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212B1 -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 Google Patents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212B1
KR102603212B1 KR1020210153647A KR20210153647A KR102603212B1 KR 102603212 B1 KR102603212 B1 KR 102603212B1 KR 1020210153647 A KR1020210153647 A KR 1020210153647A KR 20210153647 A KR20210153647 A KR 20210153647A KR 102603212 B1 KR102603212 B1 KR 102603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etal
adhesive layer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7911A (ko
Inventor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주)이든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든교육 filed Critical (주)이든교육
Priority to KR102021015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2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종이 재질로서,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본 선 및, 연속된 상기 한 쌍의 기본 선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부 선을 포함하는 꽃잎;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잎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꽃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대와 상기 꽃잎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PAPER FLOWER MAKING KIT}
본 발명은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로서, 별도의 가위질 없이도 생화와 매우 흡사한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에 관한 것이다.
DIY는 ‘do it yourself’의 줄임말로,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한 상품으로서 엄밀하게는 반제품상태의 제품을 구입해 직접 조립하거나 제작하도록 한 상품을 말한다.
최근, 이러한 DIY 키트 상품 시장은, 핸드백, 신발, 옷, 가구 등과 같은 잡화 제품뿐만 아니라 셀프 인테리어, 취미 강좌, 메이커 분야 커뮤니티 또는 재료 쇼핑몰 형태로 운영되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DIY 키트의 경우 제작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나아가 제품 완성에 따라 뿌듯함 역시 느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으며, 완제품 상태의 제품 구매 대비 저렴한 가격에 제품 구입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 중에 하나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재료를 구입하여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DIY 제품 구매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만드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완성하는데 실패하여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존의 DIY 키트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특허가 다양한 분야에 따라 공개되어 있는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31030호에는 천연가죽 핸드백 디아이와이 키트가 공개된 바 있다.
나아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704696호에는 슈즈 키트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038985호에는 DIY 타입 인테리어 벽지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의류, 잡화, 그리고 인테리어 관련 DIY 용품에 대한 것만이 제공되고 있으나, 선물용으로 많이 주고받으나 생화의 경우 시들어 오래 보관할 수 없는 꽃에 대한 DIY 키트에 관한 선행기술은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화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가위질이 필요 없어 초등학생까지도 쉽게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쉽고 간편하며 시들지 않고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DIY 키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초등학생들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되 실제 꽃과 매우 유사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풍성한 꽃잎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대와 꽃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접착층 성분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접착층의 점착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종이 재질로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본 선 및, 연속된 상기 한 쌍의 기본 선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세부 선을 포함하는 꽃잎;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잎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꽃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대와 상기 꽃 본체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꽃잎은, 직사각 형상을 가진 제 1 꽃잎과, 꽃잎 형상을 갖는 제 2 꽃잎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접착층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 40 내지 6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30 내지 60 중량부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80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PLLA-PVDF-PLLA: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 내지 10 중량부 및, 제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력 강화제는, 제니핀(Genipin) 25 내지 45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에틸 알코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물 90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피롤니트린(Pyrrolnitrin)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1) 가위질 없이 접착만으로 제작할 수 있어 초등학생들도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실제 꽃과 매우 유사한 형상의 종이꽃을 제작 가능하며,
2) 서브 꽃잎을 더 부착하여 보다 풍성한 화형을 구현할 수 있고,
3) 꽃대의 고정부를 롤링 처리하여 꽃대와 꽃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하며,
4)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 조성물에 의하여 꽃대와 꽃, 그리고 기타 부재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5) 제니핀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를 부가하여 접착층 조성물의 점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의 개별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꽃잎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이꽃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성된 종이꽃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꽃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꽃잎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도 8의 꽃잎을 통해 완성된 꽃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꽃잎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의 개별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꽃잎(100), 꽃대(200), 그리고 꽃받침(30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꽃잎(100)은 기본적으로 종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기본 선(110) 및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있어 마치 주름이 진 주름지와 같은 형상을 취한다. 이때 기본 선(110)은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연속된 한 쌍의 기본 선(110)의 사이 영역을 따라 복수의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있어 확대해서 볼 경우 연속된 기본 선(110) 사이 영역에 마치 아코디언과 같이 복수의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도 1의 사진 상에서는 주름과 같이 나타나 있으나,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 선(110)을 사이에 두고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마치 세부선은 미세 주름, 기본 선(110)은 접는 선과 같은 형상이 된다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부 선(120)을 통해 주름을 잡은 상태에서, 기본 선(110)에 따라 접어 꽃잎(100)을 돌돌 접는 형태로 종이꽃에 있어 꽃의 기본 형태를 잡게 된다. 이는 후술할 도 5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나아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꽃잎(100)의 경우 기본 선(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기본 선(110)이 형성된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를 수행하여, 절개된 기본 선(110)에 의하여 꽃잎(100)이 보다 원활하게 말리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기본 선(110)의 절개 부위를 바깥으로 말아 보다 풍성한 화형의 꽃을 제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꽃대(200)는 접착층을 매개로 꽃잎(100)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종의 줄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 꽃대(200)의 재질은 철사일 수 있으며, 혹은 철사의 표면에 마스킹 테이프 등을 둘러 보다 꽃대(200), 즉 줄기와 유사한 초록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꽃대(200)는 바람직하게 철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만큼,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시에는 바람직하게 꽃잎(100)의 일 측에 꽃대(200)를 위치시키고, 꽃잎(100)과 꽃대(200)가 맞닿은 영역에 접착성 성분을 포함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층을 매개로 꽃잎(100)의 일측에 꽃대(200)를 부착 고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접착제 도포를 통한 부착 고정과 그 방식 및 형태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꽃잎(100)의 길이 방향, 즉 도면 상의 가로 방향을 따라 꽃잎(100)의 일 측에 철사로 이루어진 꽃대(200)를 위치시키고, 꽃대(200)의 일 측을 꽃잎(100)의 폭 방향, 즉 도면 상에서 꽃잎(1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돌려 묶어 꽃대(200)와 꽃잎(100)을 고정시킨 후, 꽃대(200)와 꽃잎(100)이 접촉되어 있는 면을 따라 접착층을 도포 형성하여 꽃잎(100)과 꽃대(200)를 이중 고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꽃잎(100)의 길이 방향에서 꽃잎(100)이 철사로 이루어진 꽃대(200)에 의해 반 접히는 형태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같은 양의 꽃잎(100)으로도 보다 크고 풍성한 화형을 구현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여기서 본 발명의 꽃잎(100)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꽃은 가장 바람직하게 카네이션일 수 있으나, 카네이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풍성한 화형을 갖는 장미, 과꽃, 패랭이꽃 등 색상을 통해 서로 다른 꽃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꽃받침(300)의 경우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접착성 성분이 있는 접착층을 매개로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마치 띠와 같은 형상을 갖는 꽃받침(300)을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은 별도로 도포될 수도 있고, 혹은 꽃받침(300)의 일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마치 종래의 스티커와 같은 꽃받침(300)이 준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띠와 유사한 꽃받침(300)이 둘러 접착됨으로써 꽃잎(100)과 꽃대(200)의 결합 부위를 외부에 드러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생화와 유사하도록 꽃받침(300)이 포함된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꽃잎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서브 꽃잎(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 꽃잎(400)은 일반적인 꽃잎의 형상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상술한 기본 구성의 꽃잎(100)이 꽃대(200)와 부착 고정된 후, 바람직하게는 꽃받침(300)을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꽃받침(300)을 부착하기 전에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서브 꽃잎(400)을 부착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화형의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꽃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착된 잎(5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이파리라고도 할 수 있으며 꽃잎(100)과 동일하게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파리의 색, 즉 초록색을 띠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줄기의 역할을 하는 꽃대(200)에 잎(500)을 부착하여 보다 실감나는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꽃대(200)에 잎(500)을 부착할 때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상술한 접착층과 동일 성분일 수도 있으며, 혹은 종래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종이꽃을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완성된 종이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를 통한 종이꽃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기본 선(110)을 따라 꽃잎(100)을 접어 꽃잎(100)을 말고, 말은 꽃잎(100)에 꽃대(200)를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 고정한다.
그 다음 꽃잎(100)과 꽃대(2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서브 꽃잎(400)을 부착하여 보다 풍성한 화형을 갖는 종이 꽃을 제작한 뒤, 꽃대(200)와 꽃잎(100), 그리고 서브 꽃잎(400)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의 꽃받침(300)을 둘러 붙이고 마지막으로 꽃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잎(500)을 부착하여 종이꽃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에 따르면, 초등학생이 제작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종이꽃 제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별도의 가위질 없이 접착층 형성만으로도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화와 매우 유사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꽃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꽃대(200)는 철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연장된 연장부(210)와, 연장부(210)의 상단에서 롤링 처리된 롤링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롤링부(220) 자체가 꽃잎(100)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돌려 감는 여분이 될 수 있으며, 혹은 롤링부(220)의 단부를 통해 꽃잎(100)의 일 측에 구멍을 뚫어 롤링부(220)를 꽃잎(100)에 끼움 고정한 뒤, 다시 한번 접착층을 형성하여 고정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롤링부(220)를 꽃잎(100)에 끼움 고정하고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여 꽃잎(100)이 꽃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다시 한 번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꽃잎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8의 꽃잎을 통해 완성된 꽃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하게 상술한 꽃잎(100)은 꽃잎 형상을 갖도록 분절된 복수 개로 서브 꽃잎(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꽃잎(100)이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서브 꽃잎(400) 복수개가 부착되어 하나의 꽃잎(100)을 이루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 꽃잎(100)의 경우, 복수 개의 서브 꽃잎(400)이 호 형상을 갖도록 각각의 서브 꽃잎(400)이 일부 겹쳐지도록 부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8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꽃잎(400)이 겹쳐진 부분이 부착되어, 호 형상으로 꽃잎(10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꽃잎(100)을 통해 제작되는 종이 꽃은 도 9와 같은 형상을 갖는데,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화형의 꽃을 제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백꽃이나 무궁화와 같은 화형을 지닌 종이 꽃 역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0은 꽃잎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나아가 도 10에서의 예시와 같이 상술한 기본 실시예의 꽃잎(100)에 서브 꽃잎(400)이 부착된 형상을 갖는 꽃잎(100)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마치 해바라기와 같은 화형을 지닌 종이 꽃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화형을 지닌 종이 꽃의 제작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나아가, 기본적으로 꽃잎(100)과 꽃대(200), 꽃받침(300), 나아가 잎(500)은 모두 접착층을 매개로 접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층은 조성물에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에폭시 수지의 높은 접착력을 매개로 본 발명의 종이꽃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서로 강하게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에폭시 수지는 둘 이상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말단으로 가지는 고분자이며, 접착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전기절연성, 금속 접착성 등 경화 후 물성이 우수하여 광택 코팅, 접착, 도료, 반도체 패키징에 사용되기도 하는 물질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노볼락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선택되는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일 수 있다.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에 대비하여 동일한 질량에 에폭시 작용기의 함량이 높으며, 내화학성이 더 뛰어난 특징이 있다. 나아가 비스페놀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체에 안전한 특성이 있어, 아이들이 만들 수 있는 종이꽃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접착층에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도록 하여 높은 접착성과 동시에 내화학성을 겸비하도록 하고, 나아가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와 같은 접착층 조성물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층 조성물은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S13)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 40 내지 6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30 내지 60 중량부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한다.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투명성을 갖는 수지이며, 접착력이 뛰어나다.
폴리카프로락톤은 녹는점이 60℃ 정도로 낮아 가공성이 뛰어난 접착제임과 동시에 인체에 대한 안정성 및 생체적합성이 높은 특성이 있다.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와 혼합성이 높으며, 접착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겸비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와 폴리카프로락톤을 용해 및 희석 처리하기 위해 첨가되는 용매로서, 다양한 수지계열 물질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S12)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술한 제 1 용액 80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PLLA-PVDF-PLLA: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다.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 줄여서 PLLA-PVDF-PLLA는 폴리(L-락타이드)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삼중블록공중합체로서, 열적,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이다. 특히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파괴되지 않으며 뛰어난 탄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접착층 조성물에 탄성을 부가하도록 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접착층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콜라겐가수분해물과 야자유지방산과의 축합물의 칼륨염의 수용액으로써,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접착층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고 점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접착층 자체의 유연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S13)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 내지 10 중량부 및, 제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한다.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그 자체로 점착성을 가져 접착층 조성물의 접착력을 보조함과 동시에, 수지 계열 성분들에 대한 분산매의 역할을 수행하여 혼합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점착력 강화제의 주요 성분인 제니핀은 이리도이드 배당체 계통의 천연 성분인 제니포사이드(geniposide)의 비당부분으로서 치자나무 과실(치자)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제니핀은 가교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조된 접착층의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접착층이 떨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착층 조성물을 통해, 높은 수준의 접착력 및 내화학성, 내열성, 내산화성을 가짐은 물론이거니와 외력에 의해서도 접착층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유연성 및 탄성을 겸비한 접착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점착력 강화제는 제니핀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착력 강화제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1),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2),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S2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21)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가장 먼저, 제니핀(Genipin) 25 내지 45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에틸 알코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니핀은 가교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조된 접착층의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접착층이 떨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였다.
유칼립투스 오일은 향과 휘발성이 있는 자연산 유칼립투스를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정제한 순수 성분을 의미하며, 유칼립투스 오일은 에센셜 오일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점착력 강화제에 첨가시 제조된 접착층 피막에 부드러운 질감을 주고 접착층 조성물의 항균성을 더하며, 특유의 향취를 더하는 기능이 있다. 에틸 알코올은 제니핀과 유칼립투스 오일에 대한 용매로 첨가된다.
(S22)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어서,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n-부틸아크릴레이트는 향긋한 과일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 코팅제, 페인트, 가죽 및 섬유 마감제, 접착제, 코팅제, 유화제에서 아크릴수지 및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생산 시 사용되는 단량체이다. 첨가에 따라 점착력 강화제가 포함된 접착층 조성물의 점착성 및 부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더불어 높은 탄성계수를 나타내어 첨가 시 접착층의 탄성도를 높일 수 있다.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는 코코넛계열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상술한 유칼립투스 오일과 같은 오일 계열 성분과 수지 계열 성분, 나아가 용매의 혼합성을 높이고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유기물 및 무기물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S23)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2차 혼합물 90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한다.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는 점착력 강화제의 점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여 점착력을 더하기 위해 첨가되며, 점도성을 더함과 동시에 점착력 강화제, 나아가 접착층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수지 계열 성분에 대한 용매 역할을 겸하여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피롤니트린은 곰팡이류의 진핵세포인 진균에 대한 항균성을 보유한 물질로서, 점착력 강화제에 첨가 시 접착력 강화제가 첨가된 접착층 조성물의 항균성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착력 강화제가 첨가됨에 따라 접착층의 점도성 및 점착성이 강화되어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항균성 및 항진균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여 손에 쥐고 이용하게 되는 종이꽃의 항균성을 높이며, 나아가 다양한 액상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꽃잎 110 : 기본 선
120 : 세부 선 200 : 꽃대
210 : 연장부 220 : 롤링부
300 : 꽃받침 400 : 서브 꽃잎
500 : 잎

Claims (8)

  1.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로서,
    종이 재질로서,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본 선 및, 연속된 상기 한 쌍의 기본 선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부 선을 포함하는 꽃잎;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잎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꽃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대와 상기 꽃잎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 40 내지 6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30 내지 60 중량부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80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PLLA-PVDF-PLLA: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 내지 10 중량부 및, 제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키트는,
    꽃잎 형상을 갖는 서브 꽃잎;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상기 기본 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 단이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꽃잎 형상을 갖도록 분절된 복수 개로 서브 꽃잎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서브 꽃잎이 호 형상을 갖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력 강화제는,
    제니핀(Genipin) 25 내지 45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에틸 알코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물 90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피롤니트린(Pyrrolnitrin)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꽃 제작용 제작 키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53647A 2021-11-10 2021-11-10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KR10260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647A KR102603212B1 (ko) 2021-11-10 2021-11-10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647A KR102603212B1 (ko) 2021-11-10 2021-11-10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911A KR20230067911A (ko) 2023-05-17
KR102603212B1 true KR102603212B1 (ko) 2023-11-16

Family

ID=8654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647A KR102603212B1 (ko) 2021-11-10 2021-11-10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2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49B1 (ko) * 2018-07-25 2021-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911A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08590T1 (de) Beschichtungsmittel
KR102603212B1 (ko)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CN107674795A (zh) 一种皂纸及其制备方法
CN109097192A (zh) 一种耐温型芒果香精及其制备工艺
CN108300608A (zh) 长效留香的组合物、香料和洗衣液
CN106827708A (zh) 一种变色皮革的生产工艺
CN110305743A (zh) 薰衣草香型植物精油衣物洗涤液及其制备方法
ES2914874T3 (es) Compuestos de ciclopentanona
CN101066656B (zh) 带有香味的油画布
GB2142521A (en) Scented article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JP6650769B2 (ja) エアゾール型一時染毛料組成物
US2171505A (en) Laminated fabric
JP6435282B2 (ja) 顔料とラテックスとを混合させた混合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CN107674796A (zh) 一种桂花香型皂纸及其制备方法
WO2010007187A1 (es) Emulsión ligante,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y uso de la misma como medio diluyente acondicionador y como medio aglutinante en pinturas y tintas de grabado
KR100285929B1 (ko) 향수접착제 제조법
EP1140634B1 (de) Verfahren zur beduftung von verpackungen
US145590A (en) Improvement in boot and shoe tips
CN106752570A (zh) 适用于流水线施工的水包水多彩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219485A (zh) 一种柔性人造革及其制备方法
CN104497652B (zh) 一种黄金纳米胶囊化的芳香型皮革涂饰剂及其制备方法
KR100308643B1 (ko) 가죽제품용 스프레이식 염색 코팅제와 그 제조방법
KR20000006931A (ko) 향함유 유색 액체풀 제조방법
KR20130004793A (ko)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식물 및 그 보존 처리방법
TW202304408A (zh) 多層擴香液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