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937B1 - Twin coffee machine - Google Patents

Twin coffe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937B1
KR102598937B1 KR1020230049776A KR20230049776A KR102598937B1 KR 102598937 B1 KR102598937 B1 KR 102598937B1 KR 1020230049776 A KR1020230049776 A KR 1020230049776A KR 20230049776 A KR20230049776 A KR 20230049776A KR 102598937 B1 KR102598937 B1 KR 10259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ing
unit
queue
spac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3004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Abstract

복수의 추출기를 포함하는 트윈 커피머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로 구성된 제1 브류잉 유닛;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로 구성된 제2 브류잉 유닛; 제1 큐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제1 브류잉 유닛,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각각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큐가 비어 있고 상기 제2 큐에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A twin coffee machine including a plurality of extractors is disclosed. A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ewing unit consisting of a first cylinder, a first extraction unit, and a first input unit; a second brewing unit consisting of a second cylinder, a second extraction section and a second input section; a materi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dered materials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brewing space, respectively,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queue and the second queue;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brewing space, respectively,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cue and the second cue;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ewing unit, the second brewing unit, th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hat has been manufactured. An order may be removed from the first queue and the second queue,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may remove the order from the second queue if the first queue is empty and an order for a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not started is recorded in the second queue. One or more of the orders may be moved to the first queue.

Description

트윈 커피머신{TWIN COFFEE MACHINE}Twin coffee machine{TWIN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추출기를 포함하는 트윈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pecifically to a twin coffee machine including a plurality of extractors.

에스프레소는 커피음료의 일종으로서, 곱게 분쇄한 커피 분말에 물을 매우 높은 온도 및 압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근래에 커피를 음미할 줄 아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음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였고, 시중에는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가정용 및 상업용 기기가 유통되고 있다.Espresso is a type of coffee beverage that is produced by passing water through finely ground coffee powder at very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people who know how to enjoy coffee has increased, the consumption of coffee drink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home and commercial devices that automatically produce coffee drinks such as espresso are being distributed on the market.

커피음료를 판매하는 영업소에서는 하루 매출의 상당 부분이 점심 시간대와 같이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는 반면, 나머지 시간대에는 비교적 느린 페이스로 주문이 들어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주문이 집중되는 시간대에 커피음료를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면 소비자는 다른 영업소를 찾게 되어 매출이 감소할 우려가 있는 한편, 이에 대응하기 위해 커피제조장치를 여러 대 구비하면 수요가 높지 않은 다른 시간대에는 이들이 활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In stores that sell coffee beverages, a significant portion of daily sales are concentrated during specific times, such as lunch time, while orders generally come in at a relatively slow pace during the rest of the time. If coffee drinks cannot be provided quickly during times when orders are concentrated, there is a risk that sales will decrease as consumers will go to other stores. To counter this, if multiple coffee making devices are installed, they will be used during other times when demand is not high. The downside is that it cannot be u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67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9678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951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41951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579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46579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여러 잔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브류잉 유닛이 서로 연동할 수 있는 트윈 커피머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 twin coffee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brewing units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to produce several cups of beverag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실린더는 제1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1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1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1 브류잉 유닛;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실린더는 제2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2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2 추출부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2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제1 브류잉 유닛,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각각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큐가 비어 있고 상기 제2 큐에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cylinder, a first extraction unit, and a first input unit, wherein the first cylinder forms a first brewing space therein that is open through a first opening, The first extraction unit includes a first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first input unit receives a user's input and records an order for a beverage to be produc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a first brewing unit configured to manage a first queue; It is composed of a second cylinder, a second extraction unit, and a second input unit, wherein the second cylinder forms a second brewing space open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forms the second brewing space. A second brewing system comprising a second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interior, wherein the second input unit receives a user's input and is configured to manage a second queue for recording an order for a beverage to be prepar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unit; a materi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dered materials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brewing space, respectively,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cue and the second cue;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brewing space, respectively,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cue and the second cue;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ewing unit, the second brewing unit, th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hat has been manufactured. An order may be removed from the first queue and the second queue,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may remove the order from the second queue if the first queue is empty and an order for a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not started is recorded in the second queue. One or more of the orders may be moved to the first queue.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은 상기 제1 추출부를 통해 제조되는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은 상기 센서가 상기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된 것으로 감지할 때 음료를 토출할 수 있다.The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first brew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 container is placed at a discharge location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prepared through the first extraction unit, and the first brew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a container is placed at the discharge location.

상기 공급부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급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The supply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ly unit and a second supply unit, and the first supply unit may supply powder material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supply unit may supply powder material to the second brewing space. there is.

대안적으로는, 상기 공급부가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토출슈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중 어느 하나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하도록 구성된 밸브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upply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chute including a first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a second passage connected to the second brewing space; And it may include a valve flap configured to close one of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and open the other on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각각 실린더, 추출부 및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상기 큐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1 브류잉 유닛의 제1 큐가 비어 있고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다른 하나에 해당하는 제2 브류잉 유닛의 제2 큐에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ylinder, an extractor, and an input unit, wherein the cylinder forms a brewing space open through an opening, and the extractor is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a plurality of brewing units including an extraction head, wherein the input unit receives a user's input and manages a queue for recording an order for a beverage to be prepared in the extraction unit; a materi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der material to the brewing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que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brewing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the order recorded in the que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th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input uni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removes an order for a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been completed from the queu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queue of the first brewing unit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is empty and the first queue of the second brewing unit corresponding to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is empty. If an order for a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not started is recorded in queue 2, one or more of the orders in the second queue may be moved to the first queu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uss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to be achiev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여러 잔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브류잉 유닛이 서로 연동할 수 있는 트윈 커피머신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win coffee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brewing units can be linked to each other to produce several cups of beverag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윈 커피머신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에 적용가능한 브류잉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win coffee machine shown in Figure 1 viewed from above.
Figures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brewing module applicable to a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s thereof will be provided. Any necessary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윈 커피머신(2000)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에 적용가능한 브류잉 모듈(10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과 도 2에는 트윈 커피머신(2000)의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2)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다수의 공통점을 공유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shown in Figure 1 as seen from above. Figures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brewing module 1000 applicable to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some components of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are omitted in FIGS. 1 and 2. Figure 5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twin coffee machine (200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has som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but since it shares many common features,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m together. That is, features described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본 명세서는 트윈 커피머신이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제조되는 음료의 종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커피 음료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describes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ocus on the twin coffee machine producing coffee beverag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beverage being produced. In other words, the twin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oduce various types of beverages in addition to coffee beverage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은 제1 브류잉 유닛(1001), 제2 브류잉 유닛(1002), 재료공급부(1200), 물공급부(1300), 스팀공급부(1500) 및 제어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ewing unit 1001, a second brewing unit 1002, a material supply unit 1200, and water. It may include a supply unit 1300, a steam supply unit 1500, and a control unit 2500.

제1 브류잉 유닛(1001)은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2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류잉 유닛(1002)은 이와 유사하게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2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브류잉 모듈(10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브류잉 모듈(1000)의 실린더(300)와 추출부(500)가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의 제1 및 제2 실린더와 제1 및 제2 추출부로 기능할 수 있다. The first brewing unit 1001 may include a first cylinder, a first extraction unit, and a first input unit 2101.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may similarly include a second cylinder, a second extractor, and a second input 2102.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rewing module 1000 illustratively shown in FIG. 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300 of the brewing module 1000. Unit 500 may function as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and the first and second extraction units of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실린더(300)는 개구부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브류잉공간(330)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브류잉공간(330)으로 연통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호퍼(210)가 구비될 수 있다. 추출부(500)는 가운데에 추출헤드(510)를 포함할 수 있고, 추출헤드(510)의 중앙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브류잉 모듈(1000)이 동작할 때, 실린더(300)는 크랭크(700)의 구동에 의해 제1 각도와 제2 각도에 위치할 수 있다. 실린더(300)가 제1 각도에 있을 때 재료공급부(1200)는 호퍼(210)를 통해 분말재료를 브류잉공간(33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그 이후 크랭크(700)는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하도록 제2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추출부(500)를 향하는 상태에서 크랭크(700)는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해 이동하게 하고, 그 결과 추출헤드(510)가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물공급부(1300)는 고온고압의 물을 분말재료가 수용된 브류잉공간(330) 내에 압입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브류잉 모듈(1000)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951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5795호에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The cylinder 300 may form a brewing space 330 inside the cylinder 300 that is open upward through an opening. A hopper 21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brewing space 330. The extraction unit 500 may include an extraction head 510 in the center, and an inlet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xtraction head 510. When the brewing module 1000 operates, the cylinder 300 may be positioned at a first angle and a second angle by driving the crank 700. When the cylinder 300 is at the first angle, 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can supply the powder material into the brewing space 330 through the hopper 210, and then the crank 700 moves the cylinder 300. It may be rotated at a second angle to face the extraction unit 500. In a state facing the extraction unit 500, the crank 700 causes the cylinder 300 to move toward the extraction unit 500, and as a result, the extraction head 510 moves inside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It can be inserted as . In this state, the water supply unit 1300 can produce a beverage by pressur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into the brewing space 330 where the powder material is accommodated. The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brewing module 1000 may b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419517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465795.

한편,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가 생략되어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제어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료에 대한 주문(order) 및/또는 설정을 제어패널(미도시)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는 해당 주문을 각각의 큐(queue)에 기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각각의 입력부(2101, 2102)가 관리하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는 각각의 큐에 기록된 주문에 대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되면 해당 음료에 관한 주문을 큐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를 개별적으로 포함함에 따라 각각의 브류잉 유닛(1001, 1002)이 별도의 커피머신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101 and 2102 (see FIG. 5). 1 and 2,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101 and 2102 are omitted.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101 and 2102 may include a control panel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user input. The user can enter an order and/or settings for the desired beverage through a control panel (not shown),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101 and 2102 place the order in each queue. It can be recorded.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may produce drinks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queues managed by the respective input units 2101 and 2102. When the production of a beverage for an order recorded in each queue is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101 and 2102 may remove the order for the beverage from the queue.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1002) individuall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2101, 2102), so that each brewing unit (1001, 1002) functions as a separate coffee machine. You can do it.

재료공급부(1200)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실린더(300)의 제1 및 제2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재료공급부(1200)가 제1 그라인더(1201)와 제2 그라인더(1202)를 포함한다. 제1 그라인더(1201)는 커피 원두 등의 원재료를 분쇄하여 분말재료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1 토출슈트(1211)와 제1 호퍼(211)를 통해 제1 브류잉 유닛(1001)에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그라인더(1202)도 원재료를 분쇄하여 분말재료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2 토출슈트(1212)와 제2 호퍼(212)를 통해 제2 브류잉 유닛(10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그라인더(1201)와 제2 그라인더(1202)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재료공급부(1200)는 제1 그라인더(1201)와 제2 그라인더(1202)에 원재료를 공급하는 공통의 저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원재료를 공급하는 저장소 역시 제1 및 제2 그라인더(1201, 1202)에 각각 개별적으로 원재료를 공급하는 전용 저장소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may supply powder materials to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spaces 330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300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the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queu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includes a first grinder 1201 and a second grinder 1202. The first grinder 1201 can produce powdered material by grinding raw materials such as coffee beans, and provides the powdered material to the first brewing unit 100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hute 1211 and the first hopper 211. can do. Likewise, the second grinder 1202 can also grind raw materials to produce powder materials and provide them to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hute 1212 and the second hopper 212. there is. In this way, the first grinder 1201 and the second grinder 1202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f course, 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may include a common storage for supplying raw materials to the first grinder 1201 and the second grinder 1202, and the storage for supplying raw materials may als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grinders 1201, 1202) may be divided into dedicated storage units that each individually supply raw materials.

물공급부(1300)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실린더(300)의 제1 및 제2 브류잉공간(3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물을 공급하는 튜브와 제조된 음료를 공급하는 튜브 및 노즐이 생략되어 있다. 즉, 물공급부(1300)는 물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다양한 밸브와 튜브, 그리고 가열장치(1301, 1302)를 통해 제1 및 제2 브류잉공간(3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해 이동하여 추출헤드(510)가 브류잉공간(33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고온고압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300 may supply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spaces 330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300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the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queues. 1 and 2, the tube supplying water and the tube and nozzle supplying the manufactured beverage are omitted. That is, the water supply unit 1300 can supply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o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spaces 330 through various valves, tubes, and heating devices 1301 and 1302, and a cylinder ( 300 moves toward the extraction unit 500 to supply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when the extraction head 510 is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330.

스팀공급부(1500)는 제조되는 음료에 스팀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토출장소에 공급할 수 있다. 스팀공급부(1500)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 모두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1500 can supply steam to the discharge location when steam is required for the beverage being manufactured. The steam supply unit 15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steam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queues.

제어부(2500; 도 5 참조)는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 재료공급부(1200), 물공급부(1300) 및 스팀공급부(15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제어부(2500)가 생략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2500 (see FIG. 5) includes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a material supply unit 1200, a water supply unit 1300, and a steam supply unit 15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of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2500 is omitted in FIGS. 1 and 2.

특히, 제어부(2500)는 제1 입력부(2101)의 제1 큐와 제2 입력부(2102)의 제2 큐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1 큐와 제2 큐 중 어느 하나가 비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있으면, 제어부(2500)는 해당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2101)에는 원하는 음료에 대한 주문을 입력하지 않고 제2 입력부(2102)에는 원하는 음료 3잔에 대한 주문을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1 입력부(2101)의 제1 큐는 빈 상태로 남아 있고, 제2 입력부(2102)의 제2 큐에는 3개의 주문이 추가될 수 있다. 제2 브류잉 유닛(1002)은 제2 큐에서 가장 먼저 입력된 주문에 따라 음료 제조를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2500)는 제2 큐의 3개 주문 중 제조가 시작된 음료에 관한 주문을 제외한 나머지 2개 주문 중 하나를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큐에 주문이 추가됨에 따라 제1 브류잉 유닛(1001)은 이동된 주문과 관련된 음료를 해당 설정에 따라 제조하기 시작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500 can monitor the first queue of the first input unit 2101 and the second queue of the second input unit 2102, and one of the first queue and the second queue is empty and the other is empty. If there is an order for a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not started, the control unit 2500 may move one or more of the orders in the corresponding queue to another queu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ser does not enter an order for a desired drink in the first input unit 2101 but enters an order for 3 cups of the desired drink in the second input unit 2102, the first input unit 2101 The first queue of remains empty, and three orders can be added to the second queue of the second input unit 2102.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starts manufacturing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order entered first in the second queu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500 may move one of the three orders in the second queue, excluding the order for the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begun, to the first queue. As an order is added to the first queue, the first brewing unit 1001 may start manufacturing a beverage related to the moved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ettings.

이와 같이,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 중 어느 하나의 큐에 주문량이 집중되는 경우, 제어부(2500)는 주문 중 일부를 나머지 하나의 큐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이 업무를 분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에서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협동할 수도 있다.In this way, when the number of orders is concentrated in one of the queues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the control unit 2500 may move some of the orders to the remaining queue, This allows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to share tasks. Therefore, in the twin coffee machin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may operate individually or cooperate as needed.

제1 입력부(2101)와 제2 입력부(2102) 중 어느 하나에 사전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매우 많은 수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어부(2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하나의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2101)에는 주문을 2개 입력하였고 제2 입력부(2102)에는 주문을 10개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어부(2500)는 제2 큐의 주문 10개 중 일부를 제1 큐로 이동시켜 동시에 입력된 주문에 대한 음료가 더 신속하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When a very large number of orders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are entered into either the first input unit 2101 or the second input unit 2102, the control unit 2500 selects one of the first input units 2101 and 2102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preset conditions. You can move one or more of the orders from a queue to another queu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ser entered 2 orders into the first input unit 2101 and 10 orders into the second input unit 2102, the control unit 2500 selects 10 orders from the second queue. By moving some to the first queue, drinks for orders entered at the same time can be served more quick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 중 적어도 하나는 추출부(500)를 통해 제조되는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장소(1801, 1802)에 센서(1901, 1902)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1901, 1902)는 토출장소(1801, 1802)에 컵, 머그 등의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용기가 배치된 경우에만 음료를 토출하거나 음료의 제조를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2500)가 브류잉 유닛(1001, 1002) 중 어느 하나의 주문을 다른 하나가 분담하게 하는 경우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위치에서 음료가 토출되어 낭비될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has a discharge location 1801 and 1802 where the beverage produced through the extraction unit 500 is discharged. Sensors 1901 and 1902 may be provided. The sensors 1901 and 1902 can detect whether a container such as a cup or mug is placed at the discharge location 1801 or 1802, and the brewing unit 1001 or 1002 discharges the beverage only when a container is placed. You can start making drinks. This can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beverage being discharged and wasted in a location unexpected by the user when the control unit 2500 shares the order of one of the brewing units 1001 and 1002 with the other.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2)이 개념적으로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일부 참조번호는 제1 실시예에 해당 참조번호가 적용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려는 것이다.Figure 5 conceptually shows a twin coffee machine (200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likewise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2 Some reference numbers mention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are intended to refer to components corresponding to components to which the reference numbers are applied in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재료공급부(1200)가 하나의 공통된 그라인더(1205)와 토출슈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슈트(1220)는 제1 통로(1221)와 제2 통로(1222)로 분기될 수 있는데, 제1 통로(1221)는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제1 브류잉공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통로(1222)는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제2 브류잉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로(1221)는 그 출구가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제1 호퍼(211)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통로(1222)는 그 출구가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제2 호퍼(2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슈트(1220)에는 제어부(2500)의 제어에 따라 제1 통로(1221)와 제2 통로(1222) 중 어느 하나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하도록 구성된 밸브플랩(1240)이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may include one common grinder 1205 and a discharge chute 1220. The discharge chute 12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ssage 1221 and a second passage 1222, and the first passage 122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rewing space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 the second passage 122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rewing space of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For example, the outlet of the first passage 1221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hopper 211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outlet of the second passage 1222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hopper 211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It may be placed above the second hopper 212 (1002). The discharge chute 1220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flap 1240 configured to close one of the first passage 1221 and the second passage 1222 and open the other pa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00.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 각각에서 실린더(300)는 호퍼(211, 212)와 토출헤드(51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300)가 호퍼(211, 212)를 향하는 제1 각도에서는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가 공급될 수 있고, 토출헤드(510)를 향하는 제2 각도에서는 브류잉공간(33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트윈 커피머신(2002)의 재료공급부(1200)가 하나의 그라인더(1205)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500)는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작동 과정이 서로 엇갈리게 할 수 있다. In each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the cylinder 300 can move between the hoppers 211 and 212 and the discharge head 510. Powder material can be supplied to the brewing space 330 at a first angle when the cylinder 300 faces the hoppers 211 and 212, and at a second angle toward the discharge head 510, the powder material can be supplied to the brewing space 330. Water can be supplied. Therefore, when 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of the twin coffee machine 2002 includes only one grinder 1205, the control unit 2500 control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These can b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제어부(2500)는 제1 브류잉 유닛(1001)에서 실린더(300)가 분말재료를 공급받을 때 제2 브류잉 유닛(1002)에서는 실린더(300)가 대기하게 하거나 추출부(500)와 상호작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도록 제어하고,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실린더(300)에 대한 분말재료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야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실린더(300)가 제2 호퍼(212)를 향하여 분말재료를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느 브류잉 유닛(1001, 1002)의 실린더가 분말재료를 공급받는지에 따라 제어부(2500)는 밸브플랩(1240)이 제1 통로(1221) 또는 제2 통로(1222)가 개방되게 하여 필요한 브류잉 유닛(1001, 1002)의 브류잉공간(330)으로 분말재료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ylinder 300 receives powder material from the first brewing unit 1001, the control unit 2500 causes the cylinder 300 to stand by in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or the extraction unit 500 ) is controlled to produce coffee by interacting with, and only after the supply of the powder material to the cylinder 300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is completed, the cylinder 300 of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is It can be controlled to receive powder material toward the hopper 212. Depending on which cylinder of the brewing unit 1001 or 1002 receives the powder material, the control unit 2500 causes the valve flap 1240 to open the first passage 1221 or the second passage 1222 to perform the necessary brewing. Powder material can be supplied to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units 1001 and 1002.

제어부(2500)는 물공급부(1300)의 작동도 이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0)는, 제1 브류잉 유닛(1001)에서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동안 제2 브류잉 유닛(1002)에서 실린더(300)가 토출헤드(510)를 향해 이동하게 하고 브류잉공간(330)에 압축된 분말재료에 고온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물공급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0)는 필요한 밸브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305)에 저장된 물을 제2 튜브(1306)를 통해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실린더(30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0 can als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1300 to correspond to thi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500 causes the cylinder 300 to move toward the discharge head 510 in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while receiving powder material from the first brewing unit 1001 and The water supply unit 1300 can be controlled so th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is supplied to the powder material compressed in the flowing space 330. The controller 2500 may open the necessary valves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305 to the cylinder 300 of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through the second tube 1306.

이후 제1 브류잉 유닛(1001)에서 실린더(300)가 토출헤드(510)를 향해 이동하면, 제어부(2500)는 제2 브류잉 유닛(1002)에서 실린더(300)가 제조된 음료를 토출하고 브류잉공간(330)의 잔여 찌꺼기를 배출한 후 제2 호퍼(212)를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밸브플랩(1240)이 제2 통로(1222)를 개방하게 하여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500)는 필요한 밸브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305)에 저장된 물을 제1 튜브(1304)를 통해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실린더(3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는 가열장치(1301, 1302)가 생략되어 있고, 물이 저수탱크(1305)에서 곧바로 공급되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으나, 저수탱크(1305)의 물이 공통의 가열장치(미도시)로 공급된 후 각각의 튜브(1304, 1306)를 통해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에 공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fterwards, when the cylinder 300 moves toward the discharge head 510 in the first brewing unit 1001, the control unit 2500 discharges the beverage produced by the cylinder 300 in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After discharging the remaining residue in the brewing space 330, it can be controlled to face the second hopper 212, and the valve flap 1240 opens the second passage 1222 to open the second brewing unit 1002. ) can be supplied to the brewing space 330. The controller 2500 may open the necessary valves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305 to the cylinder 300 of the first brewing unit 1001 through the first tube 1304. In Figure 5, the heating devices 1301 and 1302 are omitted and the water is depicted as being supplied directly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305. However,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305 is supplied to a common heating device (not shown). It is obvious that it can then be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rewing units 1001 and 1002 through the respective tubes 1304 and 130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2)은 하나의 그라인더(1205)를 두 개의 브류잉 유닛(1001, 1002)이 공유하게 하고 브류잉 유닛(1001, 1002)들이 그라인더(1205)로부터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공정이 엇갈리게 할 수 있다. 하나의 브류잉 유닛에서 분말재료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는 동안 다른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으므로, 그라인더(1205)를 공유하더라도 대기하는 데 낭비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twin coffee machine (20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wo brewing units (1001 and 1002) to share one grinder (1205), and the brewing units (1001 and 1002) use the grinder (1205). ) The process of receiving powder materials from ) can be staggered. Since supply of powdered material is not required from one brewing unit while another brewing unit is supplied with powdered material, time wasted waiting can be minimized even if the grinder 1205 is shar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 2002)을 이용하면, 복수의 브류잉 유닛(1001, 1002)을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협동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재료공급부(1200), 물공급부(1300), 스팀공급부(1500) 등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공유하게 할 수 있어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한 때에 주문 처리량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When using the twin coffee machines (2000, 2002)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ewing units (1001, 1002)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a cooperative manner as needed. In addi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material supply unit 1200, water supply unit 1300, and steam supply unit 1500 can be shared partially or entirely, thereby minimizing cost increases and significantly increasing order throughput when necessary.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2000, 2002: 트윈 커피머신
1001, 1002: 브류잉 유닛 1200: 재료공급부
1300: 물공급부 1500: 스팀공급부
2000, 2002: Twin Coffee Machine
1001, 1002: Brewing unit 1200: Material supply unit
1300: Water supply unit 1500: Steam supply unit

Claims (5)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실린더는 제1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1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1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1 브류잉 유닛;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실린더는 제2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2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2 추출부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2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제1 브류잉 유닛,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각각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브류잉 유닛과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이 개별 방식과 협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협동 방식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 중 어느 하나의 큐에 기록된 주문을 다른 하나의 큐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브류잉 유닛과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의 작동 과정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동안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이 물을 공급받는 동안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It is composed of a first cylinder, a first extraction unit, and a first input unit, wherein the first cylinder forms a first brewing space open through a first opening, and the first extraction unit forms the first brewing space. A first brew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extraction head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first input unit receives a user's input and manages a first queue for recording an order for a beverage to be prepar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unit;
It is composed of a second cylinder, a second extraction unit, and a second input unit, wherein the second cylinder forms a second brewing space open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forms the second brewing space. A second brewing system comprising a second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interior, wherein the second input unit receives a user's input and is configured to manage a second queue for recording an order for a beverage to be prepar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unit;
a materi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dered materials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brewing space, respectively,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cue and the second cue;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brewing space, respectively,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first cue and the second cue;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ewing unit, the second brewing unit, th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remove orders for drinks that have been manufactured from the first queue and the second queue,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sets the first brewing unit and the second brewing unit to operate in either an individual method or a cooperative method,
In the cooperative method, the control unit moves the order recorded in one of the first queue and the second queue to the other queu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preset conditions, and the first brewing unit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brewing unit is staggered so that while the first brewing unit is supplied with the powder material, the second brewing unit is supplied with water and while the first brewing unit is supplied with water. A twin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rewing unit receives powdered materi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류잉 유닛과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각각은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된 것으로 감지할 때 음료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brewing unit and the second brew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 container is placed at the discharge location, and discharges the beverage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container is placed at the discharge location. Twin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는 제1 그라인더 및 제2 그라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인더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그라인더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grinder and a second grinder,
The first grinder supplies powder material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the second grinder supplies powder material to the second brewing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토출슈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중 어느 하나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하도록 구성된 밸브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supply department,
A discharge chute including a first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brewing space and a second passage connected to the second brewing space; and
A twin coffee machine comprising a valve flap configured to close one of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and open the other pa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각각 실린더, 추출부 및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상기 큐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이 개별 방식과 협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협동 방식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1 브류잉 유닛의 제1 큐 및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다른 하나에 해당하는 제2 브류잉 유닛의 제2 큐 중 어느 하나의 큐에 기록된 주문을 다른 하나의 큐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의 작동 과정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어느 하나의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동안 다른 하나의 브류잉 유닛이 물을 공급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Each is composed of a cylinder, an extraction unit, and an input unit, wherein the cylinder forms a brewing space open through an opening,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n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and the input unit is operated by the user. a plurality of brewing units configured to receive input and manage queues recording orders for beverages to be prepared in the brewing unit;
a materia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der material to the brewing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orders recorded in the que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brewing sp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ccording to settings related to the order recorded in the que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th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 input uni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removes an order for a beverage whose production has been completed from the queue,
The control unit sets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to operate in either an individual method or a cooperative method,
In the cooperative metho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ue of the first brewing unit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preset conditions. The order recorded in one of the second queues of the corresponding second brewing unit is moved to the other queue, and the operation processes of the plurality of brewing units are staggered so that any one brewing unit produces the powder material. A twin coffee machine that allows the other brewing unit to receive water while receiving water.
KR1020230049776A 2023-04-17 2023-04-17 Twin coffee machine KR102598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776A KR102598937B1 (en) 2023-04-17 2023-04-17 Twin coffe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776A KR102598937B1 (en) 2023-04-17 2023-04-17 Twin coffee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37B1 true KR102598937B1 (en) 2023-11-06

Family

ID=8874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776A KR102598937B1 (en) 2023-04-17 2023-04-17 Twin coffe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3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562B1 (en)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달콤 Coffee beverage order processing apparatus using unmanned coffee beverage mak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90421B1 (en) * 2011-11-23 2019-06-18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JP2021065350A (en) * 2019-10-21 2021-04-30 株式会社Tree Field Device
KR102396787B1 (en) 2022-03-23 2022-05-12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Dispenser chute, grinding device, and beverage ma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419517B1 (en) 2022-03-17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Coffee drink brewing device
KR102465795B1 (en)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Coffee drink brewing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for coffee drink brewing devic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421B1 (en) * 2011-11-23 2019-06-18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KR101817562B1 (en)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달콤 Coffee beverage order processing apparatus using unmanned coffee beverage mak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1065350A (en) * 2019-10-21 2021-04-30 株式会社Tree Field Device
KR102419517B1 (en) 2022-03-17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Coffee drink brewing device
KR102396787B1 (en) 2022-03-23 2022-05-12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Dispenser chute, grinding device, and beverage ma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465795B1 (en)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Coffee drink brewing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for coffee drink brew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116B2 (en)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CN108463146B (en)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system for cleaning the coffee dispensing system
CN1830369B (en) Coffee machine
EP0472272B2 (en) Automated coffee apparatus
US20030155101A1 (en) Liqui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JP2013521059A (en) Accelerated low pressure brewer
US20100224075A1 (en) Coffee machines with at least two brewing groups
EP3855985A1 (en) Magnetically driven beverage brewing system and method
TW201538110A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and methods with restrictors
KR20130024375A (en) Espresso coffee machine
KR102598937B1 (en) Twin coffee machine
WO2011130439A2 (en)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US11910952B2 (en) Customizable multiple port automated beverage brewer and system
WO2020105011A1 (en) Coffee bean feeder, selecting unit comprising such feeder and coffee machine comprising such selecting unit
EP3697272B1 (e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1407738B1 (en) The coffee machine and it's method for drip
USRE15707E (en) Signments
CN110084968A (en) Beverage extracting device
JP2005073868A (en) Coffee beverage preparing apparatus
JP7315103B2 (en) beverage dispenser
JP7406554B2 (en) Coffee machines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coffee machines
KR101006553B1 (en) liquid beverage vending machine non electric power
KR0167195B1 (en) Coffee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coffee water manufacturing supplying control method
JP2022149700A (en) Beverage feeding device and beverage feeding method
JP4933857B2 (en) Beve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