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568B1 -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568B1
KR102603568B1 KR1020230042218A KR20230042218A KR102603568B1 KR 102603568 B1 KR102603568 B1 KR 102603568B1 KR 1020230042218 A KR1020230042218 A KR 1020230042218A KR 20230042218 A KR20230042218 A KR 20230042218A KR 102603568 B1 KR102603568 B1 KR 10260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barrier
skin
water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태진
김지훈
홍인기
임영철
김종필
이혜숙
박예은
서재아
황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4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NF-α 처리된 인간각질형성 세포 HaCaT cell에서 피부장벽 인자인 필라그린과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arrier using solubilized mastic gum}
본 발명은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그 중 각질형성세포는 각질층을 형성하여 외부자극의 침투에 대한 방어벽을 이루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를 생산하여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에도 관여한다(J. Ginsen Res. 31:86-92, 2007; Clin. Exp. Rheumatol. 24:S1-6, 2006; Kor. J. Herbology. 29(6): 63-71, 2014). 그러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도한 생성은 피부세포의 손상을 일으켜 피부에 각종 염증성 질환을 발생시킨다(Biochem. Biophys. Res. Commun. 409:780-785, 2011).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는 피부장벽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정교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받는데, 각질형성 세포의 분화가 비정상적으로 일어나게 되면 피부장벽 기능에 결함이 생기게 되고, 피부건조를 유발시켜 만성 피부질환이 발생하게 된다(Respir. Dis. 2:20-29, 2013; Kor. J. Invest. Dermatol. 14:45-50, 2007; J. Skin Barrier Res. 6:69-77, 2004). 각질세포의 분화와 관련되어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로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과 3, 인볼루크린(involucrin), 코르니핀(cornifin), 로리크린(loricrin), 필라그린(filaggrin) 등이 있는데, 이 중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는 세포막의 안쪽에서 구조단백질들을 결합시켜 각질세포막을 형성하게 하고(Invest. Dermatol. 2007. 14:45-50.; Nam JJ 2012.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각질세포외막의 형성도 매개한다(J. Skin Barrier Res. 2009. 11:28-34; J. Skin Barrier Res. 2013. 11:28-34; J. Skin Barrier Res. 2014. 16:19-27).
필라그린은 각질세포의 케라틴과 복합체를 형성하며 로리크린, 인볼루크린, 엔보플라킨(envoplakin) 등의 단백질이 측쇄 결합하여 각질세포 외피를 형성하고 세포간 지질과 접합을 이루며 피부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필라그린은 각질생성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천연보습인자로 바뀌게 된다(Clinical Review in Allergy & Immunology 2008. 34(1): 26-31;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18. 179(2): 431-441). 따라서, 필라그린 등의 단백질은 표피 항상성 유지를 확인하는 주요한 지표들로, 이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은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Annals of Dermatology 2014. 26(1): 134-137).
피부 장벽 기능의 약화나 피부 장벽의 점차적인 손상은 피부 갈라짐, 이상 각질 탈락, 피부 소양증, 피부 노화, 민감성 피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2020. 10(1): 107-121;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8. 10(3): 207-215).
매스틱, 유향 또는 매스틱검은 매스틱 나무(Pistacia lentiscus L., 유향 나무)의 줄기에서 얻어지는 방향성 수지이다. 2500년 전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그 치유효과가 알려져 있어 히포크라테스가 소화불량 치료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MDPI Nutritients. 2022. 14:590), 유럽의약품기구(European Medicine Agency)에서도 키오스 매스틱을 전통 의약 항목에 포함시켰다(EMA-Annaul Report 2015. European Medicines Agency Press). 매스틱에는 테르펜(terpenes),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s), 식물 스테롤(phytosterols)과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arabinogalactanes proteins) 등이 농축되어 있으며(Biomed. Chromatogr. 2005. 19:285-311; Planta Med. 1999. 65: 749-752), 매스틱의 치유 효과는 이러한 성분들의 항염증, 항산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Curr. Med. Chem. 2012. 19:2292-2302), 구체적인 성분과 그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수용화 매스틱 검이 TNF-α 처리된 인간 피부각질형성 세포 HaCaT 세포에서 필라그린의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피부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수용화 매스틱 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용화 매스틱 검"은 매스틱 검을 미립자(평균 입경이 1~999μm의 범위) 내지 나노 입자(평균 입경이 1~999nm)화 하여 용매인 물에 현탁시킨 현탁액(suspension)(즉 용매인 물에서 응집·침전하지 않고 분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용화 매스틱 검은 매스틱 검을 분쇄하여 미립자화 내지 나노 입자화시키고, 여기에 물을 가하여 교반하고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특히 매스틱 검을 분쇄하여 미립자화시키고 여기에 물을 가하고 혼합하고 그 혼합물(또는 혼합액)을 분쇄하여 그 혼합물 중의 매스틱 검의 입자를 나노 입자화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분산된 입자를 안정화시켜 그 응집·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탁화제(suspending agents)가 미립자 내지 나노 입자화된 매스틱 검의 물과의 혼합 전후, 분쇄 전후 적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현탁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tragacanth gum), 한천, 카라야 검(karaya gum), 로커스트빈 검(locust bean gum), 구아검(guar gum), 잔탄검(xanthan gum), 가티검(ghatti gum), 펙틴(pectin) 등의 수용성 고분자,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글리세린이나 그것의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메칠셀룰로오스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등의 변형된 셀룰로오스(modified cellulose), 각종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현탁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현탁화를 위한 적량으로, 구체적으로 매스틱 검 100 중량 대비 20 내지 20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화 매스틱 검의 제조와 관련해서 더 구체적인 것은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하거나 또는 발명의 명칭이 "나노입자화를 통해 분산력 및 수용화력이 높아진 매스틱 검 수용액 제조방법"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865712호에 개시된 방법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매스틱 검은 매스트 나무(mastic tree, Pistacia lentiscus)에서 얻어진 수지(reisn)를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이란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 분화 촉진에 의한 피부 장벽 강화나 피부 장벽 손상 억제 및/또는 각질세포외막의 형성 촉진을 의미하며, 나아가 피부 장벽 기능의 약화나 피부 장벽의 점차적인 손상에 따른 피부 갈라짐, 이상 각질 탈락, 피부 민감성 억제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태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화장품학적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의 상승·보강 등을 위하여 또는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보호,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항알러지 활성(피부 과민 반응 억제 활성) 등 유사활성의 부가를 통한 복용이나 섭취, 사용의 편리성 증진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각국 기능성화장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화장품법」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서는 예컨대 한국 화장품법에 따른 화장품공전(한국 식약처 고시,「기능성화장품의 기준 및 시험방법」)에서 피부 보습 성분으로 인정된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 등과, 또 같은 한국 화장품공전에서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 인정된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등과, 또 같은 화장품공전에서 피부 미백 성분으로 인정된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보롤,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등과,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 인정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등의 복합물, 포스파티딜세린, 핑거루트 추출 분말, 홍삼과 산수유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과민피부상태 개선 기능성 성분으로 인정된 L. sakei Probio 65,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과채 유래 유산균인 L.plantarum CJLP133, 프로바이오틱스 ATP 등과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과민 면역반응 개선 기능성 성분으로 인정된 Enterococcus faecalis 가열 처리 건조 분말, 구아바 잎 추출물 등의 복합물, 다래 추출물, 소엽 추출물, 피카오프레토 분말 등의 복합물, PLAG(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용도는 피부장벽 개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트러블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장벽 개선 등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조성물은 식품, 화장품,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HaCaT 세포에 TNF-α 10 ng/mL 미처리 및 처리 시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 장벽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로 필라그린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HaCaT 세포에 TNF-α 10 ng/mL 미처리 및 처리 시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 장벽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로 트랜스클루타미나아제 1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수용화 매스틱 검의 준비
매스틱 검 분말을 육안 검사하여 색상 확인 및 이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선별된, 매스틱 검 분말 중량 20%, 정제수 중량 75.7%, 시클로덱스트린 중량 4%, 첨가제(가티검) 중량 0.3%를 투입하고 호모믹서(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을 사용하여 30~50℃에서 2,000~3,000rpm으로 30~60분간 입자크기 약 20~50 ㎛이 되도록 분산 하였다. 상기 매스틱검의 분산액을 비드밀(주식회사 디엔텍)을 사용하여 20~40℃에서 최종 분산 입자가 평균 600 ~ 1,000 nm가 되도록 3~6시간 수행하였다. 그 후 40~60 μm 하우징 필터로 여과하여 현탁액 상태의 매스틱 검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수용화 매스틱 검은 4℃에서 냉장보관 하였으며, 원액 사용 시 40℃에서 30분간 방치 후 충분히 흔들어 균질화 된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사람 피부 각질세포에서 장벽 개선 효과 측정
피부 장벽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0.8 × 106 cells/well로 준비하고 37℃, 5% CO2 incubator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양배지는 제거하여 DPBS로 세척하였다. TNF-α 미처리 군에는 수용화 매스틱검 각각 10, 40 ppm 농도로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100 ppm Ascorbic acid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TNF-α 처리군에는 TNF-α 10 ng/mL와 함께 수용화 매스틱검 각각 10, 40 ppm, 양성대조군 100 ppm Ascorbic acid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FavorPrep Blood/Cultured Cell Total RNA Mini Kit (FAVORGEN, TAIWAN)를 사용하여 각 well의 HaCaT cell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 샘플을 NanoDropTM을 이용해 정량하고 각 total RNA 샘플 1 μg과 AccuPower® CycleScript RT PreMix(dN6) Kit (Bioneer, Kore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 20μl에 RNase-water 80μl를 첨가하여 cDNA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cDNA 주형 1μl, SYBR™ Green Master Mix 10μl, 필라그린(filaggrin),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 gene primer 각 1μl, RNase free-water 7μl를 혼합한 각 샘플을 QuantStudio 3 Real-Time PCR 기기를 사용하여 qPCR을 진행하였고 상기 primer 정보는 표 1과 같다. 정량PCR을 통해 측정된 CT값은 2-ΔΔCT 방법으로 상대 발현율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수용화 매스틱검은 TNF-α 미처리 시 필라그린 mRNA 발현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필라그린 유전자 발현수준은 TNF-α 처리로 인해 대조군 대비 0.69배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NF-α 처리 군에서 양성대조군의 필라그린 유전자 발현은 1.32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용화 매스틱검 10, 40 ppm 처리 시 TNF-α군 대비 필라그린 유전자 발현량이 각 0.83, 1.27배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수용화 매스틱검은 TNF-α 미처리 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 mRNA 발현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 유전자 발현수준은 TNF-α 처리로 인해 대조군 대비 0.70배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NF-α 처리 군에서 양성대조군의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 유전자 발현은 1.12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용화 매스틱검 10, 40 ppm 처리 시 TNF-α군 대비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 유전자 발현량이 각 0.73, 1.05배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와 같이, TNF-α 처리로 인해 피부 장벽 관련 인자가 감소하였을 때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피부 장벽 형성에 관여하는 필라그린과 피부 각질 세포의 결합을 촉매하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의 유전자 발현량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아 수용화 매스틱검의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량의 비교를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와 그 서열
Filaggrin-Forward TTTCGTGTTTGTCTGCTTGC
Filaggrin-Reverse CTGGACACTCAGGTTCCCAT
Transglutaminase 1-Forward GAGCGGAAGGCAGTAGAGACA
Transglutaminase 1-Reverse CCCCGGTTGGCATACACA
GAPDH-Forward GGATTTGGTCGTATTGGGCG
GAPDH-Reverse TGGCAACAATATCCACTTTACCAGAG

Claims (6)

  1. 수용화 매스틱 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수용화 매스틱 검은 그 입자 평균 입경이 600~1000 nm의 범위로, 현탁화제가 첨가된 물에 현탁시킨 현탁액이며,
    상기 현탁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카티검의 혼합물인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은 피부 장벽 기능의 약화나 피부 장벽의 점차적인 손상에 따른 피부 갈라짐, 이상 각질 탈락 또는 피부 민감성 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30042218A 2023-03-30 2023-03-30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0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18A KR102603568B1 (ko) 2023-03-30 2023-03-30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18A KR102603568B1 (ko) 2023-03-30 2023-03-30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568B1 true KR102603568B1 (ko) 2023-11-20

Family

ID=8897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218A KR102603568B1 (ko) 2023-03-30 2023-03-30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5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376A2 (en) * 2003-05-22 2004-12-02 Unilever Plc Skin treatments
KR20090131584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을 포함하는 발포성 속붕해정
KR20110051006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화학연구원 매스틱을 이용한 자가 미세 유화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7006A (ko) * 2010-09-07 2014-03-26 레제네라 파마 리미티드 매스틱 검의 산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29548B1 (ko) * 2021-12-17 2022-08-05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기미, 검버섯 등의 개선을 위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376A2 (en) * 2003-05-22 2004-12-02 Unilever Plc Skin treatments
KR20090131584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을 포함하는 발포성 속붕해정
KR20110051006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화학연구원 매스틱을 이용한 자가 미세 유화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7006A (ko) * 2010-09-07 2014-03-26 레제네라 파마 리미티드 매스틱 검의 산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29548B1 (ko) * 2021-12-17 2022-08-05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기미, 검버섯 등의 개선을 위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266B1 (ko) 순비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WO2023286977A1 (ko) 수용화 매스틱 검 또는 감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953143B1 (ko)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328824B1 (ko) 수용화 매스틱 검과 감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1946121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를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과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337965B1 (ko) 레몬 과피 추출물과 고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88588B1 (ko)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03568B1 (ko)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30036758A (ko) 수면유도 및 불면증 치료용 효소처리 초고압 혼합추출물
KR102606796B1 (ko) 콩배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25163B1 (ko)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08103B1 (ko)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7330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47331B1 (ko) 풀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668908B1 (ko) 매스틱 검 분말 및 페퍼민트 추출물의 복합물을 이용한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247336B1 (ko) 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57619B1 (ko) 연꽃 추출물 또는 예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항알러지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97941B1 (ko) 넓은잎외잎쑥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과 항알러지 조성물
KR102670380B1 (ko) 구두치, 님 및 홍화의 효소가수분해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102668013B1 (ko) (1r,4s,6s)-1,6-디하이록시-2-메텐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48977B1 (ko) 유근피 추출물 및 자소엽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2171987B1 (ko) 나도하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8007101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085024A (ko) 솔방울고랭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