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918B1 -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 Google Patents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918B1
KR102603918B1 KR1020220181765A KR20220181765A KR102603918B1 KR 102603918 B1 KR102603918 B1 KR 102603918B1 KR 1020220181765 A KR1020220181765 A KR 1020220181765A KR 20220181765 A KR20220181765 A KR 20220181765A KR 102603918 B1 KR102603918 B1 KR 10260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parts
modifi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김범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테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테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테크피아
Priority to KR1020220181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8Slag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51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silicon compounds, e.g. ben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8Cement and like inorganic materials added as expanding or shrinkage compensating ingredients in mortar or concrete compositions, the expansion being the result of a re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12Natural pozzuolanas; Natural pozzuolana cements; Artificial pozzuolanas or artificial pozzuolana cements other than those obtained from waste or combustion residues, e.g. burned clay; Treating inorganic materials to improve their pozzuolanic characteri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24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내의 미세 공극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로 균일하게 분산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이 치밀하게 하여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혼합분말수지, CSA팽창제 및 보강섬유에 의한 균열저항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Concrete repairing and reinforcing mortar composition comprising surface modified nano calciumcarbonate ultra fine powder and concrete repairing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내의 미세 공극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로 균일하게 분산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이 치밀하게 하여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혼합분말수지, CSA팽창제 및 보강섬유에 의한 균열저항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간이 경과함예 따라, 염해나 중성화, 알칼리 골재 반응, 생화학적 부식 외에 물의 침투에 의한 강재의 부식 팽창 등으로 균열이 발생되고, 열화되면서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른 콘크리트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보수하여야 한다.
특히,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상기 균열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데, 수분은 각종 유해 성분의 이동수단이 되면서 동결융해의 원인이 되므로 내구성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균열이 발생되면, 열화요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열화의 진행을 촉진시키므로 콘크리트의 안정성 및 성능의 확보를 위해서는 균열 및 열화 초기에 보수를 실시하여 더 이상의 균열 및 열화의 진행을 억제하고 내구성능을 회복하고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균열, 열화, 강재의 부식, 기타의 원인에 의해 구조물 콘크리트의 균열, 박리나 탈락 등의 열화인자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한 후 콘크리트를 그 원래의 성능 및 형태로 복원하기 위해 콘크리트 보수, 보강 모르타르 재료를 충진하거나 뿜칠 시공을 하여 보수, 보강을 실시한다.
종래, 콘크리트 보수 보강 모르타르 및 보수 보강시공공법 특허기술들을 살펴 보면, 한국등록특허 10-1255115(등록일자 2013년04월10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 보수를 위한 무균열 보수모르타르로서, 결합재 20.0∼55.0 중량부와, 수축저감제 0.5∼2.5 중량부와, 섬유보강재 0.1∼1.5 중량부와, 혼화제 0.1∼0.5 중량부 및 골재 30.0∼65.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를 사용하며, 상기 수축저감제로 팽창재와 무수석고를 사용하되, 상기 팽창재는 0.2∼1.5 중량부, 상기 무수석고(CaSO4)는 0.3∼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무균열 보수모르타르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763297(등록일자 2017년07월25일)에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예방 및 보수방법; (a)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콘크리트에 수용성 아크릴 탄성 도막제를 1차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수용성 아크릴 탄성 도막제가 도포된 콘크리트에 보수용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수용 시트가 부착된 콘크리트에 수용성 아크릴 탄성 도막제를 2차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예방 및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탄성 도막제는 아크릴수지 20~60%, 탄산칼슘으로 석회암 10~30%, 점증제로 아크릭에멀젼 10~40%, 용제로 물 5~10%, 2-부톡시에탄올 1~5% 및 1,2-에탄올 1~5% 및 이산화티타늄 5~20%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아크릴 탄성 도막제는 5~35℃에서 지촉경화시간이 30~120분, 완전경화시간이 72시간 이내이며, 페이스트 크림타입(Paste cream type)의 도막제이고, 상기 수용성 아크릴 탄성 도막제는 콘크리트 구조물 1㎡당 0.5~2kg의 비율로 도포하며, 도막의 두께는 0.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예방 및 보수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914735(등록일자 2018년10월29일)에는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결합재 5~30 중량%, 잔골재 30~70 중량%, 굵은골재 20~60 중량%, 물 1~30 중량% 및 성능 개질제 0.1~20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재는 결합재 중량에 대하여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5~95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1~40중량%, 메타카올린 0.5~20 중량%, 규산백토 0.5~20 중량%, 에머리 분말 0.5~10 중량%,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10중량%, 초산비닐-비닐리덴 공중합체 0.5~10중량%, 발수제 0.5~10 중량%, 마그네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20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0.01∼10 중량%, 및 감수제 0.1~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개질제는 성능 개질제 중량에 대하여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97 중량%,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5~20 중량%,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0.5~20중량%, 폴리올레핀 0.5~15중 량%, 폴리비닐포르말 0.5~15 중량%,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0.01~15중량%,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01~15중량%, 폴리설폰 0.01~15중량% 및 소포제 0.01~10중량%를 포함하고, KS F 2402에 따른 슬럼프(mm)는 교반직후 19~20, 20분 경과후 17~18, 30분 경과후 15~16, 40분 경과후 13~14, 60분 경과후 8~12이고; KS F 2405에 따른 압축강도(N/mm2)는 3일 후 21.5~23.1, 7일 후 33.8~37.8, 14일 후 38.8~41.5, 28일 후 45.8~48.9이고; KS F 2408에 따른 휨강도(N/mm2)는 7일 후 4.8~5.2, 14일 후 5.2~5.7, 28 일 후 6.0~6.5이고; JIS A 1171에 따른 접착강도(N/mm2)는 2.0~2.3이고; KS F 2409에 따른 흡수율(%)은 0.9~1.2이고; KS F 2456에 따른 동결 융해 저항성 시험 결과 내구성 지수는 84~88이고; KS F 2424(콘크리트의 길이변화 시험방법)에 따른 건조수축율 측정 결과 길이변화율(%)은 0.01~0.04이고; KS F 4042에 따른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Coulombs)은 498~550, 중성화 깊이(mm)는 0.5~0.8이고; ASTM C 779에 따른 마모저항성(mm)은 0.01~0.04이고; KS F 2561(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에 따른 방청률(%)은 96~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815928(등록일자 2018년01월02일)에는 분산용 무기필러 45~85중량%; 응집방지제 1~10중량%; 발수제 2~20중량%; 수축저감제 5~30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조성물이 분쇄기에서 분쇄 혼합된 것으로, 비중이 2.20 이하이면서 분말도가 5,500~9,000cm2/g이며, 상기 분산용 무기필러는 플라이애시이고, 상기 응집방지제는 수산화마그네슘이며, 상기 발수제는 스테아린산과 왁스 에멜젼 중에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수축저감제는 글리콜계인 발수형 수축저감 혼화재를 포함하는 결합재 조성물로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80중량%; 초속경 시멘트 2~10중량%; 상기 발수형 수축저감 혼화재 2~8중량%; 팽창제 3~8중 량%; 무수석고 2~10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5~40중량%; 알칼리 설페이트 0.3~3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학성 단면보수 모르타르용 결합재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의 균열예방 또는 균열억제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들은 균열예방 조성물을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고,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는 수축을 저감시키기 위한 수축저감제를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 결합재 모르타르의 혼합성분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혼합성분 사용으로 인한 보수 보강 모르타르의 물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보수 보강 모르타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완전한 수축 및 균열예방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224215(등록일자 2021년03월02일)에 잔골재 60~80중량부, 포틀랜드 1종 시멘트 20∼25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5∼10중량부, 석고 5~1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10중량부, 액상소듐실리케이트 5~10중량부, 활성실리카 5~10 중량부, 윤활증점제 1~2중량부,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유동화제 03~07중량부, AE제 03~05중량부 및 배합수를 포함하여 물-바인더 비를 40중량%로 조성되되, 상기 윤활 증점제는 Poly Ethylene Oxide(PEO) 70중량% 및 Starch(전분) 30중량% 혼합한 것,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와 옥수수 전분을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 또는 미역가공 중에 발생하는 미역찌꺼기를 알칼리 추출하고, 산을 첨가하여 생성된 젤을 수산화나트륨에 용해하여 나트륨염으로 하고 건조시켜 분말화한 알긴산나트륨분말인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항성 및 수축 저항성을 갖는 모르타르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373902(등록일자 2022년03월08일)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규사, 페로니켈슬래그, 순환골재 또는 부순골재로부터 선택되는 잔골재; 및 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 모르타르에 있어서, 안정한 황산염 광물로서 황산염저항성을 나타내는 이수석고분말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 경화시 치밀한 조직으로 경화되어 염화물이온을 고정하는 프리델씨염(3CaO·Al2O3·CaCl2·10H20) 수화물을 생성하여 염해저항성을 나타내는 고로슬래그분말과; 모르타르 경화시 경화조직내 공극을 채워 모르타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마재용 가넷슬러지 또는 워터젯 커팅용 가넷슬러지로부터 회수 재활용되는 입자크기 0.05~1mm의 가넷폐분말과; 모르타르의 접착강도 및 휨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VAE 재유화형 분말수지 바인더와; 모르타르의 건조수축 및 균열예방을 위한 보강섬유와; 모르타르의 속경성을 나타내고 모르타르 경화체의 공극 충진 및 초기강도 발현을 위한 급냉제강환원슬래그분말과; 보통 포틀랜드시멘트와 혼합 경화시 포졸란 반응에 의하여 모르타르 경화체의 공극 충진 및 장기강도 발현을 위한 플라이애시분말;을 포함하여 조성되되,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40중량부, 잔골재 50~60중량부, 가넷폐분말 5~10중량부, VAE 재유화형 분말수지바인더 1~3중량부, 급냉제강환원슬래그분말 5~10중량부, 고로슬래그분말 5~10중량부, 플라이애시분말 2~5중량부, 이수석고분말 1~5중량부, 보강섬유 0.1~2중량부 및 물을 포함하여 조성되고, 상기 황산염저항성을 나타내는 이수석고분말에는 MgO 성분이 30-35중량% 함유된 니켈슬래그분말이 상기 이수석고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0~100중량부 혼합되며, 상기 염해저항성을 나타내는 고로슬래그분말에는 규산나트륨분말, 질산나트륨분말 및 황산알루미늄분말이 1 : 1: 1 중량비로 혼합된 염화저항성 보조재 분말이 상기 고로슬래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0중량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염저항성과 염해저항성을 갖는 콘크리트 단면복구 모르타르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들의 보수 보강모르타르들은 초기 복구 및 보수시공시에는 부착강도가 발현되나, 콘크리트 구조물 강력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간이 경과할 수록 열화되어 다시 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 종래기술들은 시멘트를 비롯한 무기분말들의 분산성이 균일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콘크리트 강도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373902에서 모르타르 경화체의 공극 충진 및 장기강도 발현을 위한 플라이애시분말을 혼합사용하지만, 플라이애시의 분산성이 좋지 못하여 모르타르 경화체의 공극 충진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한국등록특허 10-1255115(등록일자 2013년04월10일)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 10-1763297(등록일자 2017년07월25일) [특허문헌 003] 한국등록특허 10-1914735(등록일자 2018년10월29일) [특허문헌 004] 한국등록특허 10-1815928(등록일자 2018년01월02일) [특허문헌 005] 한국등록특허 10-2224215(등록일자 2021년03월02일) [특허문헌 006] 한국등록특허 10-2373902(등록일자 2022년03월08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내의 미세 공극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로 균일하게 분산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이 치밀하게 하여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혼합분말수지, CSA팽창제 및 보강섬유에 의한 균열저항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내의 미세 공극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로 균일하게 분산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이 치밀하게 하여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혼합분말수지, CSA팽창제 및 보강섬유에 의한 균열저항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장기 강도발현 및 내구성 증진과 수화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분말도가 6,000~8,000㎠/g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은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표면이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개질된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화학식 1]
X3-Si-R-Y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가수분해기(Hydrolysis group)로서 CH3-O-(메톡시기), C2H5-O-(에톡시기)이고,
R은 에틸렌기(Ethylene) 또는 프로필렌기(Propylene)이고,
Y는 유기관능기(Organofunctional group)로서, -NH2-(아미노기), -CH=CH2(비닐기), -OCOC(CH3)=CH2(메타크릴기), -N=C=O(이소시아네이트기), -SH(메르캅토기), -NHCONH2(우레이드기), -C20(에폭시기)이다.
상기 EVA(Ethylene-vinyl acetate)분말수지는 EVA계 공중합 폴리머 에멀젼을 스프레이 건조한 입자크기 100μm인 분말수지로서 물에 재분산하게 되면 접착성 액상수지가 되어 상기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된 후, 경화과정에서 모르타르 내부공극을 접착성 액상수지로 채우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계 분말수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80~90중량% 및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 10~20중량%로 이루어진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 유화제 0.1~5중량부; 중합개시제 0.01~1중량부; 및 물 45~50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리에멀젼을 중합반응하여 얻어진 아크릴 에멀젼 중합물을 분말화한 것으로, 상기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된 후, 경화과정에서 모르타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2-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2-hydroxy hexylacrylate), 아크릴로나이트릴(acrilonitril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아세토아세틱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부탄디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buthanediol dimethacrylate), 싸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 hexyl methary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methacryl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가능한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토아세틱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부탄디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buthanediol dimethacrylate), 싸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 hexyl methary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황산암모늄, 비이온 유화제는 알킬폴리에톡시 아크릴레이트(alkyl polyethoxy acrylate), 알킬폴리에톡시 타크릴레이트(alkyl polyethoxy methacrylate), 아릴폴리에톡시아크릴레이트(aryl polyethoxy acrylate), 아릴폴리에톡시메타크릴레이트(aryl polyethoxy methacryl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APS),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PS),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SPS), 술포키실산염,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보강섬유는 강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나일론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섬유, 셀룰로오스섬유, PET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증점제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아크릴계 증점제,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무기결합제에는 메타카올린분말, 실리카흄 또는 플라이애시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2~5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밀링이나 치핑을 실시한 후, 고압살수에 의한 물세척으로 파쇄된 콘크리트의 표면의 분진을 제거하고 표면건조상태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표면건조상태를 형성한 콘크리트의 표면에 돌출된 철근의 녹발생 방지를 위하여 에폭시 도장을 실시하고 철근을 보강하거나 그리드 보강재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숏크리트 장비를 사용하여 뿜칠하거나 미장하여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보수 보강하고 양생 경화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뿜칠하거나 미장하여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보수 보강하고 양생 경화하는 제3단계에서는 1회 뿜칠하거나 미장하는 두께를 5mm~20mm로 하고, 총 시공두께가 20mm를 초과하는 경우, 1회 뿜칠하거나 미장 후, 12시간 이상 경과한 다음 반복 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은,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내의 미세 공극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로 균일하게 분산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이 치밀하게 하여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혼합분말수지, CSA팽창제 및 보강섬유에 의한 균열저항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SEM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혼합비율에 따른 초기응결 및 최종응결 시간에 대한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혼합비율에 따른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혼합비율에 따른 투수저항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혼합비율에 따른 동결-융해 저항성으로부터 계산된 내구성지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 절차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은,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 ; Ordinary Portland Cement)는 주성분인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및 산화철을 함유하는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하고, 그 일부가 용융하여 소결된 클링커에 석고를 첨가해 분말로 한 것이며, 오늘날 쓰이고 있는 보통 시멘트 형태이며, 전 세계적으로 콘크리트, 모르타르, 그라우트 등의 기본 재료로 널리 쓰인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에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것으로, 고온의 용융슬래그를 대기중에서 냉각하는 서냉슬래그와 압력수로 급냉하는 수쇄슬래그를 분말화한 것으로,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혼화재로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분말(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for use in concrete)은 KS F 2563에 그 적용범위 및 품질규격이 정해져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의 평균적인 화학성분은 SiO2 = 33%, Al2O3 = 14%, CaO = 42%, MgO = 6%, TiO2 = 1%, Fe2O3 = 0.5% 정도이고, 보통포틀랜드시멘트와 비교하여 CaO가 적고, SiO2와 Al2O3가 각각 10% 정도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시멘트 수화반응에서 생성되는 불안정한 수산화칼슘과 반응하며, 안정한 수화물을 형성하고 경화체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더욱이, 시멘트와 비교하여 염소이온이나 알카리이온의 고정능력(능동적 열화원인 제어 가능성)이 크다. 그 때문에, 고로슬래그 분말을 콘크리트 혼화재로서 사용하면 수밀성, 화학저항성, 내해수성, 염분차폐성, 알칼리실리카반응제어 등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 지속가능한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로슬래그분말의 전체 성분 중 약 30중량%가 이산화규소로 구성되며,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산화칼슘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이 각각 약 10중량% 정도 더 함유됨에 따라, 상기 고로슬래그가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 경화시 치밀한 조직으로 경화되어 염화물이온의 침투를 억제하며, 산화알루미늄 성분이 작용하여 염화물이온을 고정하는 프리델씨염(3CaO·Al2O3·CaCl2·10H20) 수화물을 생성하여 염해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잠재 수경성을 가지고 있으며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장기 강도발현 및 내구성 증진과 수화열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분말도 6,000~8,000㎠/g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도가 6,000㎠/g보다 낮은 경우, 포졸란 반응성이 낮을 수 있고, 분말도가 8,000㎠/g 이상인 경우 포졸란 반응성은 높으나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는 수화반응성을 증가시키고 균열억제를 위해 첨가하는 무기계 속경성 광물재료로서, 물과 접촉할 때 순식간에 물과 반응하여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수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보통포틀랜드시멘트와 혼합할 때, 단시간 내에 우수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게 한다.
특히, 단위 시멘트량이 높은 모르타르의 배합은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이 발생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양생시 수분증발의 억제와 수축저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현장조건에 따라 양생은 습윤양생 및 피막양생(양생제)등을 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기건 양생을 하기 때문에 수분증발에 따른 수축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를 사용하게 되면 타설 후 수축되는 것을 보상할 수 있고, 또한 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막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상기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는 5~1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은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표면이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개질된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X3-Si-R-Y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가수분해기(Hydrolysis group)로서 CH3-O-(메톡시기), C2H5-O-(에톡시기)이고,
R은 에틸렌기(Ethylene) 또는 프로필렌기(Propylene)이고,
Y는 유기관능기(Organofunctional group)로서, -NH2-(아미노기), -CH=CH2(비닐기), -OCOC(CH3)=CH2(메타크릴기), -N=C=O(이소시아네이트기), -SH(메르캅토기), -NHCONH2(우레이드기), -C20(에폭시기)이다.
일반적으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은 표면적이 큰 미분체로서 다른 물질과의 친화력보다는 응집 현상이 일어나 다른 매질이나 무기질 매트릭스 또는 유기고분자 매트릭스에 쉽게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혼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균일한 분산이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무기질 매트릭스 또는 유기고분자 매트릭스와 친화도 또는 분산성을 극대화하여 균질한 마스터배치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 초미세분말 표면을 기능성 작용기로서 상기 [화학식 1]의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을 개질하게 되면, 무기질 매트릭스 또는 유기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친화도를 극대화하여 균질한 마스터배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 초미세분말은 비극성용매에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 초미세분말을 혼합하고 희석염산을 첨가한 후, 상기 [화학식 1]의 실란커플링제를 균질 혼합하고 여과, 세척,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 초미세분말을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 사용하게 되면, 균질한 유무기하이브리드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균질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EVA(Ethylene-vinyl acetate) 재유화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재유화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분말수지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 전 상태에서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 후 상태에서는 표면 부착력 증가, 응집력 증가, 굴곡 강도 증가, 굴곡성 증진 및 방수력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상기 EVA(Ethylene-vinyl acetate) 재유화 분말수지는 EVA계 공중합 폴리머 에멀젼을 스프레이 건조한 분산물질로서 입자가 100 μm로 분산되었다가 물에 재분산하게 되면 1 μm의 안정한 액상수지가 되는 것으로, 방수성, 내구성, 전기절연성, 내유성 등이 우수하며, 시멘트-모르타르에 혼합할 경우 경화과정에서 모르타르 속의 작은 공극과 모세구조를 성장형 유기화학 접착성분으로 채워져 물의 이동을 차단시켜 내부 공극을 감소시킨다.
또한, 잔골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며, 작업성에 있어서도 상기 EVA(Ethylene-vinyl acetate) 재유화 분말수지에 함유된 계면활성제의 분산효과와 공기량 증가로 인해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재유화 분말수지는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방수 및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계 단량체 80~90중량% 및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 10~20중량%로 이루어진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 유화제 0.1~5중량부; 중합개시제 0.01~1중량부; 및 물 45~50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리에멀젼을 중합반응하여 얻어진 아크릴 에멀젼 중합물을 분말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및 2-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2-hydroxy hexylacrylate), 아크릴로나이트릴(acrilonitril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아세토아세틱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부탄디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buthanediol dimethacrylate), 싸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 hexyl methary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methacrylate) 등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가능한 단량체로서 불포화 카본산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크릴로 니트릴, 아세토아세틱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부탄디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buthanediol dimethacrylate), 싸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 hexyl methary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ate, Topolene M) 등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황산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이온 유화제로는 알킬폴리에톡시 아크릴레이트(alkyl polyethoxy acrylate), 알킬폴리에톡시 타크릴레이트(alkyl polyethoxy methacrylate), 아릴폴리에톡시아크릴레이트(aryl polyethoxy acrylate), 아릴폴리에톡시메타크릴레이트(aryl polyethoxy methacryl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APS),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PS),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SPS), 술포키실산염,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재유화 분말수지는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 유화제를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 및 물과 혼합하여 프리 에멀젼 상태로 제조한 후 온도는 약 70~90℃로 유지하면서 상기 프리에멀젼 중 최대 약 10 중량% 정도를 초기 중합 반응시킨다.
이어서, 반응물에 잔량의 프리에멀젼과 중합개시제를 약 5~10 시간에 걸쳐 투여하여 연속 중합 반응시킨 후 약 30~90 분 동안 숙성시킨다. 이후 약 60℃ 정도에서 후반응을 거친 후 냉각함으로써 아크릴계 재유화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 EVA(Ethylene-vinyl acetate) 재유화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재유화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를 사용하게 되면,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 전 상태에서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 후 상태에서는 표면 부착력 증가, 응집력 증가, 굴곡 강도 증가, 굴곡성 증진 및 방수력 증대, 휨강도, 인장강도 및 부착강도, 건조수축 저항성,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을 포함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한, 상기 보강섬유는 강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나일론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섬유, 셀룰로오스섬유, PET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아크릴계 증점제,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기결합제에는 메타카올린분말, 실리카흄 또는 플라이애시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2~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칼슘카보네이트는 평균직경이 40nm이고, 비표면적은 400,000blaine(cm2/g)으로 실리카흄의 두배 정도 된다. 따라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는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마이크로(micro) 공극을 충진시키고, 수화반응으로 생성된 칼슘실리게이트하이드레이트(C-S-H : 3CaO·2SiO3H2O)가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에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매트릭스 조직구조가 치밀하게 되는 효과로 강도가 증진되고 투수성과 동결-융해저항성 및 화학저항성 등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반면에, 메타카올린분말, 실리카흄 또는 플라이애시분말은 입도 범위가 3㎛~10㎛이고 분말도가 10,000~200,000blaine으로서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매크로(macro)공극을 충진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며 수산화칼슘수화물(Ca(OH)2) 등의 수화생성물과 2차적인 포졸란 반응을 통해 장기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밀링이나 치핑을 실시한 후, 고압살수에 의한 물세척으로 파쇄된 콘크리트의 표면의 분진을 제거하고 표면건조상태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표면건조상태를 형성한 콘크리트의 표면에 돌출된 철근의 녹발생 방지를 위하여 에폭시 도장을 실시하고 철근을 보강하거나 그리드 보강재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숏크리트 장비를 사용하여 뿜칠하거나 미장하여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보수 보강하고 양생 경화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시공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뿜칠하거나 미장하여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보수 보강하고 양생 경화하는 제3단계에서는 1회 뿜칠하거나 미장하는 두께를 5mm~20mm로 하고, 총 시공두께가 20mm를 초과하는 경우, 1회 뿜칠하거나 미장 후, 12시간 이상 경과한 다음 반복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제조]
벤젠 50ℓ에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카본블랙 10kg을 혼합한 후, 0.1M 농도의 희석염산 1ℓ를 가한 후,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CAS No. 13822-56-5) 5ml를 혼합 균질 교반하고 여과, 세척,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제조하였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제조]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kg,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kg, 고로슬래그 분말 20kg,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10kg,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20kg, 보강섬유 3kg, 증점제 0.5kg를 혼합하여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1kg 사용한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서 보통포틀랜드시멘트 19kg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1k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3kg 사용한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서 보통포틀랜드시멘트 17kg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3k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5kg 사용한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서 보통포틀랜드시멘트 15kg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5k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성측정]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르타르의 응결시간을 평가한 결과,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의 혼합비율 1~5중량% 사용범위에서 초기 응결시간은 상당히 단축되었다. Nano CaCO3는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응결시간이 단축된 것이며 이러한 응결시간은 최종 응결시간에서 확연히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의 혼합비율 1~5중량% 사용범위에서 압축강도 시험결과, 모르타르의 강도는 매트릭스 구조내에 존재하는 공극의 양과 수화반응에 의한 수화생성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1~5중량%의 모든 경우에서 압축강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재령 1일의 초기재령에서 이러한 강도의 증진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나며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의 미세한 분말이 마이크로(micro) 공극을 충전시키고 C3S의 수화반응을 가속화 시키며 수화반응으로 생성되는 칼슘실리게이트하이드레이트(C-S-H : 3CaO·2SiO3H2O)가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에 흡착되어 안정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비율에서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조기강도는 평균 60%이상 증가하였으며 재령 28일과 56일의 장기강도에서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압축강도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의 혼합비율 1~5중량%에 따른 투수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모르타르의 내구성은 투수성과 관계된다. 투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급속염화물침투시험(RCPT)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투수성에 대한 평가는 염화물침투에 따른 전하량(Coulomb)으로 측정하게 된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투수저항성은 1846Coulomb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지만 모든 비율의 실시예에서 통과전하량은 평균 70% 이상 감소하여 투수성은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00Coulomb 이하의 매우 낮은 불투수성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를 사용한 모르타르는 상당히 우수한 내구성이 확보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은 동결-융해 시험으로부터 계산된 내구성 지수이다.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내구성지수는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내구성지수가 80% 이상일 경우 내구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80%를 약간 상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1~5중량%에서는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동결-융해 저항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규사 6~8호사 입자크기의 잔골재 50~60 중량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0~30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20중량부, CSA(Calcium Sulfo Aluminate ; 3CaO·3Al2O3·CaSO4) 팽창제 5~10중량부, 메타카올린분말 2~5중량부 및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무기결합제 100중량부와; EVA(Ethylene-vinyl acetate) 분말수지 및 아크릴계 분말수지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수지 10~20중량부와; 보강섬유 2~5중량부와; 증점제 0.2~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로서,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은 평균직경이 40nm이고, 비표면적은 400,000blaine(cm2/g)로서,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콘크리트 내의 마이크로(micro) 공극을 충진시키며, 수화반응으로 생성된 칼슘실리게이트하이드레이트(C-S-H : 3CaO·2SiO3H2O)와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상기 메타카올린분말은 입도 범위가 3㎛~10㎛이고 분말도가 10,000~200,000blaine으로서 콘크리트 내의 매크로(macro)공극을 충진하며, 수산화칼슘수화물(Ca(OH)2)과 2차적인 포졸란 반응으로 장기강도를 발현하며,
    상기 EVA(Ethylene-vinyl acetate)분말수지는 EVA계 공중합 폴리머 에멀젼을 스프레이 건조한 입자크기 100μm인 분말수지로서 물에 재분산하게 되면 접착성 액상수지가 되어 상기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된 후, 경화과정에서 모르타르 내부공극을 접착성 액상수지로 채우며,
    상기 아크릴계 분말수지는 보수 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의 방수 및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계 단량체 80~90중량% 및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 10~20중량%로 이루어진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 유화제 0.1~5중량부; 중합개시제 0.01~1중량부; 및 물 45~50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리에멀젼을 중합반응하여 얻어진 아크릴 에멀젼 중합물을 분말화한 것으로, 상기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합된 후, 경화과정에서 모르타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은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 표면이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로 표면개질되되, 비극성용매에 나노칼슘카보네이트(Nano CaCO3) 초미세분말을 혼합하고 희석염산을 첨가한 후, 다음 [화학식 1]의 실란커플링제를 균질 혼합하고 여과, 세척, 건조,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화학식 1]
    X3-Si-R-Y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가수분해기(Hydrolysis group)로서 CH3-O-(메톡시기), C2H5-O-(에톡시기)이고,
    R은 에틸렌기(Ethylene) 또는 프로필렌기(Propylene)이고,
    Y는 유기관능기(Organofunctional group)로서, -NH2-(아미노기), -CH=CH2(비닐기), -OCOC(CH3)=CH2(메타크릴기), -N=C=O(이소시아네이트기), -SH(메르캅토기), -NHCONH2(우레이드기), -C20(에폭시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장기 강도발현 및 내구성 증진과 수화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분말도가 6,000~8,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2-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2-hydroxy hexylacrylate), 아크릴로나이트릴(acrilonitril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아세토아세틱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에틸렌클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부탄디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buthanediol dimethacrylate), 싸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 hexyl methary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methacryl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가능한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토아세틱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부탄디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buthanediol dimethacrylate), 싸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 hexyl methary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음이온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황산암모늄, 비이온 유화제는 알킬폴리에톡시 아크릴레이트(alkyl polyethoxy acrylate), 알킬폴리에톡시 타크릴레이트(alkyl polyethoxy methacrylate), 아릴폴리에톡시아크릴레이트(aryl polyethoxy acrylate), 아릴폴리에톡시메타크릴레이트(aryl polyethoxy methacryl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phate, APS),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PS),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SPS), 술포키실산염,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는 강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나일론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섬유, 셀룰로오스섬유, PET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아크릴계 증점제, 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12. 삭제
  13.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밀링이나 치핑을 실시한 후, 고압살수에 의한 물세척으로 파쇄된 콘크리트의 표면의 분진을 제거하고 표면건조상태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표면건조상태를 형성한 콘크리트의 표면에 돌출된 철근의 녹발생 방지를 위하여 에폭시 도장을 실시하고 철근을 보강하거나 그리드 보강재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제2단계와; 제1항 내지 제2항, 제6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숏크리트 장비를 사용하여 뿜칠하거나 미장하여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보수 보강하고 양생 경화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뿜칠하거나 미장하여 파손 및 손상 부위를 보수 보강하고 양생 경화하는 제3단계에서는 1회 뿜칠하거나 미장하는 두께를 5mm~20mm로 하고, 총 시공두께가 20mm를 초과하는 경우, 1회 뿜칠하거나 미장 후, 12시간 이상 경과한 다음 반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KR1020220181765A 2022-12-22 2022-12-22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KR10260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765A KR102603918B1 (ko) 2022-12-22 2022-12-22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765A KR102603918B1 (ko) 2022-12-22 2022-12-22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918B1 true KR102603918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765A KR102603918B1 (ko) 2022-12-22 2022-12-22 표면개질된 나노칼슘카보네이트 초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91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15B1 (ko) 2010-08-02 2013-04-22 (주)안풍건설 무균열 보수모르타르 및 상기 무균열 모수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44500B1 (ko) * 2016-11-16 2017-06-09 (주)피엠씨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이 개질된 무기질 충진재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용 고탄성 퍼티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KR101763297B1 (ko) 2016-10-12 2017-08-04 하은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예방 및 보수방법
KR101815928B1 (ko) 2017-07-19 2018-01-08 (주)위드엠텍 발수형 수축저감 혼화재, 이를 포함하는 내화학성 단면보수 모르타르용 결합재 조성물과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건조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KR101995844B1 (ko) * 2018-12-14 2019-07-04 이동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037623B1 (ko) * 2019-01-16 2019-11-27 김금자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수중 불분리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21823B1 (ko) * 2019-12-10 2020-06-12 주식회사 지에프시알엔디 내황산염 보수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방법
KR102127329B1 (ko) * 2020-02-27 2020-06-26 이해영 초속경 교면포장 및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활용한 교면포장 및 보수방법
KR102224215B1 (ko) 2020-07-30 2021-03-09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균열 저항성 및 수축 저항성을 갖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공법
KR102362416B1 (ko) * 2021-10-08 2022-02-15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노면 파손부의 단면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73902B1 (ko) 2021-05-26 2022-03-16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황산염저항성과 염해저항성을 갖는 콘크리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복구 시공공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15B1 (ko) 2010-08-02 2013-04-22 (주)안풍건설 무균열 보수모르타르 및 상기 무균열 모수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63297B1 (ko) 2016-10-12 2017-08-04 하은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예방 및 보수방법
KR101744500B1 (ko) * 2016-11-16 2017-06-09 (주)피엠씨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이 개질된 무기질 충진재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용 고탄성 퍼티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KR101815928B1 (ko) 2017-07-19 2018-01-08 (주)위드엠텍 발수형 수축저감 혼화재, 이를 포함하는 내화학성 단면보수 모르타르용 결합재 조성물과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건조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KR101995844B1 (ko) * 2018-12-14 2019-07-04 이동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037623B1 (ko) * 2019-01-16 2019-11-27 김금자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수중 불분리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21823B1 (ko) * 2019-12-10 2020-06-12 주식회사 지에프시알엔디 내황산염 보수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방법
KR102127329B1 (ko) * 2020-02-27 2020-06-26 이해영 초속경 교면포장 및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활용한 교면포장 및 보수방법
KR102224215B1 (ko) 2020-07-30 2021-03-09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균열 저항성 및 수축 저항성을 갖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공법
KR102373902B1 (ko) 2021-05-26 2022-03-16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황산염저항성과 염해저항성을 갖는 콘크리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복구 시공공법
KR102362416B1 (ko) * 2021-10-08 2022-02-15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노면 파손부의 단면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041B1 (ko)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구조물 보수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81596B1 (ko) 내화학성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81472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수축저감형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 공법
KR101882787B1 (ko) 친환경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의 표면 코팅 및 보호 공법
KR101724062B1 (ko)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709240B1 (ko) 바텀애시 및 포졸란 반응의 혼화재를 이용한 내 황산염 저항성을 가진 친환경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74923B1 (ko) 고강도 폴리머 모르타르 및 내화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 보수 시공 공법
KR10160801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보수 보호 공법
KR101492233B1 (ko) 내화학성 및 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내화학성 및 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 보수 시공 공법
KR101720504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유지 보수 공법
KR101141347B1 (ko) 환경 친화적인 지오폴리머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철근부식 및 염해, 중성화 억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2196634B1 (ko)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내진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및 내진 보강 공법
KR101764895B1 (ko) 백화방지와 염해와 동해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1533093B1 (ko) 실리콘 폐슬러지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2002413B1 (ko) 친환경 단면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054434B1 (ko) 염해방지 및 중성화방지 기능을 갖는 단면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001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164414B1 (ko) 내염해성 폴리머 보수보강 모르타르, 내염해성 보수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2373902B1 (ko) 황산염저항성과 염해저항성을 갖는 콘크리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복구 시공공법
JP2020158371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101963579B1 (ko) 조기강도 발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18193B1 (ko) 개질 세라믹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표면보호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2218825B1 (ko) 작업성이 우수하고 응결속도가 개선되며 내구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비산먼지 저감형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218239B1 (ko) 개질 세라믹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