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32B1 -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32B1
KR102604532B1 KR1020230022587A KR20230022587A KR102604532B1 KR 102604532 B1 KR102604532 B1 KR 102604532B1 KR 1020230022587 A KR1020230022587 A KR 1020230022587A KR 20230022587 A KR20230022587 A KR 20230022587A KR 102604532 B1 KR102604532 B1 KR 10260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printer
platen roller
detectio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화성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시스템(주) filed Critical 화성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3002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프린터(1)의 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100)는, 플래튼 롤러(20)와 컷팅유닛(30) 사이에 배치되며, 플래튼 롤러(20)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회동축(110); 중앙부가 회동축(110)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플래튼 롤러(2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2)가 구비되는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플래튼 롤러(20)를 향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130); 및 플래튼 롤러(20)와 컷팅유닛(30) 사이의 인쇄용지 걸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40)을 포함하며, 플래튼 롤러(20)와 컷팅 유닛(30) 사이에서 인쇄용지 걸림이 발생할 때,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가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감지수단(140)이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of the printer 1 is disposed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and includes a rotation shaft 110 installed at the front bottom of the platen roller 20. ; Paper whose central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0, a printing paper guide 121 located adjacent to the platen roller 20 at the upper part, and an extension part 122 extending downward at the lower part. Jam detection lever (120); Elastic means 130 for applying force to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toward the platen roller 20; and a detection means (140) for detecting a printing paper jam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when a printing paper jam occurs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 the detection means 140 detects that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110 and generates a signal.

Description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Print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의 플래튼 롤러와 컷팅유닛 사이에 인쇄용지걸림이 발생된 것을 감지하여 인쇄동작을 정지시키고 플래튼 롤러를 역회전시켜서 인쇄용지걸림을 제거할 수 있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ing paper jams in a printer,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ing a printing paper jam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of the printer, stopping the printing operation, and rotating the platen roller in reverse. This relates to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for a printer that can remove printing paper jams by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서류 인쇄용 프린터에는 규격화된 용지(예를 들어, A4, B4 등)가 적재된 용지 트레이(카세트)를 프린터 본체에 수납하여 인쇄용지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방식의 프린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라벨, 송장, 영수증 등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에는 롤 형태의 인쇄용지를 연속으로 공급하면서 인쇄가 완료된 후 단위 길이로 잘라 배출하는 방식의 프린터가 이용될 수 있다.Generally, for example, printers for document printing use a printer that stores a paper tray (cassette) loaded with standardized paper (e.g., A4, B4, etc.) in the printer body and supplies printing paper as a single sheet. can be; A printer for printing labels, invoices, receipts, etc. can be used that continuously supplies roll-shaped printing paper and cuts it into unit lengths and discharges it after printing is completed.

후자의 프린터(이하, '라벨용 프린터'라 함)에 사용되는 인쇄용지는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용지의 전면에 상품의 명칭, 가격, 바코드, 유통기간 등에 관한 정보 또는 물품 배송을 위한 발송처와 수신처의 상호(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에 관한 정보 또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비용결제 정보 등이 인쇄되어 출력되며, 이렇게 출력된 라벨, 송장, 영수증 등을 상품 또는 배송 상자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The printing paper used in the latter pri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bel printer') is coated with adhesive on the back and contains information on the product name, price, bar code, expiration date, etc. on the front, or the shipping address and recipient for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about the business name, address, phone number, etc., or payment information for products or services, is printed out, and the printed labels, invoices, receipts, etc. are used by attaching them to the product or delivery box. .

라벨용 프린터에 사용되는 라벨, 송장 용지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프린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프린터 본체의 외부의 용지 공급부에 수납되어, 인쇄용지가 용지이송유닛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이송되면서 인쇄유닛으로 공급된다.Labels and invoice paper used in label printers are wound in rolls and stored inside the printer body or stored in the paper supply section outside the printer body, and are printed as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paper transfer unit. Supplied as a unit.

그리고 인쇄유닛에서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는 구동롤러에 의해 프린터의 출력물 배출구로 배출된 후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Then, the printing paper that has completed printing in the print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put outlet of the printer by a driving roller and then cut by a cutter.

통상적으로 라벨용 프린터에 장착되는 커터에서는, 프린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날이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하면서 프린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과 맞물리면서 인쇄용지를 절단한다.In a cutter typically mounted on a label printer, a moving blade movably installed on the printer body moves by a moving member and engages a fixed blade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r body to cut the printing pap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라벨용 프린터에서는, 라벨용 프린터의 컷팅유닛은 이동날과 고정날이 맞물리면서 라벨용지를 절단함에 따라, 라벨용지의 이면에 도포되어 있던 점착제 일부가 이동날이나 고정날에 부착되어 이동날과 고정날의 맞물림 부위에 누적되며, 이에 따라 인쇄용지의 선단부가 이동날이나 고정날의 점착부 누적부위에 접촉되면서 인쇄용지가 이동날과 고정날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label printer described above, as the cutting unit of the label printer cuts the label paper while the moving blade and the fixed blade engage, some of the adhesive applied to the back of the label paper is attached to the moving blade or the fixed blade and moves. It accumulates at the engaging part of the blade and the fixed blade, and as a result, the leading edge of the printing pap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ccumulated area of the adhesive part of the moving blade or the fixed blade, which may cause the printing paper to become stuck without passing between the moving blade and the fixed blade. .

또한, 연속용지를 사용하여 영수증 등을 인쇄하는 프린터에서도 인쇄용지의 선단부가 이동날이나 고정날에 걸려서 이동날과 고정날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잼이 발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even in printers that print receipts, etc. using continuous paper, the leading edge of the printing paper may get caught on the moving blade or the fixed blade, preventing it from passing between the moving blade and the fixed blade, resulting in a jam.

또한, 연속용지를 사용하여 영수증 등을 출력할 때, 사용자가 출력되는 영수증을 무리하게 잡아 당기는 등의 부주의가 발생할 경우, 인쇄용지가 찢어지거나 정렬이 어긋나면서 인쇄용지가 이동날이나 고정날에 걸려서 이동날과 고정날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잼이 발생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printing receipts using continuous paper, if the user is careless, such as pulling the printed receipt forcibly, the printing paper may be torn or misaligned, causing the printing paper to get caught on the moving blade or fixed blade. It may not pass between the moving blade and the fixed blade and a jam may occur.

이와 같이, 인쇄가 완료된 용지가 컷팅유닛을 통과하지 못하고 컷팅유닛(cutting unit)과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 사이에 걸려 있으면,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려서 프린터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계속 인쇄가 진행되면서 인쇄용지 잼(jam)이 발생하거나 인쇄된 용지가 플래튼 롤러에 말려들어갈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printed paper does not pass through the cutting unit and is caught between the cutting unit and the platen roller, the drive motor of the driving means may be overloaded, causing a printer failure, As printing continues, a printing paper jam may occur or the printed paper may become entangled in the platen roll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282299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의 동작 시 인쇄용지의 끼임이 발생된 경우에 하우징 일측에 구비된 레버(501)를 조작하여 간편하게 끼임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프린터의 커터 구조(500)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10-1282299호에서는 인쇄용지의 끼임이 상당히 진행되어 프린터가 정상 작동이 되지 않을 때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되므로, 인쇄용지 끼임의 조기 발견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모터(502)에 과부하가 걸려서 프린터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계속 인쇄가 진행되면서 인쇄된 용지가 플래튼 롤러에 말려들어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No. 10-1282299, as shown in FIG. 1, when the printing paper is jammed during operation of the printer, the lever 50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operated to A printer cutter structure 500 that can easily release a jammed state is disclosed. However, in Korean Patent No. 10-1282299, the jamming of printing paper has progressed to a significant extent and the user can tell when the printer is not operating normall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rly detection of jamming of printing paper is difficult. As a result, the driving motor 502 of the driving means may be overloaded, causing a printer malfunction, and printed paper may become entangled in the platen roller as printing continues.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24183호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의 플래튼 롤러(601)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상류측 말려듦 방지 부재(601)와 하류측 말려듦 방지 부재(602)를 설치하는 서멀 프린터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의 말려듦 방지 장치(600)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24183호에서는 플래튼 롤러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의 라벨 말려듦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컷팅유닛(700)과 플래튼 롤러(601) 사이에 라벨 용지가 걸려서 잼이 발생하였을 때는 라벨 용지 잼 현상이 상당히 진행되어 프린터가 정상 작동이 되지 않을 때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되므로, 라벨 용지 잼의 조기 발견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려서 프린터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4183, as shown in FIG. 2, an upstream entanglement prevention member 601 and a downstream entanglement prevention member 601 are installed o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platen roller 601 of the printer, respectively. A curling prevention device 600 for labels without release paper is disclosed in a thermal printer equipped with a curling prevention member 602. However,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4183, it is possible to prevent label entanglement on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of the platen roller, but label paper is prevented between the cutting unit 700 and the platen roller 601. When a jam occurs, the label paper jam progresses significantly and the user can tell when the printer does not operate normally, making early detection of the label paper jam difficult. As a result, the driving motor of the driving means may be overloaded, causing a printer mal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의 플래튼 롤러와 컷팅유닛 사이에 인쇄용지걸림이 발생된 것을 조기에 감지하여 인쇄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플래튼 롤러를 역회전시켜서 인쇄용지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t an early stage that a printing paper jam has occurred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of the printer and to stop the printing operation. The aim is to provide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for a printer that can easily remove a printing paper jam by rotating it in reverse. However, these tasks are illustrative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용지를 연속으로 공급하는 용지공급부, 발열 소자를 구비하는 감열 헤드, 감열 헤드와 맞물려서 회전 구동에 의해 인쇄용지를 이송함과 함께 감열 헤드의 발열 소자에 공급되는 인자(印字) 데이터에 따라 인쇄용지의 표면에 소정의 내용을 인자하는 플래튼 롤러, 인쇄된 인쇄용지를 절단하는 컷팅유닛 및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터에서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는,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컷팅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회동축; 중앙부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의 윤곽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며 상기 플래튼 롤러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인쇄용지 가이드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용지걸림 감지 레버;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의 인쇄용지 가이드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향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 및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컷팅유닛 사이의 인쇄용지 걸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컷팅 유닛 사이에서 인쇄용지 걸림이 발생할 때,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상기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per supply unit that continuously supplies printing paper, a thermal head having a heating element, and a thermal head that engages with the thermal head to transfer the printing paper by rotational drive and supply it to the heating element of the thermal head.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in a printer including a platen roller that prints predetermined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according to the printing data, a cutting unit that cuts the printed printing paper, and a driving unit, is the above. a rotation axis disposed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and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platen roller; The central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printing paper guide that has a contour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n roller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platen roller, and the lower part has an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A paper jam detection lever provided; Elastic means for applying force to direct the printing paper guide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toward the platen roller; and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rinting paper jam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wherein when a printing paper jam occurs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moves the rotating shaft. The sensing means may detect rotation toward the center and generate a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의 연장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센서 감지 돌기 및 상기 센서 감지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감지 돌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sensor detec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and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is accommodated. It may be comprised of a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에서, 상기 감지수단의 센서 감지 돌기가 상기 감지 센서의 수용홈 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할 때는 프린터를 정상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의 센서 감지 돌기가 상기 감지 센서의 수용홈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감지할 때는 신호를 발생시켜 프린터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inter's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of the detection means is detected to be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tection sensor, the printer is operated normally, and the detection means is operated normally. When detecting that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deviates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tection sensor, a signal can be generated to stop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에서, 상기 감지수단의 센서 감지 돌기가 상기 감지 센서의 수용홈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감지할 때는 신호를 발생시켜 프린터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킨 다음에, 상기 센서 감지 돌기가 상기 감지 센서의 수용홈 안으로 복귀될 때까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inter's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cting that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of the detection means deviates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tection sensor, a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After stopping, the platen roller can be reversely rotated until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returns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tection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에서, 상기 센서 감지 돌기가 상기 감지 센서의 수용홈 안으로 복귀된 후 소정 시간동안 상기 플래튼 롤러를 추가로 역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ing paper jams of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n roller can be further reversely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returns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tection sensor.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토글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용지걸림 감지 레버의 연장부가 토글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때는 프린터를 정상 작동시키고,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가 토글스위치로부터 멀어질 때는 프린터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means consists of a toggle switch, and when the extension of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lever presses the toggle switch, the printer operates normally. And, when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moves away from the toggle switch,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an be stopp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에서,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의 인쇄용지 가이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 사이의 간격은 약 0.01mm - 0.05mm의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aper guide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and the platen roller are move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means to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The gap between them can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about 0.01mm - 0.05mm.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전술한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a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에 의하면, 프린터의 플래튼 롤러와 컷팅유닛 사이에 인쇄용지걸림이 발생된 것을 조기에 감지하여 인쇄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플래튼 롤러를 역회전시켜서 인쇄용지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프린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of a printing paper jam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of the printer can be detected early and the printing operation can be stopped, Printing paper jams can be easily removed by rotating the platen roller in reverse, thereby preventing printer failure. However, these effects are illustrative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터에서의 인쇄용지의 끼임상태 해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서멀 프린터에서의 라벨의 말려듦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의 정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에서 플래튼 롤러와 컷팅유닛 사이에 용지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에서 플래튼 롤러와 컷팅유닛 사이에 용지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releasing a jammed state of printing paper in a prin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vice for preventing label entanglement in a thermal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nter to whic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rinter to whic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er to whic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of Figure 6.
Figure 8 is a view similar to Figure 5,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per jam occurring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in a printer equipped wit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per jam occurring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cutting unit in a printer equipped wit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in conjunction with the attached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xample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 Likewise,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called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must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a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rinter to whic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er to which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of Figure 6.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3 to 10,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inter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가 적용된 프린터(1)는 프린터 본체와 프린터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린터 커버는 일측이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린터 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이 걸림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린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린터 본체와 프린터 커버의 걸림수단을 해제하면, 프린터 커버를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회동시켜 프린터 본체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printer 1 to which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composed of a printer body and a printer cover. One side of the printer cover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r body by a hing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printer body by a locking means (not shown). When the locking means of the printer body and the printer cover are released, the upper part of the printer body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printer cover with respect to the printer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가 적용된 프린터(1)는 발열 소자를 구비하는 감열 헤드(10), 감열 헤드와 맞물려서 회전 구동에 의해 인쇄용지(P)를 이송함과 함께 감열 헤드(10)의 발열 소자(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는 인자 데이터에 따라 인쇄용지의 표면에 소정의 내용을 인자하는 플래튼 롤러(20), 인쇄된 인쇄용지를 절단하는 컷팅유닛(30) 및 구동유닛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는 프린터(1)의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rinter 1 to which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thermal head 10 equipped with a heating element, and a thermal head 10 that engages with the thermal head to rotate and drive the printing paper P. A platen roller 20 that prints predetermined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according to the printing data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not shown) of the thermal head 10 along with the transfer, and a cutting machine that cuts the printed printing pap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unit 30 and the driving unit as its main components.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터 본체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프린터 본체에는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 플래튼 롤러(20), 용지이송유닛, 컷팅유닛(30)의 가동날, 구동유닛(도시하지 않음), 제어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프린터 본체의 상부에 힌지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프린터 커버에는 감열 헤드(100), 컷팅유닛(30)의 고정날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동날이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고 고정날이 프린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감열 헤드(10)가 프린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어유닛이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printer body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top, and the printer body includes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 platen roller 20, a paper transfer unit, and a cutting unit. The movable blade of (30), a drive unit (not shown), a control unit (not shown), etc. may be installed. The thermal head 100, the fixing blade of the cutting unit 30, etc.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cove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hinged manner on the upper part of the printer bod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movable blade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cover and the fixed blade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body, the thermal head 10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bod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cover. It may be composed of a configuration that is: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가 적용된 프린터(1)에서 인쇄용지 공급롤(R)이 프린터 본체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쇄용지 공급롤(R)은 프린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과 같이 인쇄용지를 롤 형식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4 and 5, in the printer 1 to which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rinting paper supply roll (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rinting paper supply roll R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can continuously supply printing paper in roll form, such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printer main body.

인쇄용지(P)는 일면이 정보가 인쇄되는 인쇄면을 이루면서 타면이 점착제가 도포되어 물품에 부착되는 점착면을 이루는 것으로, 인쇄유닛에 의해 라벨, 송장 등이 인쇄된 후 컷팅유닛에 의해 절단된다.Printing paper (P) has one side that forms the printing surface on which information is printed, and the other side that is coated with adhesive and forms an adhesive side that is attached to the product. After labels, invoices, etc. are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they are cut by the cutting unit. .

인쇄유닛은 감열 헤드(10)와 플래튼 롤러(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쇄용지(P)는 열에 반응하는 감열지로 구성되어 감열 헤드(10)에 의한 감열 기록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에 반응하는 감열지로 구성된 인쇄용지(P)를 감열 헤드(10)와 플래튼 롤러(20) 사이로 공급하여 협지하고, 플래튼 롤러(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감열 헤드(10)의 발열 소자(도시하지 않음)에 인자(印字)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용지(P)의 표면에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의 라벨 또는 송장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The print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thermal head 10 and a platen roller 20, and the printing paper P is composed of thermal paper that reacts to heat and can be printed using a thermal recording method using the thermal head 10. For example, printing paper (P) made of thermal paper that reacts to heat is supplied and clamped between the thermal head 10 and the platen roller 20, and is transported forward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platen roller 20. At the same time, label or invoice information such as letters, numbers, symbols or shapes can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P by supplying print data to the heating element (not shown) of the thermal head 10.

인쇄유닛은 인쇄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인쇄유닛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감열 헤드(thermal hea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면서 열을 통해 인쇄용지(P)를 감열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인쇄유닛은 잉크젯 인쇄 방식이나 레이저 인쇄 방식 등 공지의 인쇄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inting un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rinting method. For example, the print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thermal head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and generates he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formation can be recorded by heating the printing paper (P) through heat.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may use known printing technologies such as inkjet printing or laser printing,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인쇄용지(P)는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이형지가 없는 라이너리스(linerless)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이형지가 점착제의 상면에 부착되어 컷팅유닛(30)에 의해 절단된 후 이형지가 제거될 수도 있다.The printing paper (P) may be of a linerless type with no release paper on the side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n contrast, a separate release pap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and is cut by the cutting unit 30 to form the release paper. may be removed.

용지이송유닛은, 예를 들어, 인쇄용지(P)를 이송시키면서 인쇄용지(P)의 일면에 라벨 또는 송장 정보를 인쇄시키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P)를 프린터의 컷팅유닛(30)을 향하여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For example, the paper transfer unit prints label or invoice information on one side of the printing paper (P) while transferring the printing paper (P), and moves the printed printing paper (P) to the cutting unit 30 of the printer. It is a component that discharges toward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용지이송유닛은 인쇄용지(P)를 인쇄유닛의 감열 헤드(10)을 플래튼 롤러(20)에 대하여 밀착시킨 상태로,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면서 프린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권취롤러에 회동 가능하게 수납된 용지 공급롤(R)로부터 인쇄용지(P)를 인출하여 컷팅유닛(30)을 향하여 이송시킨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is paper transfer unit transfers the printing paper (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ith the thermal head 10 of the printing unit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n roller 20. While rotating, the printing paper (P) is withdrawn from the paper supply roll (R) rotatably stored in the take-up roll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rinter body and transferred toward the cutting unit (30).

컷팅유닛(30)은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P)를 절단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에서, 컷팅유닛(30)은 가동날과 고정날이 서로 분리 구성되어 가동날이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길로틴(Guillotine)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1)의 커버에 컷팅유닛(30)의 고정날이 고정되고, 프린터(1)의 본체에 설치된 컷팅유닛(30)의 가동날이 고정날에 대하여 왕복운동을 하면서, 고정날의 칼날부와 가동날의 칼날부가 중첩되면서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에 위치되는 인쇄용지(P)를 절단한다.The cutting unit 30 is a component that cuts the printing paper (P) on which printing has been completed by the printing unit. In the prin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unit 30 may be configured in a guillotine manner in which the movable blade and the fixed blad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ovable blade reciprocates in a straight direction. For example, the fixed blade of the cutting unit 30 is fixed to the cover of the printer 1, and the movable blade of the cutting unit 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rinter 1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and is fixed. The blade portion of the blade and the blade portion of the movable blade overlap to cut the printing paper (P) located between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컷팅유닛(30)의 고정날이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고 컷팅유닛(30)의 가동날이 프린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었지만, 고정날이 프린터 본체에 설치되고 가동날이 프린터 커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날과 가동날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고정날과 가동날이 수평으로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4 and 5, the fixed blade of the cutt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printer cover and the movable blade of the cutt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printer body. However, the fixed blade is installed on the printer body and The movable blade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cover.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FIGS. 4 and 5,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are shown as being arranged vertically, but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 device 100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라벨 또는 송장 용지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용지(P)는 배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전면에 라벨 또는 송장 정보가 인쇄되는 것으로, 점착제가 도포된 배면에 이형지가 없는 라이너리스(linerless) 타입이나 이형지가 부착되는 타입이 이용될 수 있다.Printing paper (P) for printing labels or invoices has adhesive applied to the back and label or invoice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front. It is a linerless type or has release paper attached to the adhesive-applied back. Any type can be used.

라이너리스 타입의 인쇄용지(P)나 이형지 타입의 인쇄용지(P)나 모두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P)를 컷팅유닛으로 절단할 때, 인쇄용지(P)의 배면의 점착제의 일부가 컷팅유닛의 고정날이나 가동날에 부착되어 누적되므로, 이로 인하여 인쇄용지(P)의 선단부가 고정날이나 가동날의 점착제 누적부위에 접촉되면서 인쇄용지(P)가 걸리게 되는 현상, 즉 용지 잼(jam)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Since adhesive is applied to the back of both linerless type printing paper (P) and release paper type printing paper (P), when the printed printing paper (P) is cut with a cutting unit, the printing paper (P) Since some of the adhesive on the back of the cutting unit is attached to the fixed or movable blade of the cutting unit and accumulates, the leading edge of the printing paper (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hesive accumulation area of the fixed or movable blade, causing the printing paper (P) to get stuck. A phenomenon called paper jam may occur.

이와 같이, 프린터의 인쇄 동작 중에 용지 걸림이 발생하면, 이를 조기에 감지하여 용지 걸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Likewise, if a paper jam occurs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it is necessary to detect it early and remove the paper j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인쇄용지걸림을 감지하고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의 인쇄유닛의 플래튼 롤러(20)와 컷팅유닛(30) 사이, 즉 플래튼 롤러(20)의 전방과 컷팅유닛(30)의 후방 사이에 배치된다.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detect and remove printing paper jam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rinting unit of the printer 1 It is disposed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that is, between the front of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rear of the cutting unit 3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는 플래튼 롤러(20)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회동축(110), 중앙부가 회동축(110)에 결합되어 회동축 둘레에서 회동하는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를 플래튼 롤러(20)를 향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130), 및 인쇄용지 걸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vot shaft 110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vot shaft. A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coupled to (110) and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an elastic means 130 that applies force to direct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toward the platen roller 20, and printing paper. It may be configured with a detection means 140 that detects a jam.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는 상부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20)의 외주면의 윤곽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며 상기 플래튼 롤러(2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구비된다. 상기 인쇄용지 가이드(121)는 탄성수단(130),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래튼 롤러(20) 쪽을 향하여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탄성수단(130)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 가이드(121)는 상기 플래튼 롤러(20)에 접촉하게 될 수 있는데, 상기 인쇄용지 가이드(121)의 플래튼 롤러(20)를 향하는 면은 상기 플래튼 롤러(20)와 완전히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간격, 예를 들어, 약 0.01mm - 0.05mm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용지 가이드(121)과 상기 플래튼 롤러(20) 사이의 간격을 약 0.01mm 이상으로 설정한 것은 이 간격이 0.01mm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인쇄용지 가이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이물질들이 침투하여 인쇄용지 가이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플래튼 롤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쇄용지 가이드(121)과 상기 플래튼 롤러(20) 사이의 간격을 약 0.05mm 이하로 설정한 것은 통상 인쇄용지(P)의 두께가 약 0.05mm인 것을 고려하여 프린터의 정상 작동하에서 이러한 인쇄용지(P)가 인쇄용지 가이드(121)와 플래튼 롤러(20) 사이로 끼어들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is equipped with a printing paper guide 121 at the top, which has an outline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n roller 20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platen roller 20.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is forced toward the platen roller 20 by an elastic means 130,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By this elastic means 130,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facing the platen roller 20 is the plate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20 is not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roller 20 and is maintained at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about 0.01 mm - 0.05 mm. To maintain this gap, a stopp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The gap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and the platen roller 20 is set to about 0.01 mm or more because if this gap is less than 0.01 mm, foreign substances may penetrate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and the platen roller.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platen roller due to increased friction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and the platen roller.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and the platen roller 20 is set to about 0.05 mm or less considering that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paper P is about 0.05 mm under 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This is to prevent the printing paper (P) from getting caught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and the platen roller (20).

한편,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는 하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2)가 구비되며, 연장부(122)는 인쇄용지 걸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40)에 대향하게 배치되거나 연장부(122)에 상기 감지수단(140)의 일부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중앙부가 회동축(110)에 결합되어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가 회동축(110) 둘레에서 회동할 때,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하부의 연장부(122)는 상부의 인쇄용지 가이드(121)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프린터(1)의 컷팅유닛(30)과 플래튼 롤러(20) 사이에서 인쇄용지걸림이 발생하여 인쇄용지(P)가 인쇄용지 가이드(121)와 플래튼 롤러(20) 사이로 끼어들어가게 되면,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전방(도 8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하측에 위치한 연장부(122)는 후방(도 8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프린터에서 인쇄용지 걸림이 발생하면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가 감지수단(14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것을 감지수단(140)이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수단(140)에서 발생시키는 신호에 의해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정지시킨 다음 플래튼 롤러(20)를 역회전시킨다. 플래튼 롤러(20)를 역회전시키는 것은 인쇄용지(P)를 후방으로 당겨서 플래튼 롤러(20)와 인쇄용지 가이드(121) 사이에 끼어들어간 용지를 인출시키고 컷팅유닛과 플래튼 롤러(20) 사이에서 구겨져서 잼이 발생되어 있는 인쇄용지(P)를 평평하게 펼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프린터(1)의 인쇄용지 걸림 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구동수단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고, 인쇄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rt 122 extending downward at the bottom, and the extension part 122 is disposed opposite to the detection means 140 for detecting a printing paper jam. Some components of the sensing means 140 may be install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2.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0 and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extends. The portion 122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printing paper guide 121. In other words, if a printing paper jam occurs between the cutting unit 30 and the platen roller 20 of the printer 1 and the printing paper P gets stuck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and the platen roller 20. ,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moves forward (to the left in Figure 8), and accordingly, the extension part 122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moves backward (to the right in Figure 8). I do it. Through this operation, when a printing paper jam occurs in the printer, the extension portion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moves away from the detection means 140, and the detection means 140 detects this and generates a signal. .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is stopped or stopped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means 140, and then the platen roller 20 is rotated in reverse. Reversely rotating the platen roller (20) pulls the printing paper (P) rearward to remove the paper sandwiched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and moves the cutting unit and the platen roller (20). This is to flatten the printing paper (P) that is crumpled and jammed in between. Accordingly, by detecting a printing paper jam in the printer 1 at an early st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strain on the driving means and easily remove the printing paper jam.

상기 감지수단(140)은 감지 센서(141)와 센서 감지 돌기(14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감지 돌기(142)는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 센서(141)는 컷팅유닛(30)의 하측에 위치하는 본체 플레이트(50)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 감지 돌기(142)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41)는 상기 센서 감지 돌기(142)가 수용되는 수용홈(141a)을 구비할 수 있다. The detection means 140 may be composed of a detection sensor 141 and a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As shown in FIG. 7,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extension part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nd the detection sensor 141 may be formed on the cutting unit 30. It may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plate 50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disposed to face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The detection sensor 141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41a in which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is accommoda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가 정상작동 상태에 있을 때는, 감지수단(140)의 센서 감지 돌기(142)가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 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 센서(141)가 감지하여 프린터(1)를 계속 작동시킨다.Wit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printer 1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of the detection means 140 is within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The detection sensor 141 detects the location and continues to operate the printer 1.

이에 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20)와 컷팅유닛(30) 사이에서 인쇄용지걸림에 의해 용지 잼이 발생하면, 플래튼 롤러(2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인쇄용지(P)의 구겨짐이 진행되어 플래튼 롤러(20)와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상측의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전방(도 9에서 좌측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면서,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가 회동축(110)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하측의 연장부(122)가 후방(도 9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감지수단(140)의 감지 센서(141)로부터 멀어진다.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하측의 연장부(122)가 감지 센서(14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장부(122)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 감지 돌기(142)가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를 감지 센서(41)가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킨다.In contrast, as shown in FIG. 9, when a paper jam occurs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due to a printing paper jam, as the platen roller 20 continues to rotate, the printing paper ( As the crumpling of P) progresses,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re pushed forward (left arrow direction in FIG. 9), and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axis 110. Accordingly,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moves rearward (to the right in FIG. 9) and moves away from the detection sensor 141 of the detection means 140. As the lower extension part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moves away from the detection sensor 141,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formed on the extension part 122 moves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detection sensor 141. It deviates from (141a), and the detection sensor 41 detects this and generates a signal to stop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의 인쇄과정에서, 인쇄용지걸림 현상이 진행될 수록 용지이송유닛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P)가 컷팅유닛(30)과 플래튼 롤러(20) 사이에 집적되면서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와 플래튼 롤러(20)의 사이로 인쇄용지(P)가 말려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면 프린터(1)의 구동유닛에 무리가 발생되어 프린터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를 이용하면 프린터(1)에서의 인쇄용지걸림을 조기에 감지하여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during the printing process of the printer 1, as the printing paper jam phenomenon progresses, the printing paper P transported forward by the paper transfer unit moves toward the cutting unit 30 and the platen roller. (20), a phenomenon in which the printing paper (P) is rolled up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nd the platen roller 20 may occur. If this phenomenon worsens, strain may occur in the driving unit of the printer 1, which may cause the printer to malfunction. However, by using the printer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ing paper jams in the printer (1) can be detected and removed ear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에 따르면, 프린터(1)에서 인쇄용지걸림이 발생하였을 때,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킨 다음에 플래튼 롤러(20)를 역회전시켜서 인쇄용지(P)를 후방(용지 공급롤(R)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구겨진 인쇄용지를 평평하게 펼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에서는, 인쇄용지걸림이 감지되면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킨 다음에, 센서 감지 돌기(142)가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 안으로 복귀될 때까지 플래튼 롤러(20)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100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inting paper jam occurs in the printer 1,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is stopped and then By rotating the platen roller 20 in reverse, the printing paper (P) can be pulled backwards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pply roll (R)) to spread the crumpled printing paper flat. To this end, in the printer's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inting paper jam is detected,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is stopped, and then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is used. The platen roller 20 can be rotated in reverse until it returns to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감지 수단(140)의 센서 감지 돌기(142)가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에 위치하는 것은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상측의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정상 위치로 복귀한 것을 의미하므로, 인쇄용지걸림 해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인쇄용지의 잼이 발생되면, 인쇄용지(P)의 구겨짐 현상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인쇄용지(P)를 후방으로 좀 더 잡아당겨서 구겨진 용지를 평평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에서는, 인쇄용지걸림이 발생할 때 플래튼 롤러(20)를 역회전시켜서 인쇄용지걸림이 제거되어 센서 감지 돌기(142)가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 안으로 복귀된 후, 소정 시간(t)동안 플래튼 롤러(20)를 추가로 역회전시킬 수 있다.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of the detection means 14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wh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returns to its normal position. This means that the printing paper jam has been resolved. However, if a jam occurs in the printing paper, the crumpling of the printing paper (P) may remain, so it is necessary to pull the printing paper (P) further rearward to flatten the crumpled paper. To this end, in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inting paper jam occurs, the printing paper jam is removed by reversely rotating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 is return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the platen roller 20 can be further reversely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에서, 감지수단(140)은 토글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apparatus 100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printing paper jam in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means 140 may be formed as a toggle switch (not shown).

토글스위치를 이용한 감지수단(140)에서는,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가 토글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때는 프린터(1)를 정상 작동시키고,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가 토글스위치로부터 멀어질 때는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detection means 140 using a toggle switch, the printer 1 operates normally when the toggle switch is pressed, and the extension part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When (122) moves away from the toggle switch,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can be controlled by stopping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에서,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는 상기 플래튼 롤러(20)와 상기 컷팅 유닛(30) 사이의 공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컷팅유닛(30)에서 절단된 인쇄용지(P)의 선단부가 상기 플래튼 롤러(20)에 접촉되어 플래튼 롤러(20) 쪽으로 인쇄용지(P)가 말려들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inter's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is connected to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device. It may be arranged across the space between units 30. As a result, the leading edge of the printing paper (P) cut by the cutting unit (30) contacts the platen roller (20), thereby preventing the printing paper (P) from being rolled up toward the platen roller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가 적용된 프린터(1)에서 라이너리스 타입의 인쇄용지(P)를 사용하여 인쇄를 할 경우, 인쇄용지(P)의 배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의 상부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용지 가이드(121)의 상부면에는 박리성 재료를 사용하여 비점착성을 확보하거나, 그 표면이 박리성(비점착성)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용지 가이드(121)의 상부면에 실리콘 고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용지 가이드(121)의 상부면에 용지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간격이 띄어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printing using linerless type printing paper (P) in the printer (1) to which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back of the printing paper (P) In order to prevent the applied adhesive from stick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 peelable material is u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to ensure non-adhesiveness, or The surface can be treated to make it peelable (non-adhesive). For example, a silicone rubber layer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paper transport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의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인쇄용지(P)의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이형지가 없는 라이너리스(linerless) 타입의 인쇄용지(P) 또는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별도의 이형지가 부착되는 타입의 인쇄용지(P)를 라벨용 프린터를 이용하여 라벨, 송장 등을 인쇄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는 영수증(도시하지 않음) 출력을 위하여 연속 용지를 사용하는 영수증용 프린터(1)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dhesive is applied to the back of the printing paper (P) and there is no release paper on the adhesive-coated side. An example is given of printing labels, invoices, etc. using a label printer using linerless type printing paper (P) or a type of printing paper (P) with a separate release paper attached to the adhesive-coated side. did. However,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aturally be applied to the receipt printer 1 that uses continuous paper to print receipts (not shown).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 프린터 10: 감열 헤드
20: 플래튼 롤러 30: 컷팅유닛
50: 본체 플레이트 100: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110: 회동축 120: 용지걸림 감지 레버
121: 인쇄용지 가이드 122: 연장부
130: 탄성수단 140: 감지수단
141: 감지 센서 141a: 수용홈
142: 센서 감지 돌기 P: 인쇄용지
R: 인쇄용지 공급롤
1: Printer 10: Thermal head
20: Platen roller 30: Cutting unit
50: Body plate 100: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10: Rotating axis 120: Paper jam detection lever
121: Printing paper guide 122: Extension part
130: elastic means 140: sensing means
141: detection sensor 141a: receiving groove
142: Sensor detection protrusion P: Printing paper
R: Printing paper supply roll

Claims (10)

발열 소자를 구비하는 감열 헤드(10), 감열 헤드와 맞물려서 회전 구동에 의해 인쇄용지(P)를 이송함과 함께 감열 헤드의 발열 소자에 공급되는 인자 데이터에 따라 인쇄용지의 표면에 소정의 내용을 인자하는 플래튼 롤러(20), 인쇄된 인쇄용지를 절단하는 컷팅유닛(30) 및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터(1)에서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100)로서,
상기 플래튼 롤러(20)와 상기 컷팅유닛(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20)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회동축(110);
중앙부가 상기 회동축(110)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상기 플래튼 롤러(20)의 외주면의 윤곽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며 상기 플래튼 롤러(2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2)가 구비되는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가 상기 플래튼 롤러(20)를 향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130); 및
상기 플래튼 롤러(20)와 상기 컷팅유닛(30) 사이의 인쇄용지 걸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130)이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와 상기 플래튼 롤러(20) 사이의 간격(G)은 0.01mm - 0.05mm의 범위로 유지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20)와 상기 컷팅 유닛(30) 사이에서 인쇄용지 걸림이 발생할 때,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가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상기 감지수단(140)이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The thermal head 10, which includes a heating element, engages with the thermal head and transports the printing paper P by rotational drive, and creates predetermined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according to the print data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of the thermal head. A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100) in a printer (1) including a platen roller (20) for printing, a cutting unit (30) for cutting printed printing paper, and a driving unit,
It is disposed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A rotation shaft 110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platen roller 20;
The central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110, and the upper portion has a printing paper guide 121 that has an outline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n roller 20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platen roller 20. A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that is provided and has an extension portion 122 extending downward at the lower portion;
Elastic means 130 that applies force to direct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toward the platen roller 20; and
It includes a detection means (140) for detecting a printing paper jam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The gap (G) between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nd the platen roller 20 is cause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means 130 to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remains in the range of 0.01mm - 0.05mm,
When a printing paper jam occurs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the detection means 140 causes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110. Characterized in detecting this and generating a signal to stop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40)은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센서 감지 돌기(142) 및 상기 센서 감지 돌기(142)가 수용되는 수용홈(141a)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감지 돌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1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etection means 140 includes a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extension part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nd a receiving groove 141a in which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is accommodat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etection sensor 141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40)의 센서 감지 돌기(142)가 상기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 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할 때는 프린터(1)를 정상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수단(140)의 센서 감지 돌기(142)가 상기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감지할 때는 신호를 발생시켜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When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of the detection means 140 detects that it is loc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the printer 1 is operated normally, and the sensor of the detection means 140 detects When detecting that the protrusion 142 deviates from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a signal is generated to stop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40)의 센서 감지 돌기(142)가 상기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감지할 때는 신호를 발생시켜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킨 다음에, 상기 센서 감지 돌기(142)가 상기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 안으로 복귀될 때까지 상기 플래튼 롤러(20)를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When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of the detection means 140 detects that it has devi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a signal is generated to stop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and then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is stopp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n roller 20 is reversely rotated until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return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감지 돌기(142)가 상기 감지 센서(141)의 수용홈(141a) 안으로 복귀된 후 소정 시간(t)동안 상기 플래튼 롤러(20)를 추가로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n roller 20 is further reversely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 after the sensor detection protrusion 142 return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1a of the detection sensor 141.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40)은 토글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가 토글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때는 프린터(1)를 정상 작동시키고,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연장부(122)가 토글스위치로부터 멀어질 때는 프린터(1)의 인쇄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nsing means 140 consists of a toggle switch,
When the extension part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is pressing the toggle switch, the printer 1 operates normally, and the extension part 122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moves away from the toggle switch. Characterized by stopping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er (1) when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는 상기 플래튼 롤러(20)와 상기 컷팅 유닛(30) 사이의 공간에 걸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컷팅유닛(30)에서 절단된 인쇄용지(P)의 선단부가 상기 플래튼 롤러(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is disposed across the space between the platen roller 20 and the cutting unit 30, and thereby controls the printing paper cut in the cutting unit 30.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tip of (P) from contacting the platen roller (20).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걸림 감지 레버(120)의 인쇄용지 가이드(121)의 상부면(121a)에는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Characterized in that a silicone rubber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1a) of the printing paper guide 121 of the paper jam detection lever 120.
A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s.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용지걸림 감지 및 제거 장치를 이용하는 프린터.A printer using the printing paper jam detection and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8, and 9.
KR1020230022587A 2023-02-21 2023-02-21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KR102604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587A KR102604532B1 (en) 2023-02-21 2023-02-21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587A KR102604532B1 (en) 2023-02-21 2023-02-21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532B1 true KR102604532B1 (en) 2023-11-22

Family

ID=8897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587A KR102604532B1 (en) 2023-02-21 2023-02-21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500A (en) * 2002-09-20 2004-04-08 Toshiba Tec Corp Printer
JP2010173812A (en) * 2009-01-30 2010-08-12 Brother Ind Ltd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1207074A (en) * 2010-03-30 2011-10-20 Seiko Epson Corp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9204144A (en) * 2018-05-21 2019-11-28 三栄電機株式会社 Ticket-issu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500A (en) * 2002-09-20 2004-04-08 Toshiba Tec Corp Printer
JP2010173812A (en) * 2009-01-30 2010-08-12 Brother Ind Ltd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1207074A (en) * 2010-03-30 2011-10-20 Seiko Epson Corp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9204144A (en) * 2018-05-21 2019-11-28 三栄電機株式会社 Ticket-issu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9805B2 (en) Label printer
JP5769466B2 (en) Adhesive label issuing device and printer
JPH08277046A (en) Paper supply and conveyance device and recorder therewith
US8031216B2 (en) Printer with platen roller guide on thermal head
JP2022173641A (en) thermal printer
EP0872352A1 (en) Image recording device having detachable web roll cassette
JP3061744B2 (en) Label printer
KR102604532B1 (en)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print paper jams in printer
JP5490762B2 (en) Thermal printer
JP2003089247A (en) Auto-cutter and printer comprising it
JP2011110812A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upplying structure for the recording device
CN115503351B (en) printing device
JPS6183073A (en) Paper feed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JP7465774B2 (en) Printer device
JP4412638B2 (en) Thermal activation device for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printer for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JPH10139235A (en) Discharge mechanism of recorder
JP5613703B2 (en) Label peeling device
JP4696552B2 (en) Cutter mechanism and tap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225567B2 (en) Print head and printing apparatus
JP3520383B2 (en) Printer
US20100051665A1 (en) Transportation guide mechanism and recording device having same
JP4308476B2 (en) Printer
JP5355267B2 (en) Recording device
JP2011131569A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upplying structure of recording apparatus
JP7064748B2 (en) Label issu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