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547B1 -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547B1
KR102599547B1 KR1020210052428A KR20210052428A KR102599547B1 KR 102599547 B1 KR102599547 B1 KR 102599547B1 KR 1020210052428 A KR1020210052428 A KR 1020210052428A KR 20210052428 A KR20210052428 A KR 20210052428A KR 102599547 B1 KR102599547 B1 KR 10259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water
space
window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628A (ko
Inventor
장대호
전혁
김순곤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1005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의 일면을 덮는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형성되는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형성하는 입수부; 상기 입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공간에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CORNER DRAINAGE APPARATUS AND WINDOW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코너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부에는 출입 단속, 채광을 목적으로 개구부에 창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호는 개폐 방식에 따라 슬라이딩식, 여닫이식 또는 고정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단순히 창호의 창짝을 움직여 개폐하는 일반적인 창호와 창호의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내풍압성, 차음성 등 기능을 높이기 위해 프로파일 내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 작동을 통해 개폐되는 시스템 창호로 분류될 수 있다.
시스템 창호는 개폐방식에 따라 Tilt & Turn(창짝이 들려서 젖혀짐), Parallel(창짝이 젖혀저서 겹침), Lift & Sliding (창짝이 들려서 슬라이딩 됨) 등의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 중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슬라이딩되거나 고정된 창짝과, 이러한 창짝을 둘러싸고 건축물의 내외벽과 고정된 창틀을 포함한다. 창틀로 인해 형성된 개구는 슬라이딩되는 창짝을 이용해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손잡이의 리프트업, 다운 동작을 통해 프로파일 내 러너를 통해 창짝을 승하강 시키고, 이로 인해 창호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
즉, 잠금 상태의 경우 슬라이딩 가능한 창짝이 다운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켜 런너를 작동시키면 슬라이딩 가능한 창짝은 업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사용되는 창짝은, 기밀성 향상을 위해 창틀의 내측면 중 하측에 위치하는 내측면에 눌려지거나 눌려지지 않는 형태로 작동하는 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작동형태로 인해 창틀에 형성되는 단턱이나 레일의 높이가 일반 미서기 창호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창틀의 단턱이나 레일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경우, 창짝이 리프트 동작을 위해 승강하여야 하는 높이가 매우 커져 창호의 기밀유지에 매우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미서기 창호와는 다르게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서는 창틀의 단턱에 의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담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창틀 내 유입된 물이 원활하게 실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 측으로 범람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의 실외 측에 형성된 고정창부와 상대적으로 실내 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하는 창짝부 간의 높이 차를 두어 최대한 물이 실내 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물이 충분히 실외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창틀의 프레임의 여러 부분에 배수공을 가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창틀 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창틀 프레임의 면적이 넓어져 개구되는 부분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재실자의 조망 및 건축물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입사면적이 축소될 수 있고, 건축물 전체 단열성능 저하를 초래하여 냉난방에너지 소비가 증가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실내로 범람(물 넘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외 측으로 배수를 원활하게 한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 프로파일의 일면을 덮는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가장 후측에 배치되는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일 부분과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담수공간에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형성하는 입수부; 및 상기 입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공간에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공간은, 상기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다른 부분을 상기 입수부가 덮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실외 측의 하부가 실내 측의 하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창틀 프로파일과,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가장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실내 측 단부에 위치한 일 부분의 내측면을 덮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커버와, 상기 담수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유입수를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상기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귀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담수공간에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상기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실내 측 단부에 위치한 다른 부분을 덮어 형성하는 입수부; 및 상기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과, 상기 배수공간으로 전달된 유입수가 전방의 실외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후로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창호의 창틀 프레임의 높이를 낮춰 기밀성 및 외관에 미려함을 부여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창틀 프레임으로 유입된 유입수를 창틀 일면에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담수부로 유입되어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실외 측으로 배수되어 실내 측으로 물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너배수장치는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만 배출될 수 있게끔 형성됨으로써 실내 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코너배수장치는 유입수 미배출시 폐쇄되어 있어 실외로부터 실내 측으로 해충, 이물질, 미세먼지 등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일 귀퉁이를 잘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프로파일 커버 및 레일의 일부분과 코너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의 댐퍼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의 댐퍼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의 댐퍼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슬라이딩 영역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슬라이딩 영역에서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는 경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슬라이딩 영역 중 코너배수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일부분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창호(1)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전방은 실외 측 방향과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후방은 실내 측 방향과 같은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창호에 대하여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을 으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창호는 창틀 프레임에 유입된 물인 유입수가 실내로 범람하지 않고, 실외로 원활하게 배수되어 창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창틀 프레임 중 후방의 내측면에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창틀 프레임 내부 중공부분(담수부)를 통해 코너배수장치를 거쳐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는 창틀, 창짝을 포함하며, 일 예로, 창호(1)는 창틀 프레임(10), 고정창(20) 및 창짝(30)을 포함하며, 전후로 개구된 창틀 프레임(10)에 고정창(20)과 창짝(30)이 결합되어 창틀 프레임(10)의 개구된 부분을 가릴 수 있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일 귀퉁이를 잘라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창(20)
고정창(20)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창틀 프레임(10)의 개구된 부분의 일부를 덮는 창이다. 고정창(20)은 창짝(30)과 달리 창틀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고정창(20)은 도 1에서 창틀 프레임(10) 내에 배치되되 창짝(30)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창호에 따라 미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창(20)은 고정창 틀과 고정창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창 틀은 전후로 개구된 틀 형태를 가지고, 고정창 투과부는 고정창 틀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창 틀의 개구된 부분을 가릴 수 있다. 고정창 투과부는 실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투과하도록 투명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창짝(30)
창짝(30)은 창틀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창틀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창짝(30)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되되,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창짝(30)에는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해 리프트업 조작이 일어난 상황에서만 창짝(30)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이외의 상황에서는 창틀 프레임(10)에 대한 창짝(30)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업 조작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창짝(30)의 하면이 하측 레일(151)과 인접한 창틀 프레임(10) 상의 영역에 밀착하여 창짝(30)의 슬라이딩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업 조작이 일어난 상태에서는 창짝(30)의 하면이 창틀 프레임(10)로부터 이격되어, 하측 레일(151)을 따라서 창짝(30)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조작 상태를 설명한 것이며, 다양한 방법이 창짝(3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창짝(30)은 창짝 프레임과 창짝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창짝 프레임은 전후로 개구된 틀 형태를 가지고, 창틀 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에 형성되는 레일(151, 154)에 의해 창짝(30)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창짝 프레임에는 레일(151, 154)이 인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 중 창짝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홈에는, 슬라이딩 홈을 정의하는 창짝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레일(151, 154)에 안착되어 슬라이딩하는 호차가 위치할 수 있다. 창짝(30)은 호차를 포함하여, 레일(151, 154)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창짝 투과부는 창짝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창짝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가릴 수 있다. 창짝 투과부는 빛을 투과하도록 투명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창틀 프레임(10)
창틀 프레임(10)은 고정창(20)과 창짝(30)이 결합될 수 있는 틀로, 건축물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둘러싸도록 상하 및 좌우로 연장된 부분들을 포함하여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에 창짝(30)과 고정창(20)이 삽입되고 결합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은 창틀 프레임(10)의 면 중 상술한 개구를 바라보며, 개구를 둘러싸 정의하는 면을 의미한다.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의 하측의 전단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의 하측의 후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이 포함하는 창틀 프로파일(11, 12, 13)의 실외 측의 하부가 실내 측의 하부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의 하측에서,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유입수가 흘러 실외 측의 유입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창틀 프로파일(11, 12, 13)로서 외측 프로파일(11), 중간 프로파일(12) 및 내측 프로파일(13)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프로파일(11), 중간 프로파일(12) 및 내측 프로파일(13)은, 금속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창틀 프로파일들(11, 12, 13)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프로파일(11)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외측 프로파일(11)의 후측에 중간 프로파일(12)이, 중간 프로파일(12)의 후측에 내측 프로파일(13)이 배치된다. 즉 중간 프로파일(12)은 외측 프로파일(11)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창틀 프로파일(12, 13, 14)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각 프레임 중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우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하측 귀퉁이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외측 프로파일(11)이 포함하는 외측프로파일 하부재 및 외측프로파일 우측부재와, 중간 프로파일(12)이 포함하는 중간프로파일 하부재(121) 및 중간프로파일 우측부재(124)와, 내측 프로파일(13)이 포함하는 내측프로파일 하부재(131) 및 내측프로파일 우측부재(134)가 각각 연결되어 귀퉁이를 형성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단열을 위한 외측 단열부재(18)와 내측 단열부재(19)를 포함한다. 외측 단열부재(18)는 외측 프로파일(11)과 중간 프로파일(12) 사이에 배치된다. 내측 단열부재(19)는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측 단열부재(18)를 매개로 외측 프로파일(11)과 중간 프로파일(12)이 결합될 수 있고, 내측 단열부재(19)를 매개로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이 결합될 수 있다.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성의 창틀 프로파일들(11, 12, 13) 사이에 이중으로 단열부재(18, 19)가 배치되어, 단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각각의 단열부재(18, 19)는 창틀 프레임(10)의 외관을 따라 형성되어, 중심에 개구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열부재(18, 19)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부분들이 합쳐져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단열부재(18)는 흡습성이 낮은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단열부재(19)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발포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복적으로 포함한 고분자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각 단열부재가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면으로 각 단열부재를 자른 단면에서의 내측 단열부재(19)의 단면적은, 외측 단열부재(18)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내측 단열부재(19)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위치한 공간에 주입되어 공간을 완전히 충전시키며, 양 측 프레임과 함께 일체를 이룸으로써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의 열차단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호에 우수한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내측 단열부재(19)로 사용되는 발포 폴리우레탄은, Azon 사의 폴리우레탄 폼인 Azo-Core™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폴리우레탄은 발포 경화시 모서리에서 중심부까지의 밀도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액체 형상의 폴리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각종 첨가제들을이 혼합되어 경화된 것으로, 경화가 된 이후에는 소정의 온도범위(-50 ~ 115℃의 조건)에서 변형이 없을 수 있다.
외측 단열부재(18)로 사용되는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은, 알루미늄 틀에 액상으로 된 주원료와 경화제가 같이 충진되어 경화되어 형성되는 폴리우레탄을 의미한다. 발포 폴리우레탄의 경우 기공으로 인해 단열성이 우수하나, 마찬가지로 기공에 의해서 만약 외측 단열부재(18)에 사용될 경우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창호의 내구성, 내풍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 폴리우레탄은 내측에 배치하고, 누수 등의 문제가 없는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강도 경질 폴리우레탄은 Azon 사의 고강도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평탄 스트립(16)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 스트립(16)은,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서 내측 단열부재(19)의 상측에 배치된다. 발포 폴리우레탄일 수 있는 내측 단열부재(19)가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될 경우, 발포 시 창틀 프레임(10)의 상면 이상으로 부풀어 올라 창틀 프레임(10)의 레일(151, 154)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거나 적절한 높이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평탄 스트립(16)을 배치하여 방지하고 창틀 프레임(10)의 면을 평탄화 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프로파일 커버(141, 14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는 구성요소이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프레임의 내측면을 덮어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담수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담수공간(140)은 내측 프로파일(13)과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는 공간이다. 담수공간(140)은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부분과, 이러한 부분을 덮는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의 후단 일부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담수공간(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을 덮을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평탄 스트립(16)을 내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는 창틀 프레임(10)의 외관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 커버(141, 144)의 내측면에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측으로 파인 레일 홈(1410)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1410)에는 후술할 레일(151, 154)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 중 하측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와, 우측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 및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후술할 코너배수장치(4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창틀 프레임(10)은 레일(151, 154)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51, 154)은 창짝(30)이 슬라이딩 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결합되어, 프로파일 커버(141, 144)로부터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일(151, 154)은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일(151, 154)은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 중 하측에서 하측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배치되는 하측 레일(15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레일(151)은 창짝(30)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될 수 있고, 하측 레일(151)에 호차가 안착되어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는 레일(151, 154) 중 하측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인 하측 레일(151)과, 우측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우측레일(154)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하측 레일(151) 및 우측레일(154)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코너배수장치(4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프로파일 커버 및 레일의 일부분과 코너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코너배수장치(40)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10)을 형성하기 위해, 창틀 프로파일(11, 12, 13)의 일 귀퉁이인 하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창틀 프레임(10)은 코너배수장치(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로파일(11, 12, 13) 중 중간 프로파일(12)과 내측 프로파일(13)의 우하단 귀퉁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만약 좌하단 귀퉁이에 코너배수장치(40)가 배치되도록 하는 변형예에 따라 본 발명이 실시될 경우, 이하의 설명은 좌우를 반전시켜 적용될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유입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전달된 유입수를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코너배수장치(40)는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유입수가 전달되는 입수공간(420)을 형성하고, 입수공간(420)에 연통되는 배수공간(430)을 가져, 배수공간(430)에 유입수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코너배수장치(40)는 몸체(41)를 가질 수 있다. 몸체(41)는 창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코너배수장치(40)의 다른 부분들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몸체(41)는 배수부(43) 및 입수부(42)와 연결되어, 배수부(43)와 입수부(42)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몸체(41)는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프로파일 커버(141, 144)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레임(10)의 귀퉁이에 설치되었을 때 창짝(30)이 부드럽게 프로파일 커버(141, 144)와 몸체(4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입수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부(42)는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을 덮어 입수공간(420)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입수부(42)는 프레임의 내측면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여,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고 담수공간(140)과 연통되는 입수공간(420)을 형성할 수 있다. 담수공간(140)과 연통되기 위해, 입수공간(420)은 내측 프로파일(13)과 입수부(42)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는 공간이다. 입수부(42)는 몸체(41)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입수공간(420)은 내측 프로파일(13)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부분과, 이러한 부분을 덮거나 둘러싸는 입수부(4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레일연장부재(44, 45)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연장부재(44, 45)는 하측 레일(151)로부터 이어지게 배치되는 하측 레일연장부재(44)와, 우측레일(154)로부터 이어지게 배치되는 외측 레일연장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레일연장부재(44)는 몸체(4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 레일연장부재(45)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배수부(43)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레일연장부재(44)는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하측 레일(151)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레임(10)의 귀퉁이에 설치되었을 때 창짝(30)의 호차가 하측 레일(151)과 하측 레일연장부재(44) 상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다.
외측 레일연장부재(45)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우측레일(154)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레임(10)의 귀퉁이에 설치되고 창짝(30)이 창틀 프레임(10)의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창짝(30)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홈에 우측레일(154)과 같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창짝(30)의 창틀 프레임(10)에 대한 밀착이 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끼움부(471, 47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471, 472)는 프로파일 커버(141, 144)에 형성된 삽입홀(1411, 1412)에 삽입되도록 몸체(41)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다. 끼움부(471, 472)는 몸체(41)로부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부(471, 472)는 제1 끼움부(471)와, 제1 끼움부(47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끼움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끼움부(471)와 제2 끼움부(47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삽입홀(1411, 1412) 역시 제1 삽입홀(1411)과 제1 삽입홀(14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삽입홀(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1411, 1412)은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1411)과 제1 끼움부(471)는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1412)과 제2 끼움부(472)는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이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1412)과 제2 끼움부(472)의 하단은, 제1 삽입홀(1411)과 제1 끼움부(471)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제1 끼움부(471)의 내측단은 'I'자 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제2 끼움부(472)의 내측단은 'H'자 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각 끼움부(471, 472)의 내측 말단은 내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 또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높이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의 댐퍼(46)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40)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의 댐퍼(46)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배수장치(40)의 댐퍼(46)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40)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코너배수장치(40)는 배수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43)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몸체(41)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43)는 배수공간(430)을 가져,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배수공간(430)은 입수공간(420)과 연통된다.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후단에서 배수공간(430)과 입수공간(420)이 만날 수 있다.
배수부(43)는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482)를 가진다. 배수구(482)는 배수공간(430)에 저장되는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배수구(482)는 배수부(43)의 전면이 전후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43)는 배수부(43)의 전면을 포함하는 전측벽(435), 전측벽(435)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측벽(432),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벽(433), 외측벽(433)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몸체(41)와 연결되는 내측벽(434)을 포함하는 측벽들을 가져, 이러한 측벽들에 의해 둘러싸인 배수공간(430)을 형성할 수 있다. 배수공간(430)은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수부(43)의 후측벽(432)의 하단은 배수부(43)의 바닥면(431)에 접촉하지 않고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이격된 공간이 입수구(481)가 될 수 있다. 입수구(481)는 입수공간(420)과 배수공간(430)을 연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배수부(43)의 외관은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외관이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의 외관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코너배수장치(40)가 창틀 프로파일(11, 12, 13) 의 귀퉁이에 설치되었을 때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144)와의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43)의 바닥면(431)은, 전방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수공간(430)에 유입된 유입수는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고, 배수구(482)를 통해 실외 측으로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
코너배수장치(40)는 댐퍼(46)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46)는 배수구(482)를 개폐하기 위해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배수공간(430)으로부터 배수구(482)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유입수에 의해서 밀려나 배수구(482)를 개방하고, 이외의 상황에서는 배수구(482)를 개방하지 않고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만약 외부로부터 배수공간(430)으로 배수구(482)를 통해 후방으로 유입수가 진입하려 하는 경우, 댐퍼(46)는 이러한 유입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배수구(482)를 폐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배수구(482)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댐퍼(46)는 배수부(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구(482)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수부(43)의 전면의 일부분에, 판형의 댐퍼(46)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등을 통해 배수부(43)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 배수구(482)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댐퍼(46)가 있어, 실외에 위치한 물이 배수구(482)를 통해 실내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측으로 해충, 이물질, 미세먼지 등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슬라이딩 영역(A1)과 고정창짝 영역(A2)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에서 코너배수장치(40)를 통해 유입수가 빠져나가는 경로인 유입수 배수 경로(P)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넘어온 상기 유입수는 집수구(145)를 통해 상기 담수공간(140)으로 유입되고, 연통된 코너배수장치(40)의 배수공간(430)으로 흘러서 상기 배수구(482)를 통해 실외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슬라이딩 영역에(A1)서 코너배수장치(40)를 통해 유입수가 빠져나가는 경로(P)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코너배수장치(40)가 배치되지 않은 고정창짝 영역(A2)의 종단면도이다.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의 중간 영역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는 집수구(14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창호(1)의 고정창짝 영역(A2) 중 집수구(145)가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딩 영역(A1)은 창호(1)가 폐쇄될 때 창짝(30)이 위치하는 부분이고, 고정창짝 영역(A2)은 고정창(20)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실외 측으로부터 실내 측 방향으로 프로파일을 넘어온 유입수가 프로파일커버 하부재(141)에 낙하하고, 집수구(145)를 통해서 프로파일 커버(141, 144)와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형성된 담수공간(140)으로 유입된다. 담수공간(140)으로 유입된 유입수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코너배수장치(40)를 향해 유동한다. 코너배수장치(40)의 입수부(42)와 내측 프로파일(13) 사이에 형성된 입수공간(420)으로, 담수공간(140)으로부터 유입수가 전달될 수 있다. 입수공간(420)으로 유입된 유입수는, 전후방향을 따라 개구된 입수구(481)를 통해서 실외 측으로 이동하여 배수공간(430)에 도달할 수 있다. 배수공간(430)에 도달한 유입수는 배수부(43)의 경사진 바닥면에 의해 배수구(482)로 유도되고, 댐퍼(46)를 밀어내며 실외 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실외 측으로 배수된 유입수는, 실외 측으로 가면서 더 높아지는 구간을 창틀 프레임(10)이 가지지 못하므로, 실내 측으로 다시 유입되지 않고 중간 프로파일(12)과 외측 프로파일(11)을 거쳐 실외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수의 배수 경로(P)중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오는 유입수의 경로는 실선 화살표를 이용해, 내부로 들어온 유입수의 경로는 점선으로 도 10과 도 11에 표시되었다. 확인할 수 있듯이, 집수구(145), 담수공간(140), 배수공간(430) 및 배수구(482)가 순서대로 연통되어, 유입수가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배출되는 경로인 유입수 배수 경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수를 코너배수장치(40)로 우회시켜 배수하는 배수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측 프로파일(13)과 프로파일 커버(141, 144) 사이에 형성되는 담수공간(140)의 부족함을 보완해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실외로부터 내부로 코너배수장치(40)를 통해 물이 역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상기 코너배수장치를 통해 유입수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므로, 창틀 프레임 여러 부분에 다수 배수공을 가공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상기 배수공을 통해 먼지나 벌레 등 외부물질의 실내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틀 프레임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유입수가 실내측으로 범람하지 않기 때문에 창틀 프레임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개구되는 부분이 향상되어 건축물에 미려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조망 및 태양광입사면적을 증가시켜, 건축물 전체 단열성능의 효율성을 높혀 냉난방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창호
10 : 창틀 프레임
11 : 외측 프로파일
12 : 중간 프로파일
13 : 내측 프로파일
16 : 평탄 스트립
18 : 외측 단열부재
19 : 내측 단열부재
20 : 고정창
30 : 창짝
40 : 코너배수장치
41 : 몸체
42 : 입수부
43 : 배수부
44 : 하측 레일연장부재
45 : 외측 레일연장부재
46 : 댐퍼
121 : 중간프로파일 하부재
124 : 중간프로파일 우측부재
131 : 내측프로파일 하부재
134 : 내측프로파일 우측부재
140 : 담수공간
141 : 프로파일커버 하부재
144 : 프로파일커버 우측부재
145 : 집수구
151 : 하측 레일
154 : 우측레일
420 : 입수공간
430 : 배수공간
431 : 배수부의 바닥면
432 : 배수부의 후측벽
433 : 배수부의 외측벽
434 : 배수부의 내측벽
435 : 배수부의 전측벽
471 : 제1 끼움부
472 : 제2 끼움부
481 : 입수구
482 : 배수구
1410 : 레일 홈
1411 : 제1 삽입홀
1412 : 제2 삽입홀
A1 : 슬라이딩 영역
A2 : 고정 구역
P : 유입수 배수 경로

Claims (7)

  1. 창틀 프로파일의 일면을 덮는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가장 후측에 배치되는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일 부분과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담수공간에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형성하는 입수부; 및
    상기 입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공간에 유입된 유입수가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공간은, 상기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후단에 위치한 다른 부분을 상기 입수부가 덮어 형성되는, 코너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의 바닥면은, 전방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코너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배수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배출되는 유입수에 의해서 밀려나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나, 후방으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동하는 물에 의해서는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배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너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및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로파일 커버 및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코너배수장치.
  5. 실외 측의 하부가 실내 측의 하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창틀 프로파일과,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가장 실내 측에 배치되는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실내 측 단부에 위치한 일 부분의 내측면을 덮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담수공간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커버와, 상기 담수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유입수를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코너배수장치를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프로파일 커버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프로파일 커버와 함께 폐쇄된 상기 창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창틀 프로파일의 하측 귀퉁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배수장치는:
    상기 담수공간에 연통되는 입수공간을, 상기 내측 프로파일의 내측면 중 실내 측 단부에 위치한 다른 부분을 덮어 형성하는 입수부; 및
    상기 담수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공간과, 상기 배수공간으로 전달된 유입수가 전방의 실외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후로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로파일 커버의 중간 영역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넘어온 상기 유입수는 집수구를 통해 상기 담수공간으로 유입되고, 연통된 코너배수장치의 상기 배수공간으로 흘러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실외로 배수되는, 창호.
KR1020210052428A 2021-04-22 2021-04-22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KR10259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28A KR102599547B1 (ko) 2021-04-22 2021-04-22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28A KR102599547B1 (ko) 2021-04-22 2021-04-22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28A KR20220145628A (ko) 2022-10-31
KR102599547B1 true KR102599547B1 (ko) 2023-11-07

Family

ID=8380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28A KR102599547B1 (ko) 2021-04-22 2021-04-22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778A (ja) * 2000-12-25 2002-09-11 Tateyama Alum Ind Co Ltd 屋外用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高水密装置(排水機構)
KR200323598Y1 (ko)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778A (ja) * 2000-12-25 2002-09-11 Tateyama Alum Ind Co Ltd 屋外用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高水密装置(排水機構)
KR200323598Y1 (ko)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28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4654B1 (en) Corner key with drainage pathway
US10844655B2 (en)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ill assemblies
CA2710278C (en) Watertight patio door assembly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US20070199664A1 (en) Door assembly
KR102599547B1 (ko) 코너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
KR101238120B1 (ko) 수평교차환기가 가능한 이중창호
DK201770587A1 (en) Roof window system with improved transition means between a roof window and a ventilation assembly
KR102458788B1 (ko) 미서기창 구조
JP4694297B2 (ja) 窓部における換気構造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KR200242636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KR102455797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창호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200497752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CN220101063U (zh) 一种纱窗一体式平开窗
JP4172785B2 (ja) サッシ下枠の排水構造
KR100710403B1 (ko) 플랫 새시
CN213450126U (zh) 一种阻断冷空气的隔热门窗
CN220909550U (zh) 一种提升推拉窗
KR20100086603A (ko) 미닫이 창문
KR20060040036A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1929704B1 (ko) 방풍효과가 향상된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