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829B1 -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829B1
KR102598829B1 KR1020230081823A KR20230081823A KR102598829B1 KR 102598829 B1 KR102598829 B1 KR 102598829B1 KR 1020230081823 A KR1020230081823 A KR 1020230081823A KR 20230081823 A KR20230081823 A KR 20230081823A KR 102598829 B1 KR102598829 B1 KR 10259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astening
ball
insulator
typ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8541A (ko
Inventor
김병문
전용철
이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8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8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4Chains; Multiple ch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08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cap-and-bo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체결용 핀(200)에 걸리는 핀용 고리부(313)가 구비되는 갈고리부재(310)와 갈고리부재(310)가 장착되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와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장착되고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형성되는 삽입공(115,115a)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갈고리부재(310)가 장착된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단부를 누를 경우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기 갈고리부재(310)가 상승하도록 하는 지렛대 축부재(330)와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구비되며 타격에 의해 상기 체결용 핀(200)을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결합시키기 위한 핀 체결부재(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적은 힘으로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 뿐 아니라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도 체결용 핀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BALL-SOCKET TYPER SURPENSION INSULATOR}
본 발명은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소켓형 현수애자의 체결용 핀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애자는 철탄 등과 같은 지지물로부터 송전선을 절연함과 동시에 강풍이나 비바람으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하는 지지체로서, 이 현수애자로는 활선상태(무정전 상태)에서 전장품의 교환 및 보수작업을 위한 볼소켓형 현수애자와 크레비스형 현수애자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는 애자몸체(110)의 하부에 볼부재(111)가 구비되고, 상부측에 볼부재(11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용 돌기부재(11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연결용 돌기부재(112)는 측면으로 개방되어 볼부재(111)가 내부로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가 구비된다.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는 다른 볼소켓형 현수애자(100')의 볼부재(111')가 볼 삽입홈부(113) 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며, 연결용 돌기부재(112)에 R형상의 체결용 핀(200)을 결합시켜 볼 삽입홈부(113)의 입구측을 막아 다른 볼소켓형 현수애자(1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는 사용전압 및 오손등급에 따라 애자수량을 가변적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볼소켓형 현수애자(110)는 R형상의 체결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에 결합시 해머를 이용하고 분리시 펜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설치하기 위해 R형상의 체결용 핀(200)을 해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펜치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있어 설치 또는 분리 작업 시 현수애자의 자기 부분이 파손되는 일일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를 설치 또는 분리하기 위해 R형상의 체결용 핀(200)을 탈착하는 공구가 없어 작업의 숙련자가 아닌 경우 현수애자 설치 분리 작업시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작업 중 현수애자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제10-2015-0109797호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2015.07.31)가 있다.
그러나 상기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R형상의 체결용 핀을 분리하고, 삽입시에는 클램핑 고리부재를 현수애자에 고정시킨 후 지렛대 힘으로 체결하므로 볼소켓형 현수애자를 설치 및 분리할 때 큰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는 갈고리가 수직으로 되어 구성되어 볼부재가 애자몸체 내에 배치되어 완전히 가려지는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볼소켓형 현수애자를 설치 및 분리할 때 종래에 비해 적은 힘으로 작업 가능하며, 볼부재가 애자몸체 외부로 돌출된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 뿐 아니라 볼부재가 애자몸체 내에 배치되는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도 체결용 핀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애자몸체의 일측에 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연결용 돌기부재를 구비하는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을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이며, 상기 체결용 핀에 걸리는 핀용 고리부가 구비되는 갈고리부재와 상기 갈고리부재가 장착되는 지렛대 몸체부재와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갈고리부재가 장착된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단부를 누를 경우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기 갈고리부재가 상승하도록 하는 지렛대 축부재와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구비되며 타격에 의해 상기 체결용 핀을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핀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갈고리 부재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상기 핀용 고리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핀용 고리부 사이를 형성하며 소정 구간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핀용 고리부에 상기 체결용 핀을 걸 경우 상기 갈고리 부재와 상기 애자몸체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 간섭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갈고리부재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일측 단부에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렛대 축부재는 상기 갈고리부재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갈고리부재와 평행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핀 체결부재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서 상기 갈고리부재가 장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되며 선단에 체결용 핀의 일단이 거치되는 핀 체결용 정과,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핀 체결용 정의 후단을 타격하여 상기 핀 체결용 정의 선단에 거치된 상기 체결용 핀을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 내로 결합시키는 해머를 포함한다.
상기 핀 체결용 정은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일반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과,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선단측이 계단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애자몸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을 포함한다.
상기 핀 체결용 정은 선단에 상기 체결용 핀의 일단이 거치될 수 있는 요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상기 해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해머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단부측에 해당하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해머의 암나사부와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수나사부가 결합된 상태를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 뿐 아니라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적용하여 볼부재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 자기 부분의 파손 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수애자의 정비품질을 향상시키고 정비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 및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체결용 핀을 분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체결용 핀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체결용 핀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소켓형 현수애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는 자기 부분으로 된 애자몸체(110)의 일측에 볼부재(111)가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에 다른 볼소켓형 현수애자(100)의 볼부재(111)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가 구비되는 연결용 돌기부재(112)를 구비한다.
볼소켓형 현수애자(100)는 가공송전선로에서 전력선과 철탑 간에 지지 또는 절연하기 위해 사용하며 사용전압 또는 오손등급에 따라 수량을 가변적으로 연결설치한다.
볼소켓형 현수애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재(111)가 애자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이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재(111a)가 애자몸체(110a) 내에 배치되는 형상인 것이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a)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는, 볼부재(111,111a)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113a)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 뿐 아니라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a)에도 체결용 핀(200)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다. 체결용 핀(200)은 R형상의 체결핀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는 갈고리부재(310), 지렛대 몸체부재(320), 지렛대 축부재(330), 핀 체결부재(340)를 포함한다.
갈고리부재(310)는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결합된 체결용 핀(200)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갈고리부재(310)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일측 단부에 지렛대 몸체부재(320)와 수직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갈고리부재(310)는 체결용 핀(200)에 걸리는 핀용 고리부(31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갈고리부재(310)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고정볼트(317) 및 고정너트(319)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311)와, 고정부(3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핀용 고리부(313)와, 고정부(311)와 핀용 고리부(313) 사이를 형성하며 소정 구간 절곡 형성되어 핀용 고리부(313)에 체결용 핀(200)을 걸 경우 갈고리부재(310)와 애자몸체(110a)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 간섭방지부(315)를 구비한다.
핀용 고리부(313)는 체결용 핀(200)이 걸어질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간섭방지부(315)는 갈고리부재(310)의 중간 부분을 애자몸체(110a)와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한 것이다.
지렛대 몸체부재(320)는 직선형 원통 형태를 가지며,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갈고리부재(310), 지렛대 축부재(330), 핀 체결부재(340)가 장착된다.
지렛대 축부재(330)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장착된다. 지렛대 축부재(330)는 볼소켓형 현수애자(100)의 연결용 돌기부재(112)에 형성되는 삽입공(115,115a)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갈고리부재(310)가 장착된 반대측에 해당하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단부측을 누를 경우 지렛대 역할을 하여 갈고리부재(310)가 상승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렛대 축부재(330)는 갈고리부재(310)와 근접한 위치에서 갈고리부재(310)와 평행하도록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장착된다. 지렛대 축부재(330)가 갈고리부재(310)와 근접한 위치에서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장착되면 보다 적은 힘으로 체결용 핀(200)의 분리 작업 가능하다.
지렛대 축부재(330)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지지볼트(331) 및 지지너트(333)에 의해 고정된다. 지렛대 축부재(330)는 갈고리부재(310)가 상승하도록 하는 지지점의 역할을 하므로 지렛대 몸체부재(320)가 지렛대 축부재(3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볼트(331) 및 지지너트(333)가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지렛대 축부재(330)를 고정할 수 있다.
지렛대 축부재(330)는 단부가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형성된 삽입공(115,115a)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핀 체결부재(340)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구비된다. 핀 체결부재(340)는 타격에 의해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핀 체결부재(340)는 핀 체결용 정(341)과 해머(347)를 포함한다.
핀 체결용 정(341)은 지렛대 몸체부재(320)에서 갈고리부재(310)가 장착되는 반대편에 해당되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되며 선단에 체결용 핀(200)의 일단이 거치된다. 이를 위해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타단에 수볼트(321)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핀 체결용 정(341)에는 수볼트(321)에 대응되는 암볼트(344,346)가 형성된다.
핀 체결용 정(341)은 일반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3)과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을 포함할 수 있다.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일반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3) 또는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이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일반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3)은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은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선단측이 계단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애자몸체(11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핀 체결용 정(341)의 후단은 해머(347)가 타격할 때 타격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핀 체결용 정(341)은 선단에 체결용 핀(200)의 일단이 거치될 수 있는 요입홈(343a,345a)이 형성된다. 요입홈(343a,345a)은 체결용 핀(200)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해머(347)가 핀 체결용 정(341)을 타격하는 힘이 체결용 핀(200)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해머(347)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해머(347)는 핀 체결용 정(341)의 후단을 타격하여 핀 체결용 정(341)의 선단에 거치된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 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머(347)는 타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른 구성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재질로 제작한 후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해머(34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50)이 구비된다. 고정수단(350)은 해머(347)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해머(347)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수단(350)은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부(351)와, 해머(347)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수나사부(351)에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3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나사부(351)의 단부측에 해당하는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외주면에 스토퍼부(355)를 돌출 형성하여 해머(347)의 암나사부(353)와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수나사부(351)가 결합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를 사용하여 볼부재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을 연결용 돌기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를 사용하여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체결용 핀을 분리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볼부재(111a')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a)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a)에서 분리하기 위해,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를 사용한다.
그 방법은 우선, 지렛대 축부재(330)의 단부를 연결용 돌기부재(112a)의 삽입공(115a)에 삽입함과 동시에 갈고리부재(310)의 핀용 고리부(313)를 애자몸체 내로 삽입하여 체결용 핀(200)에 걸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 몸체부재(320)에서 갈고리부재(310)가 장착된 반대측에 해당하는 단부를 손으로 파지하고 하방으로 누른다. 그러면 지렛대 축부재(330)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지렛대 몸체부재(320)가 지지볼트(331) 및 지지너트(3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갈고리부재(310)가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체결용 핀(200)이 연결용 돌기부재(112a)에서 쉽게 분리된다.
이때, 갈고리부재(310)는 길이방향 중앙 부분의 간섭방지부(315)에 의해 애자몸체(110a')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볼부재(111a')가 애자몸체(110a')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고, 체결용 핀(200)의 분리 과정에서 자기 부분인 애자몸체(110a')의 파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지렛대 축부재(330)는 갈고리부재(310)와 근접한 위치에서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므로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체결용 핀(200)의 분리 작업이 가능하다.
도 6에는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를 사용하여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체결용 핀을 삽입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볼부재(111)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에 결합하기 위해,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를 사용한다.
그 방법은 우선,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일반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3)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수나사부(351)에 고정되어 있는 해머(347)를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을 해지함으로써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다음으로, 일자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1)의 선단이 연결용 돌기부재(112)에 가결합되어 있는 체결용 핀(200)의 일단을 누를 수 있도록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를 세로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해머(347)를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자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1)의 후단을 수회 타격하여 일자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1)의 선단에 거치된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 내로 결합시킨다.
즉, 해머(347)를 고정수단(350)으로부터 해제 후 해머(347)의 상하 운동으로 일자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1)을 타격하여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 내로 삽입시켜 볼부재(111)가 볼 삽입홈부(113)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타격은 1~5회 사이로 진행될 수 있다.
도 7에는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를 사용하여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체결용 핀을 삽입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a)에서 볼부재(111a')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a)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a)에 결합하기 위해,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를 사용한다.
그 방법은 우선,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선단측이 계단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애자몸체(110a')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수나사부(351)에 고정되어 있는 해머(347)를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을 해지함으로써 지렛대 몸체부재(3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다음으로,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의 선단이 연결용 돌기부재(112a)에 가결합되어 있는 체결용 핀(200)의 일단을 누를 수 있도록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를 세로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해머(347)를 지렛대 몸체부재(3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의 후단을 수회 타격하여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의 선단에 거치된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a) 내로 결합시킨다.
즉, 해머(347)를 고정수단(350)으로부터 해제 후 해머(347)의 상하 운동으로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5)을 타격하여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a) 내로 삽입시켜 볼부재(111a')가 볼 삽입홈부(113a)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이때, 내부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341)은 선단측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자몸체(110a') 내로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해머(347)가 타격하는 힘을 체결용 핀(200)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 자기 부분인 애자몸체(110a')의 손상이나 파손 없이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a)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300)는 볼부재(111,111a)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113,113a)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200)을 연결용 돌기부재(112,112a)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 현수애자의 정비품질을 향상시키고 정비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 뿐 아니라 내무형 볼소켓형 현수애자(100a)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적은 힘으로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작업시 자기 부분의 파손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볼소켓형 현수애자 110: 애자몸체
111: 볼부재 112: 연결용 돌기부재
113: 볼 삽입홈부 115: 삽입공
200: 체결용 핀 300: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310: 갈고리부재 311: 고정부
313: 핀용 고리부 315: 간섭방지부
320: 지렛대 몸체부재 330: 지렛대 축부재
340: 핀 체결부재 341: 핀 체결용 정
343: 일반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 345: 내무형 애자용 핀 체결용 정
347: 해머 350: 고정수단
351: 수나사부 353: 암나사부
355: 스토퍼부

Claims (1)

  1. 애자몸체의 일측에 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연결용 돌기부재를 구비하는 볼소켓형 현수애자에서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는 볼 삽입홈부의 입구를 막는 체결용 핀을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이며,
    상기 체결용 핀에 걸리는 핀용 고리부가 구비되는 갈고리부재;
    상기 갈고리부재가 장착되는 지렛대 몸체부재;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갈고리부재가 장착된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단부를 누를 경우 지렛대 역할을 하여 상기 갈고리부재가 상승하도록 하는 지렛대 축부재; 및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에 구비되며 타격에 의해 상기 체결용 핀을 상기 연결용 돌기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핀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갈고리부재는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의 일측 단부에 상기 지렛대 몸체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렛대 축부재는 상기 갈고리부재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갈고리부재와 평행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갈고리부재는 소정 구간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핀용 고리부에 상기 체결용 핀을 걸 경우 상기 갈고리 부재와 상기 애자몸체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 간섭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KR1020230081823A 2016-04-26 2023-06-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KR10259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823A KR102598829B1 (ko) 2016-04-26 2023-06-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41A KR102550010B1 (ko) 2016-04-26 2016-04-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KR1020230081823A KR102598829B1 (ko) 2016-04-26 2023-06-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41A Division KR102550010B1 (ko) 2016-04-26 2016-04-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41A KR20230098541A (ko) 2023-07-04
KR102598829B1 true KR102598829B1 (ko) 2023-11-07

Family

ID=603839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41A KR102550010B1 (ko) 2016-04-26 2016-04-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KR1020230081824A KR102604184B1 (ko) 2016-04-26 2023-06-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KR1020230081823A KR102598829B1 (ko) 2016-04-26 2023-06-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41A KR102550010B1 (ko) 2016-04-26 2016-04-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KR1020230081824A KR102604184B1 (ko) 2016-04-26 2023-06-26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50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3026A (zh) * 2017-11-15 2018-05-22 宁国松岭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防脱绝缘子铁帽
CN114955952B (zh) * 2022-06-23 2024-03-26 南京韬和建设工程有限公司 输配电在线安全监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0815A (ja) * 2011-03-25 2012-10-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割ピン挿入・引抜き用工具
JP2014050237A (ja) * 2012-08-31 2014-03-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割りピン着脱治具
CN104362548A (zh) 2014-12-01 2015-02-18 国家电网公司 绝缘子用转动推离式拔销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93A (ko) * 2011-10-21 2013-05-02 한국전력공사 송전애자 분할 핀 취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0815A (ja) * 2011-03-25 2012-10-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割ピン挿入・引抜き用工具
JP2014050237A (ja) * 2012-08-31 2014-03-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割りピン着脱治具
CN104362548A (zh) 2014-12-01 2015-02-18 国家电网公司 绝缘子用转动推离式拔销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41A (ko) 2023-07-04
KR102604184B1 (ko) 2023-11-22
KR20230098542A (ko) 2023-07-04
KR102550010B1 (ko) 2023-07-03
KR20170121979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829B1 (ko)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EP251058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est lead, assembly therefor, and associated method
US10189372B2 (en) Bond pin assembly for connecting connection cables
CN202905961U (zh) 一种组合式接线端子的夹紧套
RU162466U1 (ru) Штепсельный узел элементо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пи
US10574042B2 (en) Spacer assembly for conductor bundle
CN202905985U (zh) 组合式接线端子
US11251594B2 (en) Fastening structure of clamp for supporting power line and insulator
CN205363745U (zh) 一种便携式拔销器
US20160111799A1 (en) Battery Terminal
JP2006507450A (ja) 前面取付型保持機構
EP3269511A1 (en) Device for gripping diesel engine injectors
KR101562464B1 (ko) 전력선 연결용 고리형클램프
CN205036697U (zh) 一种防简单工具拆除的机螺钉
US20060117861A1 (en) Material tester
CN215444728U (zh) 一种丝纹阻断式防松动螺栓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10007491A (ko) 부쉬 장착용 치공구
CN106451235A (zh) 一种多功能间隔棒拆装工具及拆装方法
CN104595315A (zh) 易拆卸膨胀螺栓
JP3871205B2 (ja) 点火コイル集合装置
CN205765953U (zh) 地电位金具螺栓作业工具
CN217589986U (zh) 卡爪副及用于输电线路绝缘子的更换装置
JP2023123021A (ja) 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のクサビ抜き取り装置
CN206947572U (zh) 一种架空线路临时用接地线夹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