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951B1 -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 Google Patents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951B1
KR102601951B1 KR1020220120598A KR20220120598A KR102601951B1 KR 102601951 B1 KR102601951 B1 KR 102601951B1 KR 1020220120598 A KR1020220120598 A KR 1020220120598A KR 20220120598 A KR20220120598 A KR 20220120598A KR 102601951 B1 KR102601951 B1 KR 10260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en
marker
abdominal
markers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9700A (ko
Inventor
김근호
이상훈
최우수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14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획별로 진단과 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복부를 위치별로 구획을 균등하게 나눌 수 있도록 구현하여 한의사 및 의료인의 복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Abdominal region sectionalizing method for measuring and stimulating abdomen}
본 발명은 복부 진단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진은 환자가 침대에서 복부 노출 후 누운 이완 상태에서 한의사 또는 의료인이 환자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한의사가 오른쪽 검지, 중지, 약지로 대상자 복부를 촉진하면서 복부를 관찰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서 복부의 혈위를 자극한다.
그러나, 복진시 한의사 및 의료인의 주관적인 위치에서의 특성을 파악하고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복진 위치를 정량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복부 구획별로 진단과 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복부를 위치별로 균등하게 구획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73725호(2022.03.14 공고)
본 발명은 복부의 정확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복부를 정확히 구획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부를 구획한 영상을 복부에 조사하여 해당 위치에 진단기기를 이용해 측정하거나, 한의사 또는 임상인이 부위별로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부를 정확히 구획한 영상을 조사하여 부위별로 자극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이 피험자의 복부의 여러 위치에 마커들을 부착 또는 표시하는 마커 적용 단계와; 마커들이 부착 또는 표시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을 촬영하는 복부 촬영 단계와; 촬영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내에서 마커들을 탐색하는 마커 탐색 단계와; 탐색된 마커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하는 복부 구획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 적용 단계에서 피험자의 복부의 다수의 위치에 마커들을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 적용 단계에서 중정(검상돌기) 위치에 제1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 적용 단계에서 중정(검상돌기) 위치에서 수직한 가상의 수직 중심축의 좌우로 2촌 거리에서 갈비뼈와 만나는 두 위치에 제2 마커와 제3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 적용 단계에서 신궐(배꼽) 좌우로 2촌 거리의 두 위치에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 적용 단계에서 관원 위치에 제6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복부 구획 단계에서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복부 구획 단계에서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연결한 수평선과,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이 만나는 신궐(배꼽) 위치와 제1 마커 사이를 8등분하여 1촌으로 기준을 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복부 구획 단계에서 제1 마커 위치에서 제6 마커 위치까지 1촌씩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좌우로 1촌씩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여 복부 전체를 1촌 간격으로 구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이 복부 전체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복부에 조사하는 구획 영상 조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구획 영상 조사단계에서 마커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제1 마커와 제6 마커 및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기준으로 격자 영상을 복부에 조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부 구획별로 진단과 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복부를 위치별로 균등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한의사 및 의료인이 복진 및 변증 부위에 대한 객관적 판별이 가능하여 정확한 복부 측정 및 자극이 가능하므로, 한의사 및 의료인의 복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는 환자의 복부 구획을 위해 환자의 복부에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을 이용해 환자의 복부를 구획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환자의 복부 구획을 위해 복부를 구획한 영상을 환자의 복부에 조사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은 마커 적용 단계(110)와, 복부 촬영 단계(120)와, 마커 탐색 단계(130)와, 복부 구획 단계(140)를 포함한다.
한의사 또는 의료인의 복진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한의사 또는 의료인이 피험자(환자)의 복부를 노출한 후, 암막 커튼을 올리고 침대에 눕도록 한다. 그리고, 한의사 또는 의료인이 검지로 피험자의 상복부를 터치하여 중앙선의 상부 정점까지 서서히 올린다. 그리고, 한의사 또는 의료인이 흉골과 양쪽 갈비뼈가 만나는 지점(검상돌기)을 손가락을 통해 느낀다.
그리고, 마커 적용 단계(110)에서 피험자의 복부의 여러 위치에 마커들을 부착 또는 표시한다. 이 때, 마커 적용 단계(110)에서 피험자의 복부의 다수의 위치 예컨대, 6개 위치에 마커들을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는 환자의 복부 구획을 위해 환자의 복부에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해 보면, 피험자의 복부 6개 지점에 녹색 마커가 부착 또는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커 적용 단계(110)에서 먼저 중정(검상돌기) 위치에 제1 마커(1)를 부착 또는 표시하고, 그 다음 중정(검상돌기) 위치에서 수직한 가상의 수직 중심축의 좌우로 2촌 거리에서 갈비뼈와 만나는 두 위치에 제2 마커(2)와 제3 마커(3)를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다음, 신궐(배꼽) 좌우로 2촌 거리의 두 위치에 제4 마커(4)와 제5 마커(5)를 부착 또는 표시하고, 관원 위치에 제6 마커(6)를 부착 또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부 촬영 단계(120)에서 마커들이 부착 또는 표시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을 촬영한다. 예컨대, 복부 촬영 단계(120)에서 피험자가 누운 침대 위쪽의 천장에 고정된 카메라(도면 도시 생략)에 의해 마커들이 부착 또는 표시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이 촬영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마커 탐색 단계(130)에서 촬영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내에서 마커들을 탐색한다. 예컨대, 마커 탐색 단계(130)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마커들이 부착 또는 표시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컴퓨터(도면 도시 생략)가 피험자의 복부 영상을 분석하여 마커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마커들을 기준으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마커 탐색 단계(130)에서 피험자의 복부 영상에서 영상 상부 및 하부에서 마커 1과 마커 6을 탐색한다. 그리고, 마커 6에서 위로 이동하거나 마커 1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마커 1과 마커 6을 연결하는 수직선상의 주변에서 마커 2, 3 및 4, 5를 탐색한다.
복부 구획 단계(140)에서 탐색된 마커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한다. 예컨대, 복부 구획 단계(140)에서 마커 탐색 단계(130)에 의해 탐색된 마커 1과 마커 6을 연결한 수직선을 그은 후,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수직 방향 구획 간격은 적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부 구획 단계(140)에서 마커 탐색 단계(130)에 의해 탐색된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연결한 수평선을 그은 후,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연결한 수평선과,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이 만나는 신궐(배꼽) 위치와 제1 마커 사이를 8등분하여 1촌으로 기준을 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험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게 1촌 길이가 정의된다.
즉, 피험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게 1촌의 길이를 정의하게 되는데 이를 동신촌법이라고 한다. 일부법에서는 검지부터 새끼까지의 너비를 일부(3촌)로 정의하고, 중지 동신촌법에 의하면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고리를 만들고 중지의 가운데 마디 양쪽에 생긴 무늬 사이의 길이를 1촌, 모지 동신촌법에 의하면 엄지 첫째 마디의 폭을 1촌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연결한 수평선과,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이 만나는 신궐(배꼽) 위치와 제1 마커 사이를 8등분하여 1촌으로 기준을 정한다.
그 다음, 복부 구획 단계(140)에서 제1 마커 위치에서 제6 마커 위치까지 기준으로 정해진 1촌씩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좌우로 1촌씩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여 복부 전체를 1촌 간격으로 구획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구획 간격과 수평 구획 간격은 적정하게 선택 또는 조정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을 이용해 환자의 복부를 구획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해 보면, 피험자의 복부가 수직 방향 구획 및 수평 방향 구획이 균등하게 이루어져 피험자의 복부가 격자 형태로 구획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해 보면, 경혈점 CV_08은 신궐 위치, CV_04는 관원 위치를 나타내고, CV13_R2는 CV13에서 오른쪽으로 2촌 거리, CV04_L1는 CV04에서 왼쪽으로 1촌 거리 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피험자의 복부 영상에서 탐색되는 6개의 마커들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구획과 수평 방향 구획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므로, 격자 형태로 피험자의 복부가 구획되고, 이에 따라 피험자 마다 복부 형태나 형상이 상이함에 의해 기인하는 복부 위치 구분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피험자의 복부를 진단하는 한의사 및 의료인은 피험자의 복부 구획별로 경직도, 압력, 깊이, 컬러, 기하학적 한증의 유무 등과 같은 유의한 경혈점별 진단이나, 침 자극, 열 자극 등과 같은 치료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복부 구획별로 진단과 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피험자의 복부를 위치별로 균등하게 구획할 수 있어, 한의사 및 의료인이 복진 및 변증 부위에 대한 객관적 판별이 가능하여 정확한 복부 측정 및 자극이 가능하므로, 한의사 및 의료인의 복진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이 구획 영상 조사단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 영상 조사단계(150)에서 복부 전체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복부에 조사한다. 이 때, 구획 영상 조사단계(150)에서 마커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제1 마커와 제6 마커 및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기준으로 격자 영상을 복부에 조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구획 영상 조사단계(150)에서 피험자의 복부 영상을 분석하여 마커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마커들을 기준으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하는 컴퓨터(도면 도시 생략)가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빔 프로젝터(도면 도시 생략)로 전송하여 빔 프로젝터가 침대에 누운 사용자의 복부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조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 는 환자의 복부 구획을 위해 복부를 구획한 영상을 환자의 복부에 조사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를 참조해 보면, 피험자의 복부 상부에서 빔 프로젝터가 침대에 누운 사용자의 복부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조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한의사 및 의료인이 피험자의 복부에 조사되는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통해 피험자의 복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복진 및 변증 부위에 대한 객관적 판별이 가능하여 정확한 복부 측정 및 자극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한편, 피험자의 복부에 부착 또는 표시되는 마커는 경혈점에 비례해서 부착 또는 표시되므로, 피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에 따라 변경이 될 수 있고, 피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에 따라 피험자의 복구 구획도 자연스럽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부 구획별로 진단과 치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복부를 위치별로 균등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한의사 및 의료인이 복진 및 변증 부위에 대한 객관적 판별이 가능하여 정확한 복부 측정 및 자극이 가능하므로, 한의사 및 의료인의 복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복부 진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10 : 마커 적용 단계
120 : 복부 촬영 단계
130 : 마커 탐색 단계
140 : 복부 구획 단계
150 : 구획 영상 조사단계

Claims (11)

  1. 피험자 복부의 중정(검상돌기) 위치에 제1 마커를, 중정(검상돌기) 위치에서 수직한 가상의 수직 중심축의 좌우로 2촌 거리에서 갈비뼈와 만나는 두 위치에 제2 마커와 제3 마커를, 신궐(배꼽) 좌우로 2촌 거리의 두 위치에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관원 위치에 제6 마커를 부착 또는 표시하는 마커 적용 단계와;
    마커들이 부착 또는 표시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을 촬영하는 복부 촬영 단계와;
    촬영된 피험자의 복부 영상내에서 마커들을 탐색하는 마커 탐색 단계와;
    탐색된 마커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피험자의 복부를 구획하는 복부 구획 단계를;
    포함하되,
    복부 구획 단계에서: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구획하고,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연결한 수평선과, 제1 마커와 제6 마커를 연결한 수직선이 만나는 신궐(배꼽) 위치와 제1 마커 사이를 8등분하여 1촌으로 기준을 정하는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복부 구획 단계에서:
    제1 마커 위치에서 제6 마커 위치까지 1촌씩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좌우로 1촌씩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여 복부 전체를 1촌 간격으로 구획하는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이:
    복부 전체를 구획한 격자 영상을 복부에 조사하는 구획 영상 조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구획 영상 조사단계에서:
    마커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제1 마커와 제6 마커 및 제4 마커와 제5 마커를 기준으로 격자 영상을 복부에 조사하는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KR1020220120598A 2022-04-20 2022-09-23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KR102601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28 2022-04-20
KR20220048928 2022-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700A KR20230149700A (ko) 2023-10-27
KR102601951B1 true KR102601951B1 (ko) 2023-11-14

Family

ID=8842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598A KR102601951B1 (ko) 2022-04-20 2022-09-23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1951B1 (ko)
WO (1) WO202320459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25B1 (ko) * 2020-09-22 2022-03-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3차원 복부 영상 분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372B1 (ko) * 2009-12-30 2012-06-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마커 방식을 이용한 비만/체형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50396B1 (ko) * 2012-11-26 2019-12-02 (주)아모레퍼시픽 모아레 이미지를 이용한 피부 탄력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700911B1 (ko) * 2015-03-26 2017-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 운동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44071B1 (ko) * 2017-11-02 2019-11-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분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25B1 (ko) * 2020-09-22 2022-03-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3차원 복부 영상 분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596A1 (ko) 2023-10-26
KR20230149700A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37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ly mapping acupuncture points
KR20210020990A (ko) 폐-용적-게이팅형 엑스레이 촬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952634B2 (e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system
US20160070436A1 (en) Planning, navigation and s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therapy
CN107847289A (zh) 现实增强的形态学手术
JP6701880B2 (ja) 動態解析装置、動態解析システム、動態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88970B2 (ja) ロボット手術支援装置、ロボット手術支援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343512B1 (en) Visualization of distances on an electroanatomical map
Sikora et al. Ultrasound for the detection of pleural effusions and guidance of the thoracentesis procedure
KR20220124166A (ko) 방사선 파라미터 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01951B1 (ko) 복부 측정 및 자극을 위한 복부 구획 나누는 방법
WO2019153983A1 (zh) 一种手术刀尖热源成像系统及其方法
KR102593810B1 (ko) 복부 측정 시스템
KR100957713B1 (ko) 수술용 항법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062373B1 (ko) 배수혈 위치 선정 방법 및 배수혈 표시장치
KR100919837B1 (ko) 배수혈 위치 선정 방법 및 배수혈 표시장치
KR101351056B1 (ko) Mri 영상을 이용한 두피 경계 검출 방법
US11562661B2 (en) Absolute teaching device
KR20170107200A (ko) 일체형 체형 진단 장치
KR101062374B1 (ko) 배수혈 위치 선정 방법 및 배수혈 표시장치
Kuo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needle probe in neuraxial block application
Simonds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Medical Imaging Equipment Used in Cadaveric Studies
US99191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ducial to plan association
RU2154985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тепени деформации грудной клетки
Woo Radiologic assessment of the optimal point for tube thoracostomy using the sternum as a landmark: a computed tomography‐based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