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700B1 -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700B1
KR102603700B1 KR1020230043704A KR20230043704A KR102603700B1 KR 102603700 B1 KR102603700 B1 KR 102603700B1 KR 1020230043704 A KR1020230043704 A KR 1020230043704A KR 20230043704 A KR20230043704 A KR 20230043704A KR 102603700 B1 KR102603700 B1 KR 10260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unit
score
area
mo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빈
Original Assignee
이성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빈 filed Critical 이성빈
Priority to KR102023004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은,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심판없이 직접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지정 위치에 점수 카운팅을 위한 광 영역을 안내하며, 안내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점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Motion-Sensing Moving Scorebo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생활체육 곳곳에 쓰이는 점수판을 심판이 없어도 경기의 참여자들이 쉽게 조작하여 시합을 진행할 수 있는,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건강과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 증대에 힘입어 아마추어(amateur) 동호인 스포츠가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동호인 간의 스포츠 경기에는 지원 부족과 비용 문제로 인해 점수판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관중들의 흥미와 호응을 유도하기 어렵고, 점수에 대한 분쟁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동호인 스포츠에서 점수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점수가 인쇄된 복수 장의 카드를 한 장씩 넘기는 달력(calendar) 형태의 점수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단순한 달력 형태의 점수판이든 다른 형태의 점수판이든 심판이나 별도의 점수 기록자가 경기를 지켜보며 점수판의 조작을 전담하여야만 했다. 그 이유는 경기 임하는 선수들이 점수가 바뀔 때마다 점수판을 직접 조작하기에 너무 번거로워서 원활한 경기의 진행이 방해되기 때문이다. 보통 점수판 사용이 요구되는 경기는 탁구, 당구, 테니스, 농구, 배구, 축구, 배드민턴, 레슬링, 유도, 태권도 등 1점씩 혹은 2 내지 3점씩 득점되는 모든 사회체육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심판이 없이도 선수들이 운동을 하면서 원활한 경기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쉽게 점수를 계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665호(2017.06.0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344호(2013.12.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생활체육 곳곳에 쓰이는 점수판을 심판이 없어도 경기의 참여자들이 쉽게 조작하여 시합을 진행할 수 있는,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은,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심판없이 직접 점수(score)를 카운팅하도록 지정 위치에 점수 카운팅을 위한 광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점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감지부는, 경기장의 바닥에 제공되는 상기 광 영역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경기장의 바닥에 광을 조사해 상기 광 영역을 제공하는 발광소자부, 및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부와 일체로 움직여 상기 거리가 조절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광 영역에서 상기 동작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점수를 상향하기 위한 제1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점수를 하향하기 위한 제2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은, 동작 감지부가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심판없이 직접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지정 위치에 점수 카운팅을 위한 광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점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동작 감지부가 회전 수단을 통해 경기장의 바닥에 제공되는 상기 광 영역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동작 감지부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부가 상기 경기장의 바닥에 광을 조사해 상기 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감지부를 구성하는 센서부가,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부와 일체로 움직여 상기 거리가 조절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거리 센서가 상기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광 영역에서 상기 동작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1 센서부가 상기 점수를 상향하기 위한 제1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2 센서부가, 상기 점수를 하향하기 위한 제2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활체육 곳곳에서 사용하는 점수판의 경우 심판 없이도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직접 점수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비접촉 방식에 의해 점수를 카운팅하므로 경기 시합시 점수 조작을 위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은 가령 광센서나 거리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한 동작감지형 LED 이동점수판으로서, 본체부(110) 및 점수판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가령 본체부(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이 구성되거나, 이에 따라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이 벽걸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부(혹은 이동장치부)(110)는 점수판장치(또는 점수판)(120)를 임의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륜을 포함하며, 또한 점수판장치(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높낮이 조절부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실린더는 외부 실린더와 내부 실린더로 구성되고 내부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구성된다. 실린더의 내부에는 질소와 같은 가스가 일정 압력으로 채워지며, 외부 실린더와 내부 실린더의 연결 부위에는 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레버를 당기면 밸브가 열리게 되며 밸브가 열리면 외부 실린더의 가스가 내부 실린더로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밀어낸다. 가스가 팽창하면 피스톤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본체부(110)의 높낮이 조절부는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의 높낮이 조절부는 유압식 형태의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nger)를 왕복 직선 운동시켜 기계적인 일을 행하게 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전자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밸브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전자동 방식의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점수판장치(120)는 가령 박스(box) 형태의 외부 케이스,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 구성되어 경기장의 네트(net)를 기준으로 양측의 선수들 즉 팀을 구분해 주는 팀 식별부(혹은 라이팅부)(121), 또 각 팀의 선수들이 자신의 팀에서 획득한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광을 경기장 바닥 등에 조사해 광 영역을 안내하고, 또 광이 조사되는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점수가 카운팅되도록 하는 동작 감지부(123), 그리고 동작 감지부(123)의 감지 결과에 따라 카운팅되는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 표시부(125),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양한 동작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 및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팀 식별부(121), 동작 감지부(123) 등을 제어하는 CPU나 MPU 등의 제어부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팀 식별부(121)는 경기장에서 시합하는 제1 팀(HOME팀)과 제2 팀(GUEST팀)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가령 로고 라이트와 같은 형태로 HOME과 GUEST 등의 문구를 경기장의 바닥에 비춰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팀 식별부(121)의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축구경기나 배드민턴 등과 같이 중앙의 네트를 기준으로 서로 경기장의 코드 교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로고 라이트 형태의 HOME과 GUEST의 문구를 변경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의 설정에 의해 변경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지만, 제어부에서 점수를 카운팅하여 특정 점수 즉 최종 점수에 이르게 될 때 자동으로 교체해 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팀 식별부(121)는 빔 프로젝터와 같이 전면에 HOME나 GUEST 등의 문구가 인쇄되는 필름에 배치한 후 이를 필름의 후면에서 빔 즉 광을 조사하여 원하는 지정 위치에 문구를 표시해주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감지부(123)는 팀 식별부(121)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이는 다시 말해 경기장의 바닥면에 표시되는 HOME과 GUEST의 문구와 인접하여 광 영역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부(123)는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동작을 감지해 이를 근거로 점수 표시부(125)에 표시되는 점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동작 감지부(123)는 접촉 방식으로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비접촉 방식으로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동작 감지부(123)는 경기장의 바닥에 표시되는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그 반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을 분석하여 동작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경기의 참여자가 광 영역에서 발로 바닥을 터치하거나 해당 발을 들여놓는 경우 동작 감지부(123)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그 동작에 의해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해당 반사된 레이저는 변위량이 변위되어 수신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변위량이 변위된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지만, 가령 조사된 레이저가 지정된 시간 내에 반사되어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레이저의 특성이 변경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감지부(123)는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또 해당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동작 감지부(123)는 광 영역으로 레이저 등을 조사할 때 동작 초기에 해당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예: 반사시간이나 신호왜곡 등)을 분석하여 광 영역의 바닥에 대한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분석 결과를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광 영역에서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동작 감지에 따라 변위량이 변위된 레이저가 수신되면 해당 레이저의 반사 신호를 분석해 기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만약 변위량이 감지되면 해당 감지 결과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점수가 카운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부(123)는 양측의 코드에 다시 말해 HOME 팀과 GUEST 팀에서 각각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센서부(123c)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 각 센서부(123c)의 경우 점수를 상향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센서(혹은 점수 상향용 센서)와, 점수를 하향하기 위해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서(혹은 점수 하향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에 점수 상향 및 하향을 위한 2개의 센서가 각각 구비되어 양측에 총 4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또 각 팀을 구분하기 위하여 중앙 부위에 별도의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중앙 부위의 센서는 경기의 전후반이 변경되거나 할 때 코트의 중심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동작 감지부(123)의 기구적인 측면을 간략히 살펴보면,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작 감지부(123)는 헤드라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발광소자부(123b)와 센서부(123c)를 구성하고 그 외부에서 발광소자부(123b)와 센서부(123c)를 감싸며 보호하는 보호 커버부(12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발광소자부(123b)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보호 커버부(123a)의 내측으로는 발광소자부(123b)와 센서부(123c)를 일체로 결합하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부 또는 회전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각도 조절부나 회전수단은 베어링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모터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나사 기어나 헬리컬 기어 등을 결합해 모터의 제어에 의해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해당 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점수 표시부(125)는 LED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점수를 카운팅하여 보여지도록 할 수 있지만, 점수의 경우에는 7세그먼트 LED 부품과 같은 LED 타이머를 사용하여 제어부에 의해 숫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점수 표시부(125)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 CPU나 MPU 등의 제어부는 전원이 입력되면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의 동작을 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 표시부(125)를 제어하여 숫자 '0'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팀 식별부(121)를 제어하여 경기장의 양측 코트의 가장자리로 HOME 및 GUEST의 문구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동작 감지부(123)를 제어하여 HOME 및 GUEST 문구가 표시된 일측으로 더 정확하게는 경기 참여자들에 가까운 쪽으로 광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는 광 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바닥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점수 상향을 위한 제1 광 영역과 점수 하향을 위한 제2 광 영역의 바닥 특성을 각각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동작 감지부(123)에서 각각의 광 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한 후 반사 특성 등을 분석한 결과 반사 특성이 다르면 해당 특성이 반영된 분석 결과를 근거로 각각의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경기가 시작되면 각각의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조사한 후 그 반사 신호의 특성을 분석해 광 영역에서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기의 참여자가 점수 상향을 요청하면 이를 감지해 해당 팀의 점수를 상향하게 되며, 이의 과정에서 점수를 잘못 상향한 경우에는 참여자가 점수 하향을 요청할 때 이를 감지해 점수를 하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어부는 참여자들이 현재 수행하는 시합의 유형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의 유형에 따라 15점을 특정 팀이 획득했을 때 코드를 교체해야 하는지, 또 축구의 경우에는 시간을 측정하여 골대를 서로 교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참여자들은 시합의 초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 등을 통해 스포츠의 유형을 설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15점에 코드가 교체가 필요한 경우 팀 식별부(121)를 제어하여 HOME 문구와 GUEST 문구를 교체하여 조사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제어부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트 스코어를 표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1에서 볼 때 상측의 표시부는 세트 스코어를 표시하며, 하측의 표시부는 특정 세트에서의 점수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보여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는 다양한 설정 동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버튼을 통해 동작 감지부(12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심판이 있는 경우에는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이루어지는 스포츠의 종류를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스포츠의 유형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는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연동하는 통신부,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7)는 참여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해당 앱의 실행 후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이 동작하도록 스마트폰과 통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은 표시부(200), 동작 감지부(210), 제어부(220), 점수 처리부(230) 및 저장부(2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2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이 구성되거나, 점수 처리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2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표시부(200)는 (O)LED 발광소자나 LED 타이머(혹은 7세그먼트 LE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7세그먼트 LED의 경우에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설치하여 작동시켜야 하지만, LED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특정 영역에 점수, 또는 세트 스코어를 카운팅하도록 설정하면 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할 수 있다. 물론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세그먼트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저렴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동작 감지부(210)는 도 1의 동작 감지부(123)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도 2에서는 동작 메커니즘 측면에서만 살펴보면 동작 감지부(210)는 레이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레이저 소자의 주변에는 가령 둘러싸는 형태로 광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광 소자의 경우에도 레이저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레이저 소자는 지정 거리의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해당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광 영역을 표시하는 레이저 소자는 특정 컬러의 레이저를 지정 거리에 조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부(210)는 특정 스포츠의 경기 시합이 시작되면 코트의 지정 영역으로 광을 조사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OME 팀과 GUEST 팀의 각 코트로 조사되는 각 광 영역의 컬러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경기 참여자들은 경기장의 바닥에 제공되는 각각의 광 영역을 가령 발로 터치하여 점수가 상향되고 또 하향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면서 점수를 조작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광 영역에 접근하여 발로 바닥을 터치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점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동작 감지부(210)는 해당 광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있으므로 그 반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을 분석하여 변위량을 측정해 이를 근거로 점수가 카운팅되도록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세트의 경기가 종료되면 새로운 세트에서 또 새롭게 점수의 카운팅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감지부(210)는 레이저 센서 등의 거리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카메라(모듈)를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특정 광 영역에 터치가 있는지 감지하고 다시 말해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터치 행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점수를 카운팅하는 것이다. 다만, 카메라의 경우 비용 측면에서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동작 감지부(210)는 제조비용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220)는 도 2의 표시부(200), 동작 감지부(210), 점수 처리부(230) 및 저장부(2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등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을 세팅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표시부(200)를 동작시켜 점수나 세트 스코어 등을 '0'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 특정 팀의 점수 획득이 있는 경우에는 동작 감지부(210)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표시부(200)의 점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220)는 이의 과정에서 동작 감지부(210)의 감지 신호를 점수 처리부(230) 등에 제공하여 신호 분석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점수 처리부(230)는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변위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특정 광 영역에서의 기준값은 2진비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변위량이 반영된 신호의 분석결과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광 영역에서 터치 동작이 있음을 감지하여 점수 처리부(230)는 제어부(220)에 점수 상향 또는 점수 하향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 처리부(230)는 점수 상향인 경우 '1'의 신호를 제어부(220)에 출력할 수 있으며, 점수 하향인 경우 '0'의 신호를 제어부(220)에 출력하여 점수가 카운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수 처리부(230)는 현재 코트에서 벌어지는 시합과 관련한 점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 처리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되는 스포츠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부(200)의 스코어와 점수가 처리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의 경우에는 전반이나 후반의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고 골 득점에 따른 숫자를 표시부(200)에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지만, 배드민턴이나 탁구 등과 같이 세트 등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스포츠의 유형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점수 처리부(230)의 요청에 따라 스포츠의 유형에 따라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초기 세팅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점수 처리부(230)는 동작 감지부(210)에서 동작 감지와 관련한 신호의 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점수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제어부(220)로 제공할 수 있지만, 동작 감지부(21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그 신호를 직접 분석한 후 점수를 처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점수 처리부(230)는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이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될 때 광 영역이 제공되는 바닥 부위의 특성을 분석하는 동작을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해당 광 영역에서 바닥 터치 등의 동작이 있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영역으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이 시합 참여자의 바닥 터치에 따라 반사 특성이 변경되므로 이를 근거로 점수 처리부(230)는 변위량이 변화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수를 상향하는 제1 광 영역에서 참여자의 움직임이나 터치가 감지되는지 또는 점수를 하향하는 제2 광 영역에서 참여자의 움직임이나 터치 등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점수 처리부(230)는 점수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해 제어부(220)에 출력하게 된다. 물론 점수 처리부(230)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각각의 광 영역과 관련한 센서의 식별정보를 기설정하므로 이를 근거로 특정 센서로 수신되는 레이저의 반사 신호가 어떠한 영역을 담당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예를 들어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점수 처리부(23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해당 데이터를 표시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 처리부(230)는 특정 코트에 있는 팀이 현재 10점을 획득한 것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수가 추가되는 경우 11점에 대한 데이터를 2진비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부(240)에 임시 저장한 후 표시부(200)에 제공하여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2의 표시부(200), 동작 감지부(210), 제어부(220), 점수 처리부(230), 저장부(2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표시부(200), 동작 감지부(210), 제어부(220), 점수 처리부(230), 저장부(2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24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2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의 동작 초기에 점수 처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은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심판없이 직접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지정 위치에 점수 카운팅을 위한 광 영역을 제공(또는 안내)하며, 제공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다(S300).
여기서, 광 영역을 제공한다는 것은 경기 참여자들이 시합을 하면서 해당 광 영역을 통해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그 조사한 레이저의 반사 신호를 통해 광 영역에서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점수 조작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위량은 반사신호의 수신 시간이나 수신 신호의 파형 특성의 변화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점수 상향 또는 하향 요청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광 영역이 제공되는 경기장의 바닥에 대한 특성을 먼저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합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외부 공간일 경우에는 흙이나 돌의 특성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실내 체육관과 같은 경우에는 나무 마루와 같은 나무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기장 바닥의 특성을 반영한 기준값을 기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광 영역에서의 바닥 터치 등의 동작을 감지해 시합에 참여한 참여자가 점수 상향이나 하향을 요청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은 동작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점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310). 예를 들어, 점수 상향을 요청하는 광 영역에서의 동작이 감지되면 그에 따라 특정 팀(예: HOME팀 또는 GUEST팀)의 점수를 상향하게 되며, 점수 하향을 요청하는 광 영역에서 참여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그에 따라 해당 팀의 점수를 하향하게 된다. 물론 하향 동작은 점수가 잘못 카운팅된 경우에 참여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100)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본체부 120: 점수판장치
121: 팀 식별부 123, 210: 동작 감지부
125, 200: (점수) 표시부 127: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제어부 230: 점수 처리부
240: 저장부

Claims (10)

  1.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심판없이 직접 점수(score)를 카운팅하도록 지정 위치에 점수 카운팅을 위한 광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점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감지부는, 경기장의 바닥에 제공되는 상기 광 영역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경기장의 바닥에 광을 조사해 상기 광 영역을 제공하는 발광소자부; 및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부와 일체로 움직여 상기 거리가 조절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광 영역에서 상기 동작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점수를 상향하기 위한 제1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점수를 하향하기 위한 제2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부는,
    동작 초기에 상기 광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광 영역의 바닥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광 영역에서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동작 감지에 따라 변위량이 변위된 레이저가 수신되면 상기 레이저의 반사 신호를 분석해 기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위량을 측정하는,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동작 감지부가,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심판없이 직접 점수를 카운팅하도록 지정 위치에 점수 카운팅을 위한 광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점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감지부가 회전 수단을 통해 경기장의 바닥에 제공되는 상기 광 영역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동작 감지부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부가, 상기 경기장의 바닥에 광을 조사해 상기 광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동작 감지부를 구성하는 센서부가,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부와 일체로 움직여 상기 거리가 조절된 광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거리 센서가, 상기 광 영역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광 영역에서 상기 동작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1 센서부가, 상기 점수를 상향하기 위한 제1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2 센서부가, 상기 점수를 하향하기 위한 제2 광 영역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감지부가, 동작 초기에 상기 광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광 영역의 바닥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광 영역에서 경기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동작 감지에 따라 변위량이 변위된 레이저가 수신되면 상기 레이저의 반사 신호를 분석해 기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43704A 2023-04-03 2023-04-03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KR10260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704A KR102603700B1 (ko) 2023-04-03 2023-04-03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704A KR102603700B1 (ko) 2023-04-03 2023-04-03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00B1 true KR102603700B1 (ko) 2023-11-17

Family

ID=8896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704A KR102603700B1 (ko) 2023-04-03 2023-04-03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44Y1 (ko) 2012-02-03 2013-12-11 류성필 전자식 점수판
KR101559120B1 (ko) * 2014-07-24 2015-10-13 엄성렬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KR200483665Y1 (ko) 2015-03-27 2017-06-20 장용대 디지털 점수판
KR20190125065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골프존 레이더 센서 및 그 제어방법
CN112494912A (zh) * 2020-11-24 2021-03-16 慈溪川奇玩具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数据处理的网球辅助设备
US20220143484A1 (en) * 2020-11-11 2022-05-12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Scoring system of automatically detecting body motion, scoring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body mo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44Y1 (ko) 2012-02-03 2013-12-11 류성필 전자식 점수판
KR101559120B1 (ko) * 2014-07-24 2015-10-13 엄성렬 라켓스포츠용 휴대용 셀프 스코어링 장치
KR200483665Y1 (ko) 2015-03-27 2017-06-20 장용대 디지털 점수판
KR20190125065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골프존 레이더 센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43484A1 (en) * 2020-11-11 2022-05-12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Scoring system of automatically detecting body motion, scoring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body mo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494912A (zh) * 2020-11-24 2021-03-16 慈溪川奇玩具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数据处理的网球辅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704B2 (en) Basketball sensing apparatus
US9901801B2 (en) Basketball sensing apparatus
US10159884B2 (en) Basketball make-miss shot sensing
EP2779142B1 (en) Basketball sensing apparatus
GB2567579A (en) Billiard ball striking assistance method, billiard ball striking assistance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786810B2 (en) Two-environment game play system
NO20120399A1 (no) Fremgangsmåte ved bevegelse i fysisk konfigurerbart rom og anordning til bruk ved fremgangsmåten
US20220090885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providing event effect
EP3473970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display unit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US10722773B2 (en) Sports training system
KR102603700B1 (ko) 동작감지형 이동점수판 및 그 이동점수판의 구동방법
EP3473971B1 (en) Dart gam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esson image
EP3473972B1 (en) Dart game system
US11844994B2 (en) Stick handling training device
KR200240118Y1 (ko) 골프 연습장용 점수 표시 장치
EP3473969B1 (en) Target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illumination unit
US11280592B2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an image projector
KR101014701B1 (ko) 체감형 게임 입력장치 및 그를 이용한 게임 방법
US20230087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based occurrence probability during a live event
US20240173605A1 (en) Golf simulator system and method
CA3130678A1 (en) Stick handling training device
US20190113313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JPH06304278A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マシン
KR20180086863A (ko) 골프코스가 투영되는 실외골프연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기기 및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