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55B1 - 작업기용 반체 버킷 - Google Patents

작업기용 반체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55B1
KR102600455B1 KR1020210082603A KR20210082603A KR102600455B1 KR 102600455 B1 KR102600455 B1 KR 102600455B1 KR 1020210082603 A KR1020210082603 A KR 1020210082603A KR 20210082603 A KR20210082603 A KR 20210082603A KR 102600455 B1 KR102600455 B1 KR 10260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bottom plate
tooth
side plat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316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21008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용 반체 버킷에 관한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라운드진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에 세워진 측판을 포함하고, 양 측판과 바닥판이 연결되는 일측부에는 투스가 구비되며, 투스 반대편의 타측부에는 퀵커플러가 체결되는 버킷링크가 구비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으로서, 반체 버킷의 바닥판은 투스로부터 중간 지점까지는 바가지부로 형성되고, 중간 지점에서 버킷링크 측까지는 체부로 형성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기용 반체 버킷{Burket for agricultural working machines}
본 발명은 작업기용 반체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경지 등의 개간시 굴토한 흙이나 퇴비 등을 운반할 수 있으며, 굴토한 흙의 운반 과정에서 부피에 따라 흙과 자갈 등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트랙터에는 여러 종류의 작업기가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한 대의 트랙터로서 다양한 여러 농경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농업용 트랙터에는 농경지 등의 개간에 따라 필요한 여러 형태의 작업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바, 이러한 작업기로는 농경지의 흙이나 퇴비를 이송하기 위한 버킷을 일례로 들 수 있다.
한편, 농사를 짓기 위한 농경지에는 흙과 돌 등이 다양하게 섞여 있다. 이러한, 농경지에서 농사를 하기 위해서는 농사를 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기 위해 돌을 골라내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농경지에서의 돌을 골라내는 것은 종래에는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무시하고 농사를 짓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특히, 돌을 골라내지 않고 농사를 짓는 경우는 농경지에 산재해 있는 돌이 토양에 섞여 농기구의 사용 및 작물의 성장에 장애를 주게 되므로 농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농가에서는 대부분 부족한 일손으로 인해 불편을 감수하면서 그대로 농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농경지에 섞여 있는 돌에 의해 안전사고가 유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농기계의 사용으로 인한 돌이 튀거나 돌에 의해 농기계가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로써, 농경지에서 기본적으로 토양에 섞여 있는 돌을 골라내는 일은 기초를 다지는 작업으로 한 해 농사가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와 같이 토양에 섞여 있는 돌을 골라내는 장치가 요구돼 왔으나, 대부분의 장치는 작물만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돌을 골라내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종래의 버킷은 흙이나 모래, 퇴비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물체는 배출시키고, 자갈이나 암석과 같이 부피가 비교적 큰 물체는 걸러내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체 버킷과, 흙이나 모래, 퇴비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물체를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일반 버킷으로 각각 구분되어 개발되었다.
한편, 각 농가에서는 이러한 체버킷과 일반 버킷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가 굴삭 작업시, 용도에 맞게 체버킷과 일반 버킷을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었다.
하지만, 각 농가에서 체버킷과 일반 버킷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과 불편함이 있고, 작업시 용도에 맞게 버킷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버킷의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375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농경지 등의 개간시 굴토한 흙이나 비료인 퇴비 등을 운반할 수 있으면서 굴토한 흙의 운반 과정에서는 부피에 따라 부피가 작은 흙과 부피가 큰 자갈을 분리하여 이송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작업기용 반체 버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반체 버킷은, 일면이 개방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라운드진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에 세워진 측판을 포함하고, 양 측판과 바닥판이 연결되는 일측부에는 투스가 구비되며, 투스 반대편의 타측부에는 퀵커플러가 체결되는 버킷링크가 구비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으로서, 반체 버킷의 바닥판은 투스로부터 중간 지점까지는 바가지부로 형성되고, 중간 지점에서 버킷링크 측까지는 체부로 형성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닥판과 양 측판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 경사면은 투스의 길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스는 고탄소강으로 형성되어 바닥판과 양 측판이 연결되는 일측부에 일체로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기용 반체 버킷에 따르면, 반체 버킷으로 농경지 등의 개간시 굴토한 흙이나 비료인 퇴비 등을 운반할 수 있으면서 굴토한 흙의 운반 과정에서 부피가 작은 흙과 부피가 큰 자갈 등을 부피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송 및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반체 버킷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체 버킷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체 버킷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체 버킷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체 버킷을 이용한 운반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체 버킷의 체 사용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체 버킷을 운반용 버킷으로만 사용할 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반체 버킷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작업기용 반체 버킷(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바가지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반체 버킷(100)은 그 일면(즉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라운드진 원호 형상의 바닥판(110)과, 바닥판(110)의 양측에 세워져 구비되는 측판(120)을 포함한다.
측판(120)은 원호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110)의 양측부에서 반체 버킷(100)의 개방된 일면 측으로 세워진 상태로 바닥판(110)의 외주연을 따라 용접 고정됨으로써, 양 측판(120)과 바닥판(110) 사이의 내부 공간은 수용공간으로 형성된다.
한편, 바닥판(110)은 반체 버킷(100) 내부에 효율적인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의 중간부에서 선단부(후술될 투스(140)가 있는 측의 단부) 측까지의 전방은 완만하게 이어지는 상향 경사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바닥판(110)의 중간부에서 후단부까지의 후방은 "∠"자 형상과 같이 중간의 평탄부에서 후단의 곡면부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특히, 바닥판(110)의 전방 즉 반체 버킷(100)의 전방은 농지를 직접 파고들어가 굴토 작업에 관여하는 부분으로서 완만한 경사에 의해 굴토시 농지에 깊게 박혀 들어가 많은 양의 흙을 파낼 수 있고, 바닥판(110)의 후방 즉 반체 버킷(100)의 후방은 반체 버킷(100) 내부에서 가장 깊숙한 부분으로서 반체 버킷(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많은 물체를 안전하게 담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닥판(110)의 중간부는 전방의 라운드진 부위와 후방의 평탄부 사이의 경계를 말하는 것으로, 바닥판(1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방에는 흙이나 퇴비 등을 운반할 수 있는 바가지부(11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자갈을 골라낼 수 있는 체부(112)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바가지부(111)는 반체 버킷(100) 전방의 바닥판(110)에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진 플레이트로서 막힘되게 구비되고, 체부(112)는 반체 버킷(100) 후방의 바닥판(110)에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반체 버킷(100)에 담기는 물체의 부피에 따라 부피가 작은 흙은 운반 전에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자갈 등은 운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히, 체부(112)는 바닥판(110)의 중간부에서 후방에 이르는 평탄부에만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닥판(110)의 중간부에서 후방의 평탄부를 비롯하여 후면의 곡면부까지 포함하는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농지를 직접 굴토하는 반체 버킷(100)의 전방이 바가지부(111)로 구비됨으로써 바가지부(111)에 의해 굴토된 흙은 도 5에서와 같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고, 굴토된 부피가 큰 중량체인 자갈 등을 운반하는 반체 버킷(100)의 후방이 체부(112)로 구비됨으로써 체부(112)에 의해 자갈은 도 6에서와 같이 반체 버킷(100)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된 상태로 운반되면서 자갈과 같이 수용된 부피가 작은 흙은 운반 전에 농지로 배출되어 농지의 흙 부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가지부(111)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바가지부(111)에서 후방으로 체부(112)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정 간격의 세로바(112b)와, 세로바(112b)와 직교되는 일정 간격의 가로바(112a)에 의해 일정 직경의 통공이 여러 개로 구획된 메쉬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체부(112)는 전방의 바가지부(111)에 연결되는 세로바(112b)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체부(112)가 바가지부(111)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이유는, 반체 버킷(100)을 운반용으로만 사용하고자 할 때, 도 7에서와 같이 반체 버킷(100) 내부에 체부(112)를 덮는 별도의 덮개판(160)이 설치되는데, 이때 덮개판(160)은 체부(112)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바가지부(11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체부(112)를 덮는 덮개판(160)이 바가지부(111)와 동일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부(112)를 덮는 덮개판(160)은 하나의 플레이트 또는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는데, 하나의 플레이트는 체부(112)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다수의 플레이트는 체부(112)의 통공이 이루는 각 라인마다 구비되어 통공의 각 라인을 덮어 가릴 수 있는 크기(면적)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바닥판(110)과 양 측판(120)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120)에서 바닥판(110) 측으로 내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경사면(13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30)이 없는 경우에는 반체 버킷(10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양 측판(120)과 바닥판(110)이 직각을 이루게 되고, 직각의 코너 부위에는 흙이 끼이게 되며, 끼인 흙이 굳어 덩어리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양 측판(120)과 바닥판(110)이 이루는 코너 부위를 경사면(130)으로 형성하면 흙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고, 끼인 흙의 고화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양 경사면(130)은 후술될 투스(140)의 길이(D)보다 작은 폭(d)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D>d).
이는, 반체 버킷(100)의 양 측판(120)과 바닥판(110)이 연결되는 코너 부위가 경사면(130)으로 형성됨으로써 반체 버킷(100)의 굴토 작업시 반체 버킷(10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경사면(130)이 농지를 직접적으로 굴토하는 후술될 투스(140)의 길이(D)보다 작은 폭(d)으로 구비됨으로써(D>d), 굴토시 반체 버킷(100) 코너 부위의 마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양 측판(120)과 바닥판(110)이 연결되는 반체 버킷(100)의 전방 하단부에는 농지에 박혀 농지를 파내는 투스(140)가 구비되고, 이 투스(140)는 특수강인 고탄소강으로 형성되어 양 측판(120)과 바닥판(110)이 연결되는 전방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탄소강으로 형성되는 투스(140)는 농지를 직접 굴토하더라도 마모 발생율이 현저히 낮은 장점이 있다.
한편, 투스(140) 반대편의 반체 버킷(100) 후방의 상단부에는 트랙터의 붐대에 구비되는 퀵커플러(200)가 체결되는 버킷링크(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버킷링크(150)는 반체 버킷(100)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 즉 버킷 본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바닥판(110)의 체부(112) 후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일례로 예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반체 버킷(100)을 농지의 굴토 과정에서 체 버킷으로 사용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붐대의 퀵커플러(200)에 장착된 반체 버킷(100)이 굴토 후 붐대 측으로 근접하게 회전되어 반체 버킷(100)의 체부(112)가 지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면, 반체 버킷(100) 내부에 수용된 물체 중 부피가 작은 흙은 체부(112)를 통해 지면으로 그대로 떨어져 배출되지만, 흙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자갈이나 돌은 체부(112)에 걸림된 상태로 트랙터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붐대에 의해 별도의 배출장소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농지에서 자갈이나 돌을 모두 골라낸 후, 본 발명의 반체 버킷(100)을 일반 버킷으로 사용시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반체 버킷(100)을 체 버킷으로 사용할 때보다 붐대와 원거리로 이격되도록 회전시켜 반체 버킷(100)의 바가지부(111)가 지면과 마주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러면, 반체 버킷(100) 내부의 바가지부(111)에 수용된 흙이나 퇴비 등이 운반 도중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운반되어 원하는 장소에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체 버킷(100)은 이에 구성된 체부(112)와 바가지부(111)에 의해 체 버킷과 일반 버킷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농가의 경제적 부담과 작업시 버킷을 교체하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체 버킷(100)으로 농지의 굴토 작업을 진행할 시 반체 버킷(100)의 투스(140)가 농지를 파고들어가면서 반체 버킷(100) 내부에 흙이나 돌 등이 수용되는데, 이러한 굴토 작업시 반체 버킷(100)의 양측 코너 부위에 투스(140)의 길이보다 작은 폭(D>d)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130)이 구비돼 있으므로 굴토 작업시 반체 버킷(10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체 버킷(100)을 운반용 버킷으로만 사용하고자 할 시는 도 7에서와 같이 체부(112)를 덮는 덮개판(160)을 반체 버킷(100)의 내측에서 결합 고정하면 되고, 이때 반체 버킷(100)의 바닥면은 바가지부(111)에서부터 체부(112)까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흙의 끼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반체 버킷 110 : 바닥판
111 : 바가지부 112 : 체부
112a : 가로바 112b : 세로바
120 : 측판 130 : 경사면
140 : 투스 150 : 버킷링크
160 : 덮개판 200 : 퀵커플러
D : 투스의 전체 길이
d : 양 경사면의 최외측 간의 거리(폭)

Claims (4)

  1. 일면이 개방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에 세워진 측판을 포함하고, 양 측판과 바닥판이 연결되는 일측부에는 투스가 구비되며, 투스 반대편의 타측부에는 퀵커플러가 체결되는 버킷링크가 구비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으로서,
    반체 버킷의 바닥판은 투스로부터 중간 지점까지는 바가지부로 형성되고, 중간 지점에서 버킷링크 측까지는 체부로 형성되며,
    체부는 바가지부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바가지부와 단차지게 구비되는 한편 체부의 단차에 의해 체부에 덮혀 설치되는 덮개판이 바가지부와 동일 평면으로 구비되고,
    바닥판과 양 측판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바닥판에서 양 측판으로 외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양 경사면은 투스의 길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스는 고탄소강으로 형성되어 바닥판과 양 측판이 연결되는 일측부에 일체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작업기용 반체 버킷.
KR1020210082603A 2021-06-24 2021-06-24 작업기용 반체 버킷 KR10260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03A KR102600455B1 (ko) 2021-06-24 2021-06-24 작업기용 반체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03A KR102600455B1 (ko) 2021-06-24 2021-06-24 작업기용 반체 버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16A KR20230000316A (ko) 2023-01-02
KR102600455B1 true KR102600455B1 (ko) 2023-11-10

Family

ID=8492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03A KR102600455B1 (ko) 2021-06-24 2021-06-24 작업기용 반체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419Y1 (ko) 2002-02-26 2002-07-26 김명구 굴삭기용 버킷
JP2009215735A (ja) * 2008-03-07 2009-09-24 Taguchi Kogyo:Kk スケルトンバケット
KR101049317B1 (ko) 2010-06-08 2011-07-13 박철민 체 버켓
US20150252550A1 (en) 2012-10-01 2015-09-10 Pohmako Ky Bucket and Its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317A (ko) * 2011-12-28 2013-07-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버켓
KR200483759Y1 (ko) 2016-10-21 2017-06-20 한진수 트랙터용 버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419Y1 (ko) 2002-02-26 2002-07-26 김명구 굴삭기용 버킷
JP2009215735A (ja) * 2008-03-07 2009-09-24 Taguchi Kogyo:Kk スケルトンバケット
KR101049317B1 (ko) 2010-06-08 2011-07-13 박철민 체 버켓
US20150252550A1 (en) 2012-10-01 2015-09-10 Pohmako Ky Bucket and Its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16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1171A (en) Pipeline padding machine attachment for a vehicle
US5097610A (en) Compact padding machine
US3523380A (en) Universal backfill and landscaping blade
US6578297B1 (en) Skid steer attachment, sub-attachment system having extended reach
US7631446B1 (en) Construction bucket
CN205510861U (zh) 自走式螺丝菜收获机
DE3603675A1 (de) Als erdbewegungsgeraet ausgebildete kombination von einer fraese und einem behaelter
US2735197A (en) struemph
US3845870A (en) Landfill bucket
US3478449A (en) Excavating bucket digging blade
US6092606A (en) Stone gathering apparatus
KR102600455B1 (ko) 작업기용 반체 버킷
US6055749A (en) Apparatus for padding underground conduits
US20060070268A1 (en) Material-handling bucket with scraper blade
US7117951B2 (en) Landscape preparation apparatus
US3181256A (en) Back-filling blade for a power shovel
US4698925A (en) Soil reclaiming implement
US3915238A (en) Scraper
US20040136822A1 (en) Elongated front end loader attachment
KR101366614B1 (ko) 굴삭기의 버킷 구조
US6588127B1 (en) Skid loader attachment
JP2942955B1 (ja) 建設機械のフォーク型アタッチメント及び建設機械のバケット型アタッチメント。
KR101716364B1 (ko) 굴삭기용 삽
US9844172B2 (en) Attachment for engineering vehicle
KR102094955B1 (ko) 복토기의 흙막이 장치 및 이러한 흙막이 장치를 구비한 복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