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362B1 -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 Google Patents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362B1
KR102602362B1 KR1020220177845A KR20220177845A KR102602362B1 KR 102602362 B1 KR102602362 B1 KR 102602362B1 KR 1020220177845 A KR1020220177845 A KR 1020220177845A KR 20220177845 A KR20220177845 A KR 20220177845A KR 102602362 B1 KR102602362 B1 KR 10260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threshing
guide
support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태
Original Assignee
송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태 filed Critical 송형태
Priority to KR102022017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은 일방향으로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검불 배출구가 구비되고, 저면에 곡립 배출구가 구비된 탈곡실과, 상기 탈곡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나선을 따라 배열되어 스크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탈곡 블레이드는 상기 나선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나선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뒤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검불 배출구 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을 이용하면, 과도한 분쇄가 방지될 수 있고, 곡립이 검불과 용의하게 분리되고, 분리된 검불이 원활하게 이송, 배출될 수 있어 손상립 및 이물질 혼입량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General purpose threshing drum for whole grain}
본 발명은 예취한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를 타작하여 곡립을 검불과 분리하여 채취하기 위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4887호(공개일자;2022년05월19일)에는 ‘콤바인용 선별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곡식이 탈곡장치로 이송되면, 이송 스크류부와 고정 절단날부와 가동 절단날부 등에 의해 검불과 나락이 분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벼 이삭을 채취하기에 최적화된 것으로, 콩류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를 탈곡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는 특성상 초장이 50~70cm 전후이고, 곡립인 콩을 둘러싸고 있는 콩깍지가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벌어져야만 콩이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기술과 같은 방식으로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를 탈곡하게 되면, 곡립과 검불의 분리 과정에서 곡립이 스크류에 의해 짓이겨지고 무분별하게 절단되어 손상된 곡립이 많이 발생되고, 콩깍지 및 콩줄기 등의 검불이 과도하게 분쇄되어 곡립과 분리되어 배출되지 않고 곡립에 섞여 함께 배출되어 탈곡 후에 곡립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선별 작업 부하가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4887호(공개일자;2022년05월1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벼 이외에도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 특성에도 맞게 범용화하여, 탈곡시 곡립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검불을 곡립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은 일방향으로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검불 배출구가 구비되고, 저면에 곡립 배출구가 구비된 탈곡실과, 상기 탈곡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나선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스크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탈곡 블레이드는 상기 나선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나선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앞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검불 배출구 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과,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커버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커버 사이에 상기 회전축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화살표 C)을 따라 이격 배열되며, 상기 탈곡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제3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가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블레이드 유닛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구동 브라켓과,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구동 브라켓의 일면에 접합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종동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는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브라켓과 체결되는 다각형의 중심부와,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장부와,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연장부는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결합부를 향해 삼각 형태로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중심부와,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커버는 ‘V’자형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지지대의 날개부 외측면에 면접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의 날개부와 체결되는 제1 및 제2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 로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스크류 로터는 일방향에 대해 나선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탈곡실의 검불 배출구와 대향되는 회전체 외주면의 종단에 배치되어 검불을 상기 탈곡실의 검불 배출구로 안내하는 검불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불 가이드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 가이드 유닛의 가이드 블레이드는 서로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각각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유닛은 곡물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레이드와 함께 배치되거나 상호 교체되는 제1 및 제2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들의 뒤쪽에 배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구불구불한 물결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은 회전체가 회전될 때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에 의해 탈곡 전 곡물류가 타작 방식으로 탈곡할 수 있어 손상 곡립 및 이물질 혼입량이 적어 탈곡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가 나선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스크류를 형성할 수 있어, 곡립과 분리된 검불이 원활하게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회전을 기준으로 스크류의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 내에 일방향으로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들이 이격 배열되어 있어, 탈곡 효율이 우수하고, 탈곡 전 곡물류가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더라도 탈곡 및 검불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크류보다 검불의 이송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어 곡립과 검불이 보다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곡 블레이드가 회전체의 원주방향(화살표 C)에 대해 나선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타작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탈곡 효율이 우수하고, 검불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 중 일부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의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가 6각 별모양 형태로, 회전체의 외주면에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오목한 골이 형성되어 많은 양의 검불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회전체가 구조적으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이 적용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일부를 전개하여 탈곡 블레이드의 배열 상태를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의 회전체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중 수수 및 그 유사 곡물류 탈곡시 발생하는 검불 배출이 용이하도록 제1가이드플레이트가 장착된 검불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중 보리 및 그 유사 곡물류 탈곡 시 발생하는 검불 배출이 용이하도록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장착된 검불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가이드플레이트에 대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은 콤바인의 일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단독으로 탈곡 전용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이 적용된 콤바인은, 전방에 구비되어 수확기의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를 수확하는 예취기(A)와, 예취기(A)에 의해 수확된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를 탈곡하는 탈곡기(B)와, 탈곡기(B)에서 탈곡된 곡립이 수집되는 곡립 수집부(C)와, 곡립 수집부(C)에 수집된 곡립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곡물 저장부(D) 등이 포함된다.
탈곡기(B)를 이루는 탈곡실(1)은 콤바인의 전후방향으로 길고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탈곡실(1)의 전방에는 예취기(A)와 연결되어 예취기(A)에 의해 수확된 탈곡 전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가 유입되는 유입구(1a)가 구비될 수 있다. 탈곡실(1)의 저면에는 탈곡된 곡립이 배출되는 망 형태의 곡립 배출구(1b)가 구비될 수 있다. 탈곡실(1)의 후방에는 곡립과 분리된 검불이 배출되는 검불 배출구(1c)가 구비될 수 있다. 탈곡실(1)의 검불 배출구(1c)는 탈곡실(1)의 저면 또는 측면에 후술할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으며, 슈트(shoot)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은, 상기한 탈곡실(1)의 내부에 배치되어 콤바인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일방향(화살표 T)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체(2)와, 회전체(2)의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나선(S)을 따라 배열되어 스크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3)가 포함된다. 따라서, 회전체(2)가 회전되면, 탈곡 전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가 탈곡 블레이드(3)에 의해 타작되어 곡립이 과도하게 분쇄되지 않고 검불과 분리될 수 있고, 아울러 탈곡 블레이드(3)에 의해 검불이 탈곡실(1)의 검불 배출구로 이송될 수 있다.
탈곡 블레이드(3)은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소정 길이 돌출되고, 일방향(화살표 T)으로 두께가 얇고,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넓은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탈곡 블레이드(3)은 나선(S)을 따라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부재(3a)와, 나선(S)의 진행방향으로 제1부재(3a)의 뒤쪽 끝단으로부터 일방향(화살표 T)으로 탈곡실(1)의 검불 배출구(1c) 측을 향해 소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3b)로 구성된다. 일방향(화살표 T)을 따라 탈곡 블레이드(3)들으로 서로 스크류의 피치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방향(화살표 T)으로 스크류의 피치에 대응되는 간격 내에 탈곡 블레이드(3)들이 서너개 정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회전체(2)의 원주방향으로 탈곡 전 곡물류가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더라도 탈곡 및 검불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크류보다 검불의 이송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어 곡립과 검불이 보다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1부재(3a)는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나선 방향을 따라 폭을 갖도록 배치되고, 회전축(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사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회전체(2)가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즉 전단면이 볼록한 곡면형태로 형성되고, 제2부재(3b)는 회전축(10)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부재(3b)는 회전축(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사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형태로 폭 방향 일측, 즉 전단측이 제1부재(3a)의 후단측에 연결된다. 제2부재(3b)는 받침대(4)에 접하는 길이방향 일측의 폭이 회전축(10)에서 방사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제1부재(3a)와 접하는 폭 방향 일단과 대향되는 폭 방향 타단과의 길이가 확장되게 형성되고, 제2부재(3b)의 길이방향 타측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부재(3b)의 길이방향 일측의 회전체(2)가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측면, 즉 후단면이 오목한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탈곡 블레이드(3)는 전체적으로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여서 타작 면적이 넓게 확보될 수 있어 곡립과 검불이 용의하게 분리될 수 있고, 검불이 일방향(화살표 T)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어, 탈곡 효율은 향상되고, 곡립에 섞이는 이물질량은 줄어들어 선별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탈곡 블레이드(3)는 일방향(화살표 T)으로 일렬 배열된 복수개가 일방향(화살표 T)으로 길게 배치되는 받침대(4) 상에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탈곡 블레이드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탈곡 블레이드(3)의 받침대(4) 측 끝단에 결합 돌기(3c)가 돌출 형성되고, 받침대(4)에는 탈곡 블레이드(3)의 결합 돌기(3c)가 끼워지는 결합홀(4b)이 형성되어, 탈곡 블레이드(3)가 받침대(4)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보다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4)는 복수개의 지지대(13)에 대응하여 복수개 구비되어 지지대(13)와 일대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받침대(4)는 지지대(13)와 마찬가지로 일방향(화살표 T)으로 길고, 저면에 지지대(13)가 삽입되는 삽입구(4a)가 형성된 ‘ㄷ’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받침대(4)에는 지지대(13)와 착탈 가능토록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체결구(4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블레이드(3)가 마모, 부식 등에 의해 손상된 경우, 손상된 블레이드(3)가 배치된 어느 한 탈곡 블레이드 유닛만 교체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의하다.
회전체(2)의 회전축(10)은 양단이 탈곡실(1)에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 끝단이 모터 등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체(2)는 일방향(화살표 T)으로 회전축(10)의 양단 측에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커버(11,12)가 포함된다.
제1 및 제2커버(11,12)는 회전체(2)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10)에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회전체(2)는 탈곡 블레이드(3)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13)가 더 포함된다.
복수개의 지지대(13)는 회전축(10)에 대해 회전체(2)의 직경에 대응하는 가상의 원을 따라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되며, 각각의 지지대(13)는 제1 및 제2커버(11,12) 사이에 일방향(화살표 T)으로 길게 연장되어 회전축(10)과 나란히 배치된다.
지지대(13)는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브라켓 중 후술할 제1 및 제2종동 브라켓(16,17)과 탈곡 블레이드(3)와 일체화된 받침대(4)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부(13-1)가 포함된다. 지지대(13)의 중심부(13-1)는 받침대(4)의 삽입구(4a)에 삽입되고, 내측면이 개방되어 후술할 제1 및 제2종동 브라켓(16,17)의 결합부(16-3,17-3)가 삽입되는 삽입구(13a)가 형성된 ‘ㄷ’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의 중심부(13-1)에는 받침대(4)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될 수 있게 제1체결구(13b)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의 제1체결구(13b)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어 지지대(13)의 삽입구(13a)와 연통될 수 있다. 지지대(13)의 제1체결구(13b)는 일방향(화살표 T)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3)는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지지대(13)의 중심부(13-1)의 양쪽으로 연장된 패널 형태의 한 쌍의 날개부(1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대(13)의 중심부(13-1)는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대(13)의 한 쌍의 날개부(13-2)는 지지대(13)의 중심부(13-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어 후술할 제1 및 제2종동 브라켓(16,17)의 연장부(16-2,17-2)가 삽입되는 삼각형태의 삽입구(13c)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13)의 각각의 날개부(13-2)에는 후술할 제3커버(14)와 착탈될 수 있게 제2체결구(13d)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의 제2체결구(13d)는 일방향(화살표 T)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는 각각 회전축(1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지지대(13)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더 포함된다.
브라켓은, 회전축(1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 브라켓(15)과, 일방향(화살표 T)으로 구동 브라켓(15)의 일면에 접합되고 지지대(13)와 결합되어 지지대(13)를 지지하는 제1종동 브라켓(16)이 포함된다.
구동 브라켓(15)은 일방향(화살표 T)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브라켓(15)은 삼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삼각형의 각 꼭지점마다 제1종동 브라켓(16)과 볼트 등에 의해 접합되는 체결구(1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은 복수개의 구동 브라켓(15)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은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은 회전축(10)보다 크게 형성되어 회전축(10)에 끼워지는 중심홀(18a)이 형성되고 구동 브라켓(15)과 체결되는 다각형의 중심부(16-1)와,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중심부(16-1)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장부(16-2)와,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각각의 연장부(16-2)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지지대(13)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16-3)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의 중심부(1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종동 브라켓(16)의 중심부(16-1)의 다각형 변의 개수가 많을수록 나선방향(S)으로 탈곡 블레이드(3)과 탈곡 블레이드(3) 사이 간격이 좁아지나, 전체적인 구성 수 및 무게도 증대되는바, 회전체(2)의 크기, 회전시 흔들림 방지 등을 고려하여 제1종동 브라켓(16)의 중심부(16-1)의 다각형이 결정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의 중심홀(16a)은 삼각 형태의 구동 브라켓(15)에 대하여 대략 역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의 연장부(16-2)는 별모양처럼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제1종동 브라켓(16)의 결합부(16-3)를 향해 삼각 형태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대(13)의 한 쌍의 날개부(13-2)에 의한 삽입구(13c)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종동 브라켓(16)의 결합부(16-3)는 지지대(13)의 중심부(13-1)의 삽입구에 대응되는 사각형 돌기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대(13)의 중심부(13-1)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13a)에 삽입되되,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지지대(13)의 중심부(13-1)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13a)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3)와 받침대(4)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회전체(2)는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제3커버(14)가 더 포함된다.
제3커버(14)는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이웃한 제1종동 브라켓(16)의 연장부(16-2)와 연장부(16-2) 사이 형상에 대응하여 ‘V’자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커버(14)는 서로 ‘V’자형으로 연결되며, 각각 지지대(13)의 날개부(13-2) 외측면에 포개져 면접된 상태로 지지대(13)의 날개부(13-2)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1 및 제2커버부(14-1, 14-2)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회전체(2)는 제1종동 브라켓(16)의 형태에 대응하여 별모양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오목한 골(2a)이 형성될 수 있어, 많은 양의 검불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은 회전체(2)의 종단에 해당하는 제2커버(12)에 일방향(화살표 T)으로 접합되어 지지대(13)를 지지하는 제2종동 브라켓(1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종동 브라켓(17)의 중심홀(17a)은 회전축(10)보다 크고, 구동 브라켓(15)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종동 브라켓(17)의 중심홀(17a)은 원주방향(화살표 C)을 따라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는 일방향(화살표 T)으로 제1커버와 지지대(13) 사이에 배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 로터(1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크류 로터(18)는 회전축(10)에 결합되는 바디(18-1)와, 바디(18-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1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 로터(18)의 바디(18-1)는 일방향(화살표 T)에 대해 나선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탈곡실(1)에 유입된 탈곡 전 콩류, 수수, 보리 등의 곡물류가 탈곡 블레이드(3) 쪽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일방향(화살표 T)으로 스크류 로터(18)의 후단은 일방향(화살표 T)으로 구동 브라켓(15)에 접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회전체(2)의 외주면에는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탈곡실(1)의 검불 배출구와 대향되는 회전체(2) 외주면의 종단에 배치되어, 일방향(화살표 T)을 따라 회전체(2)의 종단으로 이송된 검불을 탈곡실(1)의 검불 배출구로 안내하는 검불 가이드(19)가 배치된다.
검불 가이드(19)는 일방향(화살표 T)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19-1)로 이루어진 가이드 유닛(19’)을 포함한다.
가이드 유닛(19’)은 복수개가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6개의 지지대(13)가 배치되는 경우, 각 가이드 유닛(19’)또한 6개로 구성되어 각 지지대(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 유닛(19‘)의 가이드 블레이드(19-1)는 검불이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개구된 검불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한 탈곡 블레이드(3)와 달리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수직하게 돌출된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가이드 블레이드(19-1)는 각 지지대(13)에 형성된 체결홀에 볼트 체결처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불 가이드(19)가 곡물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여, 본 발명의 탈곡용 회전체가 여러 종류의 곡물류에 범용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검불 가이드(19)는 콩류의 검불을 배출하기에 최적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곡물류 종류에 따라 검불 가이드의 각 가이드 유닛은 가이드블레이드()와 함께 배치되거나 상호 교체되는 제1 및 제2가이드 플레이트(19-2),(19-3)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수나 보리 탈곡 후 남은 검불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9-2)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수수와 같은 곡물류의 검불을 배출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서, 회전체(2)의 회전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19-1)들의 뒤쪽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01) 및,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19-1)와 회전체(2), 즉 지지대(13)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01)는 일방향(화살표 T)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19-1)에 대응하여 일방향(화살표 T)으로 길고,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수직하며,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으로 내,외측면이 모두 평평한 평면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102)는 일방향(화살표 T)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19-1)들을 함께 받칠 수 있도록 일방향(화살표 T)으로 길게 형성되고, 각각의 가이드 블레이트(19-1)가 받침부(102)를 관통하여 지지대(1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9-2)는 회전체(2)의 회전방향으로 가이드부(101) 뒷쪽에 배치되고, 일방향(화살표 T)으로 이격 배열된 가이드 블레이드(19-1)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벽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의 원주방향(화살표 C)에 따른 구획벽부(103)의 폭은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받침부(102) 측의 경우 일정하고, 나머지 부분의 경우 회전체(2)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9-3)는 보리와 같은 곡물류의 검불을 배출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서, 상기한 제 1 가이드 플레이트처럼, 가이드부(111)와, 받침부(112)와, 구획벽부(113)를 포함하되, 가이드 연장부(1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연장부(114)는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가이드부(111)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회전체(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되, 가이드부(111)에 대하여 회전체(2)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고, 일방향(화살표 T)을 따라 구불구불한 물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 연장부(114)에 의해 보리 탈곡 후 남은 검불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탈곡실 2; 회전체
3; 탈곡 블레이드 4; 받침대
10; 회전축 11; 제1커버
12; 제2커버 13; 지지대
13-1; 중심부 13-2; 날개부
14; 제3커버 15; 구동 브라켓
16; 제1종동 브라켓 17; 제2종동 브라켓
18; 스크류 로터 19; 검불 가이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방향으로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검불 배출구가 구비되며, 저면에 곡립 배출구가 구비된 탈곡실 내부에 배치되는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에 있어서,
    상기 범용 드럼은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나선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스크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탈곡 블레이드는
    상기 나선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재; 및 상기 나선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뒤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검불 배출구 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커버; 각각 상기 제1 및 제2커버 사이에 상기 회전축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되며, 상기 탈곡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를 차폐하는 복수개의 제3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구동 브라켓; 및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구동 브라켓의 일면에 접합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종동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는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브라켓과 체결되는 다각형의 중심부;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중심부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장부; 및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연장부는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결합부를 향해 삼각 형태로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중심부와,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종동 브라켓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커버는‘V’자형으로 연결되고, 각각 상기 지지대의 날개부 외측면에 면접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의 날개부와 체결되는 제1 및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6. 삭제
  7. 삭제
  8. 일방향으로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검불 배출구가 구비되며, 저면에 곡립 배출구가 구비된 탈곡실 내부에 배치되는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에 있어서,
    상기 범용 드럼은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소정 직경의 나선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스크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탈곡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탈곡 블레이드는 상기 나선을 따라 배치되는 제1부재; 및 상기 나선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의 뒤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검불 배출구 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탈곡실의 검불 배출구와 대향되는 회전체 외주면의 종단에 배치되어 검불을 상기 탈곡실의 검불 배출구로 안내하는 검불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불 가이드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 가이드 유닛의 가이드 블레이드는 서로 상기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각각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 유닛은
    곡물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레이드와 함께 배치되거나 상호 교체되는 제1 및 제2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들의 뒤쪽에 배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가이드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구불구불한 물결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KR1020220177845A 2022-12-19 2022-12-19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KR102602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45A KR102602362B1 (ko) 2022-12-19 2022-12-19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45A KR102602362B1 (ko) 2022-12-19 2022-12-19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362B1 true KR102602362B1 (ko) 2023-11-20

Family

ID=8897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45A KR102602362B1 (ko) 2022-12-19 2022-12-19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3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899B2 (ko) * 1979-07-18 1986-07-23 Fujitsu Ltd
JPS6213828B2 (ko) * 1982-09-22 1987-03-28 Fuji Denki Sogo Kenkyusho Kk
WO2012108459A1 (ja) * 2011-02-10 2012-08-16 ヤンマー株式会社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6187308A (ja) * 2015-03-30 2016-11-04 ヤンマー株式会社 扱胴
CN107360807A (zh) * 2016-05-13 2017-11-21 勇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收获机脱粒后茎秆杂物的切碎装置
US20210212260A1 (en) * 2018-05-31 2021-07-15 Kubota Corporation Threshing Cylinder
KR20220064887A (ko) 2020-11-12 2022-05-19 김세경 콤바인용 선별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899B2 (ko) * 1979-07-18 1986-07-23 Fujitsu Ltd
JPS6213828B2 (ko) * 1982-09-22 1987-03-28 Fuji Denki Sogo Kenkyusho Kk
WO2012108459A1 (ja) * 2011-02-10 2012-08-16 ヤンマー株式会社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6187308A (ja) * 2015-03-30 2016-11-04 ヤンマー株式会社 扱胴
CN107360807A (zh) * 2016-05-13 2017-11-21 勇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收获机脱粒后茎秆杂物的切碎装置
US20210212260A1 (en) * 2018-05-31 2021-07-15 Kubota Corporation Threshing Cylinder
KR20220064887A (ko) 2020-11-12 2022-05-19 김세경 콤바인용 선별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528B2 (en) Vertical crop residue chopper and spreader
US5145462A (en) Infeed assembly for an axial-flow combine
US3669122A (en) Axial flow combine with a rotary discharge
EP1542526B1 (en) Apparatus for chopping and discharging straw from a combine harvester
AU643613B2 (en) Discharge structure for an axial separator
AU653018B2 (en) Tooth mounting assembly for axial separator
CN111837654B (zh) 一种玉米籽粒直收脱粒分离装置和联合收获机
US5599162A (en) Transverse blower fan assembly
WO2010047430A1 (en) Thrashing drum
WO2017154984A1 (ja) 脱穀装置、及び、コンバイン
US4957467A (en) Device for primary separation of grain in a combine harvester for cereals
US4578937A (en) Harvester machine for stripping seeds from a standing crop
US7771261B2 (en) Knife blade for a chopper of a combine harvester
KR102602362B1 (ko) 곡물류 탈곡용 범용 드럼
EP1872646B1 (en) Rotating inlet for cross flow fan.
US6261176B1 (en) Enclosed threshing cylinder with rasp-type bars
US20020002068A1 (en) Enclosed threshing cylinder with rasp-type bars
US6976912B2 (en) Rotor for a combine harvester
SU978773A1 (ru) Отбойный битер дл зернового комбайна
CN113068520A (zh) 脱粒脊部
CN212436444U (zh) 一种籽瓜收获机分离滚筒、籽瓜脱粒装置及籽瓜收获机
BRPI1003603B1 (pt) Picador para uma combinada agrícola, e, combinada agrícola
JP6581928B2 (ja) 脱穀装置
KR100907501B1 (ko) 탈곡기용 탈곡드럼
US20050020333A1 (en) Deflector for a discharge outlet of a tailings conveyor of an agricultural com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