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331B1 -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331B1
KR102601331B1 KR1020230052147A KR20230052147A KR102601331B1 KR 102601331 B1 KR102601331 B1 KR 102601331B1 KR 1020230052147 A KR1020230052147 A KR 1020230052147A KR 20230052147 A KR20230052147 A KR 20230052147A KR 102601331 B1 KR102601331 B1 KR 10260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retrofit
biologic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현
박정환
최태건
배재현
Original Assignee
아쿠아프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프로(주) filed Critical 아쿠아프로(주)
Priority to KR102023005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331B1/ko
Priority to KR1020230152877A priority patent/KR102636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식 양식장의 수조 및 배관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시설에서 측량 가능한 정보가 수집되는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 발주자의 목표생산량이 도출되고, 도출된 목표생산량에 따른 양식대상 생물의 생물생산 계획이 수립되는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 기존 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로 기존시설 도면이 제작되는 기존시설 도면화 단계, 수립된 생물생산계획에 기반하여 양식대상 생물의 사육을 위한 수조의 개수, 사육조건에 따른 최대 부하량, 순환유량, 여과조 및 탈기조 용량을 포함하여 생물 생장을 위한 시스템 목표값이 산정되는 생물설계 단계, 생물설계 시스템 목표값에 대응되는 수조와 수처리조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 내에서 순환되는 사육수의 이동을 위한 배관과, 수질 개선을 위한 기가재가 선정되며, 이를 기존시설 도면에 반영하여 레트로핏 가설계 도면이 제작되는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 생물설계 시스템 목표값에 대응되는 순환 유량을 고려한 배관 관경이 결정되고, 결정된 관경에 따른 배관연결 및 선정된 기자재 배치가 작업자 동선을 고려하여 3D 모델링 도면 형태의 실시설계 도면으로 제작되는 실시설계 단계 및 실시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현장시공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유수식 양식장을 용이하게 순환여과 양식장으로 전환 시공하고, 효율적인 생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 A retrofit construction method for running water aquaculture and a retrofitted water recycling aquaculture system using of the same }
본 발명은 유수식 양식장을 순환여과 방식으로 전환하여 운영하기 위한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식 양식장은 물 공급이 원활한 지역에서 수조에 물을 계속 공급하여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고, 수조에서 물이 배출될 때 물과 함께 배설물이 제거되면서 사육수의 수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국내 영세 규모의 양식장상당수가 이와 같은 유수식 양식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유수식 양식장은 과도한 물 사용과 여과되지 않은 물의 공급 및 배출에 따른 질병, 수질오염, 인근 환경 오염 및 지역적 한계를 가짐에 따라 점차 순환여과방식을 이용한 양식장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순환 여과 양식 시스템의 기본구성에는 사육수가 수용되는 양식수조, 물리적 여과시스템, 생물학적 여과시스템, 살균시스템, 수질조정시스템 및 산소 공급 시스템이 포함되며, 순환되는 사육수를 지속적으로 필터링하여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안전하고 깨끗한 수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순환 여과 양식 시스템에서는 사육수의 재순환을 통해 물 사용량을 줄이고 여과와 살균, 수질조정 및 산소공급을 통해 어류에게 건강한 생육 환경을 제공하면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유수식 양식장을 운영하는 어가에서는 순환 여과 방식으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으나, 기존 유수식 양식 시설을 철거하고 순환 여과 양식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순환 여과를 위한 시스템 구성 및 배관 설비 구축 등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있어 영세한 어가에서 순환 여과 양식 시스템을 구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505704호 “노후 유수식 양식장을 이용하여 유수식과 순환여과식 양식장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양식시스템”에는 노후된 유수식 양식장을 용이하게 순환여과식 양식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등록특허는 유수식 양식장으로 구축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조 중 일부를 침전조와 여과조로 형성하고, 이를 순환하도록 추가 배관 및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사육수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제어밸브의 조작에 의해 기존 유수식과 병행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특징을 위하여 유수식 양식장을 구성하던 기존 다수의 수조 중 물 흐름 진행방향 끝단 내측에 위치한 수조를 부유물 침전을 위한 침전조로 형성하고, 끝단에 위치한 수조를 생물막 여과제를 투입하여 사육수에 포함된 어류 노폐물을 처리하기 위한 생물여과조로 구성함으로써 유수식과 순환여과 방식을 위한 배관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방류관로와 연결되는 배관의 물 흐름 경로 끝단에서 침전 및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유수식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침전 및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순환 여과 방식과 유수식의 병행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칠 뿐,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현장 환경과 어류의 생산량 및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한 구조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에는 사육수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방류관로 구성을 전제로 하나, 기존 운영중인 유수식 양식장은 수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수로 형태의 구조물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등록특허는 현장 구조를 고려하지 않는 형태로 실제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영세한 어가에서 기존 운영 중인 유수식 양식장을 등록특허의 구조와 같이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기존 유수식 양식장보다 수조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유수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어류의 생산량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순환 여과 방식으로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침전조와 생물학적 여과조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 여과 양식장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구성인 살균시스템, 수질조정시스템 및 산소 공급 시스템 등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즉, 순환 여과 양식장에는 수조와 배관 및 살균, 수질조정 및 산소 공급 등을 위한 기자재가 더 설치되고, 양식장에 입식되는 어류의 종류와 목표 생산량에 적합한 기자재의 설치가 요구되나, 상기 등록특허를 포함한 종래 기술의 순환 여과 양식장 시공 시에는 사육수의 순환 경로를 위한 시공을 우선으로 수조와 배관을 연결하고, 기자재를 배치하여 시스템 구성을 완료한 이후 시공 완료된 순환 여과 양식장의 사양에 따라 생산 효율이 결정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유수식 양식장을 순환 여과 양식장으로 전환 시공하는 경우 유수식 사육수의 흐름을 순환 여과를 위한 사육수의 흐름으로 전환시킬 뿐, 순환 여과 양식장 전환 시 기존 시설 환경을 기준으로 생산 효율을 고려한 전환 시공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결국, 유수식 양식장을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으로 전환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설의 현황에 기반한 다양한 설계요소들에 대한 정략적 수치를 기반으로 설계 되지 않을 경우 순환여과 양식 생산공정에서의 생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KR 10-2505704 B1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현장 실측을 바탕으로 시공 전 목표 어종 및 생산량이 결정되고, 이에 따른 오염 부하량이 예측되며 이를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목표 유량과 이를 위한 기자재 및 배관의 선정과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현장 실측에 기반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은 기 설치된 유수식 양식장의 수조 및 배관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시설에서 측량 가능한 정보가 수집되는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와, 발주자의 요구조건에 따른 목표생산량이 도출되고, 도출된 목표생산량에 따른 양식대상 생물의 성장모델 기반 생물생산 계획이 수립되는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와, 상기 기존 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시설 도면이 제작되는 기존시설 도면화 단계와, 상기 수립된 생물생산계획에 기반하여 양식대상 생물의 사육을 위한 수조의 개수, 사육조건에 따른 최대 부하량, 순환유량, 여과조 및 탈기조 용량을 포함하여 생물 생장을 위한 시스템 목표값이 산정되는 생물설계 단계와, 상기 생물설계 시스템 목표값에 대응되는 수조와 수처리조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 내에서 순환되는 사육수의 이동을 위한 배관과, 수질 개선을 위한 기가재가 선정되고, 이를 상기 기존시설 도면에 반영하여 레트로핏 가설계 도면이 제작되는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와, 상기 생물설계 시스템 목표값에 대응되는 순환 유량을 고려한 배관의 관경이 결정되고, 결정된 관경에 따른 배관연결 및 선정된 기자재 배치가 작업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3D 모델링 도면 형태의 실시설계 도면으로 제작되는 실시설계 단계 및 상기 실시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현장시공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에서는 발주자가 생산하고자 하는 목표 생산 어종의 생물학적 특성, 양식환경 특성, 주요 수질요소의 허용 가능 수준을 포함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목표 생산량에 따른 주요 수질요소별 최대 오염 부하량이 도출되며, 상기 주요 수질요소에는 암모니아, 유기고형물, 이산화탄소, 용존산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물설계 단계에서는 결정된 목표 생산량에 따른 양식 총수량, 사육 총 수량, 입식 밀도, 사료 공급률, 사료 내 단백질 함량, 순 단백질 이용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적용하며, 양식 대상 어종의 주요 수질 인자에 대한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각 수처리 공정에서 설정된 수준의 농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량 결정을 위한 매스 밸런스(mass blance) 계산이 (수식 1)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112023044797246-pat00001
(단, =유수량, =유입농도, =유출농도, =생산량, =소모량)
상기 기존시설 도면화 단계에서는 적어도 현장 실측을 통해 수집된 메인수조 및 배수관의 설치 위치가 기존시설 도면으로 작성되고, 상기 기존시설 도면에는 전환유지 가능 여부에 따라 레트로핏 영역과 미활용 영역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모니아에 대한 부하량을 설계하는 과정에서는, 목표로 하는 양식 어종의 최대 생산량과 사료공급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간(daily) 공급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의 단백질 함량정보(protein content, PC), 목표 어종의 순 단백질 이용률(net protein utilization, NPU), 사료성분구성에 따른 단백질 내 질소함량(Ncontents)을 이용하여 일간(daily) 사육수 내로 공급되는 질소 부하량이 (수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2)
Nload = FVi*PC*NPU*Ncontents
(단, Nload=질소 부하량(kg), FVi=일간 급이되는 사료양(kg), PC=단백질함량(%), NPU=순 단백질 이용율(%), Ncontents=질소 함량(%))
상기 [수식 2]를 통해 도출된 질소부하량을 바탕으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학적 여과조에서 제거할 수 있는 제거속도(TANReduction)가 여과재의 충진률 및 여과재 비표면적, 예측 암모니아 농도를 바탕으로 산출되고, 암모니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목표 암모니아 농도(Cin)를 대입하여 요구유량(Q)이 (수식 3)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3)
TANReduction = Q(Cin-Cout)*1440/1000000
(단, TANReduction=여과조 내 암모니아 제거속도(kg/day), Q=여과조 유입 유량(L/min), Cin=여과조 유입 암모니아 농도(mg/L), Cout=여과조 유출 암모니아 농도(mg/L), 1440/1000000=단위 변환 상수)
상기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에서는 주손실(Major loss)과 부손실(Miner loss)을 포함한 수두손실 계산을 통해 유입수와 배출수 배관 및 펌프의 규격이 설정되고, 상기 수두손실 계산은 (수식 4) 및 (수식 5)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4) Major loss
Figure 112023044797246-pat00007
(단, =마찰계수, =배관 길이, =배관 직경, =유속, =중력가속도)
(수식 5) Miner loss
Figure 112023044797246-pat00013
(=배관부품에 따른 마찰계수, =유속, =중력가속도)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유수식 어류 양식을 위해 이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수조와, 상기 메인수조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관 및 상기 메인수조에 구비되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사육수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메인배수관 및 상기 메인배수관과 연결되어 수집된 사육수를 수용하고 수처리하여 재순환 시키기 위한 수처리조를 포함하도록, 상기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사육수는 하나 이상의 메인수조로와 연통되어 일정량의 사육수가 저장되는 스탠딩 웰을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딩 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수조의 측벽을 활용한 사육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탠딩 웰 내부에는 상기 메인수조와 연결되는 배수관의 단부와, 상기 메인배수관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의 단부 및 상기 스탠딩 웰 내부에 수용되는 사육수의 퇴수를 위한 퇴수관의 단부에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수위봉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주요 시설을 재활용하여 시공비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현장 실측에 따른 도면화 과정 및 생물설계를 바탕으로 시공 전 목표 생산량을 도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주요 시설인 수조의 배치 구조를 바탕으로 유수식 전환 시 운용 가능한 유량의 총량을 파악하고, 목표 설정량에 따라 예측되는 부하량의 안정적 제거에 필요한 목표 유량과 비교하여 시공 전 목표 생산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목표 생산량이 결정된 이후 주요 수질 인자의 최대 부하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매스 밸런스(mass blance) 계산을 통해 유수량을 도출하며, 이를 반영한 기자재와 배관 선정 및 배치 위치를 중심으로 레트로핏 설계 도면이 제작된다.
특히, 배관 설계 시 다수의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를 수처리조로 안내하기 위한 메인배출관은 일정유속 이상을 유지하여 배관 내 오염물이 쌓이지 않도록 설정하며, 어류의 생장 단계에 부합되는 수질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어류 양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수조 중심으로부터 메인배출관까지 연결되어 있는 중심배수관은 수조 하부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순환여과 방식으로 전환 시공 시 수조 바닥을 깨고 시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존 매립된 배관을 유지하되 수조와 여과조의 수두차를 이용하여 일정 유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에서는 부하량 제거를 위한 수처리조의 상측에 기자재의 설치공간 및 작업자의 이동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한정된 공간안에서 보다 효과적인 공간활용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존 유수식 양식장의 수조와 수조 사이 공간을 활용하여 수조와 연통되는 스탠딩 웰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조의 수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수위를 조절함은 물론, 공간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서는 기존 유수식 양식장에서 사용되던 용수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목표 생산량에 부합되도록 설계된 수처리조를 통해 안정적인 사육수의 순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제작된 기존 시설 도면화의 일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가설계 도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도 3 에서 제1시스템 그룹에서 합류 지점에 따른 관경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배관 연결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설계 도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요부구성인 수처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도 6에서 수처리조에 설치되는 기자재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도 6에 도시된 스탠딩 웰과 수조의 배관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서 스탠딩 웰을 이용한 수조 수위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사육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통한 구간별 어류의 생장결과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으며,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은 양식장 시공 후 이의 운영을 위한 생물설계가 이루어지는 기존 순환여과 방식의 양식장과 달리, 시공 전 현장 실측에 기반한 목표 생산량을 결정하고, 기존 시설과 추가 시설의 최적 배치를 위한 설계 과정을 바탕으로 어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세히,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이하 “레트로핏 시공방법”이라 함)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시공방법에서는 유수식 양식장의 기존 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기존 기자재의 성능규격과, 수조 및 배관의 크기 등 기존 시설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에서는 시공 발주자의 순환여과 양식장 구축 목적과 양식하고자 하는 대상생물 및 목표 생산량 등의 인터뷰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대상생물의 생태와 생리적 특성 및 현장 수질, 그리고, 지리적 특성(해수/담수 취수 지점, 수질데이터, 수온 등)이 수집된다.
상기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정보 수집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발주자의 목표 생산량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에서는 발주자가 생산하고자 하는 대상생물 즉, 목표 생산 어종의 생물학적 특성, 양식환경 특성,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질 인자의 허용 가능 수준 등을 종합하여 목표 생산량에 따른 주요 수질 인자의 최대 오염 부하량이 도출된다.
즉, 상기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에서는 목표 생산량에 따른 최대 사료 공급량(최대 사육 밀도, 일간 최대 사료 공급률), 어류 대사 산물, 산소 소모량 등을 화학량론(stoichiometry) 식에 근거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대 오염 부하량이 산정되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수량과 수처리를 위한 기자재의 규모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에서 고려되는 수질요소별 설계인자는 아래[표 1]과 같다.
수질요소 설계인자

암모니아
유입, 유출 암모니아, 질소 부하량, 일간 사료 공급량, 사료 성분 정보, 순 단백질 이용률, 생물학적 여과조의 여과매질 정보(비표면적, 충진률, 형태 등), ph에 따른 암모니아 독성, 여과조 질소 전환률 등

유기 고형물
유입, 유출 고형물 양, 일간 고형물 부하량, 어종에 따른 배설물 특성, 어류 소화율, 사료 성분 정보, 고형물 제거장치의 고형물 제거 성능(유입 고형물 농도 대비 유출 고형물 농도), 수중 고형물의 입자 크기별 성상 등

이산화탄소
산소용해상수, Bunsen 상수, 공기압, 수증기압, 사육수 이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포화농도, 탈기장치 내 이산화탄소 농도, 기타 상수값(A1, A2, A3), 사료소비, 산소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 예측 등

용존산소
산소용해상수, Bunsen 상수, 공기압, 수증기압, 용해기내 산소농도, 담수/해수 사육수 포화도, 어종별 적정/최소 산소요구량, 기타 상수값(A1, A2, A3) 등
한편, 상기 기존 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실측된 데이터는 기존 시설 도면화 단계를 통해 실제 수조의 크기와 배치 형태 및 배관 관경과 설치 위치 등을 반영한 도면이 작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운용 가능한 최대 유량의 범위가 도출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제작된 기존 시설 도면화의 일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실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성된 기존시설 도면(100)에는 복수의 메인수조(10) 배치구조와 메인수조(10)의 배수홀(12)을 통해 사육수가 배출되는 경로인 배수관(20)의 설치 위치가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정보가 도시되는 기존시설 도면(100)에는 현장 환경에 따라 레트로핏 시공이 이루어지는 레트로핏 영역(120)과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활용 영역(140)이 구분되어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질요소별 오염 부하량 예측을 통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요구 유량이 도출되면 상기 기존시설 도면(100)에 도시된 레트로핏 영역(120)을 통해 운용 가능한 최대 유량의 범위 이내에서 실제 생산 가능한 목표 생산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목표 생산량이 결정된 이후에는 이에 따른 오염 부하량 제거를 위한 레트로핏 적용 양식대상 생물설계 단계가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생물설계 단계에서는 매스 밸런스(mass blance) 계산을 통한 유수량이 도출되며, 이는 상기 주요 수질인자(용존산소량, 암모니아, 총고형물, 이산화탄소) 별로 개별 계산된다.
상기 매스 밸런스(mass blance) 계산에서는 양식 총수량, 사육 총 수량, 입식 밀도, 사료 공급률, 사료 내 단백질 함량, 순 단백질 이용율 등에 대한 정보를 적용하여 양식 대상 어종의 주요 수질 인자에 대한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각 수처리 공정에서 농도 처리 수준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주요 인자 중 유수량 결정인자 산정 및 필요 유량, 일간 순환율을 도출하여 유수량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매스 밸런스(mass blance) 계산은 (수식 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3044797246-pat00017
(단, =유수량, =유입농도, =유출농도, =생산량, =소모량)
일 예로, 설계대상 수질인자 중 하나인 암모니아에 대한 부하량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목표로 하는 양식 어종의 최대 생산량과 사료공급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간(daily) 공급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의 단백질 함량정보(protein content, PC), 목표 어종의 순 단백질 이용률(net protein utilization, NPU), 사료성분구성에 따른 단백질 내 질소함량(Ncontents)를 이용하여 일간(daily) 사육수 내로 공급되는 질소 부하량이 아래 (수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2)
Nload = FVi*PC*NPU*Ncontents
(단, Nload=질소 부하량(kg), FVi=일간 급이되는 사료양(kg), PC=단백질함량(%), NPU=순 단백질 이용율(%), Ncontents=질소 함량(%))
그리고, 상기 [수식 2]를 통해 도출된 질소부하량을 바탕으로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학적 여과조에서 제거할 수 있는 제거속도(TANReduction)를 여과재의 충진률 및 여과재 비표면적, 예측 암모니아 농도를 바탕으로 산출하고, 암모니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목표 암모니아 농도(Cin)를 대입하여 요구유량(Q)를 아래 (수식 3)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식 3)
TANReduction = Q(Cin-Cout)*1440/1000000
(단, TANReduction=여과조 내 암모니아 제거속도(kg/day), Q=여과조 유입 유량(L/min), Cin=여과조 유입 암모니아 농도(mg/L), Cout=여과조 유출 암모니아 농도(mg/L), 1440/1000000=단위 변환 상수)
즉, 상기 생물설계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유기고형물, 이산화탄소, 용존산소에 대해서 실시하고, 이 중 최대치로 도출되는 유량에 대응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상기 생물설계 단계를 통해 요구유량이 산출되면 상기 기존시설 도면(100)과 생물설계를 바탕으로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를 통해 가설계 도면(400, 도 3 참조)이 제작된다.
상세히, 상기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에서는 먼저 수리공학적으로 수처리장치의 규격이 설정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수처리장치의 규격이 설정되는 과정에서는 수처리 장치의 구성요소로 고형물 제거를 위한 물리적 여과조와 생물학적 질산화 여과조,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 보충장치 및 사육수에 녹아 있는 기체(산소, 이산화탄소 등)를 추출하여 배관의 부식 및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탈기장치 및 사육수에 포함된 세균의 제거를 위한 살균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물설계 단계에서 도출된 유수량과 설정된 각 수질인자 처리 기준에 대응되도록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규격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규격이 결정되면, 수리공학적으로 배관 및 펌프의 규격이 설정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배관 및 펌프의 규격이 설정되는 과정에서는 유입수와 배출수 배관의 연결과 규격을 주손실(Major loss)과 부손실(Miner loss)을 포함한 수두손실 계산이 (수식 4) 및 (수식 5)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수식 4) Major loss
Figure 112023044797246-pat00023
(단, =마찰계수, =배관 길이, =배관 직경, =유속, =중력가속도)
(수식 5) Miner loss
Figure 112023044797246-pat00029
(=배관부품에 따른 마찰계수, =유속, =중력가속도)
상세히, 상기 배관 및 펌프의 규격이 설정되는 과정은 먼저 산정된 유수량과 배관의 크기 및 연결 구조에 따라 수두 손실을 파악하고 최적 수준이 산정된다.
그리고, 수두 손실로 발생하는 사육조와 각 구성요소 간의 엘레베이션(elevation)을 계산해 최적 수준이 산정되며, 산정된 결과값을 바탕으로 사육조 및 각 장치들의 수평 및 수직적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도출된 수두손실 값을 통한 펌프의 형태 및 규격이 결정 된 이후 양식 시스템 설계안이 조정 및 결정되어 도 3 과 같은 가설계 도면(400)이 제작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가설계 도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생물설계 단계에서 도출된 유수량과 설정된 각 수질인자 처리 기준에 대응하여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시스템이 설계된다.
상세히, 상기 각 시스템은 상기 기존시설 도면(100)에서 레트로핏 영역(120)에 해당하는 복수의 메인수조(10)를 제1시스템 그룹(200)과 제2시스템 그룹(300)으로 나누고, 각 그룹을 유동하는 유수량에 대응되도록 제1수처리조(220)와 제1기자재(240) 및 제2수처리조(320)와 제2기가재(340)가 결정되어 수두손실을 고려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시스템 그룹(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메인수조(10)로부터 배수관(20)을 통해 배출되는 사육수는 제1메인배수관(260)을 통해 취합되면서 상기 제1수처리조(220)로 이송되고, 상기 제2시스템 그룹(3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메인수조(10)로부터 배수관(20)을 통해 배출되는 사육수는 제2메인배수관(360)을 통해 제2수처리조(32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시스템 그룹(200)과 제2시스템 그룹(300) 및 이를 구성하는 제1수처리조(220)와 제2수처리조(320)는 물의 흐름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아래 도 4 에서는 제1시스템 그룹(200)을 중심으로 메인수조(10)에서 배수관(20)을 통해 배출되는 배관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세히, 도 4 에는 도 3 에서 제1시스템 그룹에서 합류 지점에 따른 관경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배관 연결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 4a는 가설계 단계를 통해 설계된 유량에 대응하되, 물흐름방향(F)를 따라 메인배수관의 관경을 증가시키는 형태의 배관 연결구조를 보인 실시 예로, 2개의 메인수조(10) 사이 공간마다 배수관(20)을 통해 연결되어 메인수조(1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스탠딩 웰(420)이 구비된다.
즉, 각 스탠딩 웰(420)은 연결된 2개의 메인수조(10) 배출관(20)과 연결되어 각 메인수조(10)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가 수용되고, 상기 스탠딩 웰(420)에 수용되는 사육수는 다시 제1-1연결배관(261)을 통해 제1-1배수관(262)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송경로는 스탠딩 웰(420)이 서로 마주보는 배치 형태에 의해 P1 지점에서 합류하여 제1관경(φ1)을 가지는 제1-1배수관(262)을 따라 물흐름방향(F)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1배수관(262)을 따라 물흐름방향(F)로 이송되는 사육수의 이동경로에는 다른 위치의 메인수조(10)를 지나치면서 추가 합류가 이루어진다.
즉, P2 지점에서는 제1수처리조(220)와 이웃하여 배출관(20)을 통해 사육수를 배출하는 하나의 수조와 연통되는 스탠딩 웰(420)과, 이와 마주보며 2개의 메인수조(10)와 각각의 배출관(20)을 통해 연결되어 사육수를 배출하는 다른 스탠딩 웰(42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P2 지점은 P1을 통해 합류되어 배출되는 사육수에 P2를 통해 합류되어 배출되는 사육수가 추가됨에 따라 상기 P2 지점과 제1-2연결배관(263)을 통해 물흐름방향(F)를 따라 사육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2배수관은 상기 제1관경(φ1) 보다 큰 제2관경(φ2)을 가진다.
즉, 합류지점 P1 및 합류지점 P2와 이어지는 메인배관이 동일 관경일 경우에는 P2 지점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사육수가 유입됨에 따라 병목현상에 의해 물흐름방향(F) 기준 P2 이전 위치인 P1 지점에서 유속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육수의 안전유속 형성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합류지점 P1과 연결되는 제1-1배수관(262)의 제1관경(φ1) 보다 더 큰 제2관경(φ2)으로 형성되는 제1-2배수관(264)을 연결함으로써 추가된 유량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유속을 형성하고, 이의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b는 가설계 단계를 통해 설계된 유량에 대응하여 물흐름방향(F)을 따라 메인배수관의 관경을 증가시키되, 서로 마주보는 스탠딩 웰(420)이 각각의 메인배수관과 연결되는 형태의 배관 연결구조를 보여준다.
즉, 스탠딩 웰(420)에서 연결배관을 통해 P3 지점에서 사육수가 합류되는 제2-1배수관(265)은 P5 지점에서 추가 합류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관경이 보다 확장된 제2-2배수관과 연결된다.
그리고, P4 지점에서 사육수가 합류되는 제3-1배수관(267)은 P6 지점에서 추가 합류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관경이 보다 확장된 제3-2배수관(268)과 연결됨으로써 안전유속을 형성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제3-1배수관(267)에는 제1수처리조(220)와 이웃한 하나의 메인수조(10)를 통해서만 사육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2개의 메인수조(10)와 연결되는 스탠딩 웰(420)을 통해 배출되는 사육수가 합류되는 제3-2배수관(268)의 관경보다 작은 관경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한편, 상기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물설계 단계를 통해 도출된 요구 유량에 따른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수처리조(220) 및 제2수처리조(320)의 구조와 수질조건에 부합될 수 있는 기자재가 선정 및 배치되며, 보다 상세한 기자재의 종류와 배치형태는 아래에서 실시설계 도면(800, 도 5 참조)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현장실측 도면에 기반하여 생물설계에 따른 가설계가 완료되면, 발주자에게 현장 구조에서 실시 가능한 목표 생산량에 부합되는 가설계 구조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확인한 발주자가 수정 또는 생산량의 조정을 요청할 경우 생물 재설계를 바탕으로 가설계 도면(400) 변경 이후 실시설계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설계 도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고,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요부구성인 수처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며, 도 7 에는 도 6에서 수처리조에 설치되는 기자재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8 에는 도 6에 도시된 스탠딩 웰과 수조의 배관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설계 도면(800)은 상기 레트로핏 가설계 도면(400)을 통해 형성된 각 시스템 그룹(200, 300)을 순환하는 사육수의 수질변동 예측 및 환수율을 결정하고, 열관리 및 수온 제어를 위한 제어장치 용량이 결정되며, 양식장 운영을 위한 작업자의 이동 동선 및 작업 반경을 고려하여 시공을 위한 실시설계 도면(800) 제작이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실시설계 도면(800)에는 상기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를 통해 제1수처리조(220)를 통해 순환여과가 이루어지는 제1시스템 그룹(200)과 제2수처리조(320)를 통해 순환여과가 이루어지는 제2시스템 그룹(300)을 구성하는 각 메인수조(10)에 원수 공급을 위한 원수관(30)과 산기관(230) 및 열교환배관(700) 등 수처리를 위한 복수의 기자재의 배치가 최종 확정되며, 각 기자재의 배치는 공간 활용성과 작업자(W)의 이동 동선 및 작업반경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유수식 양식장에 기 설치된 메인수조(10)를 유지하면서 기자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창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수처리조(220) 및 제2수처리조(320)의 상측에 복수의 기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플레이트(5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조 내부에는 상기 설치플레이트(500)를 소정 높이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벽(52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벽(520)은 상기 설치플레이트(500)의 지지와 함께 수처리조 내부 공간을 복수의 처리조로 구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수처리조(220)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벽(520)에 의해 구획되어 물리적 여과가 이루어지는 제1-1처리조(222)와, 상기 제1-1처리조(222)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면 미생물 담체와 산기관(230)을 이용한 에어레이션(aeration)을 통해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는 제1-2처리조(224) 및 1-3처리조(226)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가 완료된 물이 복수의 메인수조(10)로 공급되기 전 탈기장치를 이용한 탈기가 이루어지는 제1-4처리조(228)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처리조(320)의 경우에도 플레이트 지지벽(520)에 의해 동일한 형태의 제2-1처리조(322), 제2-2처리조(324)와 제2-3처리조(326) 및 제2-4처리조(328)로 구획되며, 상기와 같이 구획된 각 처리조에는 선정된 기자재와 이들의 연결을 위한 배관이 작업자(W)의 이동 동선 및 작업반경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한편, 제2-1처리조(322)의 상측에 구비되는 드럼필터(344)는 필터하우징(243a)이 제거된 형태로 도시되고, 제1-1처리조(322)의 상측에는 필터하우징(243a)에 의해 드럼필터가 직접 도시되지 않으나, 제1-1처리조(222)에도 드럼필터를 이용한 막여과가 이루어지며, 제2-1처리조(322)에 구비되는 드럼필터(344)에도 필터하우징(243a)가 구비됨에 따라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위치와 관계없이 드럼필터(344)와 필터하우징(243a)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치플레이트(500)의 상측에는 설치된 기자재의 점검 및 운영을 위한 작업자(W) 이동경로가 확보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설계 도면(800)은 3D 모델링을 통해 작업자(W)의 신체를 고려하여 사육수 공급배관(210)과 각 기자재를 연결하는 배관의 위치가 결정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플레이트(500)는 전술한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에서 수리공학적으로 결정된 각 장치들의 수평 및 수직적 위치를 바탕으로 설치 높이가 결정되고, 각 처리조에는 상측에 위치되는 기자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플레이트(500)가 구분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제1수처리조(220)를 구성하는 제1-1처리조(222)와 제2수처리조(320)를 구성하는 제2-1처리조(322)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설치높이(H2)에 각각 드럼필터(344)가 배치되도록 설치플레이트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메인수조(10)에서 배출되는 사육수가 제일 먼저 유입되어 처리되는 제1-1처리조(222) 및 제2-1처리조(322)에는 각각 막여과 방식의 드럼필터(344)가 구비되며, 필터하우징(243a)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대상 사육수에 포함된 고형물 등을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는의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된다.
한편, 상기 드럼 형상의 멤브레인 내측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수위가 형성되는데, 상기 멤브레인 내측의 수위에 따라 각 메인수조(10)에서 배출되는 사육수의 순환유속이 달라지게 된다.
즉, 멤브레인 내측의 수위가 높을 수록 상대적으로 하측에서 유입되는 사육수는 순환유속은 느려지게 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추가 장착할 경우 시공에 소요되는 경비가 증가하고, 제어대상이 추가되어 시스템이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1처리조(222) 및 제2-1처리조(322)의 상측에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는 다른 처리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 메인수조(10)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드럼필터(344)에 의한 막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제1-1처리조(222) 및 제2-1수처리조(322)에는 각각 제1차수벽(222a)과 제2차수벽(322a)을 추가 설치하여 여과된 사육수가 일정 수준 이상 수용되어 드럼필터(344)를 통해 여과되지 못한 고형물들이 추가 침전되고, 여과된 사육수는 상기 제1차수벽(222a)과 제2차수벽(322a)을 넘어(overflow)서 제1-2처리조(224)와 제2-2처리조(324)로 각각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1-2처리조(224)와 제2-2처리조(324)는 내부에 상기 산기관(230)이 배치되고, 미생물 담체(미도시)가 함께 수용되어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생물학적 여과는 상기 제1-2처리조(224) 및 제2-2처리조(324)에서 1차 수행된 이후 상기 제1-3처리조(226) 및 제2-3처리조(326)에서 순차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물학적 여과가 완료되면 처리된 사육수는 상기 제1-4처리조(228) 및 제2-4처리조(328)로 각각 이송되어 탈기장치에 의한 탈기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4처리조(228)에서 탈기가 완료된 사육수는 제1펌프(241)에 의해 이송되어 산소 공급 및 살균처리가 이루어진 이후 사육수 공급배관(210)을 통해 다시 해당 시스템 구성의 메인수조(10)들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처리조를 경유한 이후 산소 공급 및 살균처리를 위한 기자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지지벽(520)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플레이트(500)의 상측에 설치되되, 그 설치높이(H1)는 상기 드럼필터(344)가 설치된 설치플레이트의 설치높이(H2) 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위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시스템 그룹(200, 300)을 순환하는 사육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1산소콘(242)과 제2산소콘(342) 및 산소공급관(242a)이 설치되고, 이송되는 사육수에 포함된 미생물 제거를 위해 살균수단(600)이 추가 연결되어 산소 공급 및 살균 완료된 사육수가 사육수 공급배관(210)을 통해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처리되어 각 시스템 그룹(200, 300)의 메인수조(10)로 공급되는 사육수는 스탠딩 웰(420)을 통해 배출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탠딩 웰(420)은 2개의 메인수조(10)의 측벽과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을 이용하여 수조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만큼 추가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사육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메인수조(10)의 배수관(20)이 하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20)을 통해 배출되는 사육수는 먼저 상기 스탠딩 웰(420)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스탠딩 웰(420)에는 연결된 메인수조(10)의 개수에 대응되는 배수관(20)의 단부와 스탠딩 웰(420) 내부에 수용되는 사육수를 메인배수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연결배관의 단부가 위치되며, 스탠딩 웰(420) 내부의 사육수를 메인배수관 이외의 경로로 배출하기 위한 퇴수관(720)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육수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순환경로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실시설계 도면(800)을 발주자가 최종 확인하게 되며, 최종 확인 과정에서 배관이나 기자재의 종류 등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실시 설계 단계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확인과정에서 발주자 최종 확인이 완료되면 현장시공이 이루어지며,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순환될 사육수의 숙성을 위한 여과조 숙성단계가 수행되고, 시운전을 통해 온도, 유속 등 운전환경 조건이 만족되면 생물이 입식되어 순환여과 방식으로 양식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관 연결구조를 통해 사육수가 순환되는 각 시스템 그룹(200, 300)에는 사육수의 순환 과정에서 수질 변동을 예측하고 환수율이 결정되며, 상기 메인수조(40)의 환수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 특성을 바탕으로 상기 스탠딩 웰(42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기적인 운영 시 축적되어 양식 어류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질삼염이 축적되면, 이의 방지를 위해 환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환수 과정에서 급격한 수위의 감소는 순환 유속의 변동과 함께 양식 어류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스탠딩 웰(420)에 선택적으로 수위봉을 추가 장착하여 메인수조(10)의 수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2개의 메인수조(10) 사이에 설치된 스탠딩 웰(420) 내부에는 2개의 배수관(20) 단부와 제1-2배수관(264)으로 사육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2연결배관(263)의 단부가 위치되며, 이들의 단부에는 상기 수위봉이 장착될 수 있도록 수위봉 장착부(20a, 261a)가 더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퇴수관(720)의 단부에도 수위봉 장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상세히,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서 스탠딩 웰을 이용한 수조 수위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우선, 도 9a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정상 운전 상황 시 설치되는 수위봉의 설치 높이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시스템 정상 운전 시에는 메인수조(10)로부터 스탠딩 웰(420)을 향해 사육수가 이송되는 배수관(20)에는 상기 메인수조(10)에 수용된 사육수의 수위와 대응되는 높이까지 사육수의 이송경로를 연장하는 제3수위봉(426)이 장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수위봉(426)이 상기 배수관(20)에 형성된 수위봉 장착부(20a)에 설치되면, 상기 제3수위봉(426)의 높이만큼 메인수조(10)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딩 웰(420) 내부에서 제1메인배수관(26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의 단부에는 가장 작은 길이의 제1수위봉(422)이 장착되며, 상기 퇴수관(720)의 단부에는 제1수위봉(422) 보다 길고 제3수위봉(426)보다 짧은 길이의 제2수위봉(424)이 장착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정상 운전 시에는 상기 제3수위봉(426)의 높이만큼 메인수조(10)의 수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탠딩 웰(420) 내부에 상기 제1수위봉(422) 보다는 높고 상기 제2수위봉(424) 보다는 낮은 높이로 스탠딩 웰(420) 내부의 수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위는 상기 드럼필터(344) 및 사육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배관에서 발생되는 수두손실에 의한 물기둥 높이(HL)로 형성됨에 따라 일정 유량이 안정적으로 상기 메인수조(10)로부터 스탠딩 웰(420)을 통해 제1메인배수관(260)으로 이송되어 안전유속을 형성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서 메인수조내 사육수 퇴수 시 설치되는 수위봉의 설치 높이가 도시되고, 도 9c에는 스탠딩 웰(420)의 퇴수 시 설치되는 수위봉의 설치 높이가 도시된다.
우선, 도 9b를 참조하면, 메인수조(10) 내부의 사육수가 퇴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메인배수관(260)으로 사육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이와 연결된 제1수위봉(422)의 높이가 가장 높고, 퇴수관(72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수위봉이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0)과 연결되는 제3수위봉(426)은 메인수조(10) 내부에서 배출하고자 하는 유량에 대응되도록 제1수위봉(422) 보다 낮고 퇴수관(720)의 단부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설치될 경우 해당 높이만큼 메인수조(10) 내부의 사육수가 스탠딩 웰(4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메인수조(10)의 수위를 유지하면서 스탠딩 웰(420)의 청소 등을 위해 스탠딩 웰(420) 내부에 수용된 사육수만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3수위봉(426)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메인수조(10)의 수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사육수의 순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수위봉(422)의 높이를 스탠딩 웰(420)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하면, 스탠딩 웰(420) 내부에 수용된 사육수는 상기 퇴수관(720)으로만 배출된다.
한편, 상기 메인수조(10)의 배수홀(12)에는 배수봉(24)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봉(24)은 상기 배수홀(12)과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홀(12)과 대응되도록 장착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고형물 제거부(24b)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고형물 제거부(24a)를 통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메인수조(10) 내부에 수용된 어류는 배출되지 않고, 고형물과 사육수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위 조절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사육수 순환경로를 살펴보기 위하여, 도 10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사육수 순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실측 및 목표생산량을 반영한 생물설계를 바탕으로 수리공학적 수처리 장치의 규격을 설정하여 레트로핏 가설계가 이루어지고, 레트로핏 가설계를 중심으로 작업자의 동선 및 작업반경을 더 고려하여 기자재의 최종 설치 위치 및 배관 연결이 확정되는 실시설계 과정을 거쳐 시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공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사육수가 메인수조(10)에서 스탠딩 웰(420)과 메인배수관을 경유하여 수처리조로 회수되고, 회수된 사육수는 복수의 처리조를 경유하면서 생육조건에 부합되는 수질조건을 만족시켜 사육수 공급배관(21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로 순환공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시스템 그룹(300)을 중심으로 사육수의 순환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제2-2배수관(364)을 통해 이송되는 사육수는 제2-1처리조(322)로 이송되어 드럼필터(344)에 의해 물리적 여과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1처리조(322)를 통해 물리적으로 여과된 사육수는 제2-2처리조(324)로 이송된다.
상기 제2-2처리조(324)에서는 주요 수질요소 별 최대 오염 부하량에 따라 설정된 수준으로 농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기관(230) 및 미생물 담체와 같은 여과제가 투입되어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며, 이는 제2-3처리조(326)로 연결되어 추가 여과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3처리조(326)를 통해 생물학적으로 여과된 사육수는 상기 제2-4처리조(328)를 통해 탈기되고, 상기 열교환배관(70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이후 펌프에 의해 사육수 공급배관(210)으로 안내되며, 안내 경로 상에 구비되는 제2산소콘(342)과 살균수단(600)에 의해 산소 공급 및 살균이 이루어진 이후 각 메인수조(10)로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한편,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통한 구간별 어류의 생장결과를 보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여과 방식으로 생산된 어류의 생산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결과는 8주 동안 지름 4m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유수식 수조 2개로 구성된 유수식 양식장을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시공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한 결과로, 각 성장단계별 어류를 입식하여 대략 8주간의 사육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사육실험 결과 초기 개체 중량이 각각 9.8±1.6, 99.8±2.8, 303.0±6.9, 605.3±12.2, 807.3±18.8 g인 넙치는 각각 8주의 실험기간동안 127.1±6.1, 393.9±11.0, 736.8±19.7, 1193.4±55.6, 1483.6±76.0 g으로 성장하였다.
일간성장률은 각각의 구간에서 4.58, 2.45, 1.59, 1.21, 1.09 %/day 였으며, 생존률은 전 구간에서 91.3-95.3%로 높은 생존률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기존 유수식 대비 성장률과 생존률이 개선되며, 높은 생산성을 바탕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 설치된 유수식 양식 시스템의 기존 시설을 유지함에 따라 철거비와 초기 구축비 및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운영효율 및 생산안정성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어가의 생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기존시설 도면 120.......... 레트로핏 영역
140.......... 미활용 영역 200.......... 제1시스템 그룹
210.......... 사육수 공급배관 220.......... 제1수처리조
240.......... 제1기자재 260.......... 제1메인배수관
300.......... 제2시스템 그룹 320.......... 제2수처리조
340.......... 제2기자재 360.......... 제2메인배수관
400.......... 가설계 도면 420.......... 스탠딩 웰
500.......... 설치플레이트 520.......... 플레이트 지지벽
600.......... 살균수단 800.......... 실시

Claims (10)

  1. 기 설치된 유수식 양식장의 수조 및 배관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시설에서 측량 가능한 정보가 수집되는 기존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
    발주자의 요구조건에 따른 목표생산량이 도출되고, 도출된 목표생산량에 따른 양식대상 생물의 성장모델 기반 생물생산 계획이 수립되는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
    상기 기존 시설 조사 및 실측단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시설 도면이 제작되는 기존시설 도면화 단계;
    상기 수립된 생물생산계획에 기반하여 양식대상 생물의 사육을 위한 수조의 개수, 사육조건에 따른 최대 부하량, 순환유량, 여과조 및 탈기조 용량을 포함하여 생물 생장을 위한 시스템 목표값이 산정되는 생물설계 단계;
    상기 생물설계 시스템 목표값에 대응되는 수조와 수처리조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 내에서 순환되는 사육수의 이동을 위한 배관과, 수질 개선을 위한 기가재가 선정되고, 이를 상기 기존시설 도면에 반영하여 레트로핏 가설계 도면이 제작되는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
    상기 생물설계 시스템 목표값에 대응되는 순환 유량을 고려한 배관의 관경이 결정되고, 결정된 관경에 따른 배관연결 및 선정된 기자재 배치가 작업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3D 모델링 도면 형태의 실시설계 도면으로 제작되는 실시설계 단계; 및
    상기 실시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현장시공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생산계획 수립단계에서는,
    발주자가 생산하고자 하는 목표 생산 어종의 생물학적 특성, 양식환경 특성, 주요 수질요소의 허용 가능 수준을 포함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목표 생산량에 따른 주요 수질요소별 최대 오염 부하량이 도출되며,
    상기 주요 수질요소에는,
    암모니아, 유기고형물, 이산화탄소, 용존산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설계 단계에서는,
    결정된 목표 생산량에 따른 양식 총수량, 사육 총 수량, 입식 밀도, 사료 공급률, 사료 내 단백질 함량, 순 단백질 이용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적용하며, 양식 대상 어종의 주요 수질 인자에 대한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각 수처리 공정에서 설정된 수준의 농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량 결정을 위한 매스 밸런스(mass blance) 계산이 (수식 1)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수식 1)
    Figure 112023044797246-pat00033

    (단, =유수량, =유입농도, =유출농도, =생산량, =소모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시설 도면화 단계에서는,
    적어도 현장 실측을 통해 수집된 메인수조 및 배수관의 설치 위치가 기존시설 도면으로 작성되고,
    상기 기존시설 도면에는 전환유지 가능 여부에 따라 레트로핏 영역과 미활용 영역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에 대한 부하량을 설계하는 과정에서는,
    목표로 하는 양식 어종의 최대 생산량과 사료공급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간(daily) 공급되는 사료공급량과 사료의 단백질 함량정보(protein content, PC), 목표 어종의 순 단백질 이용률(net protein utilization, NPU), 사료성분구성에 따른 단백질 내 질소함량(Ncontents)을 이용하여 일간(daily) 사육수 내로 공급되는 질소 부하량이 (수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수식 2)
    Nload = FVi*PC*NPU*Ncontents
    (단, Nload=질소 부하량(kg), FVi=일간 급이되는 사료양(kg), PC=단백질함량(%), NPU=순 단백질 이용율(%), Ncontents=질소 함량(%))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2]를 통해 도출된 질소부하량을 바탕으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학적 여과조에서 제거할 수 있는 제거속도(TANReduction)가 여과재의 충진률 및 여과재 비표면적, 예측 암모니아 농도를 바탕으로 산출되고,
    암모니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목표 암모니아 농도(Cin)를 대입하여 요구유량(Q)이 (수식 3)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수식 3)
    TANReduction = Q(Cin-Cout)*1440/1000000
    (단, TANReduction=여과조 내 암모니아 제거속도(kg/day), Q=여과조 유입 유량(L/min), Cin=여과조 유입 암모니아 농도(mg/L), Cout=여과조 유출 암모니아 농도(mg/L), 1440/1000000=단위 변환 상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핏 가설계 단계에서는,
    주손실(Major loss)과 부손실(Miner loss)을 포함한 수두손실 계산을 통해 유입수와 배출수 배관 및 펌프의 규격이 설정되고,
    상기 수두손실 계산은 (수식 4) 및 (수식 5)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수식 4) Major loss
    Figure 112023044797246-pat00039

    (단, =마찰계수, =배관 길이, =배관 직경, =유속, =중력가속도)

    (수식 5) Miner loss
    Figure 112023044797246-pat00045

    (=배관부품에 따른 마찰계수, =유속, =중력가속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유수식 어류 양식을 위해 이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수조와, 상기 메인수조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관 및 상기 메인수조에 구비되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사육수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메인배수관 및 상기 메인배수관과 연결되어 수집된 사육수를 수용하고 수처리하여 재순환 시키기 위한 수처리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사육수는 하나 이상의 메인수조로와 연통되어 일정량의 사육수가 저장되는 스탠딩 웰을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수조의 측벽을 활용한 사육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탠딩 웰 내부에는 상기 메인수조와 연결되는 배수관의 단부와, 상기 메인배수관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의 단부 및 상기 스탠딩 웰 내부에 수용되는 사육수의 퇴수를 위한 퇴수관의 단부에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수위봉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20230052147A 2023-04-20 2023-04-20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260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147A KR102601331B1 (ko) 2023-04-20 2023-04-20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20230152877A KR102636815B1 (ko) 2023-04-20 2023-11-07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147A KR102601331B1 (ko) 2023-04-20 2023-04-20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2877A Division KR102636815B1 (ko) 2023-04-20 2023-11-07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331B1 true KR102601331B1 (ko) 2023-11-13

Family

ID=88746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147A KR102601331B1 (ko) 2023-04-20 2023-04-20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20230152877A KR102636815B1 (ko) 2023-04-20 2023-11-07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2877A KR102636815B1 (ko) 2023-04-20 2023-11-07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을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1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97261A (zh) * 2024-03-04 2024-07-05 中藜高科(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线上种植技术服务系统
KR102685047B1 (ko) 2023-11-29 2024-07-15 강원특별자치도 버켓형 드레인장치를 포함하는 수산종자 육성용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878A (ko) * 2008-12-08 2009-02-12 박근호 초대형 폐선박을 이용한 양식장 구조물
JP2011229402A (ja) * 2010-04-23 2011-11-17 Nec Soft Ltd 育成システム
KR101195190B1 (ko) * 2011-12-21 2012-10-29 박우근 양식용 사육 수조의 시공방법
KR20150022312A (ko) * 2013-08-22 2015-03-04 (주)더존코리아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20220138447A (ko) * 2021-03-17 2022-10-13 유병자 양식장 운영 관련 의사결정 방법
KR102505704B1 (ko) 2022-09-26 2023-03-03 유병자 노후 유수식 양식장을 이용하여 유수식과 순환여과식 양식장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양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878A (ko) * 2008-12-08 2009-02-12 박근호 초대형 폐선박을 이용한 양식장 구조물
JP2011229402A (ja) * 2010-04-23 2011-11-17 Nec Soft Ltd 育成システム
KR101195190B1 (ko) * 2011-12-21 2012-10-29 박우근 양식용 사육 수조의 시공방법
KR20150022312A (ko) * 2013-08-22 2015-03-04 (주)더존코리아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20220138447A (ko) * 2021-03-17 2022-10-13 유병자 양식장 운영 관련 의사결정 방법
KR102505704B1 (ko) 2022-09-26 2023-03-03 유병자 노후 유수식 양식장을 이용하여 유수식과 순환여과식 양식장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양식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047B1 (ko) 2023-11-29 2024-07-15 강원특별자치도 버켓형 드레인장치를 포함하는 수산종자 육성용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CN118297261A (zh) * 2024-03-04 2024-07-05 中藜高科(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线上种植技术服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815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331B1 (ko) 유수식 양식장의 레트로핏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트로핏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CN102438444B (zh) 具有建于基架上的水缸的室内养鱼场
KR100969829B1 (ko)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101782736B1 (ko) 집약적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KR20210025143A (ko) 바이오플락 발효조와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US1148401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nsive recirculating aquaculture
KR20200059950A (ko) 다층 생장 장치
KR20170030682A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무환수 어류 양식 수조,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8440B1 (ko)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KR20200100691A (ko) 양어장 및 작동 방법
KR101754541B1 (ko) 바이오플락용 슬러지 연속분리제거장치
Kolkovski et al. Intensive rearing system for fish larvae research: I. Marine fish larval rearing system
Wolters et al. Design, loading, and water quality in recirculating systems for Atlantic salmon (Salmo salar) at the USDA ARS National Cold Water Marine Aquaculture Center (Franklin, Maine)
CN109819926A (zh) 船载循环水养殖系统
KR102646413B1 (ko)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WO20182115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water quality
KR20220075694A (ko)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순환여과시스템의 수처리 시스템
JP2015061513A (ja) アワビ類の完全閉鎖循環式陸上養殖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アワビ類の陸上養殖方法
KR102053706B1 (ko)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
KR20220099626A (ko)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KR102536173B1 (ko) 저환수 하이브리드형 유수식 양식 시스템
CN220012347U (zh) 养殖用多级水净化系统
CN114467828B (zh) 一种陆基水产养殖育苗系统
KR102654357B1 (ko) 저동력 자동 수질정화 순환여과양식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양식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