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982B1 -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 Google Patents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982B1
KR102598982B1 KR1020230062996A KR20230062996A KR102598982B1 KR 102598982 B1 KR102598982 B1 KR 102598982B1 KR 1020230062996 A KR1020230062996 A KR 1020230062996A KR 20230062996 A KR20230062996 A KR 20230062996A KR 102598982 B1 KR102598982 B1 KR 10259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axis
filter
gas
case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근호
백남준
김응조
허당
이선희
박찬유
박일광
변충섭
나민욱
조수빈
Original Assignee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스크러버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되는 가스 등의 흐름을 이용하여 케이스부 내부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 구성을 갖는 필터모듈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며, 특히 기존의 망형태의 다공성 필터구조가 아닌, 날개부의 평판이 중심축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평판에 접촉하면서도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게 되어 차압 감소는 물론, 또한 슬러지 배출과 필터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pplied to a wet scrubb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lter that rotates without power about a central axis inside the case using the flow of incoming gas, etc.,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Sludge discharge efficiency by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through a filter module with multiple wings. In particular, instead of the existing mesh-shaped porous filter structure, the flat plate of the wings runs from the front to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reating a streamlined filter. A rotary driven vane for a wet scrubber that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incoming purified gas and cleaning water can flow out smoothly while in contact with the flat plate, which not only reduc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ut also facilitates sludge discharge and filter cleaning. It's about filters.

Description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본 발명은 습식스크러버에 적용되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되는 가스 등의 흐름을 이용하여 케이스부 내부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 구성을 갖는 필터모듈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며, 특히 기존의 망형태의 다공성 필터구조가 아닌, 날개부의 평판이 중심축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평판에 접촉하면서도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게 되어 차압 감소는 물론, 또한 슬러지 배출과 필터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pplied to a wet scrubb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lter that rotates without power about a central axis inside the case using the flow of incoming gas, etc.,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Sludge discharge efficiency by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through a filter module with multiple wings. In particular, instead of the existing mesh-shaped porous filter structure, the flat plate of the wings runs from the front to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reating a streamlined filter. A rotary driven vane for a wet scrubber that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incoming purified gas and cleaning water can flow out smoothly while in contact with the flat plate, which not only reduc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ut also facilitates sludge discharge and filter cleaning. It's about filters.

일반적으로 습식스크러버는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수십 년 전부터 사용되어온 가장 일반적인 대기 설비이며, 가스와 (세정수)액적이 만나는 시간과 비율(기회)가 길어질수록 가스 중의 물질이 흡수, 혹은 충돌되는 양이 증가되어 결국 제거효율이 커지게 되므로 기액접촉장치는 비표면적이 큰 물체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사용한다. 또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세정수에 미리 중화제를 첨가하면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장치의 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In general, wet scrubbers are the most common atmospheric equipment that have been used for decades to purify gas. As the time and rate (opportunity) of gas and (washing water) droplets meet increases, the amount of substances in the gas absorbed or collided increases. As this increases the removal efficiency, the gas-liquid contact device uses objects with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in various ways. In addition, when removing a substance with high water solubility depending on the type of substance, adding a neutralizing agent to the washing water in advance can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device.

이때 가스에 포함된 다양한 악취, 유해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필터 내에서 가스와 액체의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해야 했으며, 이를 위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다수의 판상체를 적층하여 필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At this time, in order to efficiently remove various odors and harmful compounds contained in the gas, it wa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contact time between the gas and liquid within the filter. To this end, a filter was formed by stacking a number of plate-shaped bodies as shown in the patent document below. It is universal.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1685874호(2016.12.13.공고) "습식 스크러버용 다공성 필터 및 필터케이스"<Patent Document> Registered Patent No. 10-1685874 (announced on December 13, 2016) “Porous filter and filter case for wet scrubber”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 기술 역시, 한 쌍의 판상체를 다수개의 연결체로 조립하여 일정한 형상의 통기공을 상호 교차시키는 형상으로, 기류의 흐름변화, 비표면적의 증가를 유도하여 물리적 흡착 및 화학적 흡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is also a shape in which a pair of plate-shaped bodies are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connected bodies to cross each other with ventilation holes of a certain shape, which induces a change in air flow and an increase in specific surface area, thereby causing physical adsorption and This is to ensure that chemical absorption occurs simultaneously.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망형 편체를 교차 적층시키는 필터 구조에서는, 격자망 사이에 슬러지가 부착,누적됨에 따른 폐색에 의해 실운전 과정에서 차압이 상승되는 속도가 빠르게 증대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필터를 세정해주어야 하는 세정주기가 단축되고, 이로 인한 운영상 리스크 내지는 운영비용 증대가 심각하게 발생되고 있다. However, in this existing filter structure in which mesh-shaped pieces are cross-laminated, the rate at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rises rapidly increases during actual operation due to blockage caused by sludge adhering and accumulating between the grids, making it necessary to clean the filter periodically. Cleaning cycles are shortened, resulting in a serious increase in operational risks and operating costs.

추가로, 등록특허 제10-1805708(2018.01.10. 공고) “무동력 습식 공기 청정기"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내부에 설치된 (단일)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에 퍼올려지는 물로 필터를 적시어 공기를 정화하는 원리로 이동식 소형청정기 적용에 한하며, 차압감소, 슬러지 제거 용이, 공기와 분사된 물의 접촉, 세정 용이의 목적과는 무관하며 또한, 기존 등록특허와 달리 본 특허는 대용량 고정식 팬이 적용된 대형 습식 스크러버 대상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184424(2020.11.13. 공고) “회전형 습식 필터 스테이지"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내부에 설치된 격자망형 필터를 회전시키고 여기에 물을 분사하여 초미세 부유입자를 제거하는 것으로, 여전히 슬러지가 축적되어 차압을 증가시키는 격자망형을 사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차압 감소 목적과는 무관하다. Additionally, the prior art disclosed in Registered Patent No. 10-1805708 (announced on January 10, 2018) “Non-powered wet air purifier” moistens the filter with water pumped into the outside air sucked by a (single) fan installed inside, thereby purifying the air. The principle of purification is limited to the application of portable small purifiers,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purposes of reducing differential pressure, easy sludge removal, contact between air and sprayed water, and easy cleaning. In addition, unlike existing registered patents, this patent applies to a large wet type with a large capacity fixed fan. It is subject to scrubbers. 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Registered Patent No. 10-2184424 (announced on November 13, 2020) “Rotary Wet Filter Stage” rotates a grid-type filter installed inside and sprays water on it to remove ultra-fine suspended particles. By removing the , it is irrelevant to the purpose of reducing differential pressure because it still merely uses a grid type that accumulates sludge and increases differential pressure.

따라서, 필터의 기능은 동일 내지 상승시키면서도 슬러지에 의한 폐색이나 차압 상승 문제를 해결하여 운영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필터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new type of filter structure that can reduce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by solving problems of blockage caused by sludge or increased differential pressure while maintaining the same or improved filter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부 내부에서 유입되는 가스 등의 유입 흐름을 이용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 구성을 갖는 필터모듈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며 날개부 회전에 의한 자연흡입으로 필터 차압을 감소시키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module with a plurality of wings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without power about the central axis using the inflow flow of gas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o provide a rotation-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that increases sludge discharge efficiency by centrifugal force and reduces filter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natural suction by rotating blad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망형태의 다공성 필터구조가 아닌, 날개부의 평판이 중심축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평판에 접촉하면서도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게 되며, 또한 복수의 날개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 날개부의 평판 면적이 인접하는 타 날개부의 평판 면적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날개부로 인한 차압 상승을 최소화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rather than the existing mesh-shaped porous filter structure, the flat plate of the wing portion is formed to form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incoming purification target gas and washing water are formed on the plate. For a wet scrubber that allows for smooth outflow while in contact, and also minimizes the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plurality of wings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wings so that the plate area of one wing does not overlap that of the other adjacent w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A rotary driven vane fil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날개부 양쪽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표면적 상승 및 난류 형성 강화를 도모하여 제거 효율을 최대화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that maximizes removal efficiency by forming protrusions on both surfaces of a plurality of wings to increase surface area and strengthen turbulence 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부에서 정화 대상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의 정면과 그 반대방향 배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부들이 이루는 평면 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상하좌우의 측면으로는 상기 복수개 날개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통해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슬러지 배출과 필터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planar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wing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pa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to be purified is introduced, and on the back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sid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so that sludge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thereby facilitating sludge discharge and cleaning of the filter. A rotary driven vane for a wet scrubber It provides a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심축이 케이스부와 결합되는 축결합부에서 제1커버부를 제2커버부가 둘러싸는 이중 구조 적용 및 각각의 이격되는 부위 차별화를 통해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prevent sludge from entering by applying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ver part surrounds the second cover part at the shaft coupling part where the central axis is coupled to the case part and differentiating each spaced apart part. The aim is to provide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는, 필터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수용되어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듈은 케이스부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 및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차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ortion accommodating a filter module therein; and a filter modul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uni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wherein the filter module rotates inside the case unit to increase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and to increase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by centrifugal force.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differential pressure while increasing sludge discharge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케이스부의 축결합부에 결합하여 회전하거나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중심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거나 또는 별개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odule has a central axis that is rotated or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part of the case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rotates together.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gs that rotate separat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정화 대상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의 정면과 그 반대방향 배면에,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부들이 이루는 평면 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외의 부분을 폐쇄하여 개구부 외로는 정화 대상 가스 내지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portion has a front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to be purified flows in and a rear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planar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wings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and a shielding portion that closes a portion other than the opening to block gas to be purified or clean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하좌우의 측면으로는 상기 복수개 날개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통해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part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sludge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평판이 중심축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평판에 접촉하면서도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날개부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 날개부의 평판 면적이 인접하는 타 날개부의 평판 면적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날개부로 인한 차압 상승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lat plate extends from the front to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o form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so that the incoming purification target gas and cleaning water contact the flat plate. It is possible to flow out smoothly, and the wing portion is arranged so that the plate area of one wing does not overlap with the plate area of another adjacent w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reby minimizing the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중심축과 동일한 축중심으로 갖으며 중심축을 둘러싸는 바디케이싱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바디케이싱의 정면은 경사면을 이루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날개부를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has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are coupled to a body casing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and the body casing The front is slanted so that the flow of incoming purified gas and washing water is smoothly directed toward the wing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평판의 양쪽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표면적 상승 및 난류 형성을 강화를 도모하여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를 통한 제거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forms protrusions on both surfaces of the flat plat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nd strengthen the formation of turbulence,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maximiz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일체로 고정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중심축과 일체로 연동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를 상기 제2커버부가 둘러싸는 구조에서,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케이스부와 이격되는 부위와 상기 제1커버부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는 부위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부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는 부위를 둘러싸는 상기 제2커버부와 중심축과의 결합부위에는 별도의 커버링을 포함하여, 슬러지가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케이스부와 이격되는 부위 내지는 상기 제1커버부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는 부위를 통해 (슬러지가)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integrally fixed with the case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integrally interlocked with the central axis,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cover part surrounds the first cover part, the part where the second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and the part where the first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are formed at different points, and the first cover part A separate covering is includ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second cover portion and the central axis surrounding th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so that sludge is applied to th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ase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ortion or the first cover.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sludge) from entering through the area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케이스부 내부에서 유입되는 가스 등의 유입 흐름을 이용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 구성을 갖는 필터모듈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며 날개부 회전에 의한 자연흡입으로 필터 차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centrifugal force through a filter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wing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while rotating without power about the central axis using the inflow flow of gas, etc.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cas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ludge discharge efficiency and reducing filter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natural suction due to rotation of the wings.

본 발명은, 기존의 망형태의 다공성 필터구조가 아닌, 날개부의 평판이 중심축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평판에 접촉하면서도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게 되며, 또한 복수의 날개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 날개부의 평판 면적이 인접하는 타 날개부의 평판 면적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날개부로 인한 차압 상승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mesh-shaped porous filter structure, the flat plate of the wing portion is formed to form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whil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inflow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are in contact with the flat plate and are smooth.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wings are viewed from the front, the plate area of one wing is arranged so that the plate area of the other adjacent wing does not overlap,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plurality of wings.

본 발명은, 복수의 날개부 양쪽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표면적 상승 및 난류 형성 강화를 도모하여 제거 효율을 최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removal efficiency by forming protrusions on both surfaces of a plurality of wings to increase surface area and strengthen turbulence formation.

본 발명은, 케이스부에서 정화 대상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의 정면과 그 반대방향 배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부들이 이루는 평면 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상하좌우의 측면으로는 상기 복수개 날개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통해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슬러지 배출과 필터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wings on the front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to be purified flows in from the case portion and on the back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planar area formed by the wing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By form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so that sludge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it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sludge discharge and filter cleaning.

본 발명은, 중심축이 케이스부와 결합되는 축결합부에서 제1커버부를 제2커버부가 둘러싸는 이중 구조 적용 및 각각의 이격되는 부위 차별화를 통해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flow of sludge by applying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ver part surrounds the second cover part at the shaft coupling part where the central axis is coupled to the case part and by differentiating each spaced apart area.

도 1은 종래 망형 구조를 갖는 필터의 분해/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A-A'부위에 대한 단면상세도
도 6은 고정되는 중심축과 별개로 날개부가 회전하는 구조의 참고도
도 7은 날개부 양쪽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참고도
Figure 1 is an exploded/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aving a conventional mesh struct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onally driven van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rotationally driven van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rotationally driven van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A' in Figure 2
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of a structure in which the wings rotate independently of the fixed central axis.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of protrusion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otationall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like symbols wherever possib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f there is a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Follow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는, 필터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부(10); 및 상기 케이스부(10) 내부에 수용되어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필터모듈(30);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듈(30)은 케이스부(1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 및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차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7, the rotationall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ortion 10 accommodating a filter module 30 therein; And a filter module 30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portion 10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wherein the filter module 30 rotates inside the case portion 10 to purify the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reduc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target gas and the washing water and increasing the sludge discharge efficiency by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습식스크러버용 필터의 경우,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산, 알칼리, PFC 폐가스 및 폐수처리장 악취가스(H2S 등)를 처리하는 습식 스크러버에 내장되는 기액접촉 장치로, 일반적으로 필터케이스 내에 복수의 필터모듈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정화 대상 가스 및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필터모듈을 통과하는 가스로부터 악취 및 유해 성분들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통상의 필터모듈(기존의 필터모듈)은 가스 및 세정수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유해 성분의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망형 구조 등을 적용해오고 있다(도 1 참조). 그런데,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망형 편체를 교차 적층시키는 필터 구조에서는, 격자망 사이에 슬러지가 부착,누적됨에 따른 폐색에 의해 실운전 과정에서 차압이 상승되는 속도가 빠르게 증대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필터를 세정해주어야 하는 세정주기가 단축되고 이로 인한 운영상 리스크 내지는 운영비용 증대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조 적용을 하고 있다. In the case of a wet scrubber fil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gas-liquid contact device built into a wet scrubber that treats acids, alkalis, PFC waste gase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odor gases (H2S, etc.) generated in industry, and is generally installed in multiple units within the filter case. With the filter modules installed, the gas to be purified and washing water are supplied, and odors and harmful components are removed from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lter modules. At this time, typical filter modules (existing filter modules) have been applying various mesh structures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components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gas and washing water (see Figure 1). However, as previously explained as a problem with the prior art, in the existing filter structure in which mesh-shaped pieces are cross-stacked, the speed at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rises rapidly increases during actual operation due to blockage caused by sludge adhering and accumulating between the grids. As a result, the cleaning cycle for periodically cleaning the filter is shortened, resulting in a serious increase in operational risks and operating costs.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tructure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is problem.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모듈(30)은 기존의 격자망을 갖는 망형 편체가 아닌, 면 자체로 이루어지되 케이스부(10) 내부에서 유입되는 가스 등의 유입 흐름을 이용하여 중심축(310)을 기준으로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복수의 날개부(320) 구성을 갖는 필터모듈(30)을 통해,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도 증대시켜 차압상승 저감 및 세정주기를 길게 가져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러한 구조 및 효과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That is, the filter module 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sh-shaped piece with a conventional grid, but is made of a surface itself, and uses the inflow flow of gas, etc.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case portion 10 to form a central axis 310. Through the filter module 30, which has a plurality of wings 320 that rotate without power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the sludge discharge efficiency by centrifugal force is also increased to reduc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crease.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long cleaning cycle. Below, these structures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케이스부(10)는, 필터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하는 골격 프레임 구성으로 볼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필터모듈(30)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로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유입되는 정면과 배면, 그리고 정면과 배면을 연결하면서 상하좌우 측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즉, 정면과 배면이 케이스부(10)의 주요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상하좌우 측면이 측면 프레임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0)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으로 구분되거나 또는 내외측이 일체로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ase portion 10 can be viewed as a skeletal frame structure that accommodates the filter module 30 therein. It may be formed as a whole into a hexahedral shape, etc., as shown in FIG. 2, and has a filter module 30 therein. As a case that can accommodate, it can be divided into the front and back where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flow in, and the parts that connect the front and back to for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In other words, the front and back sides can be divided into a base frame that forms the main framework of the case portion 10, a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connecting them can be divided into side frames. In addition, the case portion 1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ing divided into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or the inner and outer sides can be integrally formed into one frame.

한편, 상기 케이스부(10)는, 도 2를 참조하면, 정화 대상 가스 및 세정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정면과 그 반대방향 배면에는 각각, 후술할 필터모듈(30)의 복수개의 날개부(320)들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부(320)들이 이루는 평면 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110)와, 상기 개구부(110) 외의 부분을 폐쇄하여 개구부(110) 외로는 정화 대상 가스 내지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부(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case portion 10 has a plurality of wings 320 of a filter modul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front side in the direction where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flow in and on the back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respectively. an opening 110 corresponding to the planar area formed by the wings 320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part other than the opening 110 being closed to block the gas to be purified or clean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110.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shielding portion 120.

즉, 후술할 필터모듈(30)의 날개부(320)들은 회전하는 구성으로 그 특성상 정면에서 보는 단면 면적이 원형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케이스부(10)의 정면 내지 배면 형상이 원형 단면을 갖지 않는 이상(일 예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을 갖는 경우 등), 케이스부(10) 정면 및 배면의 단면 형상과 날개부(320)들의 회전 범위 단면 형상이 차이가 나게 되는데, 이때 케이스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 및 세정수가 직접적으로 상기 날개부(320)들과 접촉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110)와 가림부(120) 구성을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wings 320 of the filter modul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rotating and, due to their nature,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front and back shapes of the case portion 10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Unless this is the case (for example, when it has a square shape as shown in FIG. 2, etc.),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portion 10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tation range of the wings 320 are different.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case portion 10 from flowing out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wings 320, the opening portion 110 and the shielding portion 120 are formed. do.

즉, 상기 개구부(110)는 케이스부(10)의 정면 및 배면에서 각각, 필터모듈(30)의 복수개의 날개부(320)들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부(320)들이 이루는 평면 면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 및 세정수는 직접적으로 상기 날개부(320) 구성들과 접촉될 수 있게 하며, 상기 가림부(120)는 상기 개구부(110) 외의 부분을 폐쇄하여 개구부(110) 외로는 정화 대상 가스 내지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배면측에서는 상기 날개부(320)들을 통과한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차압 감소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가림부(12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the opening 110 corresponds to the planar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wings 320 of the filter module 3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portion 10, respectively. It is formed in a shape so that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opening 110 can directly contact the components of the wing 320, and the shielding portion 120 is a portion other than the opening 110. is closed to block gas to be purified or clean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110. However, if necessary, the shielding portion 120 may not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flow of gas passing through the wings 320 or reduc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reduction effect.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상하좌우 측면으로는 각각, 필터모듈(30)의 복수개 날개부(3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통해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통기공(13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한 슬러지 배출의 용이성은 물론, 날개부(320) 등에 대한 세정 작업의 편의성도 증대되게 된다. Meanwhil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portion 10, as shown in FIG. 2, etc., so that sludge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320 of the filter module 30. Likewise, multiple ventilation holes 130 may be formed. Through this, not only the ease of discharging sludge, but also the convenience of cleaning the wing portion 320, etc. is increased.

상기 케이스부(10)는 습식스크러버 내에서 그 내부의 형상/면적 등에 따라 다수개의 케이스부(10)가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고, 케이스부(10) 전,후 등에는 세정수 배출 구성 등이 위치할 수 있다. The case part 10 can be installed with multiple case parts 10 connected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shape/area of the inside, etc. within the wet scrubber, and washing water is discharged before and after the case part 10. Configuration, etc. may be located.

상기 필터모듈(30)은, 상기 케이스부(10) 내부에 수용되어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모듈(30)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쪽 단 또는 한쪽 단의 축결합부(340)에 베어링 등을 통해 결합하여 회전하거나 고정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중심축(310)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중심축(31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거나 또는 별개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부(320)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중심축(310)에 결합된 복수의 날개부(320)들은 별도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것이 아닌, 습식스크러버 내 정화 대상 가스를 유입하기 위해 가동되는 팬 및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가스의 흐름을 이용하여 별도 전원 없이도 회전 구동하게 된다. The filter module 3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part 10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odule 30 is installed in the case part 10. ) and a central axis 310 that rotates or is fixed by coupling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340 at both ends or one end of the axis through a bearing, etc., and is radial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310 based on the central axis 3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 including a plurality of wings 320 that rotate together or separately. The plurality of wings 320 coupled to the central axis 310 do not rotate with a separate power supply, but use a fan operated to introduce the gas to be purified into the wet scrubber and the resulting gas flow. It rotates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상기 날개부(320)는, 복수 개가 상기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중심축(310)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거나(도 5 참조) 또는 고정되는 중심축(310)과 별개로 밀폐형 베어링(344) 등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회전하게(도 6 참조) 되는데, 이때 각각의 날개부(320)는 평판(즉, 기존에 적용되어 오던 망형 판체 구조가 아닌, 면 전체가 폐쇄되어 있는 판 형태임)이 중심축(310)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30~80도 내외 정도의 각도로 비스듬히)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상기 날개부(320)를 따라 자연스럽게 그 흐름이 유도되면서,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날개부(320)의 평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도 원활하게 날개부(320)의 곡면 형상을 따라 유도되면서 케이스부(10)의 배면을 통해 유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날개부(320)의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는 형태는 날개부(320)가 중심축(310)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거나 또는 별개로 회전하게 되면서 더욱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케이스부(10) 내에서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날개부(320)의 면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서 형성되는 슬러지 역시 회전하는 상기 날개부(320)에 형성되는 원심력에 따라 날개부(320) 면상에 붙거나 적체되지 않고 날개부(320)의 말단을 따라 케이스부(10)의 전후좌우 측면의 통기공(13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부(320)의 재질로는 고분자 계열 합성수지 등이 활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산/알칼리에 부식되지 않으면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중량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유기물질 등의 부착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방오도료 등이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320)의 날개 각도나 모양, 갯수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wing parts 320 are arranged around the central axis 310 and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central axis 310 (see FIG. 5) or are separate from the fixed central axis 310. It rotates independently using a sealed bearing 344 (see FIG. 6). At this time, each wing 320 is a flat plate (i.e., the entire surface is closed, rather than the mesh-shaped plate structure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It can be formed to form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310 (obliquely at an angle of about 30 to 80 degrees). That is, the inflow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are naturally guided to flow along the wing portion 320, and the incoming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at plate of the wing portion 320, while smoothly flowing through the wing portion. As it is guided along the curved shape of 320, it can flow out through the back of the case portion 10. In particular, the streamlined curved shape of the wing portion 320 allows the wing portion 320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central axis 310 or rotate separately,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target gas and the cleaning water case portion ( 10) It is possible to induce a flow within, and the sludge formed wh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ing part 320 also flows according to the centrifugal force formed in the rotating wing part 320. It does not stick to or accumulate on th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320 and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130 on the front, left,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se portion 10 along the end of the wing portion 320. The wing portion 320 may be made of a polymer-based synthetic resin, etc., and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rotated without being corroded by the acid/alkali of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Additionally, it may be coated with anti-fouling paint, etc., which can prevent contamination due to adhesion of organic substances, etc. Meanwhile, the wing angle, shape, number, etc. of the wing portion 320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상기 날개부(320)는, 바람직하게는 3~8개 내외의 갯수로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 날개부(320)의 평판 면적이 인접하는 타 날개부(320)의 평판 면적과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날개부(320)로 인한 차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날개부(320)들이 서로 인접하는 날개부(320)들 간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중첩되는 부분이 많아질수록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들이 날개부(320)와 접촉하게 되는 비율이 높아질수는 있으나 그로 인해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흐름이 차단되어 원활하게 배면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차압이 상승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 날개부(320)의 평판 면적이 인접하는 타 날개부(320)의 평판 면적과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접촉 비율 최대화와 함께 차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날개부(320)가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차압 상승 최소화보다는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매우 중요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상기 날개부(320)가 중첩되도록 설계 및 운영될 수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wing parts 320 may be combined radially around the central axis 310, preferably in numbers of about 3 to 8.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4, when viewed from the front, one wing part ( By arranging the plate area of 320 so that it does not overlap with the plate area of other adjacent wing parts 320, an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plurality of wing parts 320 can be minimized. That is, as the wing portions 320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ral axis 310 increase in overlap (when viewed from the front) between adjacent wing portions 320,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are absorbed. The contact rate with the wing portion 320 may increase, but this may block the flow of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at which they are not discharged smoothly to the re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plate area of one wing 320 is arranged so that it does not overlap with the plate area of the other adjacent wing 320, so that the wing portion 320 is structured to maximize the contact ratio and minimize the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 can be placed. However, it is not excluded that the wings 320 may be designed and operated so as to overlap in cases wher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s very important rather than minimiz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increase.

한편, 상기 날개부(320)는, 중심축(310)과 동일한 축중심으로 갖으며 중심축(310)을 둘러싸는 바디케이싱(330)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320)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될 수 있는데(이 경우, 상기 바디케이싱(330) 역시 회전하는 타입의 중심축(310)과 연동하여 회전하거나 또는 고정되는 타입의 중심축(310)과는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케이싱(330)의 정면은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경되는 경사면(331)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날개부(320)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바디케이싱(330)을 통해 복수의 날개부(320)들을 일체로 결합 및 연동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디케이싱(330)에 접촉하게 되는 정화 대상 가스 및 세정수를 기액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날개부(320)를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디케이싱(330)의 전면부(필요에 따라서는 후면부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의 형상을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경되는 경사면(331)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날개부(320)를 향하도록 하게 된다. Meanwhile, the wing portion 320 has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310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320 are coupled to the body casing 330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310. (In this case, the body casing 330 may als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type central axis 310 or may rotate independently of the fixed type central axis 310). The front of the body casing 330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331 that widens i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back, so that the flow of the incoming purification target gas and washing water can be smoothly directed toward the wings 320. . That is, in the process of adopting a structure that allows the plurality of wing parts 320 to be integrated and interlocked through a separate body casing 330, the gas and cleaning water to be purified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dy casing 330. In order to allow the body casing 330 to face the wing portion 320 where gas-liquid contact is smoothly made, the shap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casing 330 (if necessary, the rear portion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is orient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By forming an inclined surface 331 with a wide diameter, the flow of the incoming purification target gas and cleaning water is smoothly directed toward the wing portion 320.

추가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날개부(320)의 평판 양측면에는 별도의 돌기(321)가 형성됨으로써, 표면적 상승 및 난류 형성 강화를 도모하여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를 통한 제거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돌기(321)의 형상이나 그 갯수는 제거효율, 차압 내지는 슬러지 배출 효과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하여 설계 및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7, separate protrusions 32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of the wing portion 320, there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and strengthening the formation of turbulence,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at this time, the shape or number of the protrusions 321 can be optimized and designed and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removal efficiency, differential pressure, or sludge discharge effect.

한편, 상기 중심축(310)이 케이스부(10)와 결합하게 되는 축결합부(340)에 슬러지가 유입 내지는 누적되게 되면 원활한 회전 구동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역시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효율을 저감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 상기 축결합부(340)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부(10)와 일체로 고정되는 제1커버부(341)와, 상기 중심축(310)과 일체로 연동하는 제2커버부(342)를 포함하는 즉, 제1커버부(341)를 제2커버부(342)가 둘러싸는 이중 구조 적용 및 각각의 이격되는 부위 차별화를 통해 슬러지가 축결합부(340) 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sludge flows into or accumulates in the shaft coupling part 340 where the central axis 310 is coupled to the case part 10, smooth rotation may be impaired, which also reduces operating efficiency for maintenance. 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upling portion 340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341 integrally fixed with the case portion 10, and the central axis ( 310) and a second cover part 342 integrally interlocked, that is, apply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ver part 341 is surrounded by the second cover part 342 and sludge removal through differentiation of each spaced apart area. This effectively prevents livestock from entering the shaft coupling portion 340.

즉, 상기 케이스부(10)와 일체로 고정되는 제1커버부(341)를 상기 중심축(310)과 일체로 연동하는 제2커버부(342)가 둘러싸는 구조에서, 상기 제2커버부(342)가 상기 케이스부(10)와 이격되는 부위(즉, 제2커버부(342)가 중심축(310)과 함께 회동을 하기 위해 케이스부(10)와 이격되는 부위)와 상기 제1커버부(341)가 상기 중심축(310)과 이격되는 부위(즉, 고정되는 제1커버부(341)와 회동하는 중심축(310)이 서로 이격되는 부위)가 서로 다른 지점에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슬러지가 설사 상기 상기 제2커버부(342)가 상기 케이스부(10)와 이격되는 부위를 통해 일차적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유입된 슬러지가 다시 그 안쪽에 있는 제1커버부(341)를 통과하여 중심축(310) 부위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커버부(341)가 상기 중심축(310)과 이격되는 부위를 통해야 하는데, 이 부위가 제2커버부(342)가 상기 케이스부(10)와 이격되는 부위와는 다른 지점에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슬러지가 축결합부(340) 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ver part 341, which is integrally fixed with the case part 10, is surrounded by the second cover part 342, which is integrally linked with the central axis 310, the second cover part (342) is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10 (i.e., a part where the second cover part 342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10 to rotate with the central axis 310) and the first cover part 342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10. By forming the parts where the cover part 341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310 (i.e., the parts where the fixed first cover part 341 and the rotating central axi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at different points. Even if the sludge formed is primarily introduced through the part where the second cover part 342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10, the introduced sludge is again inside the first cover part 341. In order to pass through and flow into the central axis 310, the first cover part 341 must pass through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310, and this part is the second cover part 342 of the case part. Because it is located at a different point from the area spaced apart from (1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ludge from ultimately flowing in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340.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제1커버부(341)가 상기 중심축(310)과 이격되는 부위를 둘러싸는 상기 제2커버부(342)와 중심축(310)과의 결합부위에는 별도의 커버링(34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추가적인 밀폐기능을 통해 슬러지가 상기 제1커버부(341)가 상기 중심축(310)과 이격되는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310), 축결합부(340) 내지 케이스부(10) 등에도 오염 등을 방지하는 방오도료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커버부(341)와 제2커버부(342)를 갖는 이중 구조를 갖는 것 외에, 밀폐형 베어링 등을 활용한 슬러지 침투 방지 구조 등이 활용될 수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a separate covering 343 is provided at the joint area between the second cover part 342 and the central axis 310, which surrounds the area where the first cover part 341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310. It may include an additional sealing function, which can prevent sludge from flowing into the area where the first cover part 341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310. In addition, antifouling paint, etc., which prevents contamination, may be applied to the central axis 310, the shaft coupling portion 340, the case portion 10, etc. Meanwhile, if necessary, in addition to having a dual structure with the first cover part 341 and the second cover part 342 as described above, a sludge penetration prevention structure using a sealed bearing, etc. can be used. It doesn't rule it ou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동형 베인필터를 통해 필터를 통과한 이후의 난류 형성 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동해석 시험결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Below, the results of a flow analysis 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urbulent flow forma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rotation-driven van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험목적]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의 형상에 따른 유동성 비교[Purpose of experiment] Comparison of fluidity according to the shape of rotary driven vane filter

- 실험예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Experimental Example 1: Rotation driven van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험예 2 : 상기 실험예 1의 날개부에 돌기가 형성된 베인필터- Experimental Example 2: Vane filter with protrusions formed on the wings of Experimental Example 1

[그림1] 실험예 1 및 2의 형상[Figure 1] Shapes of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 실험방법 : 회전구동형 베인필터의 후류를 비교하기 위해 베인필터 후단의 출구를 2M 거리로 연장하여 유동상태를 해석하였다(상기 [그림1]의 맨 우측 그림 참조). - Experimental method: To compare the wake of the rotary driven vane filter, the outlet at the rear of the vane filter was extended to a distance of 2M and the flow state was analyzed (see the rightmost picture in [Figure 1] above).

- 실험결과 1(Vorticity) : 구간별로 중심에서 외곽으로 속도차가 적을수록 유동은 평준화된다고 해석되는데, 아래 [그림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예 1 대비 실험예 2에서 속도가 평준화되어 유동 평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xperiment Result 1 (Vorticity): It is interpreted that the smaller the speed differe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skirts of each section, the more equalized the flow. As can be seen in [Figure 2] below, the velocity is equalized in Experimental Example 2 compared to Experimental Example 1, resulting in a smoother flow. You can see that leveling is taking place.

[그림2][Figure 2]

- 실험결과 2(Local mean age) : 작동유체가 유입되어 유출되는 평균시간은 유체가 그 공간에 얼마나 체류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평균체류시간이 길수록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를 통한 제거효율이 최대화될 것으로 해석되는데, 아래 [그림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예 2 대비 실험예 1에서 평균체류시간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Experiment Result 2 (Local mean age): The average time for the working fluid to flow in and out is a measure of how long the fluid stays in the space. The longer the average residence time, the greater the removal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This is interpreted to be maximized, and as can be seen in [Figure 3] below,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residence time is the highest in Experimental Example 1 compared to Experimental Example 2.

[그림3][Figure 3]

결론적으로, 실험을 통해 실험예 1의 경우에는, 평균체류시간 증대를 통한 제거효율 증대가, 실험예 2의 경우에는 유동 평준화를 통한 제거효율 증대가 확인되었다. In conclusion, through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1, the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through increasing the average residence time, and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2, the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through flow equalization.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embodiments are only embodiments that embod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not per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embod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0: 케이스부 110: 개구부
120: 가림부 130: 통기공
30: 필터모듈 310: 중심축
320: 날개부 321: 돌기
330: 바디케이싱 331: 경사면
340: 축결합부 341: 제1커버부 342: 제2커버부
343: 커버링 344: 밀폐형 베어링
10: Case portion 110: Opening portion
120: Screening part 130: Ventilation hole
30: Filter module 310: Central axis
320: wing portion 321: protrusion
330: body casing 331: slope
340: shaft coupling portion 341: first cover portion 342: second cover portion
343: covering 344: sealed bearing

Claims (8)

필터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수용되어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접촉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듈은 케이스부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 및 원심력에 의한 슬러지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차압을 감소시키고,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케이스부의 양쪽 단 또는 한쪽 단의 축결합부에 결합하여 회전하거나 고정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중심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거나 또는 별개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는, 평판이 중심축에 대해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가 평판에 접촉하면서도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날개부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 날개부의 평판 면적이 인접하는 타 날개부의 평판 면적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날개부로 인한 차압 상승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A cas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filter module therein; and
It includes a filter modul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por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tact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The filter module rotates inside the case portion to increase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the cleaning water and increase the sludge discharge efficiency by centrifugal force while reduc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The filter module includes a central axis that rotates or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a shaft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or one end of the case portion, and a plurality of units that are radial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rotate together or separately. Includes wings,
The w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lat plate extends from the front to the back about the central axis to form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so that the incoming gas to be purified and the washing water can flow out smoothly while contacting the flat plate,
The wing portion is arranged so that the plate area of one wing does not overlap with the plate area of another adjacent wi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reby minimizing the increase in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plurality of blades.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정화 대상 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의 정면과 그 반대방향 배면에,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부들이 이루는 평면 면적에 대응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외의 부분을 폐쇄하여 개구부 외로는 정화 대상 가스 내지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portion has an opening on the front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to be purified flows in and on the back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planar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wings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opening is closed to form an opening.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that blocks the inflow of purification target gas or cleaning water to the out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하좌우의 측면으로는 상기 복수개 날개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통해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According to claim 3,
The case part is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sludge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중심축과 동일한 축중심으로 갖으며 중심축을 둘러싸는 바디케이싱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바디케이싱의 정면은 경사면을 이루어 유입되는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날개부를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wing portion has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are coupled to a body casing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body casing is inclined so that the flow of the incoming purification target gas and washing water is smoothly directed toward the w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평판의 양쪽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표면적 상승 및 난류 형성을 강화를 도모하여 정화 대상 가스와 세정수간 접촉효율 증대를 통한 제거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wings form protrusions on both surfaces of the flat plat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nd strengthen the formation of turbulence, thereby maximizing removal efficiency by increasing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gas to be purified and cleaning water. Vane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일체로 고정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중심축과 일체로 연동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를 상기 제2커버부가 둘러싸는 구조에서,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케이스부와 이격되는 부위와 상기 제1커버부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는 부위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부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는 부위를 둘러싸는 상기 제2커버부와 중심축과의 결합부위에는 별도의 커버링을 포함하여, 슬러지가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케이스부와 이격되는 부위 내지는 상기 제1커버부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는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스크러버용 회전구동형 베인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ver portion integrally fixed with the case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integrally interlocked with the central axis,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cover part surrounds the first cover part, a part where the second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and a part where the first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are formed at different points, and the part where the second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is formed at different points. The first cover part includes a separate covering at a joint area between the second cover part and the central axis surrounding the area where the second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so that sludg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rea where the second cov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part or the second cover area. 1. A rotary driven vane filter for a wet scru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art prevents inflow through the area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KR1020230062996A 2023-05-16 2023-05-16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KR102598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996A KR102598982B1 (en) 2023-05-16 2023-05-16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996A KR102598982B1 (en) 2023-05-16 2023-05-16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82B1 true KR102598982B1 (en) 2023-11-06

Family

ID=8874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996A KR102598982B1 (en) 2023-05-16 2023-05-16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323A (en) * 1997-07-22 1999-02-09 Toshiba Eng Co Ltd Oil mist trap
CN204996243U (en) * 2015-09-28 2016-01-27 济南大唐环境技术有限公司 High -efficient flue gas desulfurization denitration dust pelletizing system
JP2018140343A (en) * 2017-02-27 2018-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eparation unit
KR102260106B1 (en) * 2020-12-04 2021-06-03 주식회사 정원이앤씨 Wet Type Scrub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323A (en) * 1997-07-22 1999-02-09 Toshiba Eng Co Ltd Oil mist trap
CN204996243U (en) * 2015-09-28 2016-01-27 济南大唐环境技术有限公司 High -efficient flue gas desulfurization denitration dust pelletizing system
JP2018140343A (en) * 2017-02-27 2018-09-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eparation unit
KR102260106B1 (en) * 2020-12-04 2021-06-03 주식회사 정원이앤씨 Wet Type Scrub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722B1 (en) Impinger
KR101380488B1 (en) Multitype purify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 cleaning
CN106139957A (en) Mechanical agitation cutting gas-liquid mixing processes and device in pipeline or container
CN208660820U (en) A kind of lacquer spraying technique photocatalysis deodorizing device
CN208865842U (en) Environment-friendly type paint spray booth
CN113332821B (en) Special production clarification plant of paint production
CN108404526A (en) A kind of air purifier and air cleaning system
KR100913117B1 (en) Roof type high speed tunnel air cleaning system
KR102598982B1 (en) A Rotating type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US20230256375A1 (en) Wavy vortex air purifier
KR100589791B1 (en) Scrubbing apparatus for liquid air-cleaner
KR20070104719A (en) Device for air cleaning a use the centrifugal force
CN109621609A (en) A kind of coating cloud collection device
KR101587599B1 (en) Preprocessing device for air cleaning
CN113996137B (en) Purification tower for atmospheric pollution treatment
CN214130920U (en) Compound industrial waste gas treatment purifier
CN205570148U (en) Mechanical stirring cutting gas -liquid mixture device in pipeline or container
CN108905463A (en) A kind of Furniture manufacturing air pollution processing unit
KR102598983B1 (en) A Fixed type extended vane filter for wet scrubber
CN210251733U (en) Multiple filterable paint tail gas processing apparatus
CN209204944U (en) A kind of device for reducing dust
CN203355610U (e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catalyzing and decomposing formaldehyde
CN113701298A (en) Side water retaining structure and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00030075A (en)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CN205699907U (en) A kind of water washing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