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834B1 -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3834B1 KR102603834B1 KR1020210176697A KR20210176697A KR102603834B1 KR 102603834 B1 KR102603834 B1 KR 102603834B1 KR 1020210176697 A KR1020210176697 A KR 1020210176697A KR 20210176697 A KR20210176697 A KR 20210176697A KR 102603834 B1 KR102603834 B1 KR 102603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glass
- heating
- heating system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은, 창호의 유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유리를 가열하는 발열 유닛 및 발열 유닛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발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은, 창호의 유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유리를 가열하는 발열 유닛 및 발열 유닛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발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외 온도차로 인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실내)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실내와 외부의 개방 및 폐쇄 기능을 수행한다.
창호는 통해 통풍, 환기 및 채광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바람이나 비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창호에는 채광을 위한 유리가 장착된다.
창호에 장착된 유리는 건물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그러나, 창호는 유리를 통해서 태양의 직사광선을 그대로 내부로 받아 들여서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실내의 열을 그대로 밖으로 유출시켜서 실내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실내 에너지 손실의 주요 원인이다.
겨울철의 경우, 유리를 통해서 실내의 열이 밖으로 그대로 유출되기 때문에 난방비가 올라가게 되고, 여름철에는 외부의 열이 유리를 통과하여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기 때문에 냉방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이 되면, 창호의 유리를 기준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발생되고, 유리의 열교환 부위의 열손실로 인하여 유리 표면의 온도가 저하됨에 따라, 결국 유리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에 발생된 결로는 시인성을 나쁘게 하고, 유리에 생긴 습기가 창호 및 창호가 설치된 벽체에 영향을 주어 창호는 물론 벽체에 곰팡이 등의 유해 물질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호의 단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창호의 유리 표면에 전도층을 코팅하여 가열하는 발열 유리가 개발되었으나, 전력 소비량, 안정성 및 유지/보수 어려움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인하여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창호의 유리는 단열 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삼복층유리 또는 진공유리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 창호의 유리 표면(특히, 하단부 유리 표면)에도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리 표면의 결로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전력 소비에 있어서 안정성을 가지며, 유지/보수가 편리한 창호 및 결로방지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 온도 차이로 인한 유리 표면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전력으로도 유리 표면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의 유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유리를 가열하는 발열 유닛 및 발열 유닛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발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유닛은 창호의 프레임 및 유리의 경계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발열 유닛은 창호의 하단부 프레임 및 유리의 경계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 유닛은, 유리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유리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 및 발열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발열 부재를 둘러싸는 발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열 커버는, 유리 표면과 접촉되는 발열 부재의 부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부재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유닛은, 발열 유닛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되, 발열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제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은 키트(KIT)로 마련되어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되고, 구동 유닛에는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된 전원부의 충전을 위한 충전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에는, 구동 유닛에는 전원부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전원부는, 10W 이하의 저전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리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로 감지된 결과가 전송되는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고 제어부로 감지된 결과가 전송되는 제2 센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2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실내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노점온도가 설정되고,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유리 표면의 온도가 설정된 노점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발열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의 유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유리를 가열하는 발열 유닛 및 발열 유닛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발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발열 유닛 및 구동 유닛은 키트(KIT) 형태로 마련되되 유리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에 기재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호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는, 결로 방지용 발열 시스템이 창호의 하단부의 유리 표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도 창호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는, 구동 유닛이 키트(KIT) 형태로 마련되어 유리 표면에 마련된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고 유지/보수에 있어서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창호에서 발열 시스템의 구동 유닛이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창호에서 발열 시스템의 구동 유닛이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1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100, 이하 '발열 시스템' 이라 함)이 창호(10)에 설치된다.
발열 시스템(100)은 창호(10)의 유리(12)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창호(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 창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리(12)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 GB), 가스켓(gasket) 및 실란트(sealant) 등의 유리고정부재(미도시)와 함께 창호(1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발열 시스템(100)은 창호(10)의 하단부의 유리(12)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창호(10)의 하단부의 유리(12) 부분에만 발열 시스템(100)을 설치하는 것은 창호(10)의 하단의 유리(12) 부분에 결로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도 1의 A 부분 참고).
이에 따라, 발열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창호(10)의 전체 제작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도 창호(10)의 유리(12) 부분에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저감 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창호(10)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은 발열 유닛(110) 및 구동 유닛(120)을 포함한다.
발열 유닛(110)은 창호(10)에 장착된 유리(12)에 열을 가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발열 유닛(110)은 창호(10)의 유리(12) 표면에 마련되어 유리(12)를 가열한다.
이때, 발열 유닛(110)의 창호(10)의 프레임(11) 및 유리(12)의 경계 부분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발열 유닛(110)은 창호(10)의 하단부 프레임(11) 및 유리(12)의 경계 부분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 유닛(110)이 창호(10)의 하단부에 위치된 프레임(11)과 유리(12) 사이에 마련되는 것은, 창호(10)의 하단부의 유리(12) 부분이 주로 결로 발생 부위(A)이기 때문이다.
물론, 발열 유닛(110)은 창호(10)의 하단부 프레임(11)과 유리(12)의 경계 부분 뿐만 아니라, 창호(10)의 상단부 프레임(11)과 유리(12)의 경계 부분 또는 창호(10)의 측면부 프레임(11)과 유리(12)의 경계 부분에도 마련될 수 있으나, 결로가 많이 발생되는 창호(10)의 하단부의 유리(12)에만 마련되어도 충분하다.
이와 같이, 발열 유닛(110)이 창호(10)의 하단부의 유리(12)에만 마련됨으로써, 발열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창호(10)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 발열 유닛(110)을 정상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창호(10)의 결로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열 유닛(110)은 유리(12)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유리(12)의 폭 방향은 유리(12)가 장착되는 창호(10)의 가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발열 유닛(110)은, 유리(12)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112)와 발열 부재(112)를 둘러싸는 발열 커버(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열 부재(112)가 마련되는 유리(12)의 표면은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공간(실내 공간)에 위치된 부분일 수 있다.
발열 부재(112)는 유리(12)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유리(12)의 폭 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발열 부재(112)는 부착면(B)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유리(12)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발열 부재(112)는 면상 발열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발열 커버(114)는 발열 부재(1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발열 커버(114)는 발열 부재(112)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발열 커버(114)는 유리(12)의 표면과 접촉되는 발열 부재(112)의 부착면(B)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발열 커버(114)가 발열 부재(112)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발열 부재(112)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발열 부재(112)를 오랜 기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열 커버(114)는 발열 부재(1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리(12)의 표면에 잘 전달되도록 하면서 발열 부재(1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구동 유닛(120)은 발열 유닛(11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발열 유닛(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구동 유닛(120)은 발열 유닛(110)과 함께 창호(10)의 하단부에 위치된 유리(12)의 경계 부분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동 유닛(120)은 제어부(122) 및 전원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발열 유닛(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는 PCB 회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124)는 제어부(122) 또는 발열 유닛(110)과 연결되어 발열 유닛(11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에서, 전원부(124)는 충전식 배터리(battery)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전원부(124)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cell)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동 유닛(120)에는 전원부(124)의 충전을 위한 충전 포트(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 유닛(120)에 마련되는 충전 포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 포트의 형태일 수 있다.
더욱이, 구동 유닛(120)는 확인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는 구동 유닛(120)의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로 마련된 전원부(124)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컨대, 확인부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LED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전원부(124)는 10W 이하의 낮은 전력을 갖는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 유닛(110)이 유리(12)의 전체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분(하단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낮은 전력으로도 발열 유닛(110)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유닛(120)의 전원부(124)가 10W 이하의 낮은 전력을 갖는 배터리로 마련되어도 발열 유닛(110)을 정상적으로 구동시켜서 유리(12)를 가열할 수 있어서 유리(12) 표면의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은 제1 센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30)는 유리(12)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제1 센서부(130)는 발열 유닛(110) 및 구동 유닛(120)과 함께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공간(실내 공간)의 유리(12)의 표면에 부착되어 유리(12)의 표면 온도를 감지한다.
제1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유리(12)의 표면 온도는 제어부(122)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은 제2 센서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32)는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제2 센서부(132)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는 제어부(122)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2 센서부(132)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노점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서부(132)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습도가 높으면 노점 온도가 낮게 설정되고, 감지된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습도가 낮으면 노점 온도가 높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로, 노점온도는 수증기가 물이 되기 전 이슬이 맺히는 정도로 냉각될 때의 최저 온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노점 온도는 유리(12)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한다. 국내 KS 규격에 따른 노점온도는 실내 온도가 25도이고, 실내 습도가 50%의 환경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때 노점온도는 15.4도 이다.
특히, 제어부(122)는 제1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유리(12)의 표면 온도가 설정된 노점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발열 유닛(1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22)는 제2 센서부(132)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노점온도가 설정되고, 설정된 노점온도와 비교하여 제1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유리(12)의 표면 온도가 높게 유지되도록 발열 유닛(110)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22)는 제1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유리(12)의 표면 온도가 제2 센서부(132)로부터 측정된 실내 온도 및 습도 값에 따라 설정된 노점온도보다 약 1도 높을 경우에는 발열 유닛(110)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22)는 제1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유리(12)의 표면 온도가 설정된 노점온도보다 약 2도 높을 경우에는 발열 유닛(110)이 미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에서 제어부(122) 및 전원부(124)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20)은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키트(KIT)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유닛(120)이 발열 유닛(110)과 비교하여 작은 폭 방향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 유닛(110)과 동일한 폭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키트로 마련된 구동 유닛(120)은 발열 유닛(1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유닛(120)은 제어부(122) 및 전원부(124)의 유지/보수에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의 변형예에서, 발열 유닛(110) 및 구동 유닛(120)이 하나의 키트(KIT)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발열 유닛(110)과 구동 유닛(120)이 하나로 마련되어 유리(12)의 표면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유닛(120)은 물론이고 발열 유닛(110)의 유지/보수에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유리(12)의 표면의 결로 발생 위치에 따라 구동 유닛(120) 및 발열 유닛(110)이 설치 위치를 즉각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서, 결로 발생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는 발열 시스템(100)의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유리(12)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테스트는 결로성능 평가(KS F 2295) 규격에 맞춰 수행하였다.
창호(10)는 시스템창으로서, 유리(12)는 삼복층유리(로이유리 2장 적용됨)을 적용하였다.
또한, 발열 시스템(100)이 부착되는 창호(10)는 저온실과 항온실 사이에 위치시켜 테스트하였으며, 저온실의 온도는 -15도 이고, 항온실의 온도 및 습도는 각각 25도, 50%이다.
더욱이, 발열 시스템(100)을 창호의 하단부로 한정하여 테스트하였다.
테스트는 발열 시스템(100)이 유리(12)의 전체 면적에 부착된 창호(비교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호(10)(실시예1) 순서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는 2 X 2 m의 크기를 갖는 창호(10)이다.
상기와 같은 환경에 따른 테스트 결과는 [표 1]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비교예를 참조하면, 유리의 전체 면적에 발열 시스템이 설치된 창호의 경우에는 유리의 표면 온도를 1도 올리는데 시간당 전력량이 30 W/Hr 이상이 소모되어야만 유리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리의 전체 면적에 발열 시스템이 설치된 창호는 일반적인 창호보다 창호의 단열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발열 시스템을 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기 [표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유리의 일부분에 발열 시스템이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창호(10)의 경우에는 유리(13)의 표면 온도를 1도 올리는데 시간당 전력량이 0.6 W/Hr 정도로 비교적 낮은 전력이 소모되어도 유리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창호(10)는 일반적인 창호와 동일한 단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창호에 설치된 발열 시스템을 수리하는 것이 비교적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 시스템(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10)는 저전력 으로도 실내/외 온도 차이로 인한 유리(12)의 표면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손쉬운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1: 프레임
12: 유리
100: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110: 발열 유닛 112: 발열 부재
114: 발열 커버 120: 구동 유닛
122: 제어부 124: 전원부
130: 제1 센서부 132: 제2 센서부
A: 주요 결로 발생 부위 B: 부착면
12: 유리
100: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110: 발열 유닛 112: 발열 부재
114: 발열 커버 120: 구동 유닛
122: 제어부 124: 전원부
130: 제1 센서부 132: 제2 센서부
A: 주요 결로 발생 부위 B: 부착면
Claims (15)
- 창호의 유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유리를 가열하는 발열 유닛; 및
발열 유닛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발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며,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발열 유닛은,
유리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발열 부재; 및
유리 표면과 접촉되는 발열 부재의 부착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둘러싸는 발열 커버를 포함하고,
구동 유닛은,
발열 유닛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되, 발열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제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은 키트(KIT)로 마련되어 발열 유닛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발열 유닛은 창호의 프레임 및 유리의 경계 부분에 위치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발열 유닛은 창호의 하단부 프레임 및 유리의 경계 부분에 위치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되고,
구동 유닛에는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된 전원부의 충전을 위한 충전 포트가 마련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에는,
구동 유닛에는 전원부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가 추가로 마련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전원부는,
10W 이하의 저전력을 갖는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유리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로 감지된 결과가 전송되는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고 제어부로 감지된 결과가 전송되는 제2 센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2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실내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노점온도가 설정되고,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유리 표면의 온도가 설정된 노점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발열 유닛을 제어하는,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제8항 내지 제1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열 시스템을 포함하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73148 | 2020-12-11 | ||
KR1020200173148 | 2020-12-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3625A KR20220083625A (ko) | 2022-06-20 |
KR102603834B1 true KR102603834B1 (ko) | 2023-11-21 |
Family
ID=82257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6697A KR102603834B1 (ko) | 2020-12-11 | 2021-12-10 |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KR1020210176698A KR102603833B1 (ko) | 2020-12-11 | 2021-12-10 |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6698A KR102603833B1 (ko) | 2020-12-11 | 2021-12-10 |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038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8376A (ko) | 2022-11-10 | 2024-05-17 | 재단법인 키엘연구원 | 열전소자를 이용한 스마트 창호 동작상태 모니터링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766B1 (ko) * | 2013-12-13 | 2014-10-01 |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 다용도 창문용 히터 |
KR101844093B1 (ko) * | 2013-10-11 | 2018-03-30 | (주)엘지하우시스 | 결로방지 창호 |
KR102003836B1 (ko) * | 2019-02-14 | 2019-07-25 | (주)대성명품도어 |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6462A (ko) | 2014-12-02 | 2016-06-10 | (주)솔라세라믹 | 결로 방지용 발열 윈도우 유닛 |
KR101712973B1 (ko) | 2015-04-22 | 2017-03-07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발열 창문 시스템 |
KR101805759B1 (ko) * | 2015-05-26 | 2018-01-1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전기를 구비한 창호용 결로저감 시스템 |
KR102122832B1 (ko) * | 2018-08-20 | 2020-06-15 | 주식회사 성경 | 조명 및 결로차단 기능을 구비한 발열 이중 유리창 창호 |
-
2021
- 2021-12-10 KR KR1020210176697A patent/KR1026038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2-10 KR KR1020210176698A patent/KR1026038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4093B1 (ko) * | 2013-10-11 | 2018-03-30 | (주)엘지하우시스 | 결로방지 창호 |
KR101446766B1 (ko) * | 2013-12-13 | 2014-10-01 |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 다용도 창문용 히터 |
KR102003836B1 (ko) * | 2019-02-14 | 2019-07-25 | (주)대성명품도어 |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3833B1 (ko) | 2023-11-21 |
KR20220083626A (ko) | 2022-06-20 |
KR20220083625A (ko) | 2022-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6074Y1 (ko) |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자동제어 창호 시스템 | |
KR101282458B1 (ko) | 건축물용 창호부 | |
KR102603834B1 (ko) |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
KR101600974B1 (ko) | 다기능 스마트 파사드 모듈 및 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 |
CN211406607U (zh) | 一种电气设备防潮装置 | |
CN217175885U (zh) | 改造建筑 | |
KR102353221B1 (ko) | 자가 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창호 시스템 | |
CN216517596U (zh) | 一种太阳能光伏中空玻璃 | |
KR200418541Y1 (ko) | 건축물용 이중창의 가열장치 | |
CN103938788A (zh) | 建筑节能保温方法及空心砌块 | |
CN112711199A (zh) | 一种被动式建筑智能节能控制装置 | |
KR20090103367A (ko) | 이중외피로 구현된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 |
CN217681266U (zh) | 适于公共建筑物的可调外窗遮阳结构 | |
CN203947975U (zh) | 一种遮阳low-e中空玻璃 | |
CN202064804U (zh) | 一体化外置遮阳节能窗 | |
CN209179667U (zh) | 被动房建筑节能外窗 | |
CN102287127A (zh) | 一体化外置遮阳节能窗 | |
CN208996223U (zh) | 一种新型保温式金属面硬质聚氨酯夹芯板 | |
CN213358914U (zh) | 一种绿色节能自动控温建筑 | |
CN219365833U (zh) | 一种便于维护的节能被动窗 | |
KR102320216B1 (ko) | 축열용 창호 시스템 | |
KR101168493B1 (ko) | 비대칭 반사면을 구비한 이중창호 시스템 | |
CN210948298U (zh) | 一种可调光节能防火中空玻璃 | |
KR102241283B1 (ko) | 스마트 창호 시스템 | |
CN211598238U (zh) | 一种密封隔热节能门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