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198B1 -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198B1
KR102599198B1 KR1020210143312A KR20210143312A KR102599198B1 KR 102599198 B1 KR102599198 B1 KR 102599198B1 KR 1020210143312 A KR1020210143312 A KR 1020210143312A KR 20210143312 A KR20210143312 A KR 20210143312A KR 102599198 B1 KR102599198 B1 KR 10259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zone
flow path
bypas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912A (ko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이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복 filed Critical 이의복
Priority to KR102021014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Abstract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환기장치에 있어서,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는, 일측과 타측이 통하게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통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필터 모드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치되는 필터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FILTER AUTO-CLEANING AVAILABLE FILTER DEVICE AND VENTILATION APPARATUS}
본원은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기장치에는 환기장치 내부와 열교환소자의 오염 방지를 위해 큰 먼지를 걸러주는 프리필터를 RA쪽과 OA쪽의 열교환소자 앞에 각각 1개씩 설치하고, 실내에 미세먼지를 제거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OA쪽의 프리필터와 열교환소자 사이에 미세먼지필터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일반적으로 프리필터는 3개월에 한번 필터표면에 흡착된 먼지를 물로 세척하거나 청소기로 제거한 후 재사용하고, 미세먼지필터는 6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먼지가 휘날리는 오염된 프리필터를 청소하는 일은 여간 귀찮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청소를 못할 경우 필터가 막혀 환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8452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기적으로 프리필터를 청소하되, 프리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프리필터를 청소하지 않고, 자동청소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리필터를 청소하여 프리필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는,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로서, 일측과 타측이 통하게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통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필터 모드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치되는 필터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에 복수의 모 부재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브러시 유닛; 및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브러시 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구동 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되, 상기 브러시 유닛과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에 반응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급기 유로인 제1 유로 및 대상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배기 유로인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내의 공기와 상기 제2 유로 내의 공기 사이 상호 열 교환을 수행하도록 교차 형성되는 전열교환부; 상기 전열교환부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대상 공간과 통하는 외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는 제1 구역, 대상 공간과 통하는 내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구역과 이웃하는 제2 구역, 외부 공간과 통하는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구역과 이웃하는 제3 구역, 외부 공간과 통하는 내기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이웃하는 제4 구역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내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3 구역을 거쳐 상기 제4 구역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제3 구역에서 상기 외기 흡기구와의 연결 및 상기 제1 유로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바이패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바이패스 통로부; 상기 제1 유로를 통한 급기를 위한 제1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되는 제1 송풍부; 상기 제2 유로를 통한 배기를 위한 제2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되는 제2 송풍부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 상기 제1 송풍부, 및 상기 제2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기 흡기구에는 제1항에 따른 필터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인 내기프리필터 장치가 필터 모드에서 그 일면이 대상 공간 측을 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기 흡기구에는 제1항에 따른 필터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인 외기프리필터 장치가 필터 모드에서 그 일면이 외부 공간 측을 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제2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내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어느 한 쪽과 선택적으로 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제2 유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급기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배기되면서 열 교환이 수행되는 전열교환 환기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급기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배기되는 바이패스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외기 흡기구가 폐쇄되고, 상기 제1 송풍부는 작동이 중단되고, 상기 제2 송풍부는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상기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는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상기 내기프리필터 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제3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형태에 대응하는 바이패스 상태 및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제1 유로로 이동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제4 구역과 통하는 것 및 상기 외기 흡기구와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청정용 차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청정용 차단 상태로 놓이며, 상기 외기 흡기구가 폐쇄되고, 상기 제1 송풍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상기 제3 구역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제1 유로를 거쳐 상기 제1 송풍부를 통해 급기되는 실내 공기청정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제3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형태에 대응하는 바이패스 상태 및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4 구역과 통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제4 구역과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청소용 차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2 댐퍼가 바이패스 상태로 놓이고, 상기 제3 댐퍼는 청소용 차단 상태로 놓이며, 상기 외기 흡기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송풍부는 작동이 중단되고, 상기 제2 송풍부는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제1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유로를 거쳐 상기 제3 구역으로 이동됨과 함께, 상기 외부 공간에서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3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대상 공간에서 유입된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상기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는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상기 외기프리필터 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제2 구역의 내기 흡기구는 제1 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구역의 외기 흡기구는 상기 제1 층과 높이 방향으로 구획되는 제2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가 필터부재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필터 모드 및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필터 모드일 때는 필터부재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며, 청소 모드일 때는 일면을 타측을 향하도록 하여 일면에 부착된 이물질(먼지)을 제거(청소)하여 필터의 환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가, 브러시 유닛 및 브러시 구동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청소 모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에 반응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되는 브러시 구동 유닛을 통해 브러시 유닛이 함께 회전되며, 브러시가 회전됨에 따라 필터에 흡착된 이물질(먼지)이 털어지면서 이물질(먼지)이 제거되고, 필터의 환기 효율을 높이며, 필터부재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가 제3 구역에서 외기 흡기구와의 연결 및 제1 유로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비되는 바이패스 형태로 형성되는 바이패스 통로부를 포함함으로써, 내기 흡기구를 통해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제1 댐퍼, 제2 댐퍼 및 제3 댐퍼를 개폐하여 전열교환 환기모드, 바이패스 모드,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 실내 공기청정 모드,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어부가 대상 공간에서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는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하되, 내기프리필터 장치는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를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내기프리필터 장치의 필터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이물질(먼지)이 제거되어 이물질이 유입된 공기와 함께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어부가 대상 공간에서 제1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유로를 거쳐 제3 구역으로 이동됨과 함께, 외부 공간에서 외기 흡기구를 통해 제3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유입된 공기와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는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하되, 외기프리필터 장치는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를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외기프리필터 장치의 필터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이물질(먼지)이 제거되어 이물질이 유입된 공기와 함께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는, 사회적으로는 깨끗한 공기 공급으로 국민건강을 보호하며, 필터 막힘에 의한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고, 필터 교체로 인한 쓰레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는,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필터 청소를 해야한다는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고, 프리필터 청소 및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며, 업체는 차별화된 제품으로 매출 및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구성도(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전열교환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바이패스 통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예시적인 외형 개념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전열교환 환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바이패스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실내 공기청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이하 '본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구성도(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케이스(110), 필터부재(120) 및 필터 구동 유닛(1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장치(100)는 바이패스 및 필터청소 기능이 있는 환기장치에서 큰 먼지를 걸러주는 외기 및 내기용 프리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게 해주는 필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일측과 타측이 통하게 개구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은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자세하게 예를 들어, 도 1의 (a)를 참조하면, 공기가 5시 방향에서 11시 방향으로 흐를 때, 일측은 5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측은 11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단면적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원통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필터부재(1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케이스(110)의 통로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120)는, 예를 들어, 큰 먼지를 걸러주는 프리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필터부재(120)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 구동 유닛(130)은 필터 모드 및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필터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케이스(110)에 대하여 설치되는 설치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필터 모드는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c)를 참조하면, 청소 모드는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b)를 참조하면, 필터 구동 유닛(130)은, 필터 모드에서 청소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필터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예로, 청소 모드에서 필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필터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모드 전환 시, 필터부재(120)는 180도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필터 구동 유닛(130)은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브러시 유닛(140) 및 브러시 구동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유닛(140)은 청소 모드에서 필터부재(120)의 일면에 복수의 모 부재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시 유닛(14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의 타면을 따라 설치되어 필터부재(120)의 일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부재는 도 1의 (a) 및 도 2와 같이, 두 갈래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갈래 이상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브러시 구동 유닛(150)은 청소 모드에서 브러시 유닛(14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브러시 구동 유닛(150)은 필터부재(120)의 타측에 배치되되, 브러시 유닛(140)과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시 유닛(140)과 브러시 구동 유닛(150)의 회전축은, 도 1을 참조하면, 필터부재(120)의 중앙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c)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시 구동 유닛(150)은 필터부재(120)의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에 반응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 형상은 두 갈래 형태일 수 있다. 프로펠러의 갈래의 개수는 전술한 브러시 유닛(140)의 연장 부재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가 반경 방향(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은 브러시 유닛(140)의 연장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동일)하게 설정되어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의 방해를 저감(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프로펠러 형상은, 필터 모드(타면이 타측을 향한 상태)에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에 반응하지 않는(회전되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필터 모드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인 경우에도, 필터 모드에서는 일면측에 프로펠러 위치에 대응해서 브러시 유닛(140)의 연장 부재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가리고 있어서), 공기의 이동의 직접적인 영향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펠러가 직접적인 공기의 이동을 받지 않아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100)는 필터 모드에서 프로펠러가 회전하지 않고 청소 모드에서만 회전되므로, 공기 유입량 손실이나 필터 마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브러시 유닛(140) 및 브러시 구동 유닛(150)을 포함함으로써, 청소 모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에 반응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되는 브러시 구동 유닛(150)을 통해 브러시 유닛(140)이 함께 회전되며, 브러시 유닛(140)이 회전됨에 따라 필터부재(120)에 흡착된 이물질(먼지)이 털어지면서 이물질(먼지)이 제거되고, 필터의 환기 효율을 높이며, 필터부재(120)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이하 '본 환기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환기장치(200)는 전술한 본 장치(1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본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환기장치(200)는 외부 공간의 공기와 대상 공간의 공기의 열에너지를 교환하여 대상 공간의 에너지 소비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전열교환 환기모드를 갖도록 본 환기장치(200)의 내부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환기장치(200)는 외부 공간의 공기와 대상 공간의 공기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를 정화 및 환기시키는 바이패스 모드를 갖도록 본 환기장치(200) 내부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환기장치(200)는 대상 공기의 공기를 정화하며, 본 환기장치(200)의 내부의 습기가 많아져 열 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내 공기청정 모드 또는 자동 건조 모드를 갖도록 본 환기장치(200) 내부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환기장치(200)는 본 환기장치(200) 내부의 필터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 및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갖도록 본 환기장치(200) 내부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환기장치(200)는 전열교환부(210), 본체부(230), 제1 송풍부(240) 및 제2 송풍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환기장치(200)는 예를 들어, 공기를 정화하고자 하는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의 통로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환기장치(200)는 통로 뿐만 아니라, 독립된 환기장치로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공간은 사전적 의미의 실내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전적 의미가 아닌 외부 공간과 구별(구분) 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즉, 대상 공간은 넓게 포괄하는 공간의 의미일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전열교환부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열교환부(210)는 제1 유로(211) 및 제2 유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211)은 외부 공간의 공기를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급기 유로일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212)는 대상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배기 유로일 수 있다. 전열교환부(210)는 제1 유로(211) 내의 공기와 제2 유로(212) 내의 공기 사이 열 교환을 수행하도록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면, 전열교환부(2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전열교환부(210)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전열교환부(210)의 형상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유로(211) 및 제2 유로(212)는 상호간의 공기의 흐름이 연결될 수 없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유로(211) 및 제2 유로(212)는 높이에 따라서 번갈아 가면서 공기의 흐름을 엇갈리게 흐르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유로(211)는 제1 유로(211)를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을 제2 유로(212)를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로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다.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1 유로(211)를 통하고 대상 공간의 공기가 제2 유로(212)를 통하여 이동될 때, 전열교환부(210)에서 제1 유로(211)의 내부 공기와 제2 유로(212)의 내부 공기는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없다. 본원의 전열교환부(210)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되거나 간략히 된 부분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환기장치(200)는 전열교환부(210)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열교환부(210)가 위치하는 중간 위치는 본체부(230)의 중앙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환기장치(200)의 본체부(230)는 제1 구역(231) 내지 제4 구역(2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역(231)은 대상 공간과 통하는 외기 배출구(235)가 형성되고 제1 유로(21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구역(232)은 대상 공간과 통하는 내기 흡기구(236)가 형성되고 제2 유로(212)와 연결되며 제1 구역(231)과 이웃할 수 있다. 또한, 제3 구역(233)은 외부 공간과 통하는 외기 흡기구(237)가 형성되고 제1 유로(211)와 연결되며 제2 구역(232)과 이웃할 수 있으며, 제4 구역(234)은 외부 공간과 통하는 내기 배기구(238)가 형성되고 제2 유로(212)와 연결되며 제3 구역(233) 및 제1 구역(231)과 이웃할 수 있다. 즉, 제1 유로(211)는 대상 공간과 통하는 제1 구역(231)과 외부 공간과 통하는 제3 구역(233)이 서로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유로(212)는 대상 공간과 통하는 제2 구역(232)과 외부 공간이 통하는 제4 구역(234)이 서로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공간의 공기는 제3 구역(233), 제1 유로(211), 제1 구역(231)을 통하여 대상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대상 공간의 공기는 제2 구역(232), 제2 유로(212), 제4 구역(234)을 통하여 외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기 흡기구(236)는 대상 공간의 공기가 본 환기장치(200)의 내부로 진입(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내기 흡기구(236)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외기 흡기구(237)는 본 환기장치(200)와 외부 공간의 공기가 본 환기장치(200) 내로 유입 또는 방출되지 못하도록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즉, 외기 흡기구(237)는 제3 구역(233)과 외부 공간의 공기간 단절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기 흡기구(237)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230)는 전열교환부(21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게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열교환부(210)는 장착부에 대해 탈착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전열교환부(210)는 본체부(23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송풍부(240)는 제1 유로(211)를 통한 급기를 위한 제1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 송풍부(240)는 제1 구역(231)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제3 구역(233) 또는 제1 유로(2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송풍부(240)는 대상 공간과 본 환기장치(200)간의 제1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기 흐름은 예를 들어, 제1 구역(231)에서 외부 공간의 공기를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의 흐름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본 환기장치(200)의 모드에 따라서 공기의 흐름이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송풍부(250)는 제2 유로(232)를 통한 배기를 위한 제2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2 송풍부(250)는 제4 구역(234)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제2 구역(232) 또는 제2 유로(2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풍부(250)는 외부 공간과 본 환기장치(200)간의 제2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기 흐름은 예를 들어, 제4 구역(234)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공기의 흐름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본 환기장치(200)의 모드에 따라서 공기의 흐름이 변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송풍부(240) 및 제2 송풍부(250)는 후술하는 바이패스 통로부(220) 또는 본체부(230)와 일체화되거나 별도로 독립 구성되어 각각 제1 공기 흐름 및 제2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환기장치(200)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송풍부(240) 및 제2 송풍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1 송풍부(240) 및 제2 송풍부(250)가 생성하는 공기의 흐름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강도를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제1 송풍부(240) 및 제2 송풍부(250)의 작동 또는 미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기반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서 본 환기장치(200)의 기능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바이패스 통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환기장치(200)는 바이패스 통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통로부(220)는 바이패스 통로(221)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통로(221)는 내기 흡기구(236)를 통해 제2 구역(232)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3 구역(233)을 거쳐 제4 구역(234)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바이패스 통로(221)는 제3 구역(233)에서 외기 흡기구(237)와의 연결 및 제1 유로(211)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바이패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환기장치(200)의 본체부(230)는 제2 구역(232)과 제3 구역(233)의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구획되되, 바이패스 통로부(220)가 제2 구역(232)과 제3 구역(233)을 관통하고, 제4 구역(234)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공간의 공기가 제2 구역(232)으로 유입된 후, 전열교환부(210)를 통하지 않고 바이패스 통로부(220)를 통해 제4 구역(234)으로 이동되어 외부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후술하는 제어부가 제공하는 바이패스 모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통로부(220)는 제1 댐퍼(222), 제2 댐퍼(223) 및 제3 댐퍼(2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댐퍼(222) 내지 제3 댐퍼(224)는 각각 바이패스 통로부(220)에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회전판 및 이를 구동할 수 있는 회전판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댐퍼(222) 내지 제3 댐퍼(224)의 회전판은 회전됨에 있어서, 어느 한쪽이 열리면 다른 한쪽은 폐쇄되는 구분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댐퍼(222)는 제2 구역(23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댐퍼(222)는 내기 흡기구(236)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어느 한 쪽과 선택적으로 통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댐퍼(222)가 바이패스 통로를 막도록 회전됨에 있어서, 제1 댐퍼(222)는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유로(212)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제1 댐퍼(222)가 바이패스 통로(221)를 개방하도록 회전됨에 있어서, 제1 댐퍼(222)는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221)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환기장치(200)는, 이러한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한 선택적인 개방(회전)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댐퍼(223)는 제3 구역(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댐퍼(223)는 제3 구역(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제1 댐퍼(222)와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댐퍼(223)는 바이패스 상태 및 청정용 차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 상태는 제3 구역(233)에서 외기 흡기구(237)와의 연결 및 제1 유로(211)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바이패스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정용 차단 상태는 제2 구역(232)으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제1 유로(211)로 이동되도록 연결하고 바이패스 통로(221)가 제4 구역(234)과 통하는 것 및 외기 흡기구(237)와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댐퍼(223)가 바이패스 통로를 막도록 회전됨에 있어서, 제2 댐퍼(223)는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유로(211)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제2 댐퍼(223)가 바이패스 통로(221)를 개방하도록 회전됨에 있어서, 제2 댐퍼(223)는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221)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환기장치(200)는, 이러한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한 선택적인 개방(회전)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 댐퍼(224)는 제3 구역(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댐퍼(224)는 제3 구역(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제2 댐퍼(223)와 이웃하며, 제4 구역(234)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댐퍼(224)는 바이패스 상태 및 청소용 차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 상태는 제3 구역(233)에서 외기 흡기구(237)와의 연결 및 제1 유로(211)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바이패스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소용 차단 상태는 외기 흡기구(237)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제1 유로(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4 구역(234)과 통하고 바이패스 통로(221)가 제4 구역(234)과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댐퍼(224)가 바이패스 통로를 막도록 회전됨에 있어서, 제3 댐퍼(224)는 외기 흡기구(237) 및 제1 유로(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4 구역(234)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제3 댐퍼(224)가 바이패스 통로(221)를 개방하도록 회전됨에 있어서, 제3 댐퍼(224)는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221)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환기장치(200)는, 이러한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한 선택적인 개방(회전)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댐퍼(224)는 외기 흡기구(237) 및 제1 유로(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4 구역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2 댐퍼(223)보다 통로 방향 기준으로 제4 구역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통로부(220)와 제2 구역(232)의 내기 흡기구(236)는 제1 층에 형성되고, 제3 구역(233)의 외기 흡기구(237)는 제1 층과 높이 방향으로 구획되는 제2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과 제2 층은, 제1 층이 아래층으로 형성되며, 제2 층이 그의 위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층과 제2 층은, 제2 층이 아래층으로 형성되며, 제1 층이 그의 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층 구분에 의해 내기 흡기구(236) 및 외기 흡기구(237)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는 바이패스 통로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드에 따라 제1 댐퍼(222) 내지 제3 댐퍼(22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바이패스 통로부(220), 제1 송풍부(240), 제2 송풍부(250), 내기 흡기구(236), 외기 흡기구(237)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각각의 모드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전열교환 환기모드, 바이패스 모드,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 및 실내 공기청정 모드(자동 건조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하여 본 환기장치(200)가 작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환기장치(200)는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및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를 포함할 수 있다.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비되며, 내기 흡기구(236)에 설치되되, 필터 모드에서 그 일면이 대상 공간 측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비되며, 외기 흡기구(237)에 설치되되, 필터 모드에서 그 일면이 외부 공간 측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및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는 광촉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는 광원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를 공조 필터에 적용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기를 정화한다는 것은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나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포함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의 광촉매에는 항박테리아 성능 및 항바이러스 성능 중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갖는 광촉매가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광촉매는 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공기 중의 유해 물질, 유해 가스 등을 제거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광촉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광촉매는 VOC(휘발성유기화합물) 오염 물질, 악취 가스 등의 유해 유기물을 산화하여 CO2와 H2O로 분해하거나, 공기 중의 NOX(질소산화물), SOX(황산화물)를 산화하여 NO3 -로 무해화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광촉매는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항바이러스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공조 과정에서 광촉매 필터부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수행하여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및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는 해당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파장 대역의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티탄을 광촉매로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가시광촉매와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예시적인 외형 개념도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환기장치(200)는 제3 구역(233)에서 제1 유로(211)로 진입하는 공기를 미세 필터링하도록 헤파필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헤파필터(260)는 전열교환부(210)의 제3 구역(233)측을 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헤파필터(260)는 본체부(230)의 장착부(필터고정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부는 헤파필터(260)가 장착 가능하도록 제3 구역(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헤파필터(260)의 두께에 대응하는 장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부는 결합 유닛, 체결 유닛 등과 같은 헤파필터(260)가 장착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장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헤파필터(260)는 장착부에 대해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헤파필터(260)는 본 환기장치(200)의 외측 케이스(뚜껑)을 개방하지 않고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환기장치(200)의 외측 케이스(뚜껑)에 대하여 헤파필터(260)가 장착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체결(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 환기장치(200)의 외측 케이스(뚜껑) 및 헤파필터(260)는 서로 장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체결(장착)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본 환기장치(200)는 외측에서 외측 케이스(뚜껑)을 개방하지 않고 제거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본 환기장치(200)의 헤파필터(260) 교체에 있어서, 사용자는 외부인을 집에 들이지 않고, 헤파필터(260) 교체 시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직접 헤파필터(26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환기장치(200)는 헤파필터(260)의 교체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헤파필터(260)의 오염, 막힘, 교체시기, 수명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핸드폰에 헤파필터(260)의 교체시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알람 시스템은 통상의 기술자들이 자명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및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는 제3 구역(233)에서 제1 구역(231)으로 이동되는 공기를 헤파필터(260)에 의한 미세 필터링 이전에 프리 필터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및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는 전술한 본 장치(1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환기장치(200)의 제어부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각각의 구성 및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전열교환 환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바이패스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실내 공기청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의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전열교환 환기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열교환 환기모드는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제2 유로(212)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제1 송풍부(240)와 제2 송풍부(250)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유로(211)를 통해 급기되고 제2 유로(212)를 통해 배기되면서 열 교환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제2 유로(212)에 대해서만 개방된다는 것은, 제1 댐퍼(222)의 회전판이 제2 유로(212)에 대해서는 개방하고, 바이패스 통로(221)는 폐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전열교환 환기모드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내기 흡기구(236) 및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제2 구역(232), 전열교환부(210)의 제2 유로(212), 제4 구역(234), 제2 송풍부(250), 내기 배출구(238), 외부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하여 제2 공기 흐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외부 공간에서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 외기 흡기구(237), 제3 구역(233), 헤파필터(260), 전열교환부(210)의 제1 유로(211), 제1 구역(231), 제1 송풍부(240), 외기 배출구(235), 대상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하여 제1 공기 흐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열교환 환기모드는 제1 공기 흐름 및 제2 공기 흐름이 전열교환부(210)에서 직접적으로 맞닿아 흐르지 않지만, 간접적으로 교차하여 맞닿아 이동하면서 대상 공간의 공기 및 외부 공간의 공기간 열 교환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장치(100)의 전열교환 모드는 겨울철 대상 공가의 따듯한 공기 내의 열 에너지를 외부 공간의 차가운 공기로 전열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따듯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여름철 외부 공간의 따듯한 공기내의 열 에너지를 대상 공간의 차가운 공기로 전열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시원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바이패스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바이패스 모드는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제1 송풍부(240)와 제2 송풍부(250)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유로(211)를 통해 급기되고 바이패스 통로(221)를 통해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된다는 것은, 제1 댐퍼(222)의 회전판이 제2 유로(212)에 대해서는 폐쇄하고, 바이패스 통로(221)는 개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모드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내기 흡기구(236) 및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바이패스 통로(221), 제4 구역(234), 제2 송풍부(250), 내기 배출구(238), 외부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외부 공간에서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 외기 흡기구(237), 제3 구역(233), 헤파필터(260), 전열교환부(210)의 제1 유로(211), 제1 구역(231), 제1 송풍부(240), 외기 배출구(235), 대상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하여 제1 공기 흐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는 대상 공간에서부터 흐른 공기의 흐름과 외부 공간에서부터 흐른 공기의 흐름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간 격리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환기장치(200)의 바이패스 모드는 대상 공간 열에너지가 외부 공간의 열에너지보다 높은 경우에 더워진 대상 공간을 시원하게 만들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대상 공간 열에너지가 외부 공간의 열에너지보다 낮은 경우에 추워진 대상 공간을 따듯하게 만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외부 공간의 공기가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 미세먼지 등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보다 좋을 경우, 외부 공기를 실내로 직접 공급하면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직접 내보내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실내 공기청정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 공기청정 모드는,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제2 댐퍼(223)가 청정용 차단 상태로 놓이며, 외기 흡기구(237)가 폐쇄되고, 제1 송풍부(2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대상 공간에서 제2 구역(232)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2211)를 거쳐 제3 구역(233)으로 이동된 다음, 제1 유로(211)를 거쳐 제1 송풍부(240)를 통해 급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된다는 것은, 제1 댐퍼(222)의 회전판이 제2 유로(212)에 대해서는 폐쇄하고, 바이패스 통로(221)는 개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댐퍼(223)가 청정용 차단 상태로 놓인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댐퍼(223)의 회전판이 바이패스 통로(221)를 폐쇄하고 제3 구역(233)에 대해 개방하여, 제2 구역(232)으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제1 유로(211)로 이동되도록 연결하고 바이패스 통로(221)가 제4 구역(234)과 통하는 것 및 외기 흡기구(237)와 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청정 모드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내기 흡기구(236) 및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바이패스 통로(221), 제3 구역(233), 헤파필터(260), 전열교환부(210)의 제1 유로(211), 제1 송풍부(240), 외기 배출구(235), 외부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외기 흡기구(237)를 폐쇄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가 본 환기장치(200)의 실내 공기청정 모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내 공기청정 모드는, 예를 들어, 대상 공간의 공기가 내기 흡기구(236)에 위치되어 있는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및 전열교환부(210)의 제1 유로(211)에 위치되어 있는 헤파필터(260)를 통해 다시 대상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대상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실내 공기청정 모드는 상술한 전열교환 모드에 따라서, 제1 유로(211) 및 제2 유로(212) 간의 공기 온도 또는 습도 차이에 의해 제1 유로(211)에 발생한 결로 현상을 해소시키기 위한 자동건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는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외기 흡기구(237)가 폐쇄되고, 제1 송풍부(240)는 작동이 중단되고, 제2 송풍부(250)는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대상 공간에서 제2 구역(232)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221)를 거쳐 제4 구역(234)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댐퍼가(222)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된다는 것은, 제1 댐퍼(222)의 회전판이 제2 유로(212)에 대해서는 폐쇄하고, 바이패스 통로(221)는 개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는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모드에서 오염된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의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며, 타면에 배치된 브러시 구동 유닛(150)이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며, 브러시 구동 유닛(150)과 함께 회전되는 브러시 유닛(140)이 복수의 모 부재로 필터부재(120)의 일면에 부착된 이물질(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내기 흡기구(236) 및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 바이패스 통로(221), 제4 구역(234), 제2 송풍부(250), 내기 배출구(238), 외부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기 흡기구(237)를 폐쇄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기 흡기구(237)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환기장치(200)의 전열교환 모드, 바이패스 모드, 실내 공기청정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통해 오염되었던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의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어부가 본 환기장치(200)의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의 필터부재(120)의 일면에 쌓인 이물질, 오염물질 등을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켜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의 필터부재(120)가 자동 청소되어, 내기프리필터 장치(100a)의 필터부재(120)의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는 제1 댐퍼(222)가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제2 댐퍼(223)가 바이패스 상태로 놓이고, 제3 댐퍼(224)는 청소용 차단 상태로 놓이며, 외기 흡기구(237)가 개방되고, 제1 송풍부(240)는 작동이 중단되고, 제2 송풍부(250)는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대상 공간에서 제1 구역(231)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유로(211)를 거쳐 제3 구역(233)으로 이동됨과 함께, 외부 공간에서 외기 흡기구(237)를 통해 제3 구역(233)으로 유입된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유입된 공기와 바이패스 통로(221)를 거쳐 제4 구역(234)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댐퍼가(222) 제2 유로(212) 및 바이패스 통로(221) 중 바이패스 통로(221)에 대해서만 개방된다는 것은, 제1 댐퍼(222)의 회전판이 제2 유로(212)에 대해서는 폐쇄하고, 바이패스 통로(221)는 개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댐퍼(224)가 청소용 차단 상태로 놓인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댐퍼(224)의 회전판이 바이패스 통로(221)를 폐쇄하고 제3 구역(233)에 대해 개방하여, 외기 흡기구(237)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제1 유로(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4 구역(234)과 통하고 바이패스 통로(221)가 제4 구역(234)과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는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모드에서 오염된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며, 타면에 배치된 브러시 구동 유닛(150)이 내기 흡기구(236)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며, 브러시 구동 유닛(150)과 함께 회전되는 브러시 유닛(140)이 복수의 모 부재로 필터부재(120)의 일면에 부착된 이물질(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대상 공간에서 외기 배출구(235), 제1 송풍부(240), 제1 구역(231), 전열교환부(210)의 제1 유로(211), 헤파필터(260), 바이패스 통로(221), 제4 구역(234), 제2 송풍부(250), 내기 배출구(238), 외부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간의 공기의 흐름은, 공기가 외부 공간에서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 외기 픕기구(237), 제3 구역(233), 바이패스 통로(221), 제4 구역(234), 제2 송풍부(250), 내기 배출구(238), 외부 공간 순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 중 내기 흡기구(236)를 통해 본 환기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바이패스 통로(221)를 통해 흐르다가 제3 댐퍼(233)에 의해 흐름이 끊길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대상 공간의 공기의 흐름 중 내기 흡기구(236)를 통해 본 환기장치(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내기 흡기구(236)를 폐쇄하여 외기 배출구(235) 및 제1 송풍부(240)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환기장치(200)의 전열교환 모드, 바이패스 모드, 실내 공기청정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통해 오염되었던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의 필터부재(120)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어부가 본 환기장치(200)의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의 필터부재(120)의 일면에 쌓인 이물질, 오염물질 등을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켜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의 필터부재(120)가 자동 청소되어, 외기프리필터 장치(100b)의 필터부재(120)의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필터 장치
100a: 내기프리필터 장치
100b: 외기프리필터 장치
110: 케이스
120: 필터부재
121: 프레임
130: 필터 구동 유닛
140: 브러시 유닛
150: 브러시 구동 유닛
200: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210: 전열교환부
211: 제1 유로
212: 제2 유로
220: 바이패스 통로부
221: 바이패스 통로
222: 제1 댐퍼
223: 제2 댐퍼
224: 제3 댐퍼
230: 본체부
231: 제1 구역
232: 제2 구역
233: 제3 구역
234: 제4 구역
235: 외기 배출구
236: 내기 흡기구
237: 외기 흡기구
238: 내기 배출구
235: 장착부
240: 제1 송풍부
250: 제2 송풍부
260: 헤파필터

Claims (9)

  1.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이 통하게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통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필터 모드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치되는 필터 구동 유닛;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에 복수의 모 부재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브러시 유닛; 및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브러시 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구동 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되, 상기 브러시 유닛과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에 반응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인, 필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외부 공간의 공기를 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급기 유로인 제1 유로 및 대상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배기 유로인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내의 공기와 상기 제2 유로 내의 공기 사이 상호 열 교환을 수행하도록 교차 형성되는 전열교환부;
    상기 전열교환부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대상 공간과 통하는 외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는 제1 구역, 대상 공간과 통하는 내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구역과 이웃하는 제2 구역, 외부 공간과 통하는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구역과 이웃하는 제3 구역, 외부 공간과 통하는 내기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이웃하는 제4 구역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내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3 구역을 거쳐 상기 제4 구역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제3 구역에서 상기 외기 흡기구와의 연결 및 상기 제1 유로와의 연결이 차단되는 바이패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바이패스 통로부;
    상기 제1 유로를 통한 급기를 위한 제1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되는 제1 송풍부;
    상기 제2 유로를 통한 배기를 위한 제2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되는 제2 송풍부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 상기 제1 송풍부, 및 상기 제2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기 흡기구에는 내기프리필터 장치가 필터 모드에서 그 일면이 대상 공간 측을 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기 흡기구에는 외기프리필터 장치가 필터 모드에서 그 일면이 외부 공간 측을 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내기프리필터 장치는,
    일측과 타측이 통하게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통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필터 모드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치되는 필터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기프리필터 장치는,
    일측과 타측이 통하게 개구된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일측에서 타측으로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통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일측을 향하고 타면이 타측을 향하는 필터 모드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치되는 필터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제2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내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어느 한 쪽과 선택적으로 통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댐퍼를 포함하는 것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제2 유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급기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배기되면서 열 교환이 수행되는 전열교환 환기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급기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배기되는 바이패스 모드를 제공하는 것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외기 흡기구가 폐쇄되고, 상기 제1 송풍부는 작동이 중단되고, 상기 제2 송풍부는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상기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는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내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상기 내기프리필터 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로 제공되는 것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제3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형태에 대응하는 바이패스 상태 및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제1 유로로 이동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제4 구역과 통하는 것 및 상기 외기 흡기구와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청정용 차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청정용 차단 상태로 놓이며, 상기 외기 흡기구가 폐쇄되고, 상기 제1 송풍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상기 제3 구역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제1 유로를 거쳐 상기 제1 송풍부를 통해 급기되는 실내 공기청정 모드를 제공하는 것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제3 구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형태에 대응하는 바이패스 상태 및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4 구역과 통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제4 구역과 통하는 것은 차단하는 청소용 차단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통로 중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대해서만 개방되고, 상기 제2 댐퍼가 바이패스 상태로 놓이고, 상기 제3 댐퍼는 청소용 차단 상태로 놓이며, 상기 외기 흡기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송풍부는 작동이 중단되고, 상기 제2 송풍부는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제1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유로를 거쳐 상기 제3 구역으로 이동됨과 함께, 상기 외부 공간에서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3 구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대상 공간에서 유입된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거쳐 상기 제4 구역으로 이동되어 배기되는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외기프리필터 자동청소 모드에서, 상기 외기프리필터 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이 타측을 향하고 타면이 일측을 향하는 청소 모드로 제공되는 것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와 상기 제2 구역의 내기 흡기구는 제1 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구역의 외기 흡기구는 상기 제1 층과 높이 방향으로 구획되는 제2 층에 형성되는 것인,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환기장치.
KR1020210143312A 2021-10-26 2021-10-26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259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12A KR102599198B1 (ko) 2021-10-26 2021-10-26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12A KR102599198B1 (ko) 2021-10-26 2021-10-26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912A KR20230059912A (ko) 2023-05-04
KR102599198B1 true KR102599198B1 (ko) 2023-11-07

Family

ID=863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12A KR102599198B1 (ko) 2021-10-26 2021-10-26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1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7651A (ja) * 2008-04-15 2009-11-05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101921271B1 (ko) 2018-01-25 2018-11-22 탑에어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의 급기구필터 자동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89B1 (ko) * 2005-04-14 2007-07-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필터 자동청소장치
KR20170097466A (ko) * 2016-02-18 2017-08-28 (주)에이피 급기구 황사유입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7651A (ja) * 2008-04-15 2009-11-05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101921271B1 (ko) 2018-01-25 2018-11-22 탑에어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의 급기구필터 자동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912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813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환기장치
KR102433949B1 (ko) 환기장치
JP6577677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638065B1 (ko) 바이패스와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외 공기의 급배기방법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1237259B1 (ko)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1959671B1 (ko) 전열교환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형 팬코일 유니트
KR101967279B1 (ko) 실내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KR101782838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214370713U (zh) 一种具有温度调节装置的通风系统
KR102079211B1 (ko)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대용량 필터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554996B1 (ko)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102608622B1 (ko)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여 환기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복합기
KR102304032B1 (ko) 바이러스 포집,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20080013585A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환기유닛
CN213146846U (zh) 一种通风装置温度调节系统
KR20080065190A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599198B1 (ko)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110061084A (ko) 제습형 공기청정기
KR102383783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에너지절감형 공기청정 클린 환기시스템
KR100531087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387748Y1 (ko)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