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180B1 - 군사용 배낭 - Google Patents

군사용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180B1
KR102599180B1 KR1020230080755A KR20230080755A KR102599180B1 KR 102599180 B1 KR102599180 B1 KR 102599180B1 KR 1020230080755 A KR1020230080755 A KR 1020230080755A KR 20230080755 A KR20230080755 A KR 20230080755A KR 102599180 B1 KR102599180 B1 KR 10259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vertical frame
coupled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환
송지은
송원석
Original Assignee
(주)킴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킴블스 filed Critical (주)킴블스
Priority to KR102023008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6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milit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끈부재들과;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가방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를 회동시켜, 회동에 따라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심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배낭을 제공할 수 있다. 포탄과 같은 무게가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하더라도 배낭의 무게중심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장시간 훈련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신체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군사용 배낭 {Military backpack}
본 발명은 군사용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중심 조절이 가능하여 무거운 중화기를 다루는 포병들이 포탄 등을 등에 짊어지고 훈련할 시 무게로 인한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군사용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짐을 넣어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인 배낭은 각종 물건을 담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배낭은 물건을 담아 수납시키는 배낭 몸체와, 배낭 몸체의 등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양어깨에 결착되는 어깨벨트와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결착되는 허리벨트 및 힙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담기는 물건들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켓들을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낭은, 군사용품, 의류용품, 캠핑류, 각종특수장비 및 일반용품 등을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여행용 또는 하이킹용 배낭과 스포츠용 배낭 및 군인들이 사용하는 군사용 배낭류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 중 군사용 배낭의 경우 박격포나 포탄과 같은 중화기를 다루는 포병이 행군 등과 같은 훈련 시 주로 사용하며, 이에 포병은 포병용 배낭 내에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한 후 등에 짊어지고 운반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군사용 배낭은 하중이 큰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하는 만큼 무게중심이 하방에 있기 때문에, 이를 짊어지고 이동하는 군인들은 어깨를 비롯한 허리와 다리 전반에 걸쳐 피로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와 신체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43399호
본 발명은, 배낭의 무게중심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포탄과 같은 무게가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하더라도 이에 따른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장시간 훈련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신체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군사용 배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방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끈부재들과;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가방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를 회동시켜, 회동에 따라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심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배낭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은, 전방으로 상기 어깨끈부재들이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들과, 양측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들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면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제1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들과, 양측단부가 상기 제2수직프레임들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가방을 상방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후방 내측면으로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전방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은,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이동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회동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회동 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착탈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탈수단은, 복수개로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부들과, 상기 받침부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배낭은, 포탄과 같은 무게가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하더라도 배낭의 무게중심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장시간 훈련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신체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에서 제2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에서 중심이동부를 통한 제2수직프레임의 회동전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에서 받침부를 착탈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에서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은, 포병과 같이 무거운 중화기를 다루는 군인들이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군사용 배낭에 관한 것으로, 배낭의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배낭 내에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한 상태로 훈련할 시 발생될 수 있는 피로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은, 프레임부(100)와, 어깨끈부재(200)들과, 수납가방(300)과, 중심이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의 군사용 배낭을 지지하는 뼈대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방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10)은, 전방으로 상기 어깨끈부재(200)들이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1)들과, 양측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들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베이스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면적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112)은, 상기 제2프레임(120)이 회동하여 상기 제2프레임(120)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통기성이 확보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112)은,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만큼 착용 시 사용자 등과의 들뜸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등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천과 같이 형태변형이 용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112)은, 메쉬(망)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기 수납가방(300)과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121)들과, 제1베이스프레임(112)과, 받침부(123)와, 결속수단(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은, 한 쌍으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제2수직프레임(121)의 회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122)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측단부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들의 내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122)은, 상기 수납가방(300)의 전방이 접촉되며 수납가방(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3)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들과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122)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가방(300)을 상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내측 공간으로 상기 수납가방(3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124)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123)에 안착되는 수납가방(300)의 위치를 고정하고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속수단(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가방(300)의 외측을 감싸며 결속되도록 복수개의 밸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밸트들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의 상단부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납가방(300)의 허용높이를 늘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회동전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이 서로 접촉되는데, 이 때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이 포개져 결합되도록 하여 회동전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수직각도를 확보하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이 접촉되는 후방 내측면으로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전방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삽입부(111a)는, 반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후방 내측면으로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전방 외주측면이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삽입부(111a)는, 원통관 형태의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포개져 접촉 결합될 수 있도록 반 원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깨끈부재(200)는, 한 쌍으로 상기 제1프레임(1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가 군사용 배낭을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가방(300)은, 상기 제2프레임(120)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가방(300)은, 상기 제2프레임(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결속수단(124)에 의하여 상기 제2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심이동부(400)는,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프레임(120)의 하부를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하여 회동시키며, 이를 통해 회동에 따라 군사용 배낭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중심이동부(400)는, 힌지부(410)와, 연결부재(420)와, 결합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410)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410)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을 관통하는 힌지핀(411)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은, 상단부에 핀결합부(41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결합부(412)에 힌지핀(41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20)는, 일단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410)를 중심으로 회동할 시 이동하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하단부 회동경로에 대응하여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430)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회동 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회동 및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결부재(420)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회동 시 상기 연결부재(420)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결합수단(430)의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수단(430)은, 상기 연결부재(420)에 관통형성된 관통구(431)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미도시)에 내장되는 탄성스프링(미도시)과, 일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수축 및 복원에 따라 양방향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된 상태에서 복원될 시 타단부가 상기 관통구(43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과 상기 연결부재(420)를 결합시키는 탄성핀(4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4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상기 회동경로를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관통구(431)들을 통해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중심이동부(400)에 의하여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이 회동하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이 회동하기 전이고 도 4는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군사용 배낭은, 도 3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기 제2수직프레임(121)을 상기 힌지부(410)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수납가방(300)의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회동하여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면, 본 발명의 군사용 배낭 무게중심은 상향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깨부담이 줄어들게 되면서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군사용 배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가방(30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123)는, 착탈수단(130)을 통하여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122)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착탈수단(130)은, 복수개로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122)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부(131)들과, 상기 받침부(123)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3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132)는, 삽입단부가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31)에 끼움결합시에는 일직선상으로 펴지고 상기 끼움부(131)에 끼워진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상기 받침부(1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배낭은, 무거운 중화기를 수납한 상태로 행군 등과 같은 훈련을 하는 군인들에게 보다 유익한 배낭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분야 및 용도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0 : 제1프레임
111 : 제1수직프레임 111a : 삽입부
112 : 제1베이스프레임 120 : 제2프레임
121 : 제2수직프레임 122 : 제2베이스프레임
123 : 받침부 124 : 결속수단
130 : 착탈수단 131 : 끼움부
132 : 끼움돌기 200 : 어깨끈부재
300 : 수납가방 400 : 중심이동부
410 : 힌지부 411 : 힌지핀
412 : 핀결합부 420 : 연결부재
430 : 결합수단 431 : 관통구
433 : 탄성핀

Claims (6)

  1. 전방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끈부재들과;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가방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를 회동시켜, 회동에 따라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심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은,
    전방으로 상기 어깨끈부재들이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들과, 양측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들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면으로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제1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들과, 양측단부가 상기 제2수직프레임들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가방을 상방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이 포개져 결합되도록, 후방 내측면으로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전방 외주측면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은,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심이동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 회동경로에 대응하여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회동 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회동경로를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내장되는 탄성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수축 및 복원에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이 수축된 상태에서 복원될 시 타단부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탄성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배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착탈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탈수단은,
    복수개로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부들과, 상기 받침부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배낭.
KR1020230080755A 2023-06-23 2023-06-23 군사용 배낭 KR10259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755A KR102599180B1 (ko) 2023-06-23 2023-06-23 군사용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755A KR102599180B1 (ko) 2023-06-23 2023-06-23 군사용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180B1 true KR102599180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755A KR102599180B1 (ko) 2023-06-23 2023-06-23 군사용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1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399B1 (ko) 1992-06-19 1998-07-15 이사무 다쓰노 배낭
JPH119052A (ja) * 1997-06-27 1999-01-19 Honda Motor Co Ltd 背負い式作業機
KR100791184B1 (ko) * 2007-01-29 2008-01-03 김미숙 지게
US20090321481A1 (en) * 2008-06-28 2009-12-31 Frank Charles Licausi Backpack load carrying system
US20120000948A1 (en) * 2009-11-02 2012-01-05 Gregory Maggi Stable Backpa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399B1 (ko) 1992-06-19 1998-07-15 이사무 다쓰노 배낭
JPH119052A (ja) * 1997-06-27 1999-01-19 Honda Motor Co Ltd 背負い式作業機
KR100791184B1 (ko) * 2007-01-29 2008-01-03 김미숙 지게
US20090321481A1 (en) * 2008-06-28 2009-12-31 Frank Charles Licausi Backpack load carrying system
US20120000948A1 (en) * 2009-11-02 2012-01-05 Gregory Maggi Stable Back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1098A1 (en) Plate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US8066164B2 (en) Backpack having auto-adjusting waistbelt
US9675165B2 (en) Backpack frame device
US5195666A (en) Waist bag
US5022574A (en) Utility bag
US20140014700A1 (en) Load carrier device
US9756920B2 (en) Backpack with removable straps and adjustable belts
WO2017109202A1 (fr) Module de dos pour une structure d'exosquelette
JP2009512609A (ja) 前胴において物品を運搬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034533B1 (en) Backpack system
US20130228602A1 (en) Backpack wheel extension
US7165706B2 (en) Modular pack system with belt and leg bags
KR102022808B1 (ko) 구조구난용 배낭
WO2017109190A1 (fr) Structure modulaire d'exosquelette avec module de support de sac a dos
JP3207460U (ja) バックパック
KR102599180B1 (ko) 군사용 배낭
US20070012734A1 (en) Combined chair and backpack apparatus for outdoor use
US11857010B2 (en) Configurable garments and earpod holders
WO2012066252A1 (fr) Armature d'equilibrage pour sac a dos
US20120175393A1 (en) Load-bearing system
US20220408905A1 (en) Ballistic protection device with built-in multifunctional load
US20060043129A1 (en) Wheelbarrow back straps
TWM548987U (zh) 模組輕量化負載攜行配件的可調角度式腰帶扣具
US20050274764A1 (en) Carrying apparatus
US20050274765A1 (en) Carr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