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371B1 -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371B1
KR102604371B1 KR1020230028160A KR20230028160A KR102604371B1 KR 102604371 B1 KR102604371 B1 KR 102604371B1 KR 1020230028160 A KR1020230028160 A KR 1020230028160A KR 20230028160 A KR20230028160 A KR 20230028160A KR 102604371 B1 KR102604371 B1 KR 10260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extract
composition
caus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복
Original Assignee
(주)엘파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파운더 filed Critical (주)엘파운더
Priority to KR102023002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apaver rhoeas having the effects of inhibiting inflammatory response to fine dusts}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급격한 산업화 및 공업화와 도시 집중화로 인해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으며, 특히 국민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을 미치는 미세먼지 농도가 매년 급속히 증가하여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면서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장거리 이동 오염 물질의 기여도를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약 30~50%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특히 기상 상황이 서풍 또는 북서풍 계열일 경우 국내 미세먼지(PM10) 농도는 평균 44.5%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자는 최근 몇 년 사이에 30% 이상 급증하였다. 중국에서 난방 시작과 동시에 치명적인 유해물질이 섞인 미세먼지가 국내에 유입되기 시작한 지 석 달째, 국내 대형병원에는 만성기관지염과 같은 만성폐쇄성 폐 질환 환자들이 2012년 같은 기간에 비해 최고 30% 가량 급증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미세먼지로 인해 수도권에서 하루 3~4명이 추가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은 주로 모세 기관지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하는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의 특성으로 환절기에 호흡기 질환의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개양귀비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그 학명이 'Papaver rhoeas'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양귀비과 양귀비속에 속하는 식물로 개양귀비, 꽃양귀비로 불리며 원산지는 유럽이며 세계적으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며 마약 성분이 없는 안전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양귀비과는 주로 북반구의 아열대와 한대에 약 30속 50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6속 23종이 분포되어 있다. 2년생 초본 식물로서 줄기의 길이는 30~90cm이다. 꽃은 지름이 5cm 이상이고 가지 끝에 달리며 피지 않는 꽃봉오리는 아래로 향한다. 꽃의 색은 적갈색이거나 심자색, 적색 등이지만 백색이거나 연한 홍색인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짙은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마주 보고 있는 2개의 꽃잎은 다른 2개의 꽃잎보다 조금 크며, 수술은 많고, 중앙에 암술이 있고 씨방은 거꿀달걀꼴이며 길이는 1.3cm 가량으로, 암술 머리는 방사상이고 씨방 꼭대기에 덮여 있다.
개양귀비의 잎에 항암, 항염, 항진통은 물론 항산화에도 효과가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꽃양귀비 잎에 암세포를 억제하고 경련을 가라앉히는 켈리도닌(chelidonine), 항암, 소염,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프로토핀(protopine), 최면제나 진통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립토핀(cryptopine) 등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한 염증의 억제 또는 완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출원인은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 반응에 대한 기능성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개양귀비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고,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에 완성하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특허문헌 1 : KR 10-2425728 B1 (2022.07.22) "흰꽃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특허문헌 2 : KR 10-2221033 B1 (2021.02.22)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문헌 3 : KR 10-2171133 B1 (2020.10.22)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로서, 유효성분으로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흰색 또는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을 사용한다.
개양귀비는 크게 흰색, 노란색, 붉은색 등이 있으며, 노란색의 경우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흰색과 붉은색 모두 생물 소재로서 유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식물에서 색과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붉은색 꽃에 더욱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안토시아닌은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독성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을 사용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상온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또는 냉침추출에 의한다.
특히, 개양귀비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토핀은 세포독성으로 인해 섭취시 주의가 필요한 성분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성분이 잘 녹지 않는 물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개양귀비 꽃잎을 채취한 뒤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상기 건조된 꽃잎은 1:100의 비율로 30 내지 80℃로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물을 이용하여 30분 동안 열수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침 추출은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침출·교반하여 냉침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 단계, 여과 단계, 동결건조 단계를 거쳐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양귀비 추출물은 1 내지 1000 μg/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일반식품, 식품첨가물, 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또는 의약품이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용액, 현탁액, 타블렛, 그래뉼 또는 파우더의 형태일 수 있다.
미세먼지는 직경에 따라 PM10과 PM2.5 등으로 구분하며, PM10(미세먼지)은 1000분의 10mm보다 작은 먼지이며, PM2.5(초미세먼지)는1000분의 2.5mm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직경(약 60㎛)의 1/20~1/30 크기보다 작은 입자이다.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생성물질은 대기오염물질을 대기에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과 자동차, 선박, 건설기계 등에 의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먼지는 산업 공정 및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금속 또는 금속염(납, 망가니즈, 니켈, 아연 등), 가정 및 산업 난방 과정에서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나프탈렌, 벤젠, 벤조피렌, 플루오렌 등)로 이루어진 미세먼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과 차별화된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의 억제 또는 완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별 개양귀비 추출물의 추출된 색소의 양을 나타낸 사진이다(B1, 30℃; B2, 40℃; B3, 50℃; B4, 60℃; C1, 70℃; C2, 8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서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 1] 개양귀비 추출물 제조
개양귀비 꽃잎은 채취한 뒤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꽃잎은 1:100의 비율로 30 내지 80℃로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30분간 추출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 결과 30 내지 60℃ 구간에서는 온도에 따라 추출된 색소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의 구간에서는 온도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량 역시 증가하며 80℃에서 최고 추출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세포독성평가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RAW 264.7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45 mL, FBS 50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200 μL, 2×104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5 mg/mL MTT solution을 20 μL 분주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보라색 결정에 주의하며 배양 상층액을 제거한 뒤 DMSO로 결정을 재용해 시킨 뒤 56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모든 시료 100 μg/mL 농도에서 80% 기준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실험예 2] 미세먼지에 의한 독성 감소 평가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RAW 264.7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45 mL, FBS 50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2×104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세 종류의 미세먼지(PM10 PAH, ERM-CZ100; PM2.5, ERM-CZ110; PM10 metal, ERM-CZ120)를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동시에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5 mg/mL MTT solution을 20 μL 분주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보라색 결정에 주의하며 배양 상층액을 제거한 뒤 DMSO로 결정을 재용해 시킨 뒤 56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내었다.
PM10 PAH의 경우 100 μg/mL로 처리 시 약 57%의 세포가 사멸하나 개양귀비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 최대 99%로 나타나 PM10 PAH에 의한 세포 독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M2.5의 경우 100 μg/mL로 처리 시 약 85%의 세포가 사멸하나 개양귀비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 최대 45%로 나타나 PM2.5에 의한 세포 독성을 약 60% 수준으로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PM10 metal의 경우 100 μg/mL로 처리 시 약 42%의 세포가 사멸하나 개양귀비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 최대 100%로 나타나 PM10 metal에 의한 세포 독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종류의 미세먼지는 각각 다른 기전을 통해 세포 독성을 유발하며 이는 피부의 노화, 호흡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체내로 흡수된 미세먼지는 인체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양귀비는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M10에서는 금속 물질 위주 미세먼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위주 미세먼지 모두에서 최대 99%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미세먼지에 의한 독성 대부분을 방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60 내지 70℃로 추출된 개양귀비 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3]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감소 평가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RAW 264.7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45 mL, FBS 50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2×104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세 종류의 미세먼지(PM10 PAH, ERM-CZ100; PM2.5, ERM-CZ110; PM10 metal, ERM-CZ120)를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동시에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Griess reagent에 반응시켜 염증반응에 의해 생성된 nitric oxide의 농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6 내지 표 8에 나타내었다.
PM10 PAH의 경우 100 μg/mL로 처리 후 개양귀비 처리 시 nitric oxide 생성률을 최대 32% 감소시킬 수 있어, PM10 PAH에 의한 염증을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M2.5의 경우 100 μg/mL로 처리 후 개양귀비 처리 시 nitric oxide 생성률을 최대 10% 감소시킬 수 있어, PM10 PAH에 의한 염증을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M10 metal의 경우 100 μg/mL로 처리 후 개양귀비 처리 시 nitric oxide 생성률을 최대 48% 감소시킬 수 있어, PM10 PAH에 의한 염증을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종류의 미세먼지는 독성과 마찬가지로 각각 다른 기전을 통해 염증을 유발하며 이는 염증성 노화를 비롯한 여러 염증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염증에 의해 생성된 대사물질은 신체 전반에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개양귀비는 이러한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M10에서는 금속 물질 위주 미세먼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위주 미세먼지 모두에서 최대 48%의 염증 억제율을 보여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60 내지 70℃로 추출된 개양귀비 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의 60 내지 70℃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프로토핀(protopine)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PM10 금속 물질 또는 PM10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에 의한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에 대한 독성을 감소시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 및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8160A 2023-03-03 2023-03-0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KR10260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160A KR102604371B1 (ko) 2023-03-03 2023-03-0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160A KR102604371B1 (ko) 2023-03-03 2023-03-0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371B1 true KR102604371B1 (ko) 2023-11-23

Family

ID=8897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160A KR102604371B1 (ko) 2023-03-03 2023-03-0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3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33B1 (ko) 2019-01-14 2020-10-28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1033B1 (ko) 2019-07-17 2021-02-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5728B1 (ko) 2019-12-12 2022-07-27 대한민국 흰꽃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33B1 (ko) 2019-01-14 2020-10-28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1033B1 (ko) 2019-07-17 2021-02-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5728B1 (ko) 2019-12-12 2022-07-27 대한민국 흰꽃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2021) 199:371-381 (2021) 1부.* *
J Korean Med Assoc 57(9: 763-768 (2014.9.) 1부.* *
관상용양귀비의 항염증 의약소재 발굴을 위한 연구 (2020.6.11.)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thitirat et al.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con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acne inducing bacteria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mangosteen fruit rind at two stages of maturity
Sharma et al. Comparative in vitro antimicrobial and phytochemical evaluation of methanolic extract of root, stem and leaf of Jatropha curcas Linn
Arsene et al. Study 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ethanolic extract of Humulus lupulus
Genilar et al. Mangroves and their medicinal benefit: A mini review
Polash et al. Phytochemical contents,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of Centella asiatica (L.) Urb. leaf and stem
Bissa et al. Antibacterial potential of three naked-seeded (Gymnosperm) plants
Thanh et al. Silver nanoparticles (AgNPs) fabricating potential of aqueous shoot extract of Aristolochia bracteolata and assessed their antioxidant efficiency
Elkhateeb et al. Evaluation of bioactive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hemolytic properties of some seaweeds collected from Red Sea coast, Egypt..
KR20140132833A (ko) 참털비말 및/또는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및 항염증 활성 조성물
KR102604371B1 (ko)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Umoh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hytochemical contents of dry and fresh leaves of Sansevieria trifasciata Prain
Yang et al.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y from olea leaf extract depended on seasonal variations and chromagraphy treatment
Gavra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ROSA X DAMASCENA MILL. CULTIVATED IN THE WESTERN REGION OF ROMANIA.
Vinueza et al. Oreocallis grandiflora photoprotective effect against ultraviolet B radiation-induced cell death
KR20080010720A (ko) 생리활성을 갖는 애기달맞이 추출물
Manoharan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icroencapsulated Elaeocarpus tectorius (Lour.) Poir leaf extracts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5461B1 (ko)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Ghosh et al.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of Citrus aurantifolia peel
Keziah et al. Effect of heavy metals and UV irradiation on the production of flavonoids in Indigofera tinctoria
Milkova-Tomova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Sambucus nigra L. under different conditions
CN108743441A (zh) 消炎化瘀婴幼儿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Chunthanom et al. Biochem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ai medicine herbal infusions.
Pandey Castenea Sativa Mill-A review on it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Horozić et al. Tussilago farfara 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otential of extracts in in vitro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