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612B1 - 검체 수송 배지 용기 - Google Patents

검체 수송 배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612B1
KR102602612B1 KR1020210075475A KR20210075475A KR102602612B1 KR 102602612 B1 KR102602612 B1 KR 102602612B1 KR 1020210075475 A KR1020210075475 A KR 1020210075475A KR 20210075475 A KR20210075475 A KR 20210075475A KR 102602612 B1 KR102602612 B1 KR 10260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ample
light
sample transport
transpor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565A (ko
Inventor
김영덕
조경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웨이브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웨이브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웨이브톡
Priority to KR102021007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612B1/ko
Priority to US18/278,988 priority patent/US20240131517A1/en
Priority to EP22820456.6A priority patent/EP4282530A1/en
Priority to PCT/KR2022/007637 priority patent/WO2022260328A1/ko
Publication of KR2022016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1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inside a container, e.g. in an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using sw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88Diff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36Integrated biosensor, micro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8Regulating or influencing the flow resistance
    • B01L2400/084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 B01L2400/086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using baffles or other fixed flow ob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88Diffraction
    • G01N2021/479Speck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1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inside a container, e.g. in an ampoule
    • G01N2021/513Cuvettes for scattering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G01N21/9027Dirt detection in containers in containers after fil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테리아나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배양된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에는 채집부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 버튼이 형성되는 검체 채취부; 내부에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검체 채취부의 상기 채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지 수용 튜브; 및 채집자가 상기 누름 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르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채집부의 돌출 길이가 제 1 길이로 신장되거나 또는 제 2 길이로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체 수송 배지 용기{Container for sample transport medium}
본 발명은 검체 수송 배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박테리아나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배양된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검사를 위한 모든 검체는 채취 즉시 검사실로 보내어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즉시 검사할 수 없을 때는 적당한 환경에서 보존하거나 이를 검사실까지 수송해야 한다.
검체의 수송에 사용되는 방법에는 검체의 종류, 예를 들어 혈액(blood), 고름(pus), 단백질(urine), 대변(stool) 등이나 수송되는 세균의 배양 환경(혐기성, 호기성, 바이러스 등)에 따라 주사기, 멸균된 플라스틱 유리병 등 여러 가지 기구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각종 세균 배지(a culture medium)를 담은 플라스틱 튜브와 멸균처리된 일회용 면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품화된 수송 배지 용기를 많이 사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배지에서 배양된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소스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배지 내부의 박테리아나 미생물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가 촬영하는 스페클 탐지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페클 탐지법은 종래의 수용 배지 용기에 적용할 수 없었다. 즉, 상술된 종래의 면봉이 포함된 수송 배지 용기는, 면봉이 배지에 항상 침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면봉 및 장시간 배지 속에 침지되어 면봉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들이 레이저 광의 주광축과 간섭되어 레이저 광이 가려기거나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스페클 패턴 검사에 적합하지 못했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면봉은 손잡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거리가 항상 일정하고, 이로 인하여 면봉의 검체 채취 범위와 면봉의 탄력성이 항상 일정한 상태로서, 채취자가 검체를 채취할 때, 채취 환경이나, 자신의 신체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면봉의 길이나 탄력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했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대, 검체 채취시, 코 안쪽이나 목 안쪽 등과 같이 깊은 곳의 검체를 채취할 때는 면봉의 충분히 길이가 길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채취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면봉의 길이가 짧은 것이 다루기 편하고 오염의 확률이 적어서 유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검체 채취시에는 채취자가 간편한 누름 버튼 방식을 이용하여 손잡이로부터 면봉의 돌출 길이를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어서 채취 환경이나 채취자의 신체적 특성 등에 따라 면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봉을 배지에 침지시킨 상태에서는 면봉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하여 검체와 배지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게 한 다음, 면봉이 레이저 광을 가리거나 차단하지 않도록 면봉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면봉을 상승시켜서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원활하게 검사할 수 있게 하고, 면봉이 장시간 배지에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봉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어 배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면봉과 배지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 또는 차단하여 스페클 검사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대조 배지를 수용하여 스페클 패턴의 기준치를 산정할 수 있게 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는, 선단에는 채집부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 버튼이 형성되는 검체 채취부; 내부에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검체 채취부의 상기 채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지 수용 튜브; 및 채집자가 상기 누름 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르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채집부의 돌출 길이가 제 1 길이로 신장되거나 또는 제 2 길이로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집부는 솜부와 봉부로 이루어지는 면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검체 채취부와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지를 수용하는 배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 수용부는, 상기 배지에서 배양된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소스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광성 재질인 입광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타측에 투광성 재질인 출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집부는, 스페클 패턴 측정시, 상기 입광부와 상기 출광부를 연결하는 주광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광부 또는 상기 출광부에 다중산란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산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광부 또는 상기 출광부의 외표면에 김서림이나 미생물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적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경면에 길게 형성된 장홈과, 짧게 형성된 단홈이 번갈아가면서 이루어진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는 통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과 연결되어 승하강되며, 외경면을 따라 경사 돌기가 형성되는 버튼 축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 축부의 상기 경사 돌기에 의해 다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홈부의 상기 장홈을 따라 한번은 길게 승하강되고, 상기 단홈을 따라 한번은 짧게 번갈아가면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승하강 회전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타단부에 상기 채집부가 설치되는 승하강 비회전 축부; 및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를 상기 누름 버튼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는,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의 상승시 상기 배지 수용 공간을 감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지 수용부 사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채집부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채집부 통로가 형성되는 분리 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채집부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배지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차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단 장치는 적어도 조리개형, 밸브형, 일방향 마개형, 박막형, 미닫이형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지 수용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배지 수용부에 설치되는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 장치는, 적어도 억지 물림형, 트위스트 캡형, 자력 물림형, 걸림 고리형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지 수용 튜브와 격리되도록 상기 배지 수용 튜브 인근에 형성되고, 내부에 대조용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대조용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는, 레이저 소스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광성 재질인 입광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대조용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타측에 투광성 재질인 출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는, 선단에는 채집부가 형성되는 검체 채취부; 내부에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검체 채취부의 상기 채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지 수용 튜브; 및 상기 배지 수용 튜브와 격리되도록 상기 배지 수용 튜브 인근에 형성되고, 내부에 대조용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대조용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체 채취시에는 채취자가 간편한 누름 버튼 방식을 이용하여 손잡이로부터 면봉의 돌출 길이를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어서 채취 환경이나 채취자의 신체적 특성 등에 따라 면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봉을 배지에 침지시킨 상태에서는 면봉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하여 검체와 배지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게 한 다음, 면봉이 레이저 광을 가리거나 차단하지 않도록 면봉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면봉을 상승시켜서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원활하게 검사할 수 있게 하고, 면봉이 장시간 배지에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봉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어 배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면봉과 배지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 또는 차단하여 스페클 검사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대조 배지를 수용하여 스페클 패턴의 기준치를 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면봉 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1차 버튼 누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면봉 상승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2차 버튼 누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분리 벽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차단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차단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분리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의 면봉 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는, 크게 검체 채취부(10)와, 배지 수용 튜브(20) 및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 채취부(10)는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는 채취자가 상기 검체 채취부(10)를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로부터 분리하여 검체 채취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검체 채취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체 채취부(10)는, 채취자가 검체 채취시 이용할 수 있도록 선단에는 채집부(11)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손잡이부(12)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 버튼(13)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채집부(11)는 멸균 처리된 솜으로 이루어지는 솜부(111)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봉부(112)로 이루어지는 면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채집부(11)는 상기 면봉에만 국한되지 않고 채집판이나 채집 브러쉬나 채집 돌기 등 매우 다양한 형상의 채집부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는, 내부에 액체 형태나 고체 상태나 젤이나 갤 형태의 배지(1)를 수용할 수 있는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형태의 구조체로서, 상기 검체 채취부(10)의 상기 채집부(11)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부(11)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는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도시된 원형의 실린더 형상 이외에도 타원이나 다각형 파이프 형상이나 각종 기하학적인 형상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는, 상기 검체 채취부(10)와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1) 및 상기 몸체부(21)의 하방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지(1)를 수용하는 배지 수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는, 채집자가 상기 누름 버튼(13)을 1회 또는 2회 누르면 상기 손잡이부(12)로부터 상기 채집부(11)의 돌출 길이가 도 4의 제 1 길이(L1)로 신장되거나 또는 도 6의 제 2 길이(L2)로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2)에 설치되는 장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는, 상기 손잡이부(12)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경면에 길게 형성된 장홈(311)과, 짧게 형성된 단홈(312)이 번갈아가면서 이루어진 슬라이드 홈부(313)가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짧은 파이프 형상인 통체(31)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체(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13)과 연결되어 승하강되며, 외경면을 따라 경사 돌기(321)가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인 버튼 축부(32)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체(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 축부(32)의 상기 경사 돌기(321)에 의해 다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장홈(311)을 따라 한번은 길게 승하강되고, 상기 단홈(312)을 따라 한번은 짧게 번갈아가면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돌기(331)가 형성되는 승하강 회전 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는, 일단부가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타단부에 상기 채집부(11)가 설치되는 승하강 비회전 축부(34)와,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와 상기 손잡이부(1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를 상기 누름 버튼(13)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 스프링(35) 및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의 상승시 상기 배지 수용 공간을 감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와 상기 손잡이부(12)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에 의하면, 채집자가 상기 누름 버튼(13)을 누르면, 상기 버튼 축부(32)가 상기 누름 버튼(13)과 연결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를 다각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는 상기 탄성 스프링(35)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통체(31)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장홈(311)을 따라 한번은 길게 승하강되고, 상기 단홈(312)을 따라 한번은 짧게 번갈아가면서 승하강될 수 있고,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를 비회전 상태로 승하강시켜서 상기 면봉이 한번은 하강되고, 한번은 승강되는 2가지 모드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 부재(36)가 고정된 상기 손잡이부(12)와 움직이는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 사이를 밀봉시켜서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의 상승시 상기 배지 수용 공간을 감압하여 스페클 검사시 기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12)와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34) 사이의 틈새로 침투될 수 있는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의 면봉 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의 1차 버튼 누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의 면봉 상승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의 2차 버튼 누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2)로부터 상기 채집부(11)의 돌출 길이가 제 1 길이(L1)로 신장된 상태로 상기 검체 채취부(10)와, 배지 수용 튜브(20)를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도 4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는,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단홈(312)에 걸려서 하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솜부(111)가 상기 배지(1)에 침지되어 상기 솜부(111)에 채취된 검체의 일부분이 상기 배지(1)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누름 버튼(13)을 1회 누르면, 도 5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는,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단홈(312)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버튼 축부(32)의 상기 경사 돌기(321)에 의해 다각 회전되면서 이웃하는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장홈(311) 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누름 버튼(13)을 자유롭게 하면, 도 6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는, 상기 탄성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장홈(311)을 따라 길게 상승되어 상기 손잡이부(12)로부터 상기 채집부(11)의 돌출 길이가 제 2 길이(L2)로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지(1)는 상기 면봉에 의한 영향이 배제된 상태에서 상기 검체에 포함된 박테리아나 미생물이 스페클 검사가 충분할 정도(수분 내지 수시간)의 시간 동안 배양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수용부(22)는, 상기 배지(1)에서 배양된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소스(2)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L)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광성 재질인 입광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L)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배지(1)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3)가 촬영할 수 있도록 타측에 투광성 재질인 출광부(22b)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집부(11)가 스페클 패턴 측정시, 상기 입광부(22a)와 상기 출광부(22b)를 연결하는 주광축(S)으로부터 벗어나는 높이까지 상승되기 때문에 스페클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페클 검사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입광부(22a) 또는 상기 출광부(22b)에 다중산란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산란 돌기(T)가 형성되고, 김서림이나 미생물 증식 등에 의한 광학적 특성의 변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입광부 또는 상기 출광부의 외표면에 김서림이나 미생물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적 코팅층(C)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100)는 스페클 검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페클 검사 장치는, 상기 배지(1)에 레이저 광(L)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스페클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스페클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혼돈파 센서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혼돈파 센서의 원리를 설명하면 유리와 같이 내부 굴절율이 균질한 물질의 경우에는 간섭광을 조사했을 때에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이 일어난다.
하지만, 내부 굴절률이 불균질하거나 미세한 굴절 또는 산란 돌기들로 이루어진 물체에 레이저와 같은 간섭광(Coherent Light)을 조사하면, 물질 내부에서 매우 복잡한 다중 산란(multiple scatter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다중 산란을 통해 복잡한 경로로 산란된 빛의 일부는 검사 대상물인 상기 배지(1)를 통과하게 된다. 검사 대상물의 여러 지점을 통과하는 빛들이 서로 보강 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 또는 상쇄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빛들의 보강/상쇄 간섭은 낱알 모양의 무늬(스페클, speckle)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경로로 산란되는 빛들을 "혼돈파(Chaotic wave)"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상기 혼돈파는 간섭광 스페클을 통해 검출할 수 있으며, 간섭광 스페클은 간섭광이 레이저인 경우 레이저 스페클로 이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안정한 매질을 간섭광으로 조사하였을 때, 내부 구성 물질의 움직임이 없는 안정한 매질을 간섭광(예를 들면 레이저)로 조사하였을 때에는 변화가 없는 안정한 스페클 무늬를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에 박테리아 등, 내부 구성 물질 중 움직임이 있는 불안정한 매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페클 무늬가 변화하게 된다.
즉, 미생물의 미세한 생명 활동(예컨대, 세포 내 움직임, 미생물의 이동 등)으로 인해 광경로가 시간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할 수 있다. 스페클 패턴은 빛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미세한 광경로의 변화는 스페클 패턴에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클 패턴의 시간적인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미생물의 생명활동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스페클 패턴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는 경우, 미생물의 존재 여부 및 농도를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미생물의 종류 또한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검사 대상물은 배양된 상기 배지(1)이며 이러한 상기 배지(1)의 스페클 패턴의 변화를 측정하는 구성을 혼돈파 센서(Chaotic wave sensor)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돈파 센서는 반사형, 투과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며, 광학계는 패키징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소스(2)는 광원으로 간섭성(coherence)이 좋은 레이저 광(L)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레이저 광원 이외에도, 일반 조명에 특정 대역의 파장 또는 특정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포함시켜, 간섭성을 향상시킨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가시광선 대역을 벗어난 영역의 파장(예컨대, 적외선, 자외선 등)을 활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3)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일종으로서, 각종 이미지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1)에 간섭광이 조사되면, 다중산란에 의해 간섭광 스페클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배지(1)에 바이러스, 세균, 미생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에 기초하여 피검사대상 내에 세균 및 미생물의 존재 여부 및 농도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간격으로 기준 시간마다 피검사대상에 간섭광이 조사됨에 따라, 피검사대상 내에 간섭광 스페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다중 산란이 발생하는 피검사대상이 촬영됨에 따라, 간섭광 스페클이 형성된 간섭광 스페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복수의 영상들의 스페클 패턴을 측정하기 위해 2차원 이미지 센서 또는 1차원 광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CCD 등의 촬상 소자를 탑재한 카메라가 측정부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된 간섭광 스페클 영상들에서, 시간이 변화됨에 따라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배지(1) 내에 세균 및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비접촉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지(1) 내에 움직임이 없으면, 간섭광 스페클은 시간에 따른 간섭무늬의 변화가 없다. 즉, 상기 움직임이 없으면 기준 시간마다 측정된 간섭광 스페클 영상들에서,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이 일정한 간섭무늬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간섭광 스페클 영상들이 시간에 따른 간섭무늬의 변화가 없거나 매우 작은 경우, 상기 배지(1)에 세균 및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배지(1)에 세균 및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지(1) 내에 세균이나 미생물이 존재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 및 미생물은 증식하며 세균과 미생물은 지속적으로 움직임일 수 있다. 이러한 세균과 미생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레이저 스페클의 패턴이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 시간마다 측정된 간섭광 스페클 영상에서,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이 이리 결정된 오차범위 이상으로 변한 경우, 상기 배지(1)에 세균 및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의 변화 정도는 세균 및 미생물의 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세균 및 미생물의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광 스페클의 패턴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간섭광 스페클의 빛 세기의 표준 편차가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자 또는 사용자는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누름 버튼(13)을 2회 클릭하여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33)의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가 상기 슬라이드 홈부(313)의 상기 단홈(312)에 걸려서 하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를 분리하고, 상기 검체 채취부(10)만 이용하여 상기 누름 버튼(13)을 다수회 클릭하면서 상기 채집부(11)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조절하여 검체 채취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검체 채취시에는 채취자가 간편한 누름 버튼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12)로부터 면봉의 돌출 길이(L1)(L2)를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어서 채취 환경이나 채취자의 신체적 특성 등에 따라 면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면봉을 상기 배지(1)에 침지시킨 상태에서는 면봉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하여 검체와 배지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게 한 다음, 면봉이 레이저 광을 가리거나 차단하지 않도록 면봉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면봉을 상승시켜서 상기 배지(1)의 스페클 패턴을 원활하게 검사할 수 있게 하고, 면봉이 장시간 배지에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봉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어 배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분리 벽부(23)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는,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배지 수용부(22) 사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채집부(11)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채집부 통로(23a)가 형성되는 분리 벽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 벽부(23)를 이용하여 상기 배지(1)가 상기 솜부(111)로부터 받을 수 있는 악영향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면서 상기 배지(1)를 상당 부분 분리시키고, 상기 배지 수용부(22)에 수용된 상기 배지(1)가 상기 몸체부(21)로 누출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차단 장치(24)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는, 상기 분리 벽부(23)와 함께 상기 채집부 통로(23a)에 설치되고, 상기 배지 수용부(22)를 밀폐시키는 차단 장치(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차단 장치(24)는 상기 면봉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배지 수용부(22)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차단 장치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 장치(24)를 이용하여 상기 배지(1)가 상기 솜부(111)로부터 받을 수 있는 악영향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면서 상기 배지(1)를 완전히 분리시키고, 상기 배지 수용부(22)에 수용된 상기 배지(1)가 상기 몸체부(21)로 누출되는 것을 전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차단 장치(24)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차단 장치(24)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를 벌렸다가 오무렸다가 할 수 있는 조리개형(241),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를 회전할 수 있는 밸브형(242),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 회전되는 일방향 마개형(243),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 판막 등과 유사한 박막형(244),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문처럼 슬라이딩되는 미닫이형(245)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분리 장치(25)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는,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배지 수용부(22)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21) 또는 상기 배지 수용부(22)에 설치되는 분리 장치(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 장치(25)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배지 수용부(22)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여 완전하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상기 분리 장치(25)는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배지 수용부(22)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는 매우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분리 장치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검체 수송 배지 용기의 분리 장치(25)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분리 장치(25)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돌기와 홈부를 포함하는 억지 물림형(251),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이용하는 트위스트 캡형(252),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이나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자력 물림형(253),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 등을 이용하는 걸림 고리형(254)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면봉을 상승시켜서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원활하게 검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면봉이 장시간 배지에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봉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어 배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면봉과 배지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 또는 차단하여 스페클 검사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검체 수송 배지 용기(200)는,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와 격리되도록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 인근에 형성되고, 내부에 대조용 배지(5)를 수용할 수 있는 대조용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50)는, 레이저 소스(2)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L)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광성 재질인 입광부(50a)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L)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대조용 배지(5)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3)가 상기 배지(1)의 스페클 패턴과 비교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타측에 투광성 재질인 출광부(5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대조용 배지(5)는 상기 채집부(11)로부터 격리된 것으로서, 스페클 패턴의 비교를 위해서, 상기 채집부(11)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최초의 상기 배지(1)와 동일한 성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소스(2)가 1차로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50)에 수용된 상기 대조용 배지(5)에 상기 레이저 광(L)을 조사하여 상기 카메라(3)로 상기 대조용 배지(5)의 스페클 패턴을 측정하여 기준치를 산정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상기 레이저 소스(2)가 2차로 상기 채집부(11)에 의해 오염되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에 수용된 상기 배지(1)에 상기 레이저 광(L)을 조사하여 상기 카메라(3)로 상기 배지(1)의 스페클 패턴을 측정하여 상기 기준치를 기준으로 배양된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소스(2)와 상기 카메라(3)는 하나의 세트가 이동되면서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 및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50)를 2차에 걸쳐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세트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 및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50) 각각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 및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채집부(11)만 상기 배지 수용 튜브(20)에 설치되고,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30)는 생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배지
2: 레이저 소스
3: 카메라
5: 대조용 배지
L: 레이저 광
S: 주광축
10: 검체 채취부
11: 채집부
111: 솜부
112: 봉부
12: 손잡이부
13: 누름 버튼
20: 배지 수용 튜브
L1: 제 1 길이
L2: 제 2 길이
21: 몸체부
22: 배지 수용부
22a: 입광부
22b: 출광부
T: 산란 돌기
C: 광학적 코팅층
23: 분리 벽부
23a: 채집부 통로
24: 차단 장치
25: 분리 장치
30: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
31: 통체
311: 장홈
312: 단홈
313: 슬라이드 홈부
32: 버튼 축부
321: 경사 돌기
33: 승하강 회전 축부
331: 슬라이딩 돌기
34: 승하강 비회전 축부
35: 탄성 스프링
36: 실링 부재
50: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
50a: 입광부
50b: 출광부
100, 200: 수용 배지 용기

Claims (18)

  1. 선단에는 채집부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 버튼이 형성되는 검체 채취부;
    내부에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검체 채취부의 상기 채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지 수용 튜브; 및
    채집자가 상기 누름 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르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채집부의 돌출 길이가 제 1 길이로 신장되거나 또는 제 2 길이로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검체 채취부와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방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지를 수용하는 배지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 수용부는,
    상기 배지에서 배양된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소스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광성 재질인 입광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타측에 투광성 재질인 출광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광부 또는 상기 출광부의 외표면에 김서림이나 미생물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적 코팅층이 형성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솜부와 봉부로 이루어지는 면봉을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부는, 스페클 패턴 측정시, 상기 입광부와 상기 출광부를 연결하는 주광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높이까지 상승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부 또는 상기 출광부에 다중산란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산란 돌기가 형성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경면에 길게 형성된 장홈과, 짧게 형성된 단홈이 번갈아가면서 이루어진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되는 통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과 연결되어 승하강되며, 외경면을 따라 경사 돌기가 형성되는 버튼 축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 축부의 상기 경사 돌기에 의해 다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홈부의 상기 장홈을 따라 한번은 길게 승하강되고, 상기 단홈을 따라 한번은 짧게 번갈아가면서 승하강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승하강 회전 축부;
    를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승하강 회전 축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타단부에 상기 채집부가 설치되는 승하강 비회전 축부; 및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를 상기 누름 버튼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는,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의 상승시 상기 배지 수용 공간을 감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비회전 축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지 수용부 사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채집부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채집부 통로가 형성되는 분리 벽부;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채집부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배지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차단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장치는 적어도 조리개형, 밸브형, 일방향 마개형, 박막형, 미닫이형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수용 튜브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지 수용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배지 수용부에 설치되는 분리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적어도 억지 물림형, 트위스트 캡형, 자력 물림형, 걸림 고리형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6. 선단에는 채집부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 버튼이 형성되는 검체 채취부;
    내부에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검체 채취부의 상기 채집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채집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지 수용 튜브; 및
    채집자가 상기 누름 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르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채집부의 돌출 길이가 제 1 길이로 신장되거나 또는 제 2 길이로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원터치형 탄성 누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 수용 튜브와 격리되도록 상기 배지 수용 튜브와 나란히 형성되고, 내부에 대조용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대조용 배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조용 배지 수용 튜브는,
    레이저 소스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광성 재질인 입광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에 의해 다중산란되어 발생되는 상기 대조용 배지의 스페클 패턴을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타측에 투광성 재질인 출광부가 형성되는, 검체 수송 배지 용기.
  17. 삭제
  18. 삭제
KR1020210075475A 2021-06-09 2021-06-10 검체 수송 배지 용기 KR10260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75A KR102602612B1 (ko) 2021-06-10 2021-06-10 검체 수송 배지 용기
US18/278,988 US20240131517A1 (en) 2021-06-09 2022-05-29 Sample transport medium vial
EP22820456.6A EP4282530A1 (en) 2021-06-10 2022-05-30 Sample transport medium vial
PCT/KR2022/007637 WO2022260328A1 (ko) 2021-06-10 2022-05-30 검체 수송 배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75A KR102602612B1 (ko) 2021-06-10 2021-06-10 검체 수송 배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65A KR20220166565A (ko) 2022-12-19
KR102602612B1 true KR102602612B1 (ko) 2023-11-16

Family

ID=8442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475A KR102602612B1 (ko) 2021-06-09 2021-06-10 검체 수송 배지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31517A1 (ko)
EP (1) EP4282530A1 (ko)
KR (1) KR102602612B1 (ko)
WO (1) WO20222603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98B1 (ko) * 2019-04-12 2019-08-05 김종옥 검체 수송배지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0643A1 (it) * 2003-04-01 2004-10-02 Copan Innovation Ltd Tampone per il prelievo di campioni biologici
KR100494571B1 (ko) * 2003-12-31 2005-06-16 염한림 원터치형 검체 수송배지 용기
KR20090084566A (ko) * 2008-02-01 2009-08-05 염한림 튜브 이동형 수송배지 용기
KR101104842B1 (ko) * 2009-10-01 2012-01-16 김연철 휴대용 액체용기
EP3800264B1 (en) * 2015-04-17 2024-02-28 Vax-Immune LLC Portable disposable re-usable culture device for rapid diagnosis of infectious agents
KR102113312B1 (ko) * 2018-07-03 2020-05-20 주식회사 더웨이브톡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유체 내 불순물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98B1 (ko) * 2019-04-12 2019-08-05 김종옥 검체 수송배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328A1 (ko) 2022-12-15
US20240131517A1 (en) 2024-04-25
EP4282530A1 (en) 2023-11-29
KR20220166565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2522B2 (en) Semen analysis
JP4921368B2 (ja) 光学的測定を血液培養瓶に対して行う装置
CN102239400B (zh) 免鞘液的流式细胞计量术的方法和仪器
DK2204440T3 (en) Spermaanalysesystem
JP6479037B2 (ja) 試料チャンバを有する光学測定キュベット
NZ500687A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ation of particles using array electromagnetic detectors to build an image which is suited for assessment of somatic cells in a liquid sample
JP2004537038A (ja) 生物学的測定システム
JP2018510333A (ja) 積分球集光器を用いる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50177118A1 (en) Fluidic optical cartridge
KR102285089B1 (ko) 미생물 검출 장비
CN105954276B (zh) 一种智能健康检测装置及方法
KR102602612B1 (ko) 검체 수송 배지 용기
US11029249B2 (en) Sample detection device
TW200307127A (en) Body-fluid censoring unit
CN211426204U (zh) 一种血细胞分析仪
JP5266400B2 (ja) 精液分析
CA2741544C (en) Semen analysis
Onur et al. 3 Lab on a Cellphone
IL204915A (en) Seed quality analysis system in the example
JP2003287501A (ja) 体液検査装置
JP2003287502A (ja) 体液検査装置
IL196368A (en) Methods for analyzing semen
KR20160148139A (ko) 체액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분석 방법
KR20160030689A (ko) 체액 분석 시험편을 구비하는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