고정되는 부호 31′의 U-스터럽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보조결속재(50)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길이로 구성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하판부재 11, 21: 기재판
12: 코너판 13, 23: 절곡부
15, 25: 슬릿부 17, 27: 엠보싱부
20: 측판부재 22: 마감판
30: 결속부재 31: U-스터럽
33: 결속클립 34: 단턱부
35: 요홈부 36: 끼움부
37: 압착부 40: 보강부재
41: 보강철근 43: 보강채널
45: 보강로드 47: 결속밴드
50: 보조결속재 51: 물림부
52: 걸이부 53: 요홈부

Claims (5)

  1. 시공하는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를 갖춘 무해제 거푸집에 있어서:
    다수의 기재판(11)에 코너판(12)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하판부재(10);
    다수의 기재판(21)에 마감판(22)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하판부재(10)의 코너판(12)에 연결되는 측판부재(20);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연결 부분을 U-스터럽(31)과 결속클립(33)으로 유지하는 결속부재(30); 및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의 시공 과정에서 변형을 방지하도록 부가되는 보강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40)는 대향하는 측판부재(20)를 연결하는 보강철근(41), 측판부재(20)의 상단에 수용되는 보강채널(43), U-스터럽(31)과 결속밴드(47)로 연결되는 보강로드(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10)와 상기 측판부재(20)는 모두 연결을 위한 슬릿부(15)(25)와 보강을 위한 엠보싱부(17)(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0)의 결속클립(33)은 일단에 형성되는 단턱부(34), U-스터럽(31)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35), 타단에 형성되는 끼움부(36), 요홈부(35)의 일측에 형성되는 압착부(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0)는 U-스터럽(31)의 설치 간격을 변동하기 위해 와이어 구조의 보조결속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KR1020230072324A 2023-06-05 2023-06-05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KR10260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324A KR102604589B1 (ko) 2023-06-05 2023-06-05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324A KR102604589B1 (ko) 2023-06-05 2023-06-05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589B1 true KR102604589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324A KR102604589B1 (ko) 2023-06-05 2023-06-05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139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의 로드 고정용 클립
KR101777979B1 (ko)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178069B1 (ko) 2019-10-31 2020-11-12 노경택 내진형 무해체 조립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
KR102448966B1 (ko) * 2022-01-28 2022-09-28 구연진 보 시공용 거푸집의 운반성 향상을 위한 패키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139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의 로드 고정용 클립
KR101777979B1 (ko)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178069B1 (ko) 2019-10-31 2020-11-12 노경택 내진형 무해체 조립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
KR102448966B1 (ko) * 2022-01-28 2022-09-28 구연진 보 시공용 거푸집의 운반성 향상을 위한 패키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069B1 (ko) 내진형 무해체 조립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2044791B1 (ko) 개량형 보거푸집
KR102118401B1 (ko) 체결형 데크플레이트
KR102144476B1 (ko) 모듈형 강판 거푸집
KR102044796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2604589B1 (ko) 현장 조립 구조의 무해제 거푸집
JP3802039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US9359757B1 (en) Concrete weldment
KR101640172B1 (ko) 건물의 단위구조부재와 이 단위구조부재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20090075458A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100658831B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102001988B1 (ko) 역삼각 트러스 거더 삽입형 데크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390911Y1 (ko) 래티스 철선 단부에 수직 고정봉이 부착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CN213296786U (zh) 墙帽组件及剪力墙
JP4798810B1 (ja) 布基礎用PCa底盤外形キット。
KR20190097757A (ko) 철판절곡 기둥구조체 및 철판절곡 기둥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375923B1 (ko) 보나 기둥 등의 거푸집 구축을 위한 데크판체와 스트럽 간의 결합용 고정클립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JP5339832B2 (ja) ベタ基礎外周立上り部の型枠取付け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