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64B1 -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 Google Patents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64B1
KR102604264B1 KR1020220071225A KR20220071225A KR102604264B1 KR 102604264 B1 KR102604264 B1 KR 102604264B1 KR 1020220071225 A KR1020220071225 A KR 1020220071225A KR 20220071225 A KR20220071225 A KR 20220071225A KR 102604264 B1 KR102604264 B1 KR 102604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ariable
housing
storage device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원돈
주성린
정지한
주상규
Original Assignee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6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외형 혹은 부피에 상응하도록 다수 개로 분할된 가변 지지대들이 배터리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인출됨으로써, 배터리 외형이나 부피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storage system applied with a variable fixing method that can stably fix the battery regardless of the battery's external shape or volume by drawing out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divided into multiple pieces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and surrounding the side part of the battery. It's about devices.

Description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Battery storage device with variable fixation method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본 발명은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의 외형 혹은 부피에 상응하도록 다수 개로 분할된 가변 지지대들이 배터리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인출됨으로써, 배터리 외형이나 부피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에 관한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storage device to which a variable fixing method is applied. More specifically, the variable supports divided into multiple piece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are drawn out in a form surrounding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thereby changing the outer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This relates to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that can stably fix the battery regardless of the device.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생산 공장에서 테스트 장소로 이동되거나, 생산 공장 내의 각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면서 조립 생산되게 되며, 조립된 배터리는 원하는 다른 공장으로 운반된다. 이때, 배터리는 조금의 흔들림 혹은 충격에도 셀이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손상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운반하여야 한다.Generally, batteries are assembled and produced by being moved from a production plant to a test site or transported to each assembly line within the production plant, and the assembled batteries are transported to another desired factory. At this time, since the cells of the battery can be easily damaged by even the slightest shaking or impact, it must be transported safely to avoid damage or breakage.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배터리의 외형 혹은 부피에 맞게 규격화 된 운반 트레이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각 배터리 종류 별, 배터리 외형 별, 배터리 부피 혹은 크기 별로 그에 맞는 운반 트레이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For this purpose, conventionally, transport trays standardized to suit the external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are used, but this is less efficient in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nsport trays suitable for each battery type, battery external shape, and battery volume or size. There was a problem.

한국등록특허 제10-1011258호Korean Patent No. 10-1011258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외형 혹은 부피에 상응하도록 다수 개로 분할된 가변 지지대들이 배터리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인출됨으로써, 배터리 외형이나 부피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he variable supports divided into multiple pieces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are drawn out in a form surrounding the side part of the battery,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battery regardless of the external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We would like to provide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that can b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는 내측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전체 영역에 다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변 지지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터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체 가변 지지대(120) 중 배터리 하중이 감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가변 지지대(120) 들이 상측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해당 배터리의 측면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housing 110 where a battery is accommodated on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units are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each of which is arrang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It includes a variable support 120 that can be pulled out or retracted, and with the battery seat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remaining variable supports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battery load is sensed among the entire variable supports 120 As (120) is drawn upward, the side of the battery can be supported and fix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to be open and closed in one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하나 이상의 가변 지지대(120)가 인출된 상태에서, 별도의 개방(open)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이상 강제 개방이 불가하도록 전자식 개폐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10 may be controlled by an electronic opening/closing method so that forced opening is not possible when one or more variable supports 120 are pulled out unless a separate open signal is appli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상기 가변 지지대(120)를 일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collectively pull out the variable supports 120 in an upward direction or retract them in a downward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변 지지대(120)를 일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or collectively withdrawing the variable support 120 in the upward direction or retracting it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지지대(120)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된 영역이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support 120 is divided into at least four or more parts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and each divided area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independently withdrawn or retrac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일측 말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힌지(hinge)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말단부는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되는 다수 개의 사이드 지지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ide supports 130 in which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 may further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가변 지지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전체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격자(Lattice) 배열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배터리의 측면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의 측면이 상기 간격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are arranged in a lattice arrangement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ntir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side supports 130 support the hinge. In the process of being rotated around the axis to face the side of the battery, the side of the side support 130 may be fitted into the ga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de support 130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able leng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의 말단부 중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되는 말단부는 배터리의 측면 각도에 상응하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side support 13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may be provided so that its angle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side angle of the batter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의 외형 혹은 부피에 상응하도록 다수 개로 분할된 가변 지지대들이 배터리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인출됨으로써, 배터리 외형이나 부피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are drawn out to surround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stably fixing the battery regardless of the outer shape or volume of the battery.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 개의 사이드 지지대를 통해 배터리 측면부를 중심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배터리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has the advantage of being stably supported and fixed without shaking by pushing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toward the center through a plurality of side suppo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가변 지지대(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각 가변 지지대(120)가 적어도 4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가변 지지대(120)를 통해 배터리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이드 지지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이드 지지대(130)를 통해 배터리 측면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사이드 지지대(130)를 통해 다수 개의 배터리 측면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form of a battery storage device 100 to which a variable fixing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variable support 120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variable support 120 is divided into at least four regions.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fixed through the variable support 120.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ide support 130 in more detail.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of the battery is fixed through the side support 130.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s of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fixed through the side supports 130.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low,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form of a battery storage device 100 to which a variable fixing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100)는 내측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하우징(110), 배터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가변 지지대(120),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수 개의 가변 지지대(120)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 및 배터리의 측면을 지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다수 개의 사이드 지지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Figure 1, the battery storage device 100 to which the variable fix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housing 110 inside which a battery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supporting the batteries, and a user termin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ttery, and a plurality of side supports 130 that support the sides of the battery and fix it so that it does not move. there is.

먼저, 하우징(110)은 운반이 필요한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내측 공간을 구비하며, 내측에 배터리가 수용 및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housing 110 has an inner space of sufficient size to accommodate a battery that needs to be transported, and is formed so that the battery can be accommodated and seated inside.

이때, 하우징(110)의 일측(상측면 혹은 측면)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배터리를 하우징(110) 내에 보관하거나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one side (top or side) of the housing 1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which the battery can be stored in the housing 110 or taken out to the outside.

하우징(110)의 개폐 구조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별도의 개방(OPEN) 신호 혹은 폐쇄(CLOSE) 신호를 받는 경우 개폐 동작이 진행될 수도 있고, 혹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개폐 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해서도 개폐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housing 110 may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when a separate OPEN or CLO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o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ay also be performed by operating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switch (not shown).

특히, 하우징(110) 내부의 가변 지지대(120)가 상측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이는 배터리가 보관된 상태를 의미함)에서는 별도의 개방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한 강제 개방이 불가하도록 전자식 개폐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가 보관된 상태에서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해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가 하우징(110) 외부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variable support 120 inside the housing 110 is pulled out upward (this means the battery is stored), an 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is used to prevent forced opening unless a separate opening signal is applied. I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unexpected external force while the battery is stored, as well as to prevent the battery from leaving the housing 110.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개폐 영역은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aled structure to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에는 하우징(110) 내부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입시켜 내부 압력을 상대적으로 양압(Positive pressure)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방지하는 양압 형성용 컴프레셔(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개폐 영역의 밀폐력이 다소 저하되더라도 양압 형성용 컴프레셔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 압력이 양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배터리가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확률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재질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air is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to make the internal pressure relatively positive, thereby preventing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housing 110. A compressor (not shown) for forming positive pressure to prevent the source may be provided. Therefore, even if the sealing for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of the housing 110 is somewhat reduc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using 110 can be maintained in a positive pressure state by the compressor for forming positive pressure, thereby dramatically reducing the probability of the battery being contaminated by external foreign substances. There will be. The material of this housing 110 may be a metal material to safely protect the battery from strong external impacts.

다음으로, 가변 지지대(12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입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혹은 바닥면을 향해 인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variable support 120 is basically maintained in a state retracted in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withdrawn upward or retrac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depending on an input operation signal. This will be looked at in more detail through FIGS. 2 to 4.

도 2는 가변 지지대(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각 가변 지지대(120)가 적어도 4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가변 지지대(120)를 통해 배터리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variable support 120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each variable support 120 divided into at least four regions,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variable support 120 through the variable support 120.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fixed.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가변 지지대(120)는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전체 영역에 다수 개가 골고루 배열되며, 특히 각각의 가변 지지대(1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격자(Lattice) 배열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때, 일정 간격 사이에는 후술되는 사이드 지지대(13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이 간격은 매우 타이트하게 설계됨으로써 사이드 지지대(130)의 끼움 결합 시 결속력이 높아지게 된다.2 to 4,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are evenly arranged throughout the entir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in particular, each variable support 120 is arranged in a lattic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prepared to achieve. At this time, side supports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itted between certain intervals. Accordingly, the gap between each side is designed to be very tight,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hen the side supports 130 are fitted together.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가변 지지대(120)는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인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된 동작 스위치의 조작 시 일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측에 안착된 배터리와 간섭이 발생되는 가변 지지대(120)는 상측으로 인출되지 않고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가변 지지대(120)의 상측에 일정 하중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배터리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변 지지대(120)들이 일제히 상측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배터리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가변 지지대(120) 들이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ile the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y are collectively pulled out upward when the operation swit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variable support 120, which interferes with the battery seated on the upper side, is maintained in a retracted state rather than being pulled out to the upper side. This is because when a certain load is dete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variable support 120, it can be recognized as a battery. Except for this, the remaining variable supports 120 are pulled upward all at once, resulting in a variable shape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battery. The supports 120 come up.

이러한 점은, 배터리의 크기가 작던지 크던지 관계없이,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영역에 들어오는 위치라면 모든 배터리의 지지 및 고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regardless of whether the size of the battery is small or large, all batteries can be supported and fixed at any location that enters the inner bottom surface area of the housing 110.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각각의 가변 지지대(120)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분할된 형태를 가지며, 각 분할된 영역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가변 지지대(120)가 더욱 세밀하게 분할됨으로써 배터리의 외측을 더욱 촘촘하게 감쌀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배터리가 직사각형, 정사각형이 아닌, 측면에 곡형인 경우 각 분할된 영역 중에서 배터리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영역만이 상측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배터리 외측을 빈틈없이 촘촘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each variable support 120 is divided into at least four parts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and each divided region can be independently pulled out or retrac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is means that the variable support 120 can be divided more finely, thereby wrapping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re tightly. In particular, when the battery is not rectangular or square, but has a curved side, only the area where the battery load is not applied among each divided area is drawn upward, so that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n be tightly wrapped and fixed without any gaps.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하여 가변 지지대(120)를 일괄적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가변 지지대(120)에 인가되도록 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based o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or collectively withdrawing or retracting the variable support 120 and applies it to the variable support 120.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통신부에서는 동작 스위치와 별개로, 사용자 단말과 원격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가변 지지대(120)를 일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동작 신호는 가변 지지대(120)로 인가되며, 이에 상응하게 가변 지지대(120)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remote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switch,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or pulling out the variable support 120 in the upward direction or retracting it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once from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You can receive it.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variable support 120, and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support 120 is controlled correspondingly.

사이드 지지대(130)는 일측 말단부가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힌지(hinge)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말단부는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배터리의 양측면을 밀어줌으로써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side support 1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so that it can rotate around a hinge,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so that the battery is push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It serves to secure it more firmly to prevent it from moving. This will be looked at in more detail through FIGS. 5 to 7.

도 5는 사이드 지지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사이드 지지대(130)를 통해 배터리 측면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사이드 지지대(130)를 통해 다수 개의 배터리 측면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ide support 130 in more detail,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of the battery is fixed through the side support 130,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batteries through the side support 130.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ide is fixed.

도 5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사이드 지지대(130)는 일측 말단부가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가장자리영역에 힌지(hinge)를 축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직립 시에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5 to 7, one end of the side support 130 is connected to an edge area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so that it can rotate around a hinge. At this time, when upright, it may remain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사이드 지지대(130)는 기본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프 방식이 적용되며, 길이 조절 후 볼트를 조임으로써 해당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지지대(130)의 타측 말단부에는 배터리의 측면과 최대의 밀착면을 형성하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착 플레이트(131)가 마련된다.The side support 130 basically uses a telescopic method to enable length adjustment, and the length can be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after adjusting the length. In addition, a contact plate 131 whose angle can be adjusted to form a maximum contact surface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support 130.

밀착 플레이트(131)는 사이드 지지대(130)의 타측 말단부에서 각도 조절은 물론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각도 조절 후 볼트를 조임으로써 해당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The contact plate 13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support 130 to enable angle adjustment as well as direction change, and the angle can be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after adjusting the angle.

또한, 밀착 플레이트(131)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마련됨에 따라, 배터리 측면에 밀착 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터리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plate 131 is provided with an anti-slip pad, it can stably support the side of the battery without slipping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도 6을 살펴보면,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다수 개의 가변 지지대(120)에 의해 배터리 측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양측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개의 사이드 지지대(130)가 배터리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사이드 지지대(130)의 길이는 배터리 측면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 후 볼트를 조임으로써 배터리가 완벽히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110) 자체가 흔들리더라도 내측의 배터리는 흔들림이 방지된다.Referring to FIG. 6, in a state where the side of the battery is fixed by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he two side supports 130 oppos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are directed toward the side of the battery. will meet with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ide support 1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battery, and the battery is completely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after adjusting the length, so even if the housing 110 itself shakes, the battery inside Shaking is prevented.

도 7을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도 6의 상태에서 배터리가 추가로 적층되는 경우, 또 다른 두개의 사이드 지지대(130)가 배터리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이드 지지대(130)의 길이는 배터리 측면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 후 볼트를 조임으로써 배터리가 완벽히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110) 자체가 흔들리더라도 내측의 배터리는 흔들림이 방지된다.Looking at FIG. 7, when batteries are additionally stacked in the state of FIG. 6 discussed above, the other two side supports 130 are rot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battery. Likewise, the length of the side support 130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battery, and since the battery is completely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after adjusting the length, even if the housing 110 itself shakes, the battery inside Shaking is prevented.

이를 통해, 배터리 크기, 높이, 외형 등에 상관없이 모든 배터리의 양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배터리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both sides of all batteries can be stably supported regardless of battery size, height, appearance, etc., which has the advantage of stably storing multiple batteri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00: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110: 하우징
120: 가변 지지대
130: 사이드 지지대
131: 밀착 플레이트
100: Battery storage device with variable fixation method
110: housing
120: variable support
130: side support
131: Adhesion plate

Claims (10)

내측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전체 영역에 다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변 지지대(120); 및
일측 말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힌지(hinge)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말단부는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되는 다수 개의 사이드 지지대(13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터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체 가변 지지대(120) 중 배터리 하중이 감지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가변 지지대(120)들이 상측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해당 배터리의 측면을 지지 및 고정하고,
상기 가변 지지대(120)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각 분할된 영역이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각 분할된 영역 중에서 배터리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영역만이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배터리 외측을 감싸 고정하고,
다수 개의 가변 지지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 전체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격자(Lattice) 배열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배터리의 측면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의 측면이 상기 간격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 housing 110 in which a battery is accommodated inside;
A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are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each of which can be withdrawn or re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a hinge, and the other en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supports 130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With the battery seat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remaining variable supports 120,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battery load is sensed, are pulled upward, supporting the side of the battery. and fixing,
The variable support 120,
It is divided into at least four or more parts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and each divided area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independently withdrawn or re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mong each divided area, only the area where the battery load is not applied is directed upward. is drawn out,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battery and secures it,
The plurality of variable supports 120 are,
It is provided to form a lattice arrangement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ver the entir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ide support 130 to face the side of the battery with the hinge as the axis. ,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side support 130 is fitted into the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110 is,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on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하나 이상의 가변 지지대(120)가 인출된 상태에서, 별도의 개방(open)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이상 강제 개방이 불가하도록 전자식 개폐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housing 110 is,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by an 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so that forced opening is not possible unless a separate open signal is applied when one or more variable supports (120) are pulled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상기 가변 지지대(120)를 일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to collectively withdraw the variable supports 120 in an upward direction or retract them in a downwa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변 지지대(120)를 일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or collectively withdrawing the variable support 120 in an upward direction or retracting it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ser terminal;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pplied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de support 130 is,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adjus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대(130)의 말단부 중 배터리의 측면에 밀착되는 말단부는,
배터리의 측면 각도에 상응하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고정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보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mong the distal ends of the side support 130, the distal e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A battery storage device with a variable fix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de angle of the battery.
KR1020220071225A 2022-06-13 2022-06-13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KR102604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25A KR102604264B1 (en) 2022-06-13 2022-06-13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25A KR102604264B1 (en) 2022-06-13 2022-06-13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264B1 true KR102604264B1 (en) 2023-11-21

Family

ID=8898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25A KR102604264B1 (en) 2022-06-13 2022-06-13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26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7U (en)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Trunkboard
KR101011258B1 (en) 2010-05-14 2011-01-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Tray for battery of various size
KR101347595B1 (en) * 2013-03-07 2014-01-03 장기웅 Device for supporting load for trunk of vehicle
JP2018063840A (en) * 2016-10-12 2018-04-19 株式会社Gsユアサ Power storage device
KR102298713B1 (en) * 2021-02-26 2021-09-06 이온어스(주) Containment vessel for battery pack transport and sto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7U (en)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Trunkboard
KR101011258B1 (en) 2010-05-14 2011-01-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Tray for battery of various size
KR101347595B1 (en) * 2013-03-07 2014-01-03 장기웅 Device for supporting load for trunk of vehicle
JP2018063840A (en) * 2016-10-12 2018-04-19 株式会社Gsユアサ Power storage device
KR102298713B1 (en) * 2021-02-26 2021-09-06 이온어스(주) Containment vessel for battery pack transport and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524B2 (en) Wafer container having the purging valve
KR102604264B1 (en) A battery storage apparatus with variable fixation
US20080273959A1 (en) Sealed Enclosure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Semiconductor Substrates
WO2022241889A1 (en) Waveform recorder having portable functionality and usage method therefor
CN219635829U (en) Coiled material transportation storage cabinet
CN108107672A (en) A kind of mask version box
US20080298935A1 (en) Wafer Cassette, Wafer Cassette Pod and Minienvironment Chamber Loadport Arrangement with a Minienvironment Chamber and a Wafer Cassette Pod with a Wafer Cassette
JP3581310B2 (en)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equipment with dustproof function
JP2004527911A (en) Integrated circuit board handler with pre-aligner and storage pod access mechanism
JP35892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heat insulation cylinder
CN217576161U (en) Electronic product safety conveyer
CN209455416U (en) A kind of breakables logistics transportation container
CN210707925U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dropproof slowly falling umbrella
EP2585384A1 (en) Packaged, wrapped, cylindrically rolled moisture-sensitive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6645174U (en) Packing case
CN209366790U (en) A kind of ampoule bottle transports box safely
KR200474982Y1 (en) Opening and Closing Type Vent Cover
CN219394021U (en) Plasma lightning protection unit convenient to accomodate
CN219884497U (en) Packaging structure of meal delivery robot
CN117476525B (en) Wafer box equipment of uncapping
CN217597055U (en) Communication is maintained with toolbox that has tensile structure
CN219651641U (en) Semiconductor chip storage device
CN111994440A (en) Electronic product is criticized and is sent out with transportation protector
CN216625021U (en) Low pressure earth leakage protection power cabinet convenient to remove
US20230234818A1 (en) Net loading hanger with functional hoo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