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404B1 -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404B1
KR102604404B1 KR1020210055925A KR20210055925A KR102604404B1 KR 102604404 B1 KR102604404 B1 KR 102604404B1 KR 1020210055925 A KR1020210055925 A KR 1020210055925A KR 20210055925 A KR20210055925 A KR 20210055925A KR 102604404 B1 KR102604404 B1 KR 10260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tube
removal device
cured
pus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595A (ko
Inventor
청싱 쉔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식스 피플스 호스피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식스 피플스 호스피탈 filed Critical 상하이 식스 피플스 호스피탈
Publication of KR2022010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25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radially expandable cutting or abrad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16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embolism by dislodg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41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for stripping the intima or the internal plaque from a blood vessel, e.g. for endarterectom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푸시 튜브, 경화반 소파 스텐트, 지주관, 탄성 필터막, 유도관,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는 지주관 겉면에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된 그물 모양의 구조로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말단은 지주관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고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근단은 푸시 튜브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주관은 푸시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로 푸쉬 튜브의 말단으로부터 지주관 말단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외경 변화를 컨트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원추형의 독특한 구조는 스텐트의 진입과 철수 과정에서의 양호한 순응성을 보장하고 손잡이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스텐트의 외경 사이즈를 정확하게 컨트롤하여 스텐트의 지지력을 보장하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가운데 특별히 설계한 그물 구조 유닛은 효과적으로 혈관 내막에 위치한 경화반를 소파하나 정상적인 혈관 내막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PLAQUE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기기 기술영역의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죽상동맥경화증은 전신 계통성으로 진전하는 질병으로 죽상 경화반은 주로 동맥 혈관벽에 형성되며 죽상 경화반이 커져 혈관의 정상적인 혈류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혈관이 지배하는 구역의 조직에 빈혈 증세를 보이게 되며 형성된 죽상 경화반이 파열하면 파열된 경화반 내부의 괴사 물질은 대량의 조직인자 즉 인체내 혈소판을 집결하는 물질을 방출하여 혈관의 완전 혹은 불완전 혈전을 초래하며 임상 표현은 장기에 따라 부동하다. 예를 들면 심장 빈혈은 협심증 혹은 심근경색을 초래하며 뇌혈관 일 경우 대뇌 혈액 공급 부족을 보이며 심지어 뇌경색 혹은 뇌출혈을 초래하게 되고 하지동맥 일 경우 격렬한 통증 혹은 간헐적 파행을 초래하게 된다. 하여 경화반 혹은 혈전으로 차단된 혈류를 회복하는 것은 연관 질병 병변을 치료하는 주요한 방법이며 증세 완화 혹은 완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예후를 개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경화반 소파는 약물치료 외 방향성관상동맥죽종절제술과 고속선마술로 진행한다. 상기 두가지 방식은 회전 절제 장치 혹은 연마 장치를 사용하여 혈관벽으로부터 관상동맥 경화반의 조직을 절제 하거나 분쇄하여 유도관을 이용하여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절제술은 일부 정상적인 조직을 절제하거나 관상동맥을 자르는 등 위험성이 있으며 비교적 가늘거나 굴곡되였거나 칼슘화 된 혈관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고가의 절제 장치와 복잡한 기술적 요구 및 과다한 합병증 등은 해당 기술의 임상 응용에 제한을 주고 있다. 고속선마술은 주로 심하게 칼슘화 된 병변에 적용되며 설비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고 시술자에 대한 기술적 요구도 높으며 일반적인 병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혈관내의 병변 경화반 제거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스텐트 내부의 신생 경화반 혹은 증식된 내막을 소파하는데 적용되며 원가가 낮고 효율이 높으며 조작 방법이 간단한 기술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방향이다.
현존하는 기술의 상기 결함을 해결 하고자 본 발명은 일종의 경화반 소파 장치를 제공하여 혈관내의 병변 경화반 제거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스텐트 내부의 신생 경화반 혹은 증식된 내막을 소파하는데 적용될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술적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기술적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푸시 튜브, 경화반 소파 스텐트, 지주관, 탄성 필터막, 유도관,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는 지주관 겉면에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된 그물 모양의 구조로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말단은 지주관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고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근단은 푸시 튜브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주관은 푸시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로 푸쉬 튜브의 말단으로부터 지주관 말단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외경 변화를 컨트롤 한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는 근단부 스텐트, 요부 스텐트와 말단 스텐트를 포함하며 상기 근단부 스텐트와 상기 말단 스텐트는 원추형 그물 구조로 각각 3~6개의 넓은 버팀대를 포함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넓은 버팀대에서 두개의 가는 버팀대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는 버팀대는 상기 요부 스텐트의 연결 부위와 12~24개의 연결점을 형성하며 상기 요부 스텐트는 관형의 그물 구조로 상기 요부 스텐트에는 12~24개의 능형의 요부 그리드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푸시 튜브의 말단으로 부터 상기 지주관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최장거리보다 짧을 때, 즉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가 펼쳐진 상태일 때 인접된 개의 상기 넓은 버팀대의 협각은 제1협각∠1으로 각도는 5°~20°이고 인접된 두개의 상기 가는 버팀대의 협각은 제2협각∠2으로 각도는 5°~20°이며 상기 요부 그리드의 협각은 제3협각∠3으로 각도는 5°~20°이다.
더 나아가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가 펼쳐진 상태일 때 요부 스텐트의 외경은 2.0mm~3.5mm이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근단과 상기 푸시 튜브는 비녀장 혹은 죔쇠로 연결되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말단과 상기 지주관의 말단은 용접, 접착 혹은 리벳으로 연결 된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는 니티놀 관재료를 조각하여 만든 일체형 관으로 상기 니티놀 관재료의 외경은 1.4mm이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표면에는 예리한 능각이 설치되어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 필터막은 말단 스텐트의 내벽에 피복되어 있으며 봉합, 접착 혹은 용접의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 필터막의 재질은 PET 혹은 ePTFE로 십자편직 혹은 정현편직으로 제조되였으며 그물 구멍의 크기는 50μm~250μm 이며 두께는 10μm~200μm이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손잡이는 루어 테이퍼(Luer taper), 안전잠금 장치, 슬라이드 장치, 스프링 캡, 나사축과 상하 손잡이를 포함한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하 손잡이의 내면은 상기 유도관의 근단에 점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관의 근단은 상기 유도관과 상기 나사축의 내면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나사축 외부면의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슬라이드 장치를 선회시킬때 상기 나사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주관과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와 상기 푸시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푸시 튜브의 근단은 상기 유도관을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나사축의 말단에 접촉되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를 최말단으로 이동시킬때 상기 푸시 튜브의 근단과 상기 스프링 캡이 서로 감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캡을 떠밀면 상기 푸시 튜브는 상기 지주관과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외경을 변경 시킨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스프링 캡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외경은 상기 스프링 캡의 눈금과 일치한다.
현존하는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이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원추형의 독특한 구조는 스텐트의 진입과 철수 과정에서의 양호한 순응성을 보장하고 손잡이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스텐트의 외경 사이즈를 정확하게 컨트롤하여 스텐트의 지지력을 보장하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가운데 특별히 설계한 그물 구조 유닛은 효과적으로 혈관 내막에 위치한 경화반를 소파하나 정상적인 혈관 내막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2. 스텐트의 말단에 필터막을 설치하여 소파된 경화반을 전부 회수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소파 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조작이 간편하며 적확하게 컨트롤 할 수 있어 시술자의 능력에 대한 요구가 낮다.
4. 본 발명의 구성이 간단하여 설비의 원가를 대폭 절하 할 수 있다.
5. 통계에 따르면 2018년도 중국의 관상동맥성심질환 개입 예는 약 915256건으로 평균 1.46개의 스텐트를 이식하였으며 전년도에 사용된 스텐트 수량은 약 133만개 좌우로 2017년도와 비교시 2018년도의 경피적관상동맥개입치료(PCI) 병례는 21.5% 증가 되였고 2020년의 경피적관상동맥개입치료 병례는 100만건을 초과 하였으며 20%의 병변은 경화반 소파술로 치료가 가능하며 매년 약 20만건 이상의 병례는 스텐트 이식을 하지 않고도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임상 응용이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종의 경화반 소파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스텐트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지주관, 푸시 튜브와 유도관의 협력 구조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손잡이 구조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장치가 미세관을 따라 혈관 내벽의 경화반에 접근하는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스텐트가 유도관을 따라 경화반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경화반 소파 스텐트가 경화반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장치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술한 근단은 작업자와 가까이 한 면을 의미하며 말단은 작업자와 가까이 한 면을 의미한다.
실시예1
도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발명은 일종의 경화반 제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푸시 튜브(1), 경화반 소파 지지대(2), 지주관(3), 탄성 필터막(4), 유도관(5),손잡이(6)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도2 내지 도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근단부 스텐트(21), 요부 스텐트(22)와 말단 스텐트(23)를 포함하고 근단부 스텐트(21)와 말단 스텐트(23)는 원추형 그물 구조로 각각 3개의 넓은 버팀대(211)를 포함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분포되어 있으며 넓은 버팀대(211)에서 두 개의 가는 버팀대(212)가 연장되어 있으며 가는 버팀대(212)는 요부 스텐트(22)의 연결 부위와 12개의 연결점을 형성하며 요부 스텐트(22)는 관형의 그물 구조로 상기 요부 스텐트(22)에는 12개의 능형의 요부 그리드를 포함한다. 도2에서는 제1협각, 제2협각, 제3협각을 제시하였으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상태가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협각∠1의 각도는 5°~20°이고 제2협각∠2의 각도는 5°~20°이며 제3협각∠3의 각도는 5°~20°이다. 요부 스텐트(22)의 특별히 설계한 그리드 유닛은 물리화학 처리를 거친 뒤 스텐트 표면에 예리한 능각이 형성되어 혈관 내막에 위치한 경화반를 소파하나 정상적인 혈관 내막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제1협각, 제2협각, 제3협각의 각도는 열정형화 주형으로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으며 스텐트를 열정형화 주형에 고정시킨 뒤 주형을 환기저항로에 넣어 열처리를 한다.
본 실시예 중의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지주관(3) 겉면에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된 그물 모양의 구조로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말단은 지주관(3)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고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근단은 푸시 튜브(1)의 말단에 고장되어 있으며 지주관(3)은 푸시 튜브(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6)로 푸쉬 튜브(1)의 말단으로부터 지주관(3) 말단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외경 변화를 컨트롤한다.
더 나아가서 지주관(3)의 근단은 유도관(5)과 나사축(65)의 내면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슬라이드 장치(63)는 나사축(65) 외부면의 나사산과 맞물려 슬라이드 장치(63)를 선회시킬때 나사축(6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지주관(3)과 경화반 소파 스텐트(2)와 푸시 튜브(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푸시 튜브(1)의 근단은 유도관(5)을 통과하여 손잡이(6)의 내부에 들어가 나사축(65)의 말단에 접촉되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2)가 완전히 푸시 튜브(1)의 외부에 위치할 때 푸시 튜브(1) 근단과 스프링 캡(64)이 서로 감합되어 분해가 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프링 캡(64)을 말단으로 떠밀며 푸시 튜브(1)가 지주관(3)과 상대적으로 말단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화반 소파 스텐트(2)를 천천히 펼쳐 원하는 사이즈로 외경을 변경 시키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2)를 회수 할 때 근단으로 스프링 캡(64)을 떠밀어 최근단에 위치하도록 하면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점차적으로 처음 상태로 돌아오며 푸시 튜브(1)의 근단과 스프링 캡(64)의 배합을 풀어준다.
본 발명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원추형의 독특한 구조는 스텐트의 진입과 철회 과정에서의 양호한 순응성을 보장하고 손잡이를 조작하는 방식은 스텐트의 외경 사이즈를 정확하게 컨트롤 할 수 있어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지지력을 보장한다.
더 나아가서 도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지주관(3), 푸시 튜브(1)와 유도관(5)은 순서대로 내부에서 외부로 겉씌워져 있으며 도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6)는 루어 테이퍼 (Luer taper)(61), 안전잠금장치(62), 슬라이드 장치(63), 스프링 캡(64), 나사축(65)과 상하 손잡이(66)를 포함한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손잡이(6)에 안전잠금장치(62)를 설치하여 리미트 작용을 하며 슬라이드 장치(63)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푸시 튜브(1)는 유연하고 지탱력이 강한 금속, 비금속 혹은 금속과 비금속의 복합재료로 만들어지며 유도관(5)은 3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층의 재질은 PTFE(테프론), 중간층의 재질은 SS304이며 직조권선방법으로 제조 되며 외부 층의 재질은 PEBAX이다.
실시예2
본 발명의 경화반 소파 장치의 구체적인 사용 절차는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에서 지주관3과 푸시 튜브1는 유도관5이 내부에 위치하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다.
스텝 S1에서는 도6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예정된 수술 위치에 작업용 슬리브와 마이크로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며 마이크로 가이드 와이어의 근단은 지주관3에 관입하고 루어 테이퍼61를 통해 관출시키며 경화반 소파 장치의 말단은 마이크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혈관내의 경화반 위치에 도달한다.
스텝 S2에서는 도7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끊임없이 순방향으로 회선하는 슬라이드 장치63와 나사축65을 이용하여 말단으로 이동하며 지주관3과 경화반 소파 스텐트2와 푸시 튜브1를 선도하여 말단으로 이동하게 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2가 완전히 유도관5에서 나와 경화반의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스텝 S3에서는 도8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푸시 튜브1의 근단과 스프링 캡64이 감합하여 고정되어 말단으로 스프링 캡64을 밀어내고 푸시 튜브1는 지주관3과 상응되면서 말단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2가 점차적으로 펼쳐져 스프링 캡64을 이상적인 위치로 밀어내며 이 경우 스프링 캡64의 눈금과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외경 눈금은 일치해야 한다.
스텝 S4에서는 손잡이6를 선회하여 끊임없이 전후로 밀고 당기는 방식으로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위치를 변경하여 경화반을 소파하여 점처적으로 경화반을 분쇄한다.
스텝 S5에서는 경화반 분쇄가 끝난 뒤 근단으로 손잡이6를 끌어당겨 경화반 소파 스텐트2를 근단으로 이동 시켜 분쇄된 경화반을 탄성 필터막4위로 수집한다.
스텝 S6에서는 근단으로 스프링 캡64을 추진시키고 푸시 튜브1는 지주관3과 상응되면서 근단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2를 점차적으로 축소시켜 스프링 캡64이 최근단으로 이동되면 스프링 캡64과 푸시 튜브1의 고정 감합이 해제되며 슬라이드 장치63를 끊임없이 역방향으로 선회시키면 나사축65이 근단으로 이동되고 지주관3과 경화반 소파 스텐트2와 푸시 튜브1를 선도하여 근단으로 이동 시켜 경화반 소파 스텐트2를 완전히 유도관5내부로 회수한 뒤 경화반 소파 장치를 작업용 슬리브에서 꺼낸다.
실시예3
본 실시예는 실시예1의 경화반 소파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며 도9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제조 절차는 다음과 같다.
스텝 S1에서는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제조 방법으로 절단기계를 이용하여 니티놀 관재료를 예정한 형태로 절단하여 스텐트 반제품을 얻으며 환기저항로를 이용하여 열가공을 진행하여 스텐트 반제품을 강제로 펼쳐놓은 뒤 산처리를 거쳐 스텐트 내부 표면의 잔류물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전기화학 연마기를 사용하여 스텐트의 내부와 외부 표면을 연마하여 스텐트를 매끄럽고 날카로운 상태로 만든다.
스텝 S2는 지주관3의 제조 방법으로 관재료을 압출하여 정해진 길이로 자르면 지주관3을 얻을 수 있다.
스텝 S3은 탄성 필터막4의 제조 방법으로 직조권선방법으로 처리한 되 정해진 길이로 자르면 탄성 필터막4을 얻을 수 있다.
스텝 S4는 푸시 튜브1의 제조 방법으로 관재료을 압출하여 정해진 길이로 자르면 푸시 튜브1를 얻을 수 있다.
스텝 S5는 유도관5의 제조 방법으로 관재료을 압출하여 정해진 길이로 자르면 유도관5을 얻을 수 있다.
스텝 S6은 손잡이6의 제조 방법으로 주형 사출 방법으로 부품을 만든 뒤 조립하면 손잡이6를 얻을 수 있다.
스텝 S7에서는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말단과 지주관3의 말단을 용접하고 탄성 필터막4과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말단부 스텐트23의 내벽을 접착시키며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근단과 푸시 튜브1의 말단을 용접하고 유도관5의 근단과 손잡이6의 말단을 접착 시키며 지주관3의 근단과 나사축65을 접착 시킨다.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실시 방법과 보호범위에 제한 되지 않는다. 본 영역의 기술인원은 본 발명의 진실된 의도와 범위의 전체 변화와 수정을 포함한 내용으로 간주 할 수 있으며 특허청구 범위내 모든 등가의 범위와 내용은 모두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내에 소속된 사항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면에 표기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푸시 튜브, 2-경화반 소파 스텐트, 3-지주관, 4-탄성 필터막, 5-유도관, 6- 손잡이, 21-근단부 스텐트, 211-넓은 버팀대, 212-가는 버팀대, 22-요부 스텐트, 23-말단 스텐트, 61-루어 테이퍼, 62-안전잠금장치, 63-슬라이드 장치, 64-스프링 캡, 65-나사축, 66-상하 손잡이, ∠1-제1협각, ∠2-제2협각, ∠3-제3협각.

Claims (10)

  1. 푸시 튜브(1), 경화반 소파 스텐트(2), 지주관(3), 탄성 필터막(4), 유도관(5),손잡이(6)를 포함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로서,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지주관(3) 겉면에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된 그물 모양의 구조로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말단은 지주관(3)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고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근단은 푸시 튜브(1)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주관(3)은 푸시 튜브(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로 푸쉬 튜브(1)의 말단으로부터 지주관(3) 말단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외경 변화를 컨트롤하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근단부 스텐트(21), 요부 스텐트(22)와 말단 스텐트(23)를 포함하고,
    상기 근단부 스텐트(21)와 상기 말단 스텐트(23)는 각각 원추형 그물 구조로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분포된 3~6개의 넓은 버팀대(211)를 포함하고 상기 넓은 버팀대(211)에서 두 개의 가는 버팀대(212)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는 버팀대(212)는 상기 요부 스텐트(22)의 연결 부위와 12~24개의 연결점을 형성하며 상기 요부 스텐트(22)는 관형의 그물 구조로 상기 요부 스텐트(22)에는 12~24개의 능형의 요부 그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는 상기 푸시 튜브(1)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지주관(3)의 말단까지의 거리가 최장거리보다 짧을 때 즉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가 펼쳐진 상태일 때 인접된 두 개의 상기 넓은 버팀대(211)의 협각은 제1협각∠1으로 각도는 5°~20°이고 인접된 두 개의 상기 가는 버팀대(212)의 협각은 제2협각∠2으로 각도는 5°~20°이며 상기 요부 그리드의 협각은 제3협각∠3으로 각도는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의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는 니티놀 관재료를 조각하여 만든 일체형 관으로 상기 니티놀 관재료의 외경은 1.4mm, 길이는 1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의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표면에는 예리한 능각이 설치되어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의 상기 탄성 필터막(4)은 말단 스텐트(23)의 내벽에 피복되어 있으며 봉합, 접착 혹은 용접의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의 상기 탄성 필터막(4)의 재질은 PET 혹은 ePTFE로 십자편직 혹은 정현편직으로 제조되었으며 그물 구멍의 크기는 50μm~250μm이며 두께는 10μm~2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의 상기 손잡이(6)는 루어 테이퍼 (Luer taper)(61), 안전잠금장치(62), 슬라이드 장치(63), 스프링 캡(64), 나사축(65)과 상하 손잡이(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손잡이(66)의 내면은 상기 유도관(5)의 근단에 점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관(3)의 근단은 상기 유도관(5)과 상기 나사축(65)의 내면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장치(63)는 상기 나사축(65) 외부면의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슬라이드 장치(63)를 선회시킬 때 상기 나사축(6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주관(3)과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와 상기 푸시 튜브(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푸시 튜브(1)의 근단은 상기 유도관(5)을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6)의 내부에 들어가 상기 나사축(65)의 말단에 접촉되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를 최말단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푸시 튜브(1)의 근단과 상기 스프링 캡(64)이 서로 감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캡(64)을 떠밀면 상기 푸시 튜브(1)는 상기 지주관(3)과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경화반 소파 스텐트(2)의 외경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반 제거 장치의 상기 푸시 튜브(1)는 유연하고 지탱력이 강한 금속, 비금속 혹은 금속과 비금속의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관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반 제거 장치.
KR1020210055925A 2021-01-15 2021-04-29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 KR102604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056375.XA CN112932612A (zh) 2021-01-15 2021-01-15 一种斑块清除装置
CN202110056375.X 2021-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95A KR20220103595A (ko) 2022-07-22
KR102604404B1 true KR102604404B1 (ko) 2023-11-20

Family

ID=7623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925A KR102604404B1 (ko) 2021-01-15 2021-04-29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93541B2 (ko)
EP (1) EP4029459A1 (ko)
JP (1) JP7200290B2 (ko)
KR (1) KR102604404B1 (ko)
CN (1) CN1129326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3002B (zh) * 2021-10-08 2023-05-23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取石网篮及其操作方法
CN114191036B (zh) * 2021-12-10 2024-02-02 晨兴(南通)医疗器械有限公司 经导管肺动脉取栓器及取栓系统
CN115644992B (zh) * 2022-11-08 2024-03-22 上海珩畅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血栓取栓支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9645A1 (en) 2005-04-07 2006-10-12 Possis Medical, Inc. Cross stream thrombectomy catheter with flexible and expandable cage
US20110213403A1 (en) 2010-02-23 2011-09-01 Maria Aboytes Devices and methods for vascular recanalization
JP2018538027A (ja) * 2015-10-23 2018-12-27 イナリ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閉塞の血管内処置および関連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531802A (ja) * 2016-09-19 2019-11-07 シーティーアイ バスキュラー アーゲーCTI Vascular AG 血管性疾患および非血管性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4673A1 (en) * 1997-02-12 1998-08-13 Prolifix Medical, Inc. Apparatus for removal of material from stents
US6355051B1 (en) * 1999-03-04 2002-03-12 Bioguide Consulting, Inc. Guidewire filter device
ATE361027T1 (de) * 2000-02-01 2007-05-15 Harold D Kletschka Angioplastievorrichtunng
CA2737653C (en) * 2008-09-22 2018-02-27 Hotspur Technologies, Inc. Flow rest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US8357179B2 (en) * 2009-07-08 2013-01-22 Concentric Medical, Inc. Vascular and bodily duct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10383644B2 (en) * 2013-10-17 2019-08-20 Covidien Lp Mechanical thrombectomy with proximal occlusion
JP6368291B2 (ja) * 2015-10-20 2018-08-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10898221B2 (en) * 2015-10-30 2021-01-26 Terumo Kabushiki Kaisha Device handle for a medical device
US10737058B2 (en) * 2016-12-28 2020-08-11 Ethicon Llc Rigid and flexible laparoscopic multiple component material dispensing devices and methods
US9848906B1 (en) * 2017-06-20 2017-12-26 Joe Michael Eskridge Stent retriever having an expandable fragment guard
JP2020062320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20062317A (ja) * 2018-10-19 2020-04-2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20200146852A1 (en) * 2018-11-13 2020-05-14 Icad Endo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retrievable st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9645A1 (en) 2005-04-07 2006-10-12 Possis Medical, Inc. Cross stream thrombectomy catheter with flexible and expandable cage
US20110213403A1 (en) 2010-02-23 2011-09-01 Maria Aboytes Devices and methods for vascular recanalization
JP2018538027A (ja) * 2015-10-23 2018-12-27 イナリ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閉塞の血管内処置および関連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531802A (ja) * 2016-09-19 2019-11-07 シーティーアイ バスキュラー アーゲーCTI Vascular AG 血管性疾患および非血管性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6015A1 (en) 2022-07-21
KR20220103595A (ko) 2022-07-22
JP7200290B2 (ja) 2023-01-06
EP4029459A1 (en) 2022-07-20
CN112932612A (zh) 2021-06-11
JP2022109851A (ja) 2022-07-28
US11793541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404B1 (ko) 일종의 경화반 제거 장치
US20210378694A1 (en) Recapturable funnel cathet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7572272B2 (en) Embolic filtering devices for bifurcated vessels
AU2010289659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blation, crossing, and cutting of occlusions
US7344549B2 (en) Expandable cages for embolic filtering devices
US9114031B2 (en) Method for treating a target site in a vascular body channel
US7241304B2 (en) Flexible and conformable embolic filtering devices
US7468052B2 (en) Treatment of stenotic regions
EP1825824A1 (en) Minimally invasive intravascular treatment device
WO2004105646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tenotic regions
US2020012133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Obstruction Retrieval and Treatment
CN109394307A (zh) 一种血管内钙化斑或钙化环超声波研磨装置
WO2005120626A2 (en) Intravascular catheter delivery system
JP2021069933A (ja) 血栓除去及びステント留置システム
EP1390095A2 (en) Exchangeable catheter
CN216394193U (zh) 一种用于治疗动脉粥样硬化闭塞症的切割装置
CN209315996U (zh) 一种血管内钙化斑或钙化环超声波研磨装置
JP2020163121A (ja) 治療方法
CN213406212U (zh) 用于疏通血管堵塞的旋切装置
US20230270460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ving occlusions from a vascular vessel
CN118105133A (zh) 一种介、植入医疗器械的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