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766B1 - 다용도 창문용 히터 - Google Patents

다용도 창문용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766B1
KR101446766B1 KR1020130155877A KR20130155877A KR101446766B1 KR 101446766 B1 KR101446766 B1 KR 101446766B1 KR 1020130155877 A KR1020130155877 A KR 1020130155877A KR 20130155877 A KR20130155877 A KR 20130155877A KR 101446766 B1 KR101446766 B1 KR 10144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tube
window
heat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만
김아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15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10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 F24H3/1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heating conductor arranged in metal tubes, the radiating surface having heat-conducting f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창문용 히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열선이 설치되고,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전열튜브를 구비한 히팅부와, 상기 전열튜브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열튜브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히팅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창문용 히터{Multi-purpose Heater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에 의해 창문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차이가 심한 동절기에는 건물의 창문 에서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결로현상이란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하로 떨어져 대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물체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이다.
이러한 결로현상으로 인해 창문 표면에 맺히는 결로수가 창틀에 고이거나 창틀에서 흘러내린 결로수가 벽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 결과, 실내의 벽이나 바닥에 곰팡이가 생기게 된다. 또한, 창틀의 재질이 원목일 경우에는 창틀이 썩게 되며, 목재 창틀이 아니어도 외관상 창틀이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특개평 11-087026호에는 창문용 히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창문용 히터는 열전도성을 가진 커버 내에 발열체를 장착하고, 커버의 단면이 아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창문용 히터는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확산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 창문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데에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02255호에는 결로 제거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결로 제거 장치는 팬의 구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결로 제거 장치 간에 상호 연결이 되지 않아서 다수의 장치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설치 및 사용이 불편하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25711호에 게시된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2111호에 게시된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의 구동없이 히터의 열의 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창문의 크기나 공간의 형상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히터 간의 결합이 가능하고, 하나의 플러그로 다수의 히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연중 무드 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창문용 히터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열선이 설치되고,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전열튜브를 구비한 히팅부와, 상기 전열튜브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열튜브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히팅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열튜브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수평방향의 폭이 좁다.
상기 전열튜브는 상승기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전열튜브는 내부에 설치된 상기 열선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열튜브의 내부에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전열튜브는 상기 전열튜브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개구를 가지는 제1조립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2조립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에는 인접하는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상기 전원부의 플러그와 결합되거나 인접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가 형성된 결합부와, 인접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들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가 상호 임의의 각도로 배열될 수 있도록 절곡부를 구비한다.
상기 히팅부 하방에 1개 이상의 탈착가능한 팬을 더 구비한다.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를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창틀고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전열튜브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열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LED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창문용 히터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에 의해 창문에 발생하는 결로 형상을 방지하고,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냉기를 차단하여 실내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폭보다 수직높이가 길게 형성된 전열튜브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 상승기류를 형성하며, 전열튜브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상승기류가 활성화되어 실내온도 상승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창문용 히터 간의 연결이 가능하여 다수의 히터를 하나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휴대가 간편하여 발이 시려운 책상 밑이나 캠핑장 텐트 내 등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LED모듈로 무드 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동절기뿐만 아니라, 히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LED모듈만을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연중 조명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창문용 히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창문용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다용도 창문용 히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전열튜브의 다른 실시예 및 전열튜브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전열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용도 창문용 히터 간의 접속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전열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창문용 히터(1)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창문용 히터(1)는 내부에 열선(10)을 포함하고,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전열튜브(11)를 구비한 히팅부(100)와, 상기 히팅부(100)의 양단에 설치되어 전열튜브(11)가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에 형성되며 히팅부(1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부(300)를 포함한다.
히팅부(100)는 열을 발하는 열선(10)과, 열선(10)을 내부에 구비한 전열튜브(11)를 구비한다.
전열튜브(11)의 내부에는 열선(10)이 전열튜브(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열선(10)은 전열튜브(11)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두 개의 열선(10)이 배치되어 있다. 열선(10)의 형상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열선(10)이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전열튜브(11)들의 일단과 타단을 통과하며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열튜브(11)는 길이가 긴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에서 수직방향의 길이가 수평방향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전열튜브(11)의 다른 실시예 및 전열튜브(11)의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보인 분리사시도이며, 상기와 같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임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열튜브(111)는 내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1조립부재(111a)와, 제2조립부재(111b)를 구비한다. 제1조립부재(111a)는 그 단면이 상하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개구를 가진다.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제1조립부재(111a)의 양 끝단에는 중심방향으로 입구가 개방된 형상의 리브(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조립부재(111a)의 양 끝단에 형성된 리브(12)의 입구에 판 형상의 제2조립부재(111b)를 삽입하여 튜브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2조립부재(111b)는 제1조립부재(111a)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립부재(111a)의 내부에는 열선(1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3)는 제1조립부재(111a)의 내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13)는 제1돌기(13)와 제2돌기(13)를 구비한다. 제1돌기(13)와 제2돌기(13)는 열선(10)의 직경에 맞게 상호 이격되어 있다.
돌기(13)는 제1조립부재(111a)의 내면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13)는 제1조립부재(1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서는 일정 길이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돌기(13)는 제1조립부재(111a)에 형성된 리브(12)보다 중심방향 측에 설치되어 열선(10)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돌기(13)가 형성된 제1조립부재(111a)의 내면과 대향되어 개방된 부분은 제2조립부재(111b)가 지지하므로 열선(10)의 이탈이 방지된다. 돌기(13)는 제2조립부재(111b)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열튜브(111)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본체부(200)와의 결합을 위해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조립부재(111a)에 제1구멍(15)이 형성되고, 제1구멍(15)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2조립부재(111b)에 제2구멍(16)이 형성된다. 제1구멍(15)과 제2구멍(16)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돌기(1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튜브(111)의 표면은 요철(14)이 형성되어 방열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요철(14)로 인해 전열튜브(111)로부터 발생하는 상승기류가 더욱 활성화된다. 도 5는 이러한 상승기류의 흐름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요철(14)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요철(14)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철(1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열튜브(111)의 표면에 딤플형상과 같이 원형상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전열튜브(111)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어 약 1m당 무게가 1kg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실시예의 전열튜브(11)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13), 요철(14), 제1,2구멍(15)(16)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일면에 전열튜브(11)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삽입홈(22)이 형성된 고정부(21)와, 고정부(21)와 대향되는 타면에 전원 공급 및 다용도 창문용 히터(1) 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25)를 포함한다.
본체부(200)는 전열튜브(11)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201)와, 전열튜브(11)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본체부(20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본체부(200)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모서리가 라운드처리되어 있다. 본체부(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이 원형,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본체부(200)는 전열튜브(11)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하단에 지지부재(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20)는 본체부(200)가 지면에 대해 유동하지 않도록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된다. 본체부(200)와 지지부재(20)는 난연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21)는 본체부(200)의 일면에 전열튜브(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열튜브(11)의 형상에 맞게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홈(22)은 전열튜브(11)의 배열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2) 간에는 상호 연통되어 있으나, 전열튜브(11)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홈(22) 간의 이격된 공간이 수직방향의 중심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21)의 양측면에는 제3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제3구멍(23)은 전열튜브(11)의 제1,2구멍(15)(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접속부(25)는 고정부(21)와 대향된 면에 형성된 결합부재(26)와, 다용도 창문용 히터(1) 간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28)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6)는 고정부(21)와 대향된 면에서 일부분이 내부로 인입되고, 내부에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26)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31)(31) 또는 커넥터(28)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26)는 고정부(21)와 대향된 면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21)와 이웃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넥터(28)는 양단에 결합부재(26)에 형성된 단자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으로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인접하는 제1본체부(201)와 제2본체부(202)가 길이방향으로 전기적 연결되도록 커넥터(28)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서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커넥터(228)는 다용터 창문용 히터(1)가 상호 임의의 각도로 배열될 수 있도록 절곡부(229)를 구비한다. 절곡부(229)는 꺾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바라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229)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300)는 히팅부(1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플러그(31)와 온/오프(ON/OFF)버튼(33)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플러그(31)는 결합부재(26)에 형성된 단자와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재(26)와 탈착가능하여 별도의 휴대가 가능하다.
온/오프(ON/OFF)버튼(33)은 본체부(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히팅부(100)와 결합부재(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온/오프(ON/OFF)버튼(33)은 플러그(31)와 결합부재(26)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도, 플러그(3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히팅부(100)에 연결 및 차단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부(300)는 히팅부(100)의 과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전원부(300)와 히팅부(100) 사이에 바이메탈을 구비할 수 있다. 바이메탈은 히팅부(100)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전원부(300)와 히팅부(100)가 연결된 회로가 차단되고, 히팅부(100)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다시 전원부(300)와 히팅부(100)의 회로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용도 창문용 히터(1)는 히팅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탈착가능한 팬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팬은 시로코 팬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용도 창문용 히터(1)를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창틀고정부(45)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열튜브(11)의 하단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열튜브(11)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창틀고정부(45)재의 일면은 전열튜브(11)의 길이보다 상부와 하부가 더 길게 연장되어 창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창틀고정부(45)재는 본체부(20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전열튜브(1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전열튜브(11)의 상면에 LED모듈(50)이 설치되어 있다.
LED모듈(50)은 전열튜브(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R(Red), G(Green), B(Blue)의 조합으로 풀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전열튜브(11)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LED모듈(50)에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창문용 히터(1)는 제1본체부(201)에 형성된 결합부재(26)에 플러그(31)를 연결하고, 창틀에 설치된다. 제1본체부(201)에 형성된 온/오프(ON/OFF)버튼(33)을 조작하여 히팅부(1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창문용 히터(1)는 단면의 폭에 비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전열튜브(11)가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어, 이격된 소정의 공간이 굴뚝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히팅부(100)의 하부의 공기가 전열튜브(11)가 상호 이격된 공간으로 빨려들어와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열튜브(11)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14)에 의해 방열표면적이 넓어지면서 더 많은 열이 발생하고, 상승기류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열선(10)에서 발생하는 열이 히터 주위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창문용 히터(1) 간의 연결이 가능하여 하나의 전원으로 여러 개의 다용도 창문용 히터(1)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크기에 따라 맞춤형이 가능하다. 다용도 창문용 히터(1)는 길이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각도로 배치가 가능하여 창틀 또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배치가 가능하다.
다용도 창문용 히터(1)는 팬을 탈착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나, 본디 팬의 구동 없이 열의 확산이 활성화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팬을 사용하지 않고 충분히 히터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고, 더 아늑하고 평안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의 사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열튜브(11)의 상면에 설치된 LED모듈(50)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므로 무드 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사계절 내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창문용 히터는 아늑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창틀, 실내, 책상 밑, 캠핑장이나, LED모듈로 무드 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카페, 식당 등 전원이 공급되는 모든 장소에 적용가능하다.
1 : 다용도 창문용 히터 100 : 히팅부
10 : 열선 11 : 전열튜브
200 : 본체부 300 : 전원부

Claims (11)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열선이 설치되고,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전열튜브를 구비한 히팅부와;
    상기 전열튜브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열튜브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히팅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인접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를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튜브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수평방향의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튜브는 상승기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튜브는 내부에 설치된 상기 열선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열튜브의 내부에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5. 제2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튜브는 상기 전열튜브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개구를 가지는 제1조립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2조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상기 전원부의 플러그와 결합되거나 인접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가 형성된 결합부와, 인접하는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들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가 상호 임의의 각도로 배열될 수 있도록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 상부 또는 하부에 1개 이상의 탈착가능한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10. 제1항 내지 3항과 제 7항,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창문용 히터를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창틀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11.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튜브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열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LED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창문용 히터.
KR1020130155877A 2013-12-13 2013-12-13 다용도 창문용 히터 KR101446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877A KR101446766B1 (ko) 2013-12-13 2013-12-13 다용도 창문용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877A KR101446766B1 (ko) 2013-12-13 2013-12-13 다용도 창문용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766B1 true KR101446766B1 (ko) 2014-10-01

Family

ID=5199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877A KR101446766B1 (ko) 2013-12-13 2013-12-13 다용도 창문용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25A (ko) * 2020-12-11 2022-06-20 (주)엘엑스하우시스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675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JP3136920U (ja) * 2007-08-23 2007-11-08 省電システム株式会社 省エネ結露防止用装置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675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JP3136920U (ja) * 2007-08-23 2007-11-08 省電システム株式会社 省エネ結露防止用装置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25A (ko) * 2020-12-11 2022-06-20 (주)엘엑스하우시스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603834B1 (ko) * 2020-12-11 2023-11-21 주식회사 엘엑스글라스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065B2 (ja) 建物内の集中式熱交換装置に用いるためのモジュール式熱交換システム
US20100287852A1 (en) Modular elements for building roofs
US20080212308A1 (en) Light with heater
ES2557449T3 (es) Estructura modular de calefacción adaptable a las paredes interiores de los edificios
JP2018025315A (ja) 空気調和機
WO2023273123A1 (zh) 收纳装置
WO2023273121A1 (zh) 收纳装置
WO2023273120A1 (zh) 收纳装置
WO2022205896A1 (zh) 暖风机内部加热组件、暖风机及暖风机加热控制方法
KR101446766B1 (ko) 다용도 창문용 히터
ES2603386T3 (es) Elemento de suelo para fabricar suelos con espacio hueco con tubos de calefacción para la calefacción de habitaciones o con tubos de calefacción y refrigeración para una calefacción y refrigeración combinadas de habitaciones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CN203744133U (zh) 一种led面板灯
WO2023273122A1 (zh) 收纳装置
CN206226742U (zh) 空调室内机的ptc电加热器及空调室内机
TWM631872U (zh) 換氣裝置
CN210773002U (zh) 一种风幕装置及其冷库
KR200465006Y1 (ko) 방열기
KR200448835Y1 (ko) 비닐하우스용 히터
RU119787U1 (ru) Подоконная доска
JP3194867U (ja) 壁掛けエアコンのショートサーキット防止装置
US20150125134A1 (en) Heat-resistant electric heater
CN204730382U (zh) 冷暖天花风幕机
KR20200138954A (ko) 동파방지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JP3194867U7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